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608B1 - 슬래브용 중공관 - Google Patents

슬래브용 중공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608B1
KR101523608B1 KR1020140043166A KR20140043166A KR101523608B1 KR 101523608 B1 KR101523608 B1 KR 101523608B1 KR 1020140043166 A KR1020140043166 A KR 1020140043166A KR 20140043166 A KR20140043166 A KR 20140043166A KR 101523608 B1 KR101523608 B1 KR 10152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slab
ring member
support member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이재홍
이기학
안남식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3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용 중공관에 관한 것으로, 일방향의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에 장착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결합되고, 주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래브용 중공관{HOLLOW PIPE FOR SLAB}
본 발명은 슬래브용 중공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내부에 매립되는 중공관에 주근이 용이하게 끼움결합되므로,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슬래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래브용 중공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오피스텔 및 빌딩 등의 층과 층 사이는 콘크리트인 슬래브(slab)에 의해 구분된다. 이러한 슬래브 위에는 통상 단열과 난방 배관을 위하여 슬래브 상에 스티로폼을 설치하며, 그 위에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난방 배관을 설치하고, 마지막 미장 몰탈 공사로 이어지는 바닥공사가 행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래브 바닥공사에도 불구하고 다층 건물은 사람의 보행, 물건의 낙하, 집기 등의 이동 등으로 인해 바닥에 충격이나 마찰이 가해지는 경우 그에 따른 충격음과 마찰음이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층간소음으로 인한 소음 공해가 심각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층간소음은 대체로 물건 등의 낙하 충격음이나 집기 등의 이동 마찰음과 같이 고주파수 성분의 소음을 포함하고 있는 경량충격음과, 성인의 보행이나 어린이가 뛰어다님으로 인해 발생되는 저주파수 성분의 소음을 포함하고 있는 중량충격음으로 구분되는데, 최근에 이 층간소음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경량충격음은 58데시벨(dB), 중량충격음은 50데시벨(dB)로 각각 이하로 하거나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시공하여야 하는 층간소음에 대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대폭 강화되거나 개정되었다.
이러한 층간소음의 규정에 맞춰 선행기술문헌들의 예로 등록특허 제10-0644084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는 장선과 장선 사이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막대형 흡음재와, 상기 다수개의 막대형 흡음재 위에 배근되는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막대형 흡음재와 철근이 매설되도록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다수개의 막대형 흡음재의 위에 배근된 철근이 막대형 흡음재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았으므로, 슬래브콘크리트의 타설되는 과정에서 철근의 배근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철근의 배근상태를 위해 추가적으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6440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내부에 매립되는 중공관에 주근이 용이하게 끼움결합되므로,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슬래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래브용 중공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내부에 강철로 된 중공관을 삽입하여, 강성이 증대됨으로 슬래브의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어 초고층인 경우 전체적으로 한층 이상을 더 확보할 수 있으며, 슬래브에 매립되는 중공관과 중공관 내부에 주입된 유체가 난방 작용을 할 수 있어 슬래브 위에 난방설비를 할 필요가 없는 슬래브용 중공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은, 일방향의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에 장착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결합되고, 주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관에 일단부가 끼움 결합되고, 타단부는 이웃하는 다른 중공관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링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링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장착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폭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받침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링부재에 대해서 각도 내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링부재에 대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링부재에 대해서 분리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주근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거나, 상기 받침대의 끝부분과 상기 받침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사이의 각도가 180도를 넘도록 형성될수 있다.
