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863B1 - 암치료에서의 항-cd151 항체의 사용 - Google Patents

암치료에서의 항-cd151 항체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863B1
KR101521863B1 KR1020097010125A KR20097010125A KR101521863B1 KR 101521863 B1 KR101521863 B1 KR 101521863B1 KR 1020097010125 A KR1020097010125 A KR 1020097010125A KR 20097010125 A KR20097010125 A KR 20097010125A KR 101521863 B1 KR101521863 B1 KR 101521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cancer
seq
cdr
anti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219A (ko
Inventor
쟝-프랑수와 아외
릴리안느 괴츠
Original Assignee
삐에르 화브르 메디까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663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186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삐에르 화브르 메디까멩 filed Critical 삐에르 화브르 메디까멩
Publication of KR2009006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9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4Identification of a linear epitope shorter than 20 amino acid residues or of a conformational epitope defined by amino acid resid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151 단백질과 결합하여 암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을 암 치료용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CD151 단백질과 결합 및/또는 원발암의 발병 저해 및/또는 암의 전이-촉진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며, 상기 항체는 TS151 및/또는 TS151r로 구성되는 것인 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D151 단백질, 항체, 암 치료, 원발암, TS151, TS151r

Description

암치료에서의 항-CD151 항체의 사용{USE OF AN ANTI-CD151 ANTIBODY IN THE TREATMENT OF CANCER}
본 발명은 암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항-CD151 항체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체는 특히 쥐 기원(murine origin)의 키메라 및 인간화 단클론 항체이다. 특정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이 항체들,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을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항체를 예를 들면 항암제 및/또는 항체와 같이 조합하여, 또는 톡신과 콘쥬게이트하여 포함하는 제품 및/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들을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는 것이 관한 것이다.
PETA-3 또는 SFA-1로도 지칭되는 CD151는 테트라스파닌 패밀리에 속하는 막 단백질이다(Boucheix and Rubinstein, 2001, Cell Mol. Life Sci. 58, 1189-1205; Hemler, 2001, J. Cell Biol. 155, 1103-1107). 인간에서 CD151는 253 아미노산을 가지며, 4개의 막 단편 및 세포외 루프로도 지칭되는 2개의 세포외 도메인 EC1 (18 아미노산, 서열 [40-57]) 및 EC2 (109 아미노산, 서열[113-221])을 포함한다.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서는 지금까지 두개의 변이체 CD151가 동정되었으며, 즉 395 및 409 위치에 각각 뉴클레오타이드 A 및 C를 갖는 변이체(서열번호: 1) [Fitter et al., 1995, Blood 86(4), 1348-1355] 및 상기 동일한 위치에 뉴클레오타이드 A 및 C 대신 뉴클레오타이드 G 및 T를 갖는 변이체[Hasegawa et al., 1996, J. Virol. 70(5), 3258-3263]이다. 결과적으로 펩타이드 서열에서 돌연변이 즉 각각 132 및 137 위치에서의 잔기 K (Lys) 및 P (Pro)가 잔기 R (Arg) 및 S (Ser)로 돌연변이된 것이 관찰된다 [Fitter et al., 1995, Blood 86(4), 1348-1355 / Hasegawa et al., 1996, J. Virol. 70(5), 3258-3263].
CD151는 수많은 암, 예를 들면 폐 [Tokuhara et al., 2001, Clin. Cancer Res. 7, 4109-4114], 결장 [Hashida et al., 2003, Br. J. Cancer 89, 158-167], 전립선 [Ang et al., 2004,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3, 1717-1721] 또는 췌장 [Gesierich et al., 2005, Clin. Cancer Res. 11, 2840-2852]에서 과발현된다.
CD151를 발현하지 않는 녹-아웃 마우스와, 다양한 세포 타입에서 생체외 CD151의 기능 및 발현을 차단하기 위해 항-CD151 항체 및 siRNA를 사용함으로써, CD151가 세포 부착(Nishiuchi et al., 2005, Proc. Natl. Acad. Sci. USA 102, 1939-1944; Winterwood et al., 2006, Mol. Biol. Cell 17, 2707-2721), 세포 운동성 (Kohno et al., 2002, Int. J. Cancer 97, 336-343), 세포 이동 (Yauch et al., 1998, Mol. Biol. Cell 9, 2751-2765; Testa et al., 1999, Cancer Res. 59, 3812-3820; Penas et al., 2000, J. Invest. Dermatol. 114, 1126-1135; Klosek et al., 2005,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6, 408-416), 세포 침범 (Kohno et al., 2002, Int. J. Cancer 97, 336-343; Shiomi et al., 2005, Lab. Invest. 85, 1489-1506; Hong et al., 2006, J. Biol. Chem. 281, 24279-24292) 및 혈관형성(Yanez-Mo et al., 1998, J. Cell Biol. 141, 791-804; Sincock et al., 1999, J. Cell Sci. 112, 833-844; Takeda et al., 2006, Blood)과 같은 암과 관련된 수많은 현상에 관여함이 밝혀졌다.
