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899B1 - 케이블 드럼 - Google Patents

케이블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899B1
KR101523899B1 KR1020130108967A KR20130108967A KR101523899B1 KR 101523899 B1 KR101523899 B1 KR 101523899B1 KR 1020130108967 A KR1020130108967 A KR 1020130108967A KR 20130108967 A KR20130108967 A KR 20130108967A KR 101523899 B1 KR101523899 B1 KR 101523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ub
drum
cable drum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922A (ko
Inventor
지창열
박순욱
백승철
송준선
안유진
유정석
이해영
홍순용
고재천
김대영
김재우
박상은
손정희
오태권
이무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8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16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the drums or barrels being freely rotatable, e.g. having a clutch activated independently of a br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65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pivotably mounted drums or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케이블 드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이 감기는 허브와, 허브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플랜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측면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는 허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나의 측면플랜지가 허브로부터 분리된 경우 허브는 다른 하나의 측면플랜지에서 경첩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Description

케이블 드럼{CABLE DRUM FOR DISCHARGING RESIDUE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잔재 케이블 배출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케이블 드럼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에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각종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많은 케이블이 설치된다. 직경이 작은 저전압용 케이블에서부터 직경이 큰 고전압용 케이블까지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블들을 설치할 때는 케이블이 지나는 경로에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설치하고, 케이블 드럼에 감긴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에 풀면서 케이블의 포설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과거에는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설치할 때는 곳곳마다 많은 작업 인력이 분산 배치된 상태에서 케이블 트레이 위에 케이블을 포설하도록 하여 작업 대부분을 사람 손에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윈치나 케이블 피더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게 되면서 포설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하고 있다. 한편 케이블 드럼에 감긴 케이블을 풀면서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하는 작업을 완료한 경우 케이블 드럼에 남겨진 케이블은 케이블 드럼의 회전 관성에 의하여 여분의 케이블이 풀어지게 되고, 또한 케이블의 감겨진 곡률 때문에 부풀어짐에 따라 케이블 드럼에 감겨진 케이블이 느슨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다른 케이블 트레이에서 케이블 드럼에 감겨진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하여는 케이블 드럼을 회전시켜 잔재 케이블을 풀어 낸 후 정리하고, 다시 케이블 드럼에 감아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시켜야 하므로 포설작업 완료 후 케이블 드럼에 남겨진 케이블을 꺼내는 경우 재 사용하는 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케이블 포설 작업 완료 후 케이블 드럼에 남겨진 케이블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케이블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잔재 케이블 배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의 종사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이 감기는 허브와, 상기 허브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허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측면플랜지가 상기 허브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허브는 다른 하나의 측면플랜지에서 경첩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블 드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는 상기 허브의 축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측면플랜지는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허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의 바깥 면 일측에는 견인와이어와 결합되도록 상기 허브의 바깥 면에서 돌출 형성된 러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케이블 드럼의 측면플랜지를 분리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케이블 드럼에 남겨진 케이블을 손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케이블 드럼의 한쪽 플랜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의 잔재 케이블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에 포설되는 케이블(20)은 선박에서 필요로 하는 장치들의 전원 공급 또는 장치들 서로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각종 전력, 통신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블(20)은 케이블 드럼(30)에 감겨진 상태에서 설치장소에 운반되고,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견인장치의 견인력에 의하여 끌어 당겨지거나 밀어 내어짐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블 트레이(10)의 길이방향으로 포설되게 된다.