상기 중공관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내부에 매립되는 중공관에 주근이 용이하게 끼움결합되므로,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슬래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는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종래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비해 콘크리트 타설량이 감소되어 콘크리트 양생시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콘크리트 등의 재료비와 인건비가 저감되어 전체적으로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은 모듈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단하고, 주근을 지지하는 슬래브용 중공관의 특이성으로 인해 주근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은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 콘크리트 슬래브와 일체화되어 휨 또는 처짐에 대한 우수한 저항력을 가지므로 휨강성이 향상되고, 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은 내부공간을 각종전선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 등의 전기/전자 케이블 및 난방 설비 등의 기타 설비의 통로로 이용이 가능하고, 슬래브와 난방설비로 인한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내부에 매립된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중공관의 지지부재의 장착 각도 변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중공관의 지지부재의 길이 변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이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복수개의 지지부재가 지그재그로 복수개의 중공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1에 따른 중공관의 직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내부에 매립된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중공관의 지지부재의 장착 각도 변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중공관의 지지부재의 길이 변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이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복수개의 지지부재가 지그재그로 복수개의 중공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1에 따른 중공관의 직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10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10), 링부재(120) 및 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공관(110)은 일방향으로, 폭보다 길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슬래브(S)의 내부에 복수개로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콘크리트 슬래브(S)는 하중분포 및 자중에 따른 설계조건에 맞게 휨 또는 처짐에 대한 우수한 저항력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중공관(1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등으로 이루어지고, 중공관(110)의 특성 중 우수한 인장강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S)의 휨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휨 또는 처짐을 최소화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중공관(110)의 단면 모양은 원형 뿐만 아니라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관(110)은 콘크리트 슬래브(S)의 처짐을 지지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타설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단단히 굳게 됨에 따라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S)와 일체로 되어 콘크리트 슬래브(S)의 자중 및 상부에서 가해지는 외부하중에 대한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슬래브(S)의 내부에 매립되는 중공관(110)에 의해서 슬래브(S)의 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슬래브(S)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건물의 층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중공관(110)의 내부공간에는 물 등의 유체가 충진되어 공명효과(울림) 또는 감쇄작용으로 인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물 대신 점성이 높은 기름 등의 유체를 사용할 수도 있거나 스티로폼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공관(110)의 내부공간을 각종 전선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 등의 전기/전자 케이블 및 난방파이프 등의 기타 설비의 통로로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중공관(110)의 내부에 충진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난방설비가 없더라도 중공관(110)만으로 난방 기능을 확보할 수도 있다.
중공관(110)의 외면에 끼워지거나 장착되는 링부재(120)는 원형 형상으로, 중공관(110)에 장착될 수 있다. 링부재(120)의 모양은 중공관(110)의 외면 모양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부재(120)는 강재 재질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일방향의 중공관(110)에 복수개로 장착될 수 있다.
링부재(120)는 링부재(120)의 외주면에 링부재(120) 복수개의 장착부(121)가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21)는 링부재(120)의 외주면에서부터 내주면까지 관통 형성되거나 외주면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는 홈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중공관(110)의 외주면에는 링부재(120)의 장착을 위한 홈(미도시) 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부(121)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지지부재(13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장착부(121)에 결합, 삽입 또는 끼워지는 지지부재(130)가 결합하는 위치 또는 지지부재(130)의 각도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S)의 높이와 주근(200)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슬래브(S)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링부재(120)의 장착부(121)에 결합되어 주근(2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링부재(120)와 같이 강재 재질로, 지지대(131)와 받침대(132)로 이루어진다.
지지대(131)는 폭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받침대(132)는 갈퀴형상으로, 지지대(131)의 끝단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의 지지대(131)는 일단부가 링부재(120)에 결합되되, 링부재(120)의 장착부(121)에 결합되고, 지지대(131)의 끝단부에 연장형성된 받침대(132)는 주근(200)을 지지할 수 있다.
주근(200)을 지지하는 받침대(132)는 주근(200)의 중심에 가까울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는 주근(200)이 받침대(132)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고,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인해 안착된 주근(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받침대(132)는 주근(200)의 외면을 충분히 감싸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대(132)는 주근(200)의 외면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132)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받침대(132)의 끝부분과 받침대(13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각도는 180도를 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주근(200)이 받침대(132)에 끼워질 때 받침대(132)의 양단이 조금 벌어지면서 주근(200)이 받침대(132)에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주근(200)은 중공관(110)의 중심으로 중공관(110)의 상부에 배열된 상부주근(210), 하부에 배열된 하부주근(220)으로 나뉜다.
