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618B1 -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618B1
KR101522618B1 KR1020130121738A KR20130121738A KR101522618B1 KR 101522618 B1 KR101522618 B1 KR 101522618B1 KR 1020130121738 A KR1020130121738 A KR 1020130121738A KR 20130121738 A KR20130121738 A KR 20130121738A KR 101522618 B1 KR101522618 B1 KR 10152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ouble
elastic body
soundproof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934A (ko
Inventor
류종석
조승상
한주연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3012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6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는, 제1 창 및 상기 제1 창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창을 포함하는 창부 및 상기 창부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틀부를 포함하는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로서, 상기 이격 공간에 개재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창 또는 상기 제2 창에 접촉되는 면이, 중공 영역 및 상기 중공 영역을 둘러싸는 띠 영역을 갖는 중공 폐도형 형상이다.

Description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APPARATUS FOR IMPROVING SOUNDPROOF OF DOUBLE WINDOW}
본원은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문은 복층유리로 구성된다. 방음을 위한 복층유리는 단일 창문에 비하여 높은 방음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에 설치되고 있으나 전달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단일 창문보다 방음 효과가 낮은 구역이 발생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저음대역의 소음에 대하여, 복층유리는 단일 창문보다 낮은 방음성능을 보이고 있는데(저음 통과 현상),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을 저음 공명(통과) 주파수라고 한다. 또한,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단일 창문 및 복층유리가 공통으로 나타내는 투과손실(Transmission Loss) 저하 영역이 발생(고음 통과 현상) 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을 고음 통과 주파수라고 한다.
이와 같은 저음 통과 현상 및 고음 통과 현상은, 복층유리의 유리면 사이의 간극이 충분히 넓지 않은 경우, 유리면 사이에 기체가 충전된 상태에서 소음에 노출된 유리면과 반대쪽에 있는 유리면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진동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발생한다.
특히, 항공기의 소음은 항공기와 항공기의 소음을 듣게 되는 수음 측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지배적인 주파수 대역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항공기가 수음 측으로 접근할 때에는 2~3 kHz의 고음역 소음이 지배적이고, 항공기가 수음 측 상공에 있을 경우에는 500 Hz 전후의 저음역과 3 kHz 전후의 고음역 소음이 지배적이며, 항공기가 수음 측을 지난 후에는 500 Hz 이하의 저음역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항공기 소음피해지역의 창문은 저음역 통과 주파수와 고음역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손실이 저하되지 않는 방음창호가 사용되어야 한다.
방음창호로서, 종래에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3212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이중 유리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제안된 이중 유리 구조는 이중 유리의 내부 공간에 탄성을 갖는 지지체가 단순 배열되는 구성인바, 전술한 바와 같은, 저음역 통과 주파수와 고음역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의 투과손실 저하 현상이 방지되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음역 통과 주파수와 고음역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투과손실 저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중 창문의 방진성능을 높여 방음효과를 향상시키는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는, 제1 창 및 상기 제1 창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창을 포함하는 창부 및 상기 창부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틀부를 포함하는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로서, 상기 이격 공간에 개재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창 또는 상기 제2 창에 접촉되는 면이, 중공 영역 및 상기 중공 영역을 둘러싸는 띠 영역을 갖는 중공 폐도형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통해 이중 창문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경계조건을 변경하고, 제1 창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저음역 통과 주파수와 고음역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의 투과손실 저하를 최소화하여 방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완충부가 구비된 이중 창문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점형 완충부가 구비된 이중 창문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완충부의 띠 영역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이중 창문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의 파형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d 각각은 이중 창문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이하 '본 방음 개선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완충부가 구비된 이중 창문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점형 완충부가 구비된 이중 창문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완충부의 띠 영역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이중 창문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의 파형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방음 개선 장치는, 제1 창(101) 및 제1 창(101)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109)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창(102)을 포함하는 창부(100) 및 창부(100)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틀부(500)를 포함하는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창문은 외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중 창문의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쪽 공간에서 발생하여 제1 창(101)으로 입사되는 소음이 제 2 창(102)을 통해 반대 공간으로 전달될 때 특정한 범위의 주파수 대역 소음에 대하여 투과손실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과손실 저하 현상은 제1 창(101)과 제2 창(102)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진동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중 창문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막진동(membrane vibration)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창문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중심선 대비 대칭 형태로 발생하는 대칭적 진동 특성을 갖는다.