테트라스파닌의 두드러진 성질 중 하나는 스스로 간에 또는 수많은 다른 표면 분자와 연합을 형성하여 구조화된 매크로분자 복합체를 형성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복합체 중에서 각 테트라스파닌은 하나 이상의 표면 분자와 특이적으로 연합하여 테트라스파닌 및 파트너 분자로 구성되는 1차 복합체를 형성한다. 테트라스파닌은 혈장 단백질의 특정 미세도메인을 조직화할 수 있으며, 이 미세도메인으로부터 기능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파트너 분자를 수집한다. 테트라스파닌과 관련된 이러한 상호작용들은 "테트라스파닌의 네트워크" 또는 "테트라스파닌 웹"으로도 지칭된다.
CD151는 세포 표면에서 다양한 막 단백질과 상호작용한다. 라미닌 수용체 인테그린, 더욱 특이하게는 바람직한 리간드가 라미닌 5인 인테그린 α3β1 또는 α6β4과 함께 특히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저항적인 매우 안정한 복합체가 동정되었다(Yauch et al., 1998, Mol. Biol. Cell 9, 2751-2765; Lammerding et al., 2003, Proc. Natl. Acad. Sci USA 100, 7616-7621). 이러한 연합은 CD151의 세포외 도메인과 인테그린과 관련된다. CD151의 서열 QRD [194-196]은 EC2 루프에 위치하는데, 이 부위의 돌연변이는 특정 인테그린과의 상호작용이 소실되게 하기 때문에 상기 연합에서 매우 중요하다(Kazarov et al., 2002, J. Cell Biol. 158, 1299-1309). 기능적 삼원 복합체 CD151/인테그린 α6β4/c-Met (HGF 수용체)는 더욱이 암세포에서 동정되었다 (Klosek et al., 2005,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6, 408-416). 간섭 RNA를 사용한 세포 치료 결과로서 CD151 발현 억제는 HGF에 의한 세포 성장 및 이동의 저해를 초래한다.
테트라스파닌 네트워크 형성에 필수적인 특정 세포내 CD151과 다른 테트라스파닌 간의 상호작용은 막 및 CD 151의 세포질 영역에 의존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EC2 루프의 결실이 다른 테트라스파닌과의 CD 151 연합을 붕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Berditchevski, 2001, J. Cell Sci. 114, 4143-4151).
CD151는 다양한 시그널 경로, 예를 들면 PI4-키나제와의 연합을 통한 포스포이노시타이드 경로 (Yauch et al., 1998, Mol. Biol. Cell 9, 2751-2765), FAK, Src, p38-MAPK 및 JNK의 인산화를 통한 c-Jun 시그널 경로(Hong et al., 2006), PKC에 의한 인테그린의 인산화 (Zhang et al., 2001, J. Biol. Chem. 276, 25005-25013) 및 Rho 패밀리의 GTP아제 활성화(Shigeta et al., 2003, J. Cell Biol. 163, 165-176) 등을 조절하여 세포 부착, 이동 및 침범 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
세포간의 특이항체 타입(homophillic type)의 상호작용은 또한 세포 운동성의 증가 및 금속단백분해효소 MMP-9 발현 증가(Hong et al., 2006)를 일으킨다. 세포간 CD151-CD151 상호작용은 FAK, Src, p38-MAPK 및 JNK의 인산화를 경유하여 c-Jun을 활성화시킨다.
CD151 단백질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단지 하나의 치료 목적의 항체, 즉 단클론 항체 50-6가 생성되었다.
CD151에 대한 단클론항체 50-6 (IgG1 이소형)은 마우스를 인간 편평세포암종 HEp-3 세포로 감산적 면역화(subtractive immunization)하여 생성되었다 (Testa et al., 1999, Cancer Res. 59, 3812-3820).
