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139B1 -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139B1
KR101524139B1 KR1020140152108A KR20140152108A KR101524139B1 KR 101524139 B1 KR101524139 B1 KR 101524139B1 KR 1020140152108 A KR1020140152108 A KR 1020140152108A KR 20140152108 A KR20140152108 A KR 20140152108A KR 101524139 B1 KR101524139 B1 KR 10152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mast
discharge
pump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민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마스트 장치 내 구비된 다수의 해수면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해수면의 수압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해수면의 수압을 기반으로 해수면의 높이를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상기 해수면의 높이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해수 흡입펌프와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해수 흡입펌프의 구동에 따라 해당하는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면서, 상기 해수 배출펌프의 구동에 따라 해당하는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OPERATING MAST APPARATUS OF UNDERWATER MOMENTUM}
본 발명은 수중 운동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 등 수중 운동체의 작전 수행 시 GPS 데이터 송수신 등 다양한 목적으로 마스트 장치를 해수면에 노출 시키게 된다. 해상에서 수중 운동체가 기동하면서 마스트 장치를 해수면에 노출하게 되면, 장치의 저항에 의해 수면파가 발생하면서 수면 위의 파동에 의해 항적이 남아 적에게 아군의 위치가 쉽게 노출되게 된다.
잠수함 등 수중 운동체는 일정 수심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이러한 궤적을 간섭을 통해 제거하여 수중 운동체의 은밀성을 보호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트 장치 내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여 그 구비된 흡입구와 배출구를 통해 수중 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후면에서 해수를 흡입하면서 전면에서 해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마스트 장치 내 구비된 다수의 해수면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해수면의 수압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해수면의 수압을 기반으로 해수면의 높이를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상기 해수면의 높이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해수 흡입펌프와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해수 흡입펌프의 구동에 따라 해당하는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면서, 상기 해수 배출펌프의 구동에 따라 해당하는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에 연결된 해수 흡입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인 이동하는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에 연결된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타측인 이동하는 진행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해수면으로의 이동에 따라 기 장착된 마스트 장치를 펴는 단계; 상기 마스트 장치가 펴지면, 해수 흡입펌프와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해수 흡입펌프의 구동에 따라 모든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면서, 상기 해수 배출펌프의 구동에 따라 모든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 모두에 연결된 해수 흡입경로에 구비된 하나의 해수 흡입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해수 흡입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흡입구 모두를 통해 상기 해수를 흡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 모두에 연결된 해수 배출경로에 구비된 하나의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해수 배출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배출구 모두를 통해 상기 해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마스트 장치 내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여 그 구비된 흡입구와 배출구를 통해 수중 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후면에서 해수를 흡입하면서 전면에서 해수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해수면에 노출된 마스트 장치에 의한 저항을 감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면에서 해수를 흡입함에 따라 해수면에 노출된 마스트 장치의 저항에 의해 마스트 장치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수면파를 상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면에 노출된 마스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을 감쇄시키면서 수면파를 상쇄 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중 운동체의 은밀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를 이용하는 수중 운동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해수면에 노출되는 마스트 장치 내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여 그 구비된 흡입구와 배출구를 통해 수중 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후면에서 해수를 흡입하면서 전면에서 해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를 이용하는 수중 운동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트 장치(110)를 이용하는 수중 운동체(100)는 작전 수행 시 GPS 데이터 송수신 등 다양한 목적으로 마스트 장치를 해수면에 노출 시킬 수 있다.
이때, 마스트 장치의 저항에 의해 수면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트 장치 내 배출구와 흡입구를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하여 그 형성된 배출구와 흡입구를 통해 수중 운동체가 이동하는 진행 방향 즉, 전면으로 해수를 방출하게 되고, 수중 운동체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 즉, 후면에서 해수를 흡입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마스트 장치 내 배출구를 통해 수중 운동체가 이동하는 진행 방향으로 해수를 방출함으로써, 저항을 감쇄 시킬 수 있고, 흡입구를 통해 수중 운동체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해수를 흡입함으로써, 수면파를 상쇄 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운동체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100)는 마스트 장치(110), 해수 흡입라인(120), 해수 배출라인(122), 순환 처리부(130), 해수 전달라인(140), 해수저장 탱크(150), 해수 유입구(1160), 및 제어 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트 장치(110)는 수중 운동체의 상단에 배치되어 해수면에 가까워지면 펴지고 해수면에서 멀어지면 접힐 수 있다. 마스트 장치(110)는 수중 운동체의 이동에 따라 펴져 해수면에 노출되면 제어 센터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마스트 장치(110)는 해수면에 노출되는 경우 기 형성된 배출구와 흡입구를 통해 수중 운동체가 이동하는 진행 방향 즉, 전면으로 해수를 방출하게 되고, 수중 운동체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 즉, 후면에서 해수를 흡입할 수 있다.