콘크리트 슬래브(S)의 상부를 따라 길게 배열되는 상부주근(210)은 인장에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하부를 따라 길게 배열되는 하부주근(220)는 압축에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부재(130)는 링부재(120)에 장착되는 기울기 내지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재(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장착부(121)의 위치에 따라 지지부재(130)가 링부재(120)에 장착되는 기울기 내지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링부재(120)에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부재(130)는 링부재(120) 또는 중공관(110)의 중심에 대해서 장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링부재(120)에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부재(130)는 높이가 변하면서, 이러한 지지부재(130)를 포함한 중공관(110)이 매립되는 콘크리트 슬래브(S)은 두께도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실선으로 표시된 지지부재(130)에 주근(200)이 결합되는 경우 상부주근과 하부주근 사이의 높이는 점선으로 표시된 지지부재(130)에 주근(200)이 결합되는 경우 상부주근(210)과 하부주근(220) 사이의 높이 보다 큼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30)가 링부재(120)에 결합되는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슬래브(S)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재(130)의 기울기 또는 각도를 조절함으로 인해 콘크리트 슬래브(S)의 두께를 조절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슬래브(S)의 내부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분산시켜 콘크리트 슬래브(S)의 휨 또는 처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링부재(120)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별로 미리 제작된 지지부재(130)는 링부재(120)의 장착부(12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위에서 설명한 지지부재(130)의 기울기 조절로 인해 콘크리트 슬래브(S)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부주근(21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0)와 하부주근(2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0)의 장착 기울기를 다르게 하거나 길이를 다르게 하여 슬래브(S)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주근(200)을 지지하는 받침대(132)는 일방향의 주근(200)뿐만 아니라 교차되는 주근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주근(2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0)의 받침대(132)가 갈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주근(20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원호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링부재(120)로부터 분리결합이 가능하다. 이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이나 모듈화하는 과정 등 시공 및 준비과정에서 지지부재(130)의 지지대(131)나 받침대(132)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는 경우 교체가 필요할 경우 용이하게 부분 교체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체가 필요한 파손된 지지부재(130)는 링부재(120)의 장착부(121)로부터 분리되고, 링부재(120)의 장착부(121)에는 새로운 지지부재를 결합한다.
슬래브용 중공관(100)은 중공관(110), 링부재(120) 및 지지부재(130)를 미리 공장에서 조립하여 모듈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공법에서는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중공관(110), 링부재(120) 및 지지부재(130)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100)을 표준화하여 공장에서 모듈화한 제품으로 생산하고, 현장에서 가공 공정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화하여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부재(130)는 이웃하는 중공관(110) 또는 주근(200)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복수개의 중공관(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화하되는 중공관(110), 링부재(120), 지지부재(130) 중 중공관(110)은 다수의 중공관(11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그 길이를 늘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주보는 2개의 중공관(110) 양단에 연결부재(140)가 삽입됨으로써 중공관(11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재(140)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를 가지며, 중공관(110)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중공관(110)과 연결부재(140)의 내부를 통해 물 등의 유체가 충진될 수 있기 때문에 층간소음 저감 또는 난방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1개의 링부재(120)는 2개의 중공관(110)이 연결되는 접합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듈화되는 중공관(110), 링부재(120), 지지부재(130) 중 중공관(110)과 링부재(120)는 크기(구체적으로는 단면적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40)를 중심으로 왼쪽 슬래브용 중공관(100a)의 크기(직경)는 오른쪽 슬래브용 중공관(100b)의 크기(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크기(직경)가 다른 슬래브용 중공관(100)은 미리 공장에서 크기별로 모듈화한다.
이와 같이, 중공관(110)의 직경 또는 단면적을 다르게 하여 슬래브(S)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강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슬래브(S)의 위치 중에서 상대적으로 처짐량이 많은 가운데 부분의 슬래브(S)에 매립되는 중공관(110)의 직경 내지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처짐량이 많은 가운데 부분에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S)에 휨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중공관(110)에 일단부가 끼움결합되고, 타단부는 이웃하는 다른 중공관에 끼움결합된다. 연결부재(140)는 중공관(110)과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복수개의 중공관(110)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억지끼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공법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S)에 매립되는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100)을 용접 등으로 현장에서 연결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용 중공관(100)은 연결부재(14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슬래브용 중공관(100)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중공관(110)과 같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중공관(110)을 통해 지나는 물이나 점성이 높은 기름 그리고 전기/전자 케이블 및 난방파이프 등이 지나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슬래브용 중공관 110 : 중공관
120 : 링부재 121 : 장착부
130 : 지지부재 131 : 지지대
132 : 받침대 140 : 연결부재
200 : 주근 210 : 상부주근
220 : 하부주근 S : 콘크리트 슬래브

Claims (10)

  1. 슬래브의 판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의 내부에 매립되는 중공관과,
    개구방향이 상기 슬래브의 판면방향과 나란하거나 길이방향이 상기 슬래브의 판면방향과 동일하도록 상기 중공관의 외부에 장착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결합되고, 상부주근 및 하부주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링부재에 장착되는 각도, 기울기, 장착 위치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에 일단부가 끼움 결합되고, 타단부는 이웃하는 다른 중공관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링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장착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폭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주근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하부주근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링부재에 장착되는 기울기 또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의 처짐량 또는 휨강성에 따라 상기 중공관 및 상기 링부재의 직경 또는 단면적을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링부재에 대해서 분리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주근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거나, 상기 받침대의 끝부분과 상기 받침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사이의 각도가 180도를 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중공관.
