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898B1 -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898B1
KR101523898B1 KR1020140096278A KR20140096278A KR101523898B1 KR 101523898 B1 KR101523898 B1 KR 101523898B1 KR 1020140096278 A KR1020140096278 A KR 1020140096278A KR 20140096278 A KR20140096278 A KR 20140096278A KR 101523898 B1 KR101523898 B1 KR 10152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panel
heat insulating
panel unit
hull
natura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620A (ko
Inventor
이민래
이양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89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는 스터드 볼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골을 구비하는 제1 결합홈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연결되며 단열패널 단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LEVEL DIFFERENCE ADJUSTIONG STRUCTURE FOR 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패널과 선체 사이에 배치되는 단차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NG)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2°C로 냉각해 그 부피를 6백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를 말한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가 에너지 자원으로 사용됨에 따라 이 가스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산기지로부터 수요지의 인수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송 방안이 검토되어 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량의 액화천연가스를 해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에는 초저온상태로 액화시킨 액화천연가스를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화물창(Cargo)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화물창에 요구되는 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액화천연가스는 대기압 보다 높은 증기압을 가지며, 대략 -162°C 정도의 비등 온도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저장하는 화물창은 초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강, 스테인리스강, 35% 니켈강 등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기타 열응력 및 열수축에 강하고, 열침입을 막을 수 있는 독특한 단열패널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종래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단열패널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선체(10: Hull) 내측면에 매스틱(11: mastic)과 스터드 볼트(12: Stud bolt)에 의해 단열패널(21)이 보강판(22)을 매개로 하여 부착 고정된다.
이 때 선체(10)의 굴곡을 고려하여 다양한 높이의 단차 조절패드(13) 중에서 적절한 높이의 단차 조절패드(13)를 선택하여 선체(10)와 단열패널(21) 사이에 위치시킨다.
스터드 볼트(12)는 선체(10)에 용접되고, 단열패널(21)에는 스터드 볼트(12)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4)이 미리 마련된다. 관통홀(23)을 통해 너트(24)가 삽입되어 보강판(22)을 사이에 두고 선체(10)와 단열패널(21)을 결합하여 매스틱(11)이 견고하게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관통홀(23)의 공간에 폼 플러그(25)를 삽입하여 공간을 채운 후, 단열패널(21) 위를 방벽(26)을 이용하여 밀봉하여 외부의 액화가스 등으로부터 차단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7408호(2009. 06. 25. 공개)는 인슐레이션 패널과 선체의 조립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9276호(2012. 02. 01.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높이의 단차 조절용 패드를 이용할 필요 없이 한 종류의 단차 조절구를 사용하여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을 설치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패널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단열패널의 고정을 위해 선체에 부착되는 스터드 볼트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패널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 단위체와 선체 사이에 위치하고 선체에 부착되는 스터드 볼트와 결합하는 단차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볼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골을 구비하는 제1 결합홈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와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홈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제1 결합홈의 중심을 중심점으로 하여 원호 모양인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측면 중 일면 이상을 평면으로 하거나, 측면 중 일면에 홈이 형성되어 회전 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와 리벳 결합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회전 운동 가능한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와 결합하기 위한 제3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결합홈은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와 나사 결합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결합홈이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의 결합부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 사이의 간격을 두께로 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단열패널 단위체를 이격적으로 배치하여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스터드 볼트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스터드 볼트에 상기 청구항 제2항 또는 제7항에 따른 단차 조절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까지의 높이를 상기 선체와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 간의 단차로 하여 상기 단차 조절구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 간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 상기 스터드 볼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 상에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 단위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의 결합 부위와 상기 제2 결합홈 또는 제3 결합홈을 결합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 설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패널 설치방법은 한 종류의 단차 조절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단차를 가지는 단열패널을 설치함으로 인하여 정밀한 단차 조절이 가능하고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하며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패널 설치방법은 선체에 부착되는 스터드 볼트의 사용량을 줄여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단차 조절용 패드의 사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에 사용되는 단차 조절용 패드의 사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사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사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단차 조절용 패드의 사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사시도이다.
액화천연가스용 저장탱크의 단열패널(21)은 선체(10)에 스터드 볼트(12)(Stud Bolt)와 너트(24)를 이용한 기계적 체결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스터드 볼트(12)는 단열패널(21)의 결합 전에 선체(10)에 적절한 간격으로 용접 결합되고, 단열패널(21)은 이 스터드 볼트(12)들에 단단히 고정된다.