한편, 도 6, 도 7a 내지 도 7 d는 이중 창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막진동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6의 x축은 도 1의 3시-9시 방향과 대응될 수 있고, 도 6의 y축은 6시-12시 방향과 대응될 수 있으며, 도 6의 x축과 y축의 교차점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문의 중심점과 대응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막진동은 이중 창문의 창부(100)의 전체 영역을 범위로 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도 7a 내지 도 7 d에 도시된 막진동의 중심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문의 중심점과 대응할 수 있다.
본 방음 개선 장치는 이러한 막진동을 감쇠시킴으로써 방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방음 개선 장치는 항공기의 소음에 의한 영향을 받는 건축물의 이중 창문에 적용될 수 있다. 항공기의 소음은 항공기와 항공기의 소음을 듣게 되는 수음 측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지배적인 주파수 대역이 다르게 나타나는바, 저음역 통과 주파수와 고음역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손실이 저하되지 않는 방음창호가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방음 개선 장치에 의하면 이러한 방음창호가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방음 개선 장치는 항공기의 소음에 의한 영향을 받는 건축물의 이중 창문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방음 개선 장치는 항공기의 소음에 의한 영향을 받는 건축물의 이중 창문 외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방음 개선 장치는 이격 공간(109)에 개재되는 완충부(1)를 포함한다.
완충부(1)는 제1 창(101)의 진동과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창(101)으로 입사된 소음이 제2 창(102)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완충부(1)는 제1 창(101) 또는 제2 창(102)에 접촉되는 면이 중공 영역(19) 및 중공 영역(19)을 둘러싸는 띠 영역(11)을 갖는 중공 폐도형 형상이다.
이중 창문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진동 감쇠 효과를 위해서는, 전술한 막진동의 대칭적 진동 특성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방음 개선 장치는, 중공 폐도형 형상인 완충부(1)를 통해 대칭적 진동 특성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방음 개선 장치는 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이 이중 창문으로 입사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완충부(1)는 제1 창(101)으로 입사된 소음(음파 에너지)이 발생시키는 진동 에너지가 제2 창(102)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저음역 통과 주파수 대역 및 고음역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 투과손실 저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방음 개선 장치와 관련된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완충부(1)는 띠 영역(11)이 이중 창문의 중심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중 창문의 중심점을 둘러싸도록, 중공 영역(19)이 이중 창문의 중심점에 위치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5, 도 6, 도 7 a 내지 도 7d를 함께 참조하면, 완충부(1)는 이중 창문의 중심을 둘러싸며 배치됨으로써, 이중 창문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대칭 형태로 발생하는 막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띠 영역(11)은 제1 창(101)으로부터 틀부(500)를 고정 경계조건으로 하는 대칭적 막진동이 발생되어 제2 창(102)으로 전달되는 것이 저감되도록, 이중 창문의 중심점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1)가 배치되기 전까지의 제1 창(101) 의 막진동의 고정 경계조건은 틀부(500)이다. 이때, 이중 창문에 완충부(1)가 배치됨으로써, 제1 창(101)의 막진동의 고정 경계조건이 변형될 수 있다. 완충부(1)는 제1 창(101)에 접촉되어, 제1 창(101)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제1 창(101)의 막진동의 고정 경계조건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막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또한, 본 방음 개선 장치에 의하면, 띠 영역(11)이 이중 창문의 중심점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는바 다양한 길이의 파장을 갖는 진동들 각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 창문의 막진동의 파장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a” 및 “a”의 진동은 중심점(원점) 대칭형의 파형으로서 이중 창문의 중심점에서 변위가 0이다. 본 방음 개선 장치에 의하면, 완충부(1)의 띠 영역(11)이 이중 창문의 중심점으로부터 이격 형성됨으로써 이중 창문의 중심점에서 변위가 0인 파장을 갖는 진동에 있어서도 그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파형의 진동에 대한 저감이 가능해진다.