순환 처리부(130)는 흡입될 해수의 양과 배출될 해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마스트 장치(110)와 순환 처리부(130) 사이에는 흡입되는 해수를 전달할 해수 흡입라인(120)이 구비되고, 배출되는 해수를 전달할 해수 배출라인(122)이 구비된다.
해수저장 탱크(150)는 순환 처리부(130)로부터 전달 받은 해수를 저장하거나 기 저장된 해수를 전달하고 부족한 해수는 별도의 해수 유입구(160)를 통해 유입하여 일정량의 해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순환 처리부(130)와 해수저장 탱크(150) 사이에는 해수를 전달할 해수 전달라인(140)이 구비된다.
제어 장치는 수중 운동체의 이동에 따라 마스트 장치를 펴거나 접을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장치는 수중 운동체가 해수면에 가까워지면 마스트 장치를 펴고, 수중 운동체가 해수면에서 멀어지면 마스트 장치를 접을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마스트 장치 내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거나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도록 해수 배출펌프와 해수 흡입펌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트 장치(110)는 몸체부(111), 송수신 안테나(112), 해수면 감지센서(113), 흡입구(114), 해수 흡입펌프(115), 해수 흡입경로(116), 배출구(117), 해수 배출펌프(118), 해수 배출경로(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중 운동체가 해수면이 가까이 가는 경우 몸체부(111)의 일부가 해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높이 또는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112)는 몸체부(111)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어 센터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해수면 감지센서(113)는 흡입구와 배출부에 형성되어, 해수면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다. 해수면 감지센서(113)는 모든 흡입구와 배출구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흡입구(114)는 몸체부(111)의 일측 예컨대, 수중 운동체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해수 흡입펌프(115)는 다수의 흡입구 각각에 구비되어 각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해수 흡입경로(116)는 다수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흡입된 해수를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마스트 장치의 후면에 구비된 해수 흡입펌프를 이용하여 수중 운동체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파동을 생성하여 수면파의 파장을 상쇄시켜 줄 수 있다.
배출구(117)는 몸체부(111)의 타측 예컨대, 수중 운동체가 이동하는 진행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해수 배출펌프(118)는 다수의 배출구 각각에 구비되어 각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해수 배출경로(119)는 다수의 배입구에 연결되어 흡입된 해수를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마스트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해수 배출펌프를 이영하여 수준 운동체의 진행 방향으로 해수를 배출하여 마스트 장치에 대한 해수면 저항을 줄여 줄 수 있다.
이때, 흡입구와 배출구는 마스트 장치의 중심축을 기반으로 정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트 장치(110)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트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해수 흡입펌프가 각 흡입구마다 다수개가 구비되지 않고 모든 흡입구에 사용되도록 하나가 구비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해수 배출펌프도 각 배출구마다 다수개가 구비되지 않고 모든 배출구에 사용되도록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모든 흡입구에 연결되는 해수 흡입경로 상에 하나의 해수 흡입펌프가 구비되고, 모든 배출구에 연결되는 해수 배출경로 상에 하나의 해수 배출펌프가 구비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센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해수면 감지센서와 흡입구 또는 배출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흡입구 또는 배출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해수면 감지센서(122)는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흡입구와 배출구에 형성되기 때문에 감지된 값을 통해 해수면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는 해수면으로의 이동에 따라 기 장착된 마스트 장치를 펴고(S610), 마스트 장치 내 구비된 다수의 해수면 감지센서 모두를 이용하여 해수면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다(S611).
다음으로, 수중 운동체는 측정된 수압을 기반으로 해수면의 높이를 추정할 수 있다(S612).
다음으로, 수중 운동체는 추정된 해수면의 높이를 기반으로 해당 해수 흡입펌프와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 시킬 수 있다(S613, S615).
다음으로, 수중 운동체는 해수 흡입펌프의 구동에 따라 해당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여 수중 운동체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파동을 생성하고(S614), 해수 배출펌프의 구동에 따라 해당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여 해주면 저항을 줄일 수 있다(S616).
다음으로, 수중 운동체는 마스트 장치를 통해 제어 센터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S617).
다음으로, 수중 운동체는 제어 센터와 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S618) 그 확인한 결과로 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되었다면 마스트 장치를 접을 수 있다(S619).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트 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동체는 해수면으로의 이동에 따라 기 장착된 마스트 장치를 펴고(S710), 해수 흡입펌프와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 시킬 수 있다(S711, S713).
다음으로, 수중 운동체는 해수 흡입펌프의 구동에 따라 해당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여 수중 운동체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파동을 생성하고(S712), 해수 배출펌프의 구동에 따라 해당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여 해주면 저항을 줄일 수 있다(S714).