50-6 항체는 생체외에서 CD151를 과발현하도록 트랜스팩션된 인간 자궁암HeLa 세포 및 HEp-3 세포의 이동을 저해하고, bFGF (기초 피브로블라스트 성장인자)에 의해 유발된 코리오-알란토 막 혈관신생 모델에서 혈관형성을 저해할 수 있다. 생체내에서 상기 항체는 2개의 치킨 배아 모델에서 HEp-3 세포 접종에 의해 유발된 전이를 저해한다(Testa et al., 1999, Cancer Res. 59, 3812-3820). 이러한 모델들에서 50-6 항체의 저해 활성은 폐 추출물내에서의 huPA (인간 유로키나제-타입 프라즈미노겐 활성자) 단백질 활성을 측정하여 결정된다. 저자에 따르면 이 시험은 폐에서의 인간 세포의 존재를 반영한다. 시험후, 50-6 항체에 의해 유발된 전이 감소(HEp-3 세포의 치킨 배아 폐로의 파종)을 대조 항체와 비교하여 측정시, 소위 "자발적 전이" 모델 즉 세포 접종후 항체가 주사되는 모델에서는 74%로 측정되었으며, 소위 "실험적 전이" 모델 즉 세포 및 항체가 함께 접종되는 경우 57%로 측정되었다. 저자에 따르면, 상기 항체는 HEp-3 세포의 생체외 증식에 대해서는 어떠한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생체내에서 관찰된 50-6 항체의 항암 특성은 세포정지 또는 세포독성효과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50-6 항체를 생성하는 하이브리도마는 ATCC에서 참조 CRL-2696로 입수가능하다 (참조 50-6 [PTA-227]로 초기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일반적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CD151 단백질과 결합하여 암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을 암 치료용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수개의 실험적 연구는 테트라스파닌이 전이 억제자로 또는 촉진자로 작용함으로써 전이 형성에서의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CD9, CD63 또는 CD82와 같은 테트라스파닌의 트랜스팩션(transfection)은 암 세포주의 전이 잠재력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테트라스파닌 CD151 및 Co-029의 발현은 정반대의 효과를 낳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들 2개의 테트라스파닌은 따라서 전이 촉진자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임상 연구와 일치되는데, 상기 연구들은 수많은 암(유방, 폐, 식도, 위, 간, 췌장, 결장, 전립선, 멜라노마 등)에서, CD9 및 CD82는 전이가 있는 원발암(primary tumour)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고 이들 발현의 감소는 낮은 생존율의 예측자임을 보여주었다. 폐암에서 CD9 및 CD82 모두가 감소하는 것은 이들 두 항원 중 오직 하나가 그 발현이 감소된 경우보다 훨씬 전이 가능성이 높다.
많은 배후 연구들은 CD151의 과발현이 폐, 결장 및 전립선암과 같은 특정 암의 심각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낮은 예후 인자로 간주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Tokuhara et al., 2001, Clin. Cancer Res. 7, 4109-4114; Hashida et al., 2003, Br. J. Cancer 89, 158-167; Ang et al., 2004,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3, 1717-1721). 이들 경우에서, 실제 CD151을 발현하지 않는 암을 앓고 있는 환자에 비해 CD151를 발현하는 암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평균 생존율이 감소되었다.
상응하는 유전자의 트랜스팩션에 의해 유발된 다양한 인간 암 세포주(HeLa, RPMI14788, A172, HT1080)에서의 CD151의 과발현은 트랜스팩션된 세포의 운동성 및 이동, 및 이들에 의한 침범의 증가를 유발한다(Testa et al., 1999, Cancer Res. 59, 3812-3820; Kohno et al., 2002, Int. J. Cancer 97, 336-343). 이러한 현상은 항-CD151 항체의 존재에 의해 저해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체의 기능적 단편은 예를 들면 Fv, scFv (sc는 단일 사슬을 의미한다), Fab, F(ab')2, Fab' 또는 scFv-Fc 단편 또는 이체(diabodies)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첨가("페그화")와 같은 화학적 변경에 의해 반감기가 늘어난 단편(페그화된 단편은 Fv-PEG, scFv-PEG, Fab-PEG, F(ab')2-PEG 또는 Fab'-PEG)로 지칭됨) ("페그"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에서 온 것임), 또는 리포좀, 마이크로스피어 또는 PLGA내 봉입함으로써 반감기가 연장된 단편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편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유래된 항체의 활성을 최소한 부분적으로라도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적 단편은 이들이 유래된 항체의 가변 중쇄 또는 경쇄의 부분 서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 서열은 이들이 유래된 항체와 동일한 결합 특이성을 충분히 보유하며, 적합한 친화성,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유래된 항체 친화성의 1/1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의 친화성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적 단편은 이들이 유래된 항체의 서열에서 최소한 5개의 연속적인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10, 15, 25, 50 또는 100개의 연속적인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들 기능적 단편은 일반적으로 그 수득원인 항체와 동일한 고정 특이성을 갖는 Fv, scFv, Fab, F(ab')2, F(ab'), scFv-Fc 타입의 단편 또는 이체이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수득된 항체와 동일한 고정 특이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단편은 펩신 또는 파파인과 같은 효소를 사용한 소화 및/또는 화학적 환원에 의한 이황화 가교의 분리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전술한 항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항체 단편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유전 재조합 기술 또는 예를 들면 어플라이드사에 의해 공급되는 것과 같은 자동 펩타이드 합성기를 사용한 펩티드 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되는 항체는 쥐 단클론 항체(murine monoclonal antibody)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는 또한 키메라 또는 인간화 항체를 포함한다.