하나의 단열패널 단위체(20)는 보통 네 모서리에 스터드 볼트(12)가 결합된다. 스터드 볼트(12)의 결합을 위해 단열패널(21)은 미리 관통홀(23)이 마련된다. 관통홀(23)을 통해 스터드 볼트(12)가 삽입되고 보강판(22)을 사이에 두고 너트(24)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스터드 볼트(12)와 단열패널 단위체(20)가 견고하게 결합되었으면 관통홀(23)을 메우기 위해 폼 플러그(25)를 삽입한다.
선체(10), 즉 화물창(Tank)의 외벽은 그 표면이 편평한 것이 이상적이나, 그 크기가 매우 커서(예컨대, 30m×30m×40m 이상) 시공오차 또는 선체(10) 자체의 무게 등의 요인으로 그 표면에 불규칙한 곡면이 생길 수 있다. 선체(10)의 표면에 불규칙한 곡면이 있으면 단열패널(21)의 시공 시 단열패널(21)에 구조적인 결함이 생길 수 있으므로, 단차 조절용 부재를 이용하여 선체(10)에 결합되는 단열 패널의 편평도를 맞추게 된다.
여기서 단차란 선체(10)와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와의 거리를 말한다. 선체(10)와 단열패널 단위체(20)는 밀착하지 않고 그 사이에 매스틱(11)이 삽입된다. 매스틱(11)은 압력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하기 때문에 단차를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종래에는 단차 조절용 부재로서 단차 조절패드(13)를 이용하였다. 단차 조절패드(13)는 높이에 따라 생산되는 것이며 단차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높이를 지니는 단차 조절패드(13)가 준비되어야 한다. 이 때 각각의 단차에 맞는 단차 조절패드(13)를 찾거나 단차에 정확히 들어맞는 단차 조절패드(13)가 없는 경우 오차를 무시하고 사용하거나 정확한 높이를 가지도록 별개의 과정을 거쳐 제작하여야 하므로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 종류의 단차 조절용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단차에 적용이 가능한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21)의 단차 조절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단열패널 단위체(20)의 네 모서리 마다 스터드 볼트(12)를 마련할 필요 없이 단열패널 단위체(20)의 사이에 스터드 볼트(12)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과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단차 조절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사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는 선체(10)와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단차 조절패드(13)와 유사하다. 그러나 스터드 볼트(12)와 결합한다는 점에서 단차 조절패드(13)와 차이점이 있다. 기존의 단차 조절패드(13)는 단지 선체(10)와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에 위치할 뿐 스터드 볼트(12)와 결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는 스터드 볼트(12)와 결합하는 몸체부(100)와 단열패널 단위체(2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00)와 지지부(200)는 별개의 구성일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부(100)는 중심에 스터드 볼트(12)와 결합할 수 있는 제1 결합홈(110)을 구비한다. 제1 결합홈(110)은 스터드 볼트(12)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골을 내부에 구비하기 때문에 몸체부(100)를 회전하여 스터드 볼트(12)와 결합시키게 된다.
지지부(200)는 단열패널 단위체(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100)의 측면으로부터 연결된다. 지지부(200)는 몸체부(1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부(100)가 회전에 의해 스터드 볼트(12)에 결합할수록 선체(10)에 가까워지게 된다. 즉, 단차가 작은 곳에서는 몸체부(100)를 스터드 볼트(12)에 많이 결합시켜 지지부(200)가 선체(10)에 가까워지도록 하고, 단차가 큰 곳에서는 반대로 몸체부(100)를 스터드 볼트(12)에 결합하는 회전수를 줄여 지지부(200)가 선체(10)로부터 멀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몸체부(100)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200)와 선체(10)와의 거리가 달라지며, 이는 몸체부(100)의 회전량에 따라 미세한 정도의 단차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단차 조절패드(13)가 미세한 정도의 단차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공을 거쳐야 하는 것과는 달리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는 간단히 몸체부(100)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미세하게 단차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200)는 단열패널 단위체(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면(260)을 포함한다. 지지부(200)의 상면을 단열패널 단위체(20)를 지지하는 면이라 하여 지지면(260)으로 표현하였다. 즉, 여기서 말하는 단차란 선체(10)와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의 거리로써, 선체(10)와 지지면(260)까지의 거리와 같게 된다.