다음으로, 수중 운동체는 마스트 장치를 통해 제어 센터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S715).
다음으로, 수중 운동체는 제어 센터와 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S716) 그 확인한 결과로 정보의 송수신이 완료되었다면 마스트 장치를 접을 수 있다(S717).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마스트 장치
111: 몸체부
112: 송수신 안테나
113: 해수면 감지센서
114: 흡입구
115: 해수 흡입펌프
116: 해수 흡입경로
117: 배출구
118: 해수 배출펌프
119: 해수 배출경로
120: 해수 흡수라인
122: 해수 배출라인
130: 순환 처리부
140: 해수 전달라인
150: 해수저장 탱크
160: 해수 유입구
170: 제어 장치

Claims (10)

  1. 마스트 장치 내 구비된 다수의 해수면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해수면의 수압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해수면의 수압을 기반으로 해수면의 높이를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상기 해수면의 높이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해수 흡입펌프와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해수 흡입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인 이동하는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면서, 상기 해수 배출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마스트 장치의 타측인 이동하는 진행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에 연결된 해수 흡입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인 이동하는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 흡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에 연결된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타측인 이동하는 진행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6. 해수면으로의 이동에 따라 기 장착된 마스트 장치를 펴는 단계;
    상기 마스트 장치가 펴지면, 해수 흡입펌프와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해수 흡입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인 이동하는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 모든 흡입구를 통해 해수를 흡입하면서, 상기 해수 배출펌프의 구동에 따라 상기 마스트 장치의 타측인 이동하는 진행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 모든 배출구를 통해 해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 모두에 연결된 해수 흡입경로에 구비된 하나의 해수 흡입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해수 흡입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흡입구 모두를 통해 상기 해수를 흡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마스트 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 모두에 연결된 해수 배출경로에 구비된 하나의 해수 배출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해수 배출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배출구 모두를 통해 상기 해수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KR1020140152108A 2014-11-04 2014-11-04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KR10152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108A KR101524139B1 (ko) 2014-11-04 2014-11-04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108A KR101524139B1 (ko) 2014-11-04 2014-11-04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139B1 true KR101524139B1 (ko) 2015-05-29

Family

ID=5339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108A KR101524139B1 (ko) 2014-11-04 2014-11-04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1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906B1 (ko) * 2004-12-29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축전지냉각해수펌프를 이용한 빌지배출구조를 갖는 잠수함
US7124698B1 (en) * 2004-02-20 2006-10-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uxiliary facilities for the maneuvering of submerged water jet propelled sea craft
KR20140035760A (ko) * 2012-09-14 2014-03-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2014201078A (ja)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アミューザジャパン 潜水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4698B1 (en) * 2004-02-20 2006-10-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uxiliary facilities for the maneuvering of submerged water jet propelled sea craft
KR100558906B1 (ko) * 2004-12-29 2006-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축전지냉각해수펌프를 이용한 빌지배출구조를 갖는 잠수함
KR20140035760A (ko) * 2012-09-14 2014-03-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2014201078A (ja)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アミューザジャパン 潜水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7364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190785B2 (en) Dust removing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dust
KR102559985B1 (ko) 자율 이동 디바이스 및 도킹 스테이션
US9989962B2 (en) Self-traveling cleaner, controlling apparatus, and automatic cleaning system
JP6852672B2 (ja) 飛行体制御装置、飛行体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109821A (zh) 车辆清洁
SE523915C2 (sv) Rengöringsrobotsystem med extern laddningsanordning och metod för dockning av laddningsanordning.
US20110295447A1 (en) Direction device and oper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WO2015181107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höhe einer fluidoberfläche in einem fluidbehälter
CN108883829B (zh) 用于无人飞行器的电子速度控制器臂
US10550594B2 (en) Automated cleaning device
KR101524139B1 (ko) 수중 운동체의 마스트 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
KR101344806B1 (ko) 주변 물체 인식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1430996B1 (ko) 수중공격체 방어를 위한 수중운동체
KR101524138B1 (ko) 마스트 장치를 구비한 수중 운동체
CN102484758A (zh) 声音信号处理设备
US20190322335A1 (en) Cavitator system for suppressing cavity buoyancy effect and method thereof
CN105824025A (zh) 一种基于立体式声呐阵列的机器人避障系统
JP6551643B2 (ja) 冠水路の走行制御装置
CN113453980B (zh) 信息处理方法、无人飞行体以及无人飞行体控制系统
KR101662675B1 (ko) 연기 감지기
US9307308B2 (en) Dynamically formed acoustic volume
CN109839126B (zh) 用于传感器的机械动力扫描平台
CN113002399A (zh) 货架搬运方法及其装置、机器可读介质和系统
CN112771463A (zh) 无人飞行体、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