KR101524493B1 -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 Google Patents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493B1
KR101524493B1 KR1020130091757A KR20130091757A KR101524493B1 KR 101524493 B1 KR101524493 B1 KR 101524493B1 KR 1020130091757 A KR1020130091757 A KR 1020130091757A KR 20130091757 A KR20130091757 A KR 20130091757A KR 101524493 B1 KR101524493 B1 KR 10152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wireless communication
pattern
short
communica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845A (ko
Inventor
강성종
임성련
황영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Priority to KR102013009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4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을 갖고,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단자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의 일면에 설치되며, 양면부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통신을 실시하고, 상기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팩의 전기적인 이상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무선 통합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BATTERY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WIRELESS INTEGRATED MODULE}
본 발명은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무선통신패턴, 무선충전패턴을 비롯한 배터리 보호 회로를 함께 갖는 무선통합모듈이 설치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휴대단말용 NFC 안테나는 서로 다른 2개의 루프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NFC 루프 안테나는 PCM에 포함되어 있는 주파수 매칭용 캐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NFC 루프 안테나는 루프의 각 양 끝단이 캐패시터에 연결되어 있는 폐루프를 형성하고 서로 다른 2개의 폐루프 NFC 안테나는 각각의 루프 안테나와 캐패시터에서 발생하는 공진을 이용하여 13.56MHz의 NFC 통신용 주파수 영역을 생성하여 NFC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기존의 2개의 NFC 루프 안테나를 이용하는 기술에서는 2개의 NFC 루프 안테나와 각각 폐루프를 형성하여 주파수 매칭을 하는 서로 다른 2개의 캐패시터가 PCM 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부에 포함되어 있는 NFC 루프 안테나와 PCM 에 포함되어 있는 캐패시터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폐루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모두 4개의 전기적인 접속 단자가 필요하다.
기존의 기술과 같이 PCM 에 주파수 매칭용 캐패시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NFC 루프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 하기 위한 전기적인 단자부가 필요한데, 이러한 전기적 단자부는 PCM 내에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 10-1133054호(공고일: 2012년 03월 2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NFC 안테나를 구비하는 배터리팩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무선통신패턴, 무선충전패턴을 비롯한 배터리 보호 회로를 함께 갖는 무선통합모듈이 설치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을 갖고,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단자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의 일면에 설치되며, 양면부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통신을 실시하고, 상기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팩의 전기적인 이상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무선 통합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를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이 내부에 설치되며, 일면부에 상기 무선통합모듈이 설치되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가 형성되는 상단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통합모듈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부에 부착 설치되는 기판 몸체와, 상기 기판 몸체의 양면부에 형성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 패턴부와, 상기 기판 몸체에 벤딩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보호 회로 모듈이 실장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통신 패턴부는, 상기 기판 몸체의 양면부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통신 패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과, 무선 충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 몸체의 양면부에는, 상기 무선 충전 패턴이 형성되는 무선 충전 패턴 형성 영역과, 상기 무선 충전 패턴 형성 영역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이 형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형성 영역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 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케이스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보조 기판 몸체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기판 몸체는, 상기 기판 몸체의 일측 양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연장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다른 하나를 잇는 연결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 부는, 배터리 과전류 보호 회로와, 무선 충전 회로와, 배터리 보호 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 몸체의 일면부에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몸체의 일면부 양단에는 상기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충전 패턴은, 상기 무선 충전 패턴 형성 영역에서 일정 회수로 권취되는 코일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무선 충전 패턴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연장 몸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형성 영역에서 상기 무선 통신 패턴의 외곽을 에워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연장 몸체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상기 기판 몸체에서 교차되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절연체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서로 상하로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서로 다른 층의 사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되는 영역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형성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서로 상하로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서로 다른 층의 사이에 부착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형성 영역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상기 기판 몸체에서 교차되는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상기 기판 몸체에서 상하를 따라 서로 다른 수준을 형성하는 패턴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 몸체의 양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각각의 두께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부에 밀착되는 측의 두께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측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기판에 근거리무선통신패턴, 무선충전패턴을 비롯한 배터리 보호 회로를 함께 갖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과 무선 충전을 동시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보호함은 물론, 이동통신장치의 커버 교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과 무선 충전 패턴간의 교차되는 부분에서의 절연성을 향상시켜 서로간의 간섭으로 인해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통합모듈을 보여주는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통합모듈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차 영역에서의 절연 방식의 제 1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교차 영역에서의 절연 방식의 제 2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교차 영역에서의 절연 방식의 제 3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는 배터리 팩과,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팩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이 개구되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케이스에는 배터리 단자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셀이 내장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상단 케이스에 설치되는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방식은 전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통합모듈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부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 부착의 방식은 이형지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부에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무선통합모듈이 안착되어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의 테두리에는 무선통합모듈의 테두리를 그립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통합모듈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장치용 무선통합모듈을 보여주는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장치용 무선통합모듈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통합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부에 부착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선통합모듈은 기판 몸체의 양면부에 무선 통신 패턴부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패턴부의 구성은 기판 몸체의 양면부에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어느 한면부의 구성을 대표 구성으로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합모듈은 크게 기판 몸체와, 무선 통신 패턴부와, 배터리 모니터링 부로 구성된다.
