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956B1 -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956B1
KR101521956B1 KR1020140118533A KR20140118533A KR101521956B1 KR 101521956 B1 KR101521956 B1 KR 101521956B1 KR 1020140118533 A KR1020140118533 A KR 1020140118533A KR 20140118533 A KR20140118533 A KR 20140118533A KR 101521956 B1 KR101521956 B1 KR 10152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mergency
occupant
communication terminal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식
Original Assignee
(주)세영이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영이엘티 filed Critical (주)세영이엘티
Priority to KR102014011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2)가 통화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비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30)와, 상기 마이크(30)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유닛(1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감시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통신단말기(20)에 호출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탑승자(2)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상태에서 치한이나 강도를 만나서 호출스위치(11)를 누르지 못할 경우에도 외부와 통화를 할 수 있어서, 탑승자(2)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Emergency call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탑승자가 통화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비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탑승자가 관리실에 상주하는 관리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통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비상통화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에 구비되며 관리실에 구비된 통신단말기(20)와 연결된 통신유닛(10)과, 상기 통신유닛(10)에 연결되며 탑승자가 조작하면 상기 통신유닛(10)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호출스위치(11)로 구성된다.
이때, 통신단말기(20)는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기 호출스위치(11)를 눌려서 상기 통신유닛(10)에서 호출신호가 출력되면, 벨을 울려서 탑승자가 상기 호출스위치(11)를 누른 것으로 관리실에 상주하는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비상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기 호출스위치(11)를 누르면, 관리실에 상주하는 관리자가 상기 통신단말기(20)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와 통화를 하여, 엘리베이터 카(1) 내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는 관리자가 자리를 비울 경우,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가 외부와 연락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됨으로, 최근에는 공개특허 10-2001-0086904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유닛(10)이 일반 전화선을 통해 관리실의 통신단말기(20) 이외에, 엘리베이터 관리업체나 경찰서 및 소방서 등과 같은 다양한 곳에 구비된 통신단말기(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비상통화장치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비상통화장치는 탑승자가 상기 호출스위치(11)를 누르면, 상기 통신유닛(10)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관리실이나 엘리베이터 관리업체, 경찰서 및 소방서에 구비된 통신단말기(20)로 순차적으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는 탑승자가 직접 호출스위치(11)를 조작하여야 함으로,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치한이나 강도를 만나거나, 갑자기 기절하는 등과 같이, 탑승자가 직접 호출스위치(11)를 누르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탑승자가 통화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비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1)에 구비되며 외부에 구비된 통신단말기(20)와 연결된 통신유닛(10)과, 상기 통신유닛(10)에 연결되며 탑승자(2)가 조작하면 상기 통신유닛(10)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호출스위치(11)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30)와, 상기 마이크(30)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유닛(1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로 수집된 음성을 녹음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관리자가 통신단말기(20)에 응답을 하면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의 전후 일정시간동안 상기 제어유닛(60)에 녹음된 음성을 상기 통신단말기(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볼륨 이상의 음성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1)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2)와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수단(40)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2)를 감지하는 탑승자감지수단(51,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높이로 구비된 발광수단(51) 및 수광수단(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과 하중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에 탑승자(2)가 감지되지 않으면 탑승자(2)가 쓰러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정해진 수준 이상으로 급격히 변화될 경우, 비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30)와, 상기 마이크(30)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유닛(1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감시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통신단말기(20)에 호출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탑승자(2)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상태에서 치한이나 강도를 만나서 호출스위치(11)를 누르지 못할 경우에도 외부와 통화를 할 수 있어서, 탑승자(2)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1)에 구비되며 관리실에 구비된 통신단말기(20)와 연결된 통신유닛(10)과, 상기 통신유닛(10)에 연결되며 탑승자(2)가 조작하면 상기 통신유닛(10)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호출스위치(11)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통신단말기(2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관리실과, 엘리베이터 관리업체, 경찰서 및 소방서 등에 구비되며, 상기 통신유닛(10)은 전용선과 일반 전화선을 통해 상기 통신단말기(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탑승자(2)가 상기 호출스위치(11)를 조작하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각의 통신단말기(20)로 순차적으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단말기(20)는 일반적인 인터폰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통신유닛(10)에서 호출신호가 출력되면 벨을 울리고, 관리자가 통신단말기(20)의 통화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통신유닛(10)과 통신단말기(20)가 음성통화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1)에는,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30)와,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2)와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수단(40)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2)를 감지하는 탑승자감지수단(51,52)과, 상기 마이크(30)와 하중감지수단(40) 및 탑승자감지수단(51,52)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유닛(1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30)는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중감지수단(40)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자(2)가 탑승할 경우, 탑승자(2)의 체중과 탑승자(2)가 소지한 화물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중감지수단(40)은 엘리베이터 카(1)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것임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자외선을 출력하는 발광수단(51)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 타측에 상기 발광수단(51)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51)에서 출력된 자외선을 수신하는 수광수단(5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광수단(51)과 수광수단(52)은 미리 설정된 높이, 즉,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하는 일반적인 탑승자(2)의 키보다 낮고, 탑승자(2)가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쓰러졌을 