지지부(200)는 단열패널 단위체(20)를 지지하는 동시에 단열패널 단위체(20)와 결합하게 된다. 지지부(200)는 제2 결합홈(210)을 구비하여 단열패널 단위체(20)의 관통홀(23)을 통해 리벳(300) 등을 통해 결합한다. 제2 결합홀과 관통홀(23)이 일치하는 경우 리벳(300) 등을 이용하여 결합한 후 폼 플러그(25)를 이용하여 구멍을 메우게 된다.
이 때 지지부(200)가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몸체부(100)의 회전 정도에 상관없이 제2 결합홀이 단열패널 단위체(20)의 관통홀(23)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결합홀은 연속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단차 조절구의 회전축, 즉 제1 결합홈(110)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이로써 지지부(200)가 회전하더라도 제2 결합홀은 관통홀(23)과 일치할 수 있게 된다.
몸체부(100)가 스터드 볼트(12)와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몸체부(100)의 상면에는 회전 도구 삽입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도구의 형상에 맞도록 몸체부(100)에는 일면 이상이 평면으로 되거나 측면 중 일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도구를 이용하는 경우 미세한 회전량을 조절하여 단차를 정확하게 맞추기 편하고, 단열패널 단위체(20)가 지지부(200) 위에 올라간 경우에도 단열 패널 단위체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회전 도구를 삽입하는 경우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종래의 단열패널 단위체(20)가 선체(10)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4모서리마다 스터드 볼트(12)가 결합되어야 함은 앞에서 본 바와 같다. 이와 비교하여 단차 조절구는 하나의 스터드 볼트(12)와 결합하여 2개 또는 4개의 단열패널 단위체(20)와 결합이 가능하다. 즉, 2개의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에 단차 조절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 존재하는 스터드 볼트(12)와 단차 조절구가 결합하고 지지부(200)의 양 옆에 단열패널 단위체(20)가 위치하여 관통홀(23)과 제2 결합홈(210)을 통해 리벳(300) 등으로 결합되게 된다. 또는 4개의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에 단차 조절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스터드 볼트(12)를 설치하여 그 주위의 4개의 단열패널 단위체(20)를 선체(10)와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선체(10)와 용접되는 스터드 볼트(12)의 개수를 줄이고 작업을 용이하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는 볼트(400)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제3 결합홈(220)이 구비된다. 그러나 몸체부(100)와 지지부(2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몸체부(100)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200)가 같이 회전하는 것이 문제된다. 따라서 몸체부(100)의 회전에 불구하고 지지부(200)의 제3 결합홈(220)이 단열패널 단위체(20)의 관통홀(23)과 일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지부(200)가 몸체부(10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전 운동 가능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몸체부(100)는 지지부(200) 상면 걸림턱(130)과 지지부(200) 하면 걸림턱(140) 사이에 지지부(200)가 위치하게 된다. 지지부(200)는 중심에 몸통부의 외경에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축홈(250)을 구비한다.
다만 이와 달리 구성되더라도 지지부(200)가 몸체부(10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포함된다.
지지부(200)는 걸림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230)는 제3 결합홈(220)과 관통홀(23)을 일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지지부(200) 위에 단열패널 단위체(20)를 올려 놓은 경우 관통홀(23)과 제3 결합홈(220)을 일치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 경우 결합홈에 도구 등을 삽입하여 지지부(200)를 회전시키면서 제3 결합홈(220)이 관통홀(23)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단차 조절구가 4개의 단열패널 단위체(20)와 결합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지지부(200)는 90도의 간격으로 4개의 제3 결합홈(220)을 구비하게 된다. 이 때 제3 결합홈(220)의 사이마다, 즉 제3 결합홈(220)으로부터 45도 되는 지점에 걸림부(230)를 구비한다면 단열패널 단위체(20)가 지지부(200)의 어느 면에 놓여지든지 제3 결합홈(220) 또는 걸림부(230) 중 하나는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 때 노출된 제3 결합홈(220) 또는 걸림부(230)에 도구 등을 삽입하여 지지부(200)를 회전시켜 제3 결합홈(220)이 관통홀(23)과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3 결합홈(220)과 관통홀(23)을 볼트(400)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하는 경우 지지부(200)의 하면에 너트(24)를 삽입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볼트(400)가 불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400)와 지지면(260) 사이에 풀림방지 워셔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는 지지부(200)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홈 형상의 걸림부(230)를 도시하였지만, 지지부(2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의 걸림부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포함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조절구는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절돌기(240)를 구비한다.