기판 몸체(100)
상기 기판 몸체(100)는 유전체로 형성되고,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플렉시블하게 형성 것이 좋다. 상기 기판 몸체(100)의 사이즈는 이동통신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의 일면의 면적에 따라 가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판 몸체(100)에는 보조 기판 몸체(15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기판 몸체(150)는 기판 몸체(100)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벤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 기판 몸체(150)는 한 쌍의 연장 몸체(151)와, 상기 한 쌍의 연장 몸체(151)를 잇는 연결 몸체(152)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연장 몸체(151)와, 연결 몸체(152)는 기판 몸체(100)와 같이 유전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몸체(152)는 한 쌍의 연장 몸체(151)에 의해 기판 몸체(100)의 일단부에서 벤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몸체(100)의 일면부에는, 무선 충전 패턴 형성 영역(110, 이하, 제 1영역이라 한다.)과,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형성 영역(120, 이하, 제 2영역이라 한다.)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영역(110)은 상기 기판 몸체(100)의 일면부에서 중앙부에 일정의 면적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영역(120)은 기판 몸체(100)에서 상기 제 1영역(110)을 제외한 영역이다.
무선 통신 패턴부(200)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통신 패턴부(200)는, 무선 충전 패턴(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기판 몸체(100)의 양면부에 형성된다.
상기 무선 충전 패턴(210)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 동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충전 패턴(210)은 300K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은 13.35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패턴(210)의 폭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의 폭은 서로 동일한 폭 및 동일한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패턴(210)은 제 1영역(110)에서 중심을 이루어 일정 회수로 권취되도록 코일 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충전 패턴(210)의 양단은 한 쌍의 연장 몸체(151) 중 어느 하나(151a)를 통해 연결 몸체(152)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은 제 2영역(120)에 형성된다. 상기 근거 무선 통신 패턴(220) 역시 일정 회수로 권취되며, 바람직하게는 2회 권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영역(110)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 패턴(210)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의 양단은 한 쌍의 연장 몸체(151) 중 다른 하나(151b)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연결 몸체(152)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은 제 1영역(110)에서 교차되는 영역(CA)을 형성한다.
즉, 상기 교차되는 영역(CA)에서의 무선 충전 패턴(210)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절연 처리되어야 한다. 이의 실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배터리 모니터링부(300)
본 발명에 따르는 배터리 모니터링 부(300)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몸체(152)에 형성된다.
여기서, 무선통합모듈의 설치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합모듈의 기판 몸체(100)의 일면부는 배터리 케이스(510)의 일면부에 이형지(미도시)와 같은 부재를 통해 부착 설치된다.
상기 연결 몸체(152)는 배터리 케이스(5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케이스(520)의 하단에 말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몸체(100)는 배터리 케이스(510)의 일면부에 부착되고, 보조 기판 몸체(150)는 한 쌍의 연장 몸체(151)가 벤딩됨과 아울러, 연결 몸체(152)가 상단 케이스(520)의 하단에 밀착됨으로서 고정된다.