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완충부(1)의 띠 영역(11)은, 도 5의 “a” 및 “b”와 파장이, “c”의 파장과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도록 이중 창문의 중심점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파장을 갖는 진동들 각각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방음 개선 장치에 의하면, 완충부(1)가 이중 창문이 형성되는 평면의 전 방향을 커버할 수 있는 중공의 폐도형 형상인바, 제1 창(101)에서 형성되는 진동의 파장이 이중 창문의 중심점을 향해 어느 방향에서 전파되어 오더라도 모두 이러한 완충부(1)를 거치며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가 중공의 폐도형 형상이므로, 띠 영역(11)은 진동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그 내측은 비워둘 수 있어, 완충부(1)의 제작시 재료 및 제작비의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고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완충부(1)는 환형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완충부(1)는 중공이 형성된 다각형 형상 등 진동 저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1)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의 (a)를 참조하면, 띠 영역(11)은 탄성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부(1)는 제1 창(10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이 제2 창(102)으로 전달되는 것을 절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손실 저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현예로서, 완충부(1)는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창(101)과 접촉되는 제1 탄성체(111), 제2 창(102)과 접촉되는 제2 탄성체(113) 및 제1 탄성체(111)와 제2 탄성체(113)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는 탄성체의 탄성계수, 단면적, 두께 등의 제원에 따라 진동 저감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부(1)를 탄성체로만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탄성체들(111, 113)의 사이에 소정 두께의 간격조절재인 스페이서(112)를 둠으로써, 이중 창문이 설치되는 장소의 주변 여건에 따라 이러한 스페이서(112)의 두께 및 탄성체들(111, 113)의 두께를 조절하여 진동 저감 특성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만약, 스페이서(112)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진동 저감 효율을 보다 최적화하고자 한다면, 탄성체 자체의 탄성계수를 바꾸거나 탄성체의 단면적을 변화시켜야 하는 등, 보다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즉, 탄성체와 스페이서의 조합으로 완충부(1)를 구비함으로써, 두께 조절만으로도 어느 정도의 진동 저감 특성 조절이 가능해진다. 예시적으로, 스페이서(112)는 탄성 계수가 높은 강체(rigid bod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완충부(1)는, 제1 탄성체(111) 및 제2 탄성체(113) 각각이 스페이서(112)의 양면에 접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방음 개선 장치는 이격 공간(109)에 개재되되, 틀부(500)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점형 완충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점형 완충부(3) 각각은, 제1 창(101)으로부터 틀부(500)를 고정 경계조건으로 하는 막진동이 발생할 때, 틀부(500)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저감될 수 있도록, 틀부(5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창(101)에 대한 진동의 발생 시, 제1 창(101)을 틀부(500)가 고정하고 있는바, 고정단인 틀부(500) 및 제1 창(101) 내의 틀부(500) 주변 영역에 가장 큰 모멘트(moment)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점형 완충부(3) 각각을 틀부(5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모멘트 및 진동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간격은, 점형 완충부(3)가 틀부(500) 중 제1 창(101) 내의 모멘트가 가장 크게 발생되는 지점과 이루는 간격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점형 완충부(3) 각각은 제1 창(101) 내의 모멘트가 가장 크게 걸리는 부분과 소정의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점형 완충부(3)는 창부(100)의 테두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는 막진동에 따른 틀부(500) 측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점형 완충부(3) 각각은 창부(100)의 꼭지점 영역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점형 완충부(3) 각각은 제1 창(101)과 접촉되는 제1 탄성체(31), 제2 창(102)과 접촉되는 제2 탄성체(33) 및 제1 탄성체(31)와 제2 탄성체(33)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체(31), 제2 탄성체(33), 및 스페이서(32)의 구성은 앞서 살펴본 완충부(1)의 다른 구현예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완충부(1)와 점형 완충부(3)는 이중 창문에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완충부(1)와 도 3에 도시된 점형 완충부(3)가 동일한 이중 창문에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방음 개선 장치는 항공기 소음 피해 지역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이중 창문 등에 적용됨으로써 저염역과 고음역에서의 항공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음하여 방음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완충부 11: 띠 영역
111: 제1 탄성체 112: 스페이서
113: 제2 탄성체 19: 중공 영역
3: 점형 완충부 31: 제1 탄성체
32: 스페이서 33: 제2 탄성체
100: 창부 101: 제1 창
102: 제2 창 109: 이격 공간
500: 틀부

Claims (10)

  1. 제1 창 및 상기 제1 창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창을 포함하는 창부 및 상기 창부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틀부를 포함하는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로서,