KR1020140043166A 2014-04-10 2014-04-10 슬래브용 중공관 KR10152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166A KR101523608B1 (ko) 2014-04-10 2014-04-10 슬래브용 중공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166A KR101523608B1 (ko) 2014-04-10 2014-04-10 슬래브용 중공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608B1 true KR101523608B1 (ko) 2015-05-28

Family

ID=5339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166A KR101523608B1 (ko) 2014-04-10 2014-04-10 슬래브용 중공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43B1 (ko) * 2018-04-17 2018-07-06 주식회사 서하 각관을 이용한 프리텐션 중공 콘크리트 슬래브
KR20220077475A (ko) 2020-12-02 2022-06-09 삼정캐리월드(주) 보강부재가 구비된 콘크리트 슬래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931B1 (ko) * 2005-10-27 2006-04-24 우경건설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교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710984B1 (ko) * 2006-03-02 2007-04-24 (주)대우건설 개구 형성체에 의하여 보강된 개구부를 가지는 무량판 구조물
KR20100035904A (ko) * 2008-09-29 2010-04-07 (주)대한구조안전기술 고정철근 및 이를 이용한 중공관 슬래브 시공방법
KR20110077140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관 이음부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931B1 (ko) * 2005-10-27 2006-04-24 우경건설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교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710984B1 (ko) * 2006-03-02 2007-04-24 (주)대우건설 개구 형성체에 의하여 보강된 개구부를 가지는 무량판 구조물
KR20100035904A (ko) * 2008-09-29 2010-04-07 (주)대한구조안전기술 고정철근 및 이를 이용한 중공관 슬래브 시공방법
KR20110077140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관 이음부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43B1 (ko) * 2018-04-17 2018-07-06 주식회사 서하 각관을 이용한 프리텐션 중공 콘크리트 슬래브
KR20220077475A (ko) 2020-12-02 2022-06-09 삼정캐리월드(주) 보강부재가 구비된 콘크리트 슬래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400B1 (ko) 압축부가 보강된 강관거더 및 그 제작방법
CA3068962C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seismic retrofitting method
KR101220128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모듈
JP2011080293A (ja) 制震橋脚
KR101523608B1 (ko) 슬래브용 중공관
KR101020061B1 (ko)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JP5999862B1 (ja) H型鋼からなる鉄骨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
CN112412016B (zh) 大体积倾斜变截面结构柱的模板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JP5619984B1 (ja) 吊り下げ式支持装置用座屈防止具
CN108222545B (zh) 一种预制楼板支撑装置
JP200505453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US3304954A (en) Housing duct for utility devices
JP4413064B2 (ja) プレキャストpcタンクの側壁構造
US9752317B2 (en) Heat-insulating system for the vertical, load-dissipating connection of building parts to be produced from concrete
JP4128582B2 (ja) 防振床構造
JP4242035B2 (ja) 吊形式橋梁における吊材の橋桁材への定着構造
KR100978295B1 (ko)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KR102093715B1 (ko) 층간소음 방지기능을 구비한 철근받침대
KR101788650B1 (ko) 이중 안전 고정 서포트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JP4870004B2 (ja) 定着構造
KR20170118349A (ko) 지하층 외벽 시공의 벽체 거푸집용 데크
KR102019736B1 (ko) 중공강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101136945B1 (ko) 내진 주택 구조물
KR102612763B1 (ko) 벽체 관통형 덕트 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