이때, 연결 몸체(152)에 형성되는 단자들(340)은 상단 케이스(520)에 형성되는 배터리 단자들(5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 패턴(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은 배터리 셀(5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 부(300)는 배터리 과전류 보호 회로(310)와, 무선 충전 회로(320)와, 배터리 보호 회로(330)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들(310,320,330)은 연결 몸체(152)의 일면부에 서로 간격을 이루는 상태에서 표면 실장을 통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몸체(152)의 일면부 양단에는 외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340)가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연결 몸체(152)의 후면부에는 이동통신장치로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전원 단자들(3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 단자들(350)을 통해, 배터리 셀(501)에 충전되는 전기 에너지는 이동통신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이동통신장치의 무접점인 무선충전패턴과 근거리 무선통신 패턴을 배터리 팩에 일체화함과 아울러, 배터리 셀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보호 회로등을 일체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장치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코일과 달리 일체화 된 배터리 팩은 접촉 불량을 방지 할 수 있고, 생산 원가 절감 및 SMT 제조 공정을 이용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동통신장치의 커버 교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충전 패턴(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 영역(CA)에서의 절연 방식의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차 영역에서의 절연 방식의 제 1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교차되는 영역(CA)에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210)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은 서로 상하로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체(500)는 상기 서로 다른 층의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형성되는 교차 영역(CA)은 제 2영역(120)에서의 국부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국부 영역에 해당되는 교차 영역(CA)을 커버할 수 있는 절연체(500)를 준비하고, 준비된 절연체(500)를 교차 영역(CA)에서의 무선 충전 패턴(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들 사이에 부착하여 서로 절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교차 영역에서의 절연 방식의 제 2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은 교차 영역(CA)은 제 2영역(120)에서 국부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2영역(120)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절연체(501)를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영역(110)에 무선 충전 패턴(210)을 먼저 실장하고, 제 2영역(120)에 절연체(501)를 도포 또는 부착한다.
따라서, 제 1영역(110)의 외측으로 벗어나는 무선 충전 패턴(210)의 양단은 절연체(501)의 저부에 위치된다.
이어, 제 2영역(120)에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을 실장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의 양단은 절연체(501)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 패턴(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이 교차되는 부분은 절연체(501)에 의해 서로 물리적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물론,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교차 영역에서 서로 교차되는 무선 충전 패턴, 근거이 무선 통신 패턴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절연코팅을 실시하여 이들을 서로 절연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교차 영역에서의 절연 방식의 제 3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제 2영역(120)에 형성되는 교차 영역(CA)에서의 기판 몸체(100)는 서로 다른 수준을 형성하는 설치 경로(P1,P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교차 영역(CA)에서, 무선 충전 패턴(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은 서로 다른 수준의 설치 경로(P1,P2)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안전하게 절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충전 패턴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교차 영역에서, 비아홀을 형성하여 이들 관통하고, 기판 몸체의 다른면을 통해 교차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여 서로 절연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하나의 기판에 근거리무선통신패턴, 무선충전패턴을 비롯한 배터리 보호 회로를 함께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근거리 무선 통신과 무선 충전을 동시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보호함은 물론, 이동통신장치의 커버 교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과 무선 충전 패턴간의 교차되는 부분에서의 절연성을 향상시켜 서로간의 간섭으로 인해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기판 몸체(100)의 양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무선 충전 패턴(210)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220) 각각의 두께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500)의 일면부에 밀착되는 측의 두께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510)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측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터리 케이스(510)의 일면부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측의 무선통신모듈에서의 신호를 일정폭 증폭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이동통신장치용 무선통합모듈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기판 몸체
110 : 무선 충전 패턴 형성 영역(제 1영역)
120 :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형성 영역(제 2영역)
150 : 보조 기판 몸체
151a, 151b : 연장 몸체
152 : 연결 몸체
200 : 무선 통신 패턴부
210 : 무선 충전 패턴
220 :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300 : 배터리 모니터링 부
310 : 배터리 과전류 보호 회로
320 : 무선 충전 회로
330 : 배터리 보호 회로
340 : 단자
350 : 전원 단자
360 : 근거리 무선 통신용 안테나 단자

Claims (15)

  1. 배터리 셀을 갖고,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단자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의 일면에 설치되는 무선통합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이 내부에 설치되며, 일면부에 상기 무선통합모듈이 설치되는 배터리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단자가 형성되는 상단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합모듈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부에 부착 설치되는 기판 몸체;
    상기 기판 몸체의 상단에 벤딩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팩의 전기적인 이상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보호 회로 모듈이 실장되는 배터리 모니터링 부; 및
    상기 기판 몸체의 양면부에 형성된 무선 통신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케이스의 하단에는 보조 기판 몸체가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 기판 몸체는,
    상기 기판 몸체의 일측 양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몸체; 및