    상기 이격 공간에 개재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창 또는 상기 제2 창에 접촉되는 면이, 중공 영역 및 상기 중공 영역을 둘러싸는 띠 영역을 갖는 중공 폐도형 형상이고, 탄성체 및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 창과 접촉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창과 접촉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탄성체와 상기 제2 탄성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띠 영역이 상기 이중 창문의 중심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이중 창문의 중심점을 둘러싸도록, 상기 중공 영역이 상기 이중 창문의 중심점에 위치하게 배치되는 것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 영역은, 상기 제1 창으로부터 상기 틀부를 고정 경계조건으로 하는 대칭적 막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제2 창으로 전달되는 것이 저감되도록, 상기 이중 창문의 중심점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는 것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에 개재되되, 상기 틀부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점형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형 완충부 각각은, 상기 제1 창으로부터 상기 틀부를 고정 경계조건으로 하는 막진동이 발생할 때, 상기 틀부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틀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형 완충부 각각은 상기 창부의 꼭지점 영역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형 완충부는 상기 제1 창과 접촉되는 제1 탄성체, 상기 제2 창과 접촉되는 제2 탄성체 및 상기 제1 탄성체와 상기 제2 탄성체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환형 형상인 것인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KR1020130121738A 2013-10-14 2013-10-14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KR101522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738A KR101522618B1 (ko) 2013-10-14 2013-10-14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738A KR101522618B1 (ko) 2013-10-14 2013-10-14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34A KR20150042934A (ko) 2015-04-22
KR101522618B1 true KR101522618B1 (ko) 2015-05-22

Family

ID=5303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738A KR101522618B1 (ko) 2013-10-14 2013-10-14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6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651A (ja) * 1996-01-17 1997-07-29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窓構造
JPH10507500A (ja) * 1994-10-19 1998-07-21 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シドニー 真空複層ガラスの構造改良
JP2002037646A (ja) * 2000-07-27 2002-02-06 Asahi Glass Co Ltd 複層ガラス
JP2003321256A (ja) * 2002-04-26 2003-11-11 Daiwa House Ind Co Ltd 二重ガラス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7500A (ja) * 1994-10-19 1998-07-21 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シドニー 真空複層ガラスの構造改良
JPH09193651A (ja) * 1996-01-17 1997-07-29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窓構造
JP2002037646A (ja) * 2000-07-27 2002-02-06 Asahi Glass Co Ltd 複層ガラス
JP2003321256A (ja) * 2002-04-26 2003-11-11 Daiwa House Ind Co Ltd 二重ガラス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34A (ko)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1145T3 (es) Ventanilla de pasajeros estratificada que reduce la transmisión del ruido
CN107701635B (zh) 具有超阻尼特性的低频宽带局域共振结构
US8082707B1 (en) Air-film vibration damping apparatus for windows
US10621966B2 (en) Sound absorbing and insulating structures by tailoring sound velocities, and method of designing the sound absorbing and insulating structures
CN202380598U (zh) 一种轻质高性能双层隔声结构及其隔声板
KR101522618B1 (ko) 이중 창문의 방음 개선 장치
KR20160068297A (ko) 벌크 탄성파 공진기
KR101175930B1 (ko) 능동방음벽
CN110566618B (zh) 一种声子晶体隔振装置
KR20130135598A (ko) 거주구의 선실 벽체용 차음 패널
GB2096682A (en) Double glazing
CN106536189B (zh) 消震隔音屏障
KR20130068875A (ko) 박막과 흡음재를 포함하는 헬름홀츠 공명기 흡음장치
KR20130045497A (ko) 광대역 차음 복층유리
KR20200040947A (ko) 진동 및 소음 저감장치
CN112299361B (zh) 一种具有隔振板的mems器件
CN110594332B (zh) 一种宽频段减振降噪超材料多跨梁结构
JP6825988B2 (ja) 鉄道車両用の複層窓ユニット
KR102004957B1 (ko) 저주파 진동 저감용 구조체
JP2018065714A (ja) 複層ガラス、複層ガラスユニット、及び複層ガラス用間隔部材
KR100888449B1 (ko) 조립식 칸막이
CN111591308A (zh) 城市轨道交通车站站台减振降噪屏蔽门
JP2018199453A (ja) 鉄道車両用の複層窓ユニット
KR20160101516A (ko) 제진장치
KR20170004296A (ko) 단열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단열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