경우의 키보다 높은 위치,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1)의 바닥면으로부터 약 1m 정도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 양측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1m 이상의 탑승자(2)가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하면, 상기 발광수단(51)에서 출력된 자외선이 탑승자(2)에 의해 가려져 수광수단(52)에 수신되지 않음으로,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자(2)가 탑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탑승자(2)가 쓰러질 경우, 탑승자(2)의 키가 1m 이하가 됨으로,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에는 탑승자(2)가 감지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와 하중감지수단(40) 및 탑승자감지수단(51,52)의 신호를 수신하여, 탑승자(2)가 치한이나 강도를 만나거나 기절하여 쓰러지는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시하고,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음성을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볼륨 이상의 음성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일반적인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이 60db(데시벨)이고, 비상상황 발생시 사람이 지르는 비명이 90db라고 할 경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80db이상의 음성이 수집될 경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2)가 치한이나 강도를 만나서 비명을 지른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통신유닛(10)을 제어하여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과 하중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에 탑승자(2)가 감지되지 않으면 탑승자(2)가 쓰러진 것으로 판단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자(2)가 탑승하면,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에 탑승자(2)가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하중감지수단(40)에 의해 측정되는 하중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과 상기 하중감지수단(40)의 신호를 감시하여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자(2)가 탑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2)가 엘리베이터 카(1)에서 내릴 경우,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에 탑승자(2)가 감지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하중감지수단(40)에 의해 측정된 하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60)은 탑승자(2)가 엘리베이터 카(1)에서 내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2)가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쓰러질 경우, 상기 하중감지수단(40)에 측정된 하중은 변동이 없으면서,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에는 탑승자(2)가 감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과 하중감지수단(40)의 신호를 감시하여, 하중감지수단(40)에 측정된 하중의 변동이 없으면서 탑승자감지수단(51,52)에 탑승자(2)가 감지되지 않으면, 탑승자(2)가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쓰러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유닛(1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정해진 수준 이상으로 급격히 변화될 경우, 비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하는 탑승자(2)는 탑승이 완료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도어가 닫히면, 서있는 자리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특징이 있음으로, 엘리베이터 카(1)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거의 변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1)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게 변동된다는 것은,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2)에게 이상이 발생되어 갑작스럽게 심하게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정해진 수준 이상으로 급격히 변화될 경우, 이를 특정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유닛(10)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도어는 엘리베이터 카(1)에 구비된 컨트롤러에 의해 개폐제어됨으로,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도어가 개폐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60)에는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저장하는 메모리(61)가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관리자가 통신단말기(20)에 응답을 하면,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의 전후 일정시간동안 상기 제어유닛(60)에 녹음된 음성을 상기 통신단말기(20)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음성을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녹음, 즉, 음성데이터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61)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전술한 방법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여 통신단말기(20)에 벨이 울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단말기(20)가 구비된 관리실의 관리자가 상기 통신단말기(20)의 통화스위치를 눌러 통신유닛(10)과 통신단말기(20)가 음성통화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제어유닛(60)은 메모리(61)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파일중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시각의 전후 일정시간동안 녹음된 음성을 상기 통신단말기(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전송되는 음성이 20초로 설정된 상태에서, 비상사태가 오후 10시 10분에 비상사태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60)은 비상사태의 발생 즉시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관리자가 통신단말기(20)의 통화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메모리(61)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파일중에서 오후 10시 9분 50초부터 오후 10시 10분 10초까지 20초동안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고, 이와 같이 재생된 음성이 상기 통신유닛(10)을 통해 통신단말기(20)로 전송되어 통신단말기(20)에서 재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30)와, 상기 마이크(30)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유닛(1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감시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통신단말기(20)에 호출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탑승자(2)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상태에서 치한이나 강도를 만나서 호출스위치(11)를 누르지 못할 경우에도 외부와 통화를 할 수 있어서, 탑승자(2)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로 수집된 음성을 녹음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관리자가 통신단말기(20)에 응답을 하면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의 전후 일정시간동안 상기 제어유닛(60)에 녹음된 음성을 상기 통신단말기(20)로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실의 관리자가 통신단말기(20)의 통화버튼을 눌러 응답을 하면, 통신단말기(20)에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간의 전후 일정시간 동안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음성이 상기 통신단말기(20)를 통해 재생되어, 관리자가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 상황을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탑승자(2)가 기절하여 쓰러지거나, 탑승자(2)가 치한이나 강도 등에 의해 입이 막힌 상태에서는, 관리실의 관리자가 통신단말기(20)에 응답을 하더라도 탑승자(2)와 통화를 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가 엘리베이터 카(1) 내부에서 발생된 상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관리자가 통신단말기(20)의 통화버튼을 눌러 응답을 하면, 상기 제어유닛(60)이 비상사태가 발생된 시점의 전후에 녹음된 음성을 통신단말기(20)로 전송하여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비상사태가 발생된 시점의 엘리베이터 카(1) 내부의 상황을 더욱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볼륨 이상의 음성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함으로,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을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1)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2)와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수단(40)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2)를 감지하는 탑승자감지수단(51,52)이 구비되며,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높이로 구비된 발광수단(51) 및 수광수단(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과 하중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에 탑승자(2)가 감지되지 않으면 탑승자(2)가 쓰러진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탑승자(2)가 음성을 내지 못한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기절하는 등의 상황에서도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을 효과적으로 이를 감지하여, 탑승자(2)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정해진 수준 이상으로 급격히 변화될 경우, 비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 음성이나 탑승자(2)의 상태로 감지하지 못하는 다른 종류의 비상사태가 발생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탑승자(2)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통신유닛 20. 통신단말기