    상기 한 쌍의 연장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다른 하나를 잇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 패턴부는 무선 충전 패턴이 형성되는 제1 영역의 외곽을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이 형성되는 제2 영역이 에워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패턴부는,
    상기 기판 몸체의 양면부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 부는,
    배터리 과전류 보호 회로와, 무선 충전 회로와, 배터리 보호 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 몸체의 일면부에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몸체의 일면부 양단에는 상기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일정 회수로 권취되는 코일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무선 충전 패턴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연장 몸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무선 통신 패턴의 외곽을 에워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연장 몸체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상기 기판 몸체에서 교차되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절연체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서로 상하로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서로 다른 층의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되는 영역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형성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서로 상하로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체는 상기 서로 다른 층의 사이에 부착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형성 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상기 기판 몸체에서 교차되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은 상기 기판 몸체에서 상하를 따라 서로 다른 수준을 형성하는 패턴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몸체의 양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무선 충전 패턴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패턴 각각의 두께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부에 밀착되는 측의 두께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측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KR1020130091757A 2013-08-01 2013-08-01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KR10152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757A KR101524493B1 (ko) 2013-08-01 2013-08-01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757A KR101524493B1 (ko) 2013-08-01 2013-08-01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845A KR20150015845A (ko) 2015-02-11
KR101524493B1 true KR101524493B1 (ko) 2015-06-01

Family

ID=5257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757A KR101524493B1 (ko) 2013-08-01 2013-08-01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4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91A1 (ko) * 2018-03-28 2019-10-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200136664A (ko) 2019-05-28 202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무선전력 송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4246A (ko) * 2006-10-16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가 내장된 배터리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10103395A (ko) * 2009-02-05 2011-09-2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전력공급 및 근거리장 통신 개장
KR20120008632A (ko) * 2010-07-19 2012-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키징 칩에 의한 무접점 배터리 장치 및 충전 시스템
KR20130016588A (ko) * 2011-08-08 2013-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일 평면에 무선충전 코일과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4246A (ko) * 2006-10-16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가 내장된 배터리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10103395A (ko) * 2009-02-05 2011-09-2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전력공급 및 근거리장 통신 개장
KR20120008632A (ko) * 2010-07-19 2012-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키징 칩에 의한 무접점 배터리 장치 및 충전 시스템
KR20130016588A (ko) * 2011-08-08 2013-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일 평면에 무선충전 코일과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091A1 (ko) * 2018-03-28 2019-10-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통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KR20200136664A (ko) 2019-05-28 202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무선전력 송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845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746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power receiving device
US9496082B2 (en) Coil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JP6046037B2 (ja) 無線電力通信用コア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る無線電力通信用電力供給装置、並びに無線電力通信用コア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TWI678048B (zh) 無線電力接收器及其控制方法
US20170245039A1 (en) 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101604384B1 (ko)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
KR20170005670A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JP2012060626A (ja) 通信端末装置
JP2014197805A (ja) 電池システム
KR102079750B1 (ko) Hf 동작 및 lf 동작용 안테나 장치
EP3050156A1 (en) Techniques of tuning an antenna by weak coupling of a variable impedance component
US20200112067A1 (en) Secondary battery
KR101843897B1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US9680973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NFC communication
CN109155526B (zh) 无线可再充电蓄能器
CN105098132A (zh) 电池保护电路组件
KR20160008997A (ko) 적층형 메타물질 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모듈
KR101585299B1 (ko)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KR101524493B1 (ko) 무선통합모듈을 갖는 이동통신장치용 배터리
KR102472232B1 (ko) 배터리 모듈
CN109473768B (zh) 无线装置天线
KR101751825B1 (ko) 감전보호 기능을 구비한 안테나 대역폭 확장장치
KR101497961B1 (ko) 이동통신장치용 무선통합모듈
KR101751121B1 (ko) 도전성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2016103834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