케이블 트레이(10)는 선박의 상갑판상에서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포설되는 케이블(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10)의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다수의 가로대(rung)(11)와, 다수의 가로대(11)의 양쪽 끝 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다수의 가로대(11) 양쪽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측벽(12,13)을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가로대(11)와 양 측벽(12,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설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인 용접이나 끼움 맞춤 또는 볼트 결합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다. 또 다수의 가로대(11)와 양 측벽(12,13)에는 무게를 줄이기 위한 다수의 슬롯(1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대(11)와 양 측벽(12,13)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사각단면 또는 원형단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케이블 드럼(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0)이 감기는 허브(31)와, 허브(31)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플랜지(32,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블 드럼(30)은 허브(31)에 케이블(20)이 감겨진 상태에서 설치장소로 운반된 후 한 쌍의 측면플랜지(32,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럼 지지장치(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드럼 지지장치(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케이블 드럼(30)은 케이블 드럼(3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장치(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드럼 지지장치(40)는 한 쌍의 측면플랜지(32,33)의 중앙을 축 지지하는 회전축(41)을 갖는 수직지지대(43)로 이루어진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드럼 지지장치(40)는 케이블 드럼(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라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드럼 지지장치(40)는 케이블 드럼(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장치(50)는 케이블 드럼(30)의 측면플랜지(32,33)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측면플랜지(32,33)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동롤러(51)와, 구동롤러(51)를 회전 구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터(52)와 구동롤러(51) 사이에는 모터(5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기구 및 모터(52)의 회전력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장치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케이블 드럼(30)은 드럼 지지장치(40)에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장치(50)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20)의 인출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케이블 드럼(30)의 허브(31)에 감겨진 케이블(20)은 케이블 트레이(10) 쪽으로 내 보내지게 된다. 한편 케이블 트레이(10)에 포설이 완료되어 케이블 드럼(30)의 허브(31)에 남겨진 케이블(20)은 다른 케이블 트레이(10)에 포설하기 위하여는 허브(31)에서 분리시킨 후 다른 포설장소로 운반하여 케이블 드럼(30)의 허브(31)에 다시 감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30)의 한 쌍의 측면플랜지(32,33)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블 드럼(30)의 허브(31)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 드럼(30)의 허브(31)는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허브(31)의 축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단면 테이퍼(tap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측면플랜지(32)가 허브(31)에서 분리된 경우 허브(31)에 남겨진 케이블(20)은 허브(31)의 축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지면으로 원활히 낙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케이블 드럼(30)의 허브(31)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플랜지(32)는 볼트 체결에 의하여 허브(31)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측면플랜지(32)와 허브(31)는 걸쇠 구조에 의한 착탈 방식 또는 강제 압입에 의한 끼움 결합방식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허브(31)에서 분리되는 측면플랜지(32)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측면플랜지(33)에 결합되는 허브(31)의 부분은 경첩부(6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플랜지(32)가 허브(31)에서 분리된 경우 허브(31)는 경첩부(6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함에 의하여 허브(31)에 남겨진 잔재 케이블(20)이 하방으로 회전된 허브(31)를 따라 원활히 미끄러짐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허브(31)의 바깥 면 일측에는 크레인(미도시)의 견인와이어(70)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러그(80)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허브(31)는 러그(80)에 결합된 견인와이어(70)에 의해 매달린 상태에서 서서히 경첩부(6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지면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에 의한 잔재 케이블의 배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드럼(30)의 허브(31)에는 케이블 트레이(10)에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20)이 감겨진 상태로 설치 장소로 운반된다. 설치 장소에 운반된 케이블 드럼(30)은 드럼 지지장치(40)에 측면플랜지(32,3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장치(50)에 의한 구동에 의하여 케이블 드럼(30)은 회전하여 케이블(20)은 케이블 드럼(30)으로부터 풀리면서 케이블 트레이(10)에 포설되게 된다. 케이블 트레이(10)에 케이블(20)의 포설이 완료된 후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드럼(30)의 한쪽 측면플랜지(32)에 체결된 볼트를 풀어 케이블 드럼(30)의 허브(31)에서 한쪽 측면플랜지(32)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허브(31)에 남겨진 잔재 케이블(20)을 허브(31)의 축방향으로 밀어내어 지면에 낙하시킴에 의하여 허브(31)로부터 잔재 케이블(20)을 분리시킨 후 케이블(20)의 포설을 위한 다른 설치장소로 케이블(20)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허브(31)에 남겨진 잔재 케이블(20)을 풀기 위한 작업이 간소화 됨에 따라 케이블(20)의 포설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케이블 드럼(30)은 한쪽 측면플랜지(32)를 분리시키기 전에 허브(31)에 돌출된 러그(80)에 견인와이어(70)를 연결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한쪽 측면플랜지(32)를 분리하고, 견인와이어(70)를 하방으로 내리게 되면 허브(31)는 다른 쪽 측면플랜지(33)의 경첩부(6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견인와이어(70)를 러그(80)에서 연결 해제시킴에 의해 허브(31)에 남겨진 잔재 케이블(20)은 자중에 의해 허브(31)의 축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지면에 낙하되게 되므로 더욱더 손쉽게 잔재 케이블(20)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블 트레이, 20: 케이블,
30: 케이블 드럼, 31: 허브,
32,33: 측면플랜지, 40: 드럼 지지장치,
50: 구동장치, 60: 경첩부,
70: 견인와이어, 80:러그.