액체천연가스 화물창은 여러 개의 단열패널 단위체(2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각각의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에는 연결 단열패널(21)이 삽입된다. 따라서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존에는 단열패널 단위체(20)를 배열한 후에 다시 간격을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간격 조절돌기(240)는 지지부(200)의 상면에 단열패널 단위체(20) 사이의 간격을 두께로 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단열패널 단위체(20)가 지지면(260)에 올려 놓아 질 때 간격 조절돌기(240)에 의해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단열패널 단위체(20)를 배치 한 후 다시 간격을 조정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선체, 11: 매스틱,
12: 스터드 볼트, 13: 단차 조절패드,
20: 단열패널 단위체, 21: 단열패널,
22: 보강판, 23: 관통홀,
24: 너트, 25: 폼 플러그,
26: 방벽, 100: 몸체부,
110: 제1 결합홈, 120: 회전 도구 삽입부,
130: 지지부 상면 걸림턱, 140: 지지부 하면 걸림턱,
200: 지지부, 210: 제2 결합홈,
220: 제3 결합홈, 230: 걸림부,
240: 간격 조절돌기, 250: 회전축홈,
260: 지지면, 300: 리벳,
400: 볼트,

Claims (5)

  1.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 단위체와 선체 사이에 위치하고 선체에 부착되는 스터드 볼트와 결합하는 단차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볼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골을 구비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결합하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결합부가 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요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는 내경에 나사골이 마련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연으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되는 홈으로 마련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단열패널 단위체 사이의 간격을 두께로 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5. 삭제
KR1020140096278A 2014-07-29 2014-07-29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KR10152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278A KR101523898B1 (ko) 2014-07-29 2014-07-29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278A KR101523898B1 (ko) 2014-07-29 2014-07-29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298A Division KR101475193B1 (ko) 2012-10-12 2012-10-12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패널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620A KR20140108620A (ko) 2014-09-12
KR101523898B1 true KR101523898B1 (ko) 2015-06-02

Family

ID=5175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278A KR101523898B1 (ko) 2014-07-29 2014-07-29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8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7038S1 (en) 2017-03-31 2019-01-01 Certainteed Corporation Insulation hanger
US10323410B2 (en) 2016-09-30 2019-06-18 Certainteed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sulating adjacent to a top of an attic
US10745917B2 (en) 2015-12-23 2020-08-18 Certainteed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bridge-free insulation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969B1 (ko) * 2014-12-02 2016-06-16 주식회사 포스코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저장탱크
KR101712008B1 (ko) * 2014-12-12 2017-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160A (ko) * 2009-02-03 2010-08-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단열패널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160A (ko) * 2009-02-03 2010-08-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단열패널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열패널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5917B2 (en) 2015-12-23 2020-08-18 Certainteed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bridge-free insulation assembly
US10323410B2 (en) 2016-09-30 2019-06-18 Certainteed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sulating adjacent to a top of an attic
US10550568B2 (en) 2016-09-30 2020-02-04 Certainteed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sulating adjacent to a top of an attic
US10829931B2 (en) 2016-09-30 2020-11-10 Certainteed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ratuses for insulating adjacent to a top of an attic
USD837038S1 (en) 2017-03-31 2019-01-01 Certainteed Corporation Insulation 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620A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898B1 (ko)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KR102389246B1 (ko) 밀봉되고 단열인 탱크의 코너 구조 및 그것의 조립 방법
KR101412486B1 (ko)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
KR101616389B1 (ko) 카고 탱크 구조 및 카고 탱크 구조 설치 방법
KR100998551B1 (ko)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의 고정장치
KR20170050587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KR101475193B1 (ko) 액화천연가스 단열패널의 단차 조절구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패널 설치방법
KR101571414B1 (ko) 화물창 단열패널 고정구조물
KR20110024502A (ko) 카고 탱크의 인슐레이션 패널 고정 장치
KR101455633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물
KR101399892B1 (ko)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
KR101712008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제작방법
KR101007695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tbp 고정 장치
KR20090067408A (ko) 인슐레이션 패널과 선체의 조립장치
KR20130099898A (ko) 화물창 단열패널의 고정장치
KR101680691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제작방법
KR20180107363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단열벽
KR101411488B1 (ko) 패널의 단차 조정 지그
KR101434574B1 (ko) 푸싱 장치
KR101722612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KR101399889B1 (ko) 화물창 단열패널의 고정장치
KR101302996B1 (ko) 인슐레이션 패널의 선체 고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인슐레이션 패널의 선체 고정방법
KR101337629B1 (ko) 단열 보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194574B1 (ko)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 구조체
KR101415073B1 (ko)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