30. 마이크 40. 하중감지수단
51,52. 탑승자감지수단 60. 제어유닛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카(1)에 구비되며 외부에 구비된 통신단말기(20)와 연결된 통신유닛(10);
    상기 통신유닛(10)에 연결되며 탑승자(2)가 조작하면 상기 통신유닛(10)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호출스위치(11);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30);
    상기 엘리베이터 카(1)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2)와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수단(40);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1)에 탑승한 탑승자(2)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 양측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바닥면으로부터 1m 상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출력하는 발광수단(51)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 타측에 상기 발광수단(51)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51)에서 출력된 자외선을 수신하는 수광수단(52)을 포함하는 탑승자감지수단(51,52); 및
    상기 마이크(30),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과 상기 하중감지수단(40)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유닛(1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 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하중감지수단(4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정해진 수준 이상으로 급격히 변화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과 상기 하중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감지수단(51,52)에 상기 탑승자(2)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상기 탑승자(2)가 쓰러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볼륨 이상의 음성이 발생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1)의 내부에서 비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단말기(20)로 호출신호를 출력하고, 관리자가 상기 통신단말기(20)에 응답을 하면 비상사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의 전후 일정시간동안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녹음된 음성을 상기 통신단말기(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18533A 2014-09-05 2014-09-05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KR101521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533A KR101521956B1 (ko) 2014-09-05 2014-09-05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533A KR101521956B1 (ko) 2014-09-05 2014-09-05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956B1 true KR101521956B1 (ko) 2015-05-26

Family

ID=5339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533A KR101521956B1 (ko) 2014-09-05 2014-09-05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9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24A (ko) * 2019-04-15 2020-10-23 주식회사 에스원 맞춤형 엘리베이터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CN114455414A (zh) * 2022-01-29 2022-05-10 广东卓梅尼技术股份有限公司 电梯乘客晕倒告警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2519189B1 (ko) * 2022-02-28 2023-04-07 강종용 엘리베이터의 진보된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9287A (ja) * 2002-10-31 2004-05-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
JP2007031105A (ja) * 2005-07-28 2007-02-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乗客異常検出装置
JP2009067501A (ja) * 2007-09-11 2009-04-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4097874A (ja) * 2012-11-15 2014-05-2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乗車検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9287A (ja) * 2002-10-31 2004-05-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
JP2007031105A (ja) * 2005-07-28 2007-02-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乗客異常検出装置
JP2009067501A (ja) * 2007-09-11 2009-04-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4097874A (ja) * 2012-11-15 2014-05-2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乗車検知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24A (ko) * 2019-04-15 2020-10-23 주식회사 에스원 맞춤형 엘리베이터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KR102252618B1 (ko) * 2019-04-15 2021-05-14 주식회사 에스원 맞춤형 엘리베이터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CN114455414A (zh) * 2022-01-29 2022-05-10 广东卓梅尼技术股份有限公司 电梯乘客晕倒告警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4455414B (zh) * 2022-01-29 2024-04-05 广东卓梅尼技术股份有限公司 电梯乘客晕倒告警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2519189B1 (ko) * 2022-02-28 2023-04-07 강종용 엘리베이터의 진보된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247B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JP2004149287A (ja)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
DE112011100355T5 (de) Überwachendes, integriertes, schnurloses Telefon- und Alarmsystem
KR10152195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KR20100056726A (ko)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N104464066A (zh) 一种门禁系统及门禁监控方法
EP3366629A1 (en) Method for detecting trapped passengers in elevator car
KR20160150323A (ko) 센서기반 지능형 비상통화장치 자기
JP491062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10108368A (ja) 無線端末
KR101256345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 시스템
KR101281126B1 (ko) 비상탈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4521B1 (ko)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KR20150127957A (ko)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KR20170133595A (ko) 센서 값을 이용한 승강기 car의 운행 정지층을 학습하여 결정하는 방법
KR20100002104A (ko)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KR20170126821A (ko) 센서기반 지능형 비상통화장치 자기
KR101777396B1 (ko)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장치 및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시스템
KR20100089418A (ko) 음인식 수단을 구비한 승강기 운행시스템
KR20100012093U (ko) 119 화재 알림 장치
AU2010268345B2 (en) Holder for fire extinguisher
KR101805355B1 (ko) 생활안전을 위한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WO2004079687A1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車両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設定方法
JP200810080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80064762A (ko)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비명 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