Claims (4)

  1. 케이블이 감기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플랜지 중 하나는 상기 허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플랜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허브와 경첩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측면플랜지가 상기 허브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허브는 다른 하나의 측면플랜지에서 상기 경첩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블 드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허브의 축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케이블 드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측면플랜지는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허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드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면 일측에는 견인와이어와 결합되도록 상기 허브의 바깥 면에서 돌출 형성된 러그가 구비되는 케이블 드럼.
KR1020130108967A 2013-09-11 2013-09-11 케이블 드럼 KR101523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967A KR101523899B1 (ko) 2013-09-11 2013-09-11 케이블 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967A KR101523899B1 (ko) 2013-09-11 2013-09-11 케이블 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22A KR20150029922A (ko) 2015-03-19
KR101523899B1 true KR101523899B1 (ko) 2015-06-01

Family

ID=5302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967A KR101523899B1 (ko) 2013-09-11 2013-09-11 케이블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892B1 (ko) 2020-05-29 2020-11-19 장현국 권선관 절단장치
KR102192306B1 (ko) 2020-09-11 2020-12-17 장현국 권선관 절단방법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드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079B1 (ko) * 2021-03-29 2023-02-24 주식회사 가람 케이블 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956A (ja) * 1997-12-02 1999-06-22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コイル巻きワイヤの送給アダプタ
KR200291145Y1 (ko) * 2002-07-04 2002-10-11 임용호 전선권취장치
KR200324460Y1 (ko) * 2003-05-29 2003-08-25 방일환 케이블 릴
KR20060124948A (ko) * 2005-06-01 2006-12-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케이블 정리용 결속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956A (ja) * 1997-12-02 1999-06-22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コイル巻きワイヤの送給アダプタ
KR200291145Y1 (ko) * 2002-07-04 2002-10-11 임용호 전선권취장치
KR200324460Y1 (ko) * 2003-05-29 2003-08-25 방일환 케이블 릴
KR20060124948A (ko) * 2005-06-01 2006-12-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케이블 정리용 결속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892B1 (ko) 2020-05-29 2020-11-19 장현국 권선관 절단장치
KR102192306B1 (ko) 2020-09-11 2020-12-17 장현국 권선관 절단방법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드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22A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946B1 (ko) 케이블 포설 장비
KR101523899B1 (ko) 케이블 드럼
DK2539087T3 (en) Conditions and method of transmission of energy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200455845Y1 (ko) 케이블 포설기
KR101663458B1 (ko) 케이블 레이드 글로멧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310974A (zh) 一种宽带接入网线用绕线装置
CN107872028B (zh) 电缆拉放辅助装置、电缆拉放装置及电缆拉放捆扎的方法
CN104097993A (zh) 一种电动电缆收放装置
JP6215754B2 (ja) 飛来物除去装置
PT2358995E (pt) Equipamento para montagem e desmontagem de uma pá de rotor numa turbina eólica
KR100921984B1 (ko) 전선 회수용 권취장치
KR20160148410A (ko) 호스 권취장치
KR101516547B1 (ko) 케이블 포설용 캐리지
KR102396576B1 (ko) 케이블 권취장치
CN208500027U (zh) 一种自动架空排线绞磨机
KR200436064Y1 (ko) 케이블 권취드럼용 회전장치
KR20130037498A (ko) 케이블 포설용 지지장치
KR102025155B1 (ko) 견인 어셈블리를 구비한 케이블 견인장치
CN110932183A (zh) 一种船舶电缆敷设导架
WO2017158528A1 (en) System for coiling up a cable
JP2006288167A (ja) ケーブル架線用補助装置及びケーブル保持装置並びにケーブル架線方法
JP4018324B2 (ja) 移動構造体給電用ケーブル繰出装置
KR101091131B1 (ko) 윈치를 가지는 오거크레인
KR102152332B1 (ko) 전선 공급 및 수거용 드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