키메라 항체(chimeric antibody)는 주어진 종의 항체에서 유래되는 자연 가변(경쇄 및 중쇄)영역과 상기 주어진 종에 대해 이종의 종에서 유래되는 항체의 불변 경쇄 및 중쇄 영역을 함께 함유하는 항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키메라-형태 항체 또는 이들의 단편은 유전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메라 항체는 프로모터 및 비-인간,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쥐의 단클론 항체의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서열 및 인간 항체의 불변 영역을 코딩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를 클로닝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조합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본 발명의 키메라 항체는, 예를 들면 마우스-인간 키메라일 수 있으며, 이 항체의 특이성은 쥐 DNA에서 유래되는 가변 영역에 의해 결정되며, 그 이소형은 인간 DAN 유래 고정 영역에 의해 결정된다. 키메라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문헌 Verhoeyn et al. (BioEssays, 8:74, 1988)등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 기원의 항체에서 유래되는 CDR영역을 함유하고, 항체 분자의 다른 부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항체/항체들에서 유래되는 항체를 지칭한다. 또한 골격 세그먼트의 특정 잔기(FR로 지칭)를 변경하여 결합 친화성을 보존할 수 있다(Jones et al., Nature, 321:522-525, 1986; Verhoeyen et al., Science, 239:1534-1536, 1988; Riechmann et al., Nature, 332:323-327, 1988).
인간화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잘 알려져 있는 기술로 제조될 수 있다 (예, 문헌 Singer et al., J. Immun. 150:2844-2857, 1992; Mountain et al., Biotechnol. Genet. Eng. Rev., 10:1-142, 1992; or Bebbington et al., Bio/Technology, 10:169-175, 1992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들). 이러한 인간화 항체는 생체 내 예방 및/또는 치료적 치료 방법에 사용되기에 바람직하다. 다른 인간화 기술 또한 본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PDL에 의해 기술된 "CDR 이식" 기술을 들 수 있고, 이는 특허 EP 0 451 261, EP 0 682 040, EP 0 939 127, EP 0 566 647 또는 US 5,530,101, US 6,180,370, US 5,585,089 및 US 5,693,761의 특허내용이다. 특허 US 5,639,641 또는 6,054,297, 5,886,152 및 5,877,293에도 기술되어 있다.
놀랍게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의 예측에 상반되게, 본 발명은 암 세포의 증식 억제 및 원발암의 발병(developement)을 저해할 수 있는 전술한 항-CD151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의 용도를, 이들의 혈관 생성의 억제능 및/또는 전이 형성의 억제능과 독립하여 처음으로 개시한다.
본 출원에 개시된 항체는 매우 초기 단계에서 암의 발병을 저해하는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항체의 항암 활성은 CD151에 대한 항체에 대해 새롭고 예기치 못한 성질을 구성하는데, 지금까지 개시된 어떠한 항-CD151 항체도 이러한 형태의 활성을 갖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체는 전술된 항체, 특히 50-6 항체와 비교시 상이하고 부가적인 성질을 갖는 것이며, 이러한 항체의 항암성질이 암세포 증식에 대한 효과에서 기인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CD151 및 원발암의 발병과의 연결, 또는 실제 생체내 암 세포의 증식에 대해 최초의 논증을 구성한다. 지금까지 단지 CD151의 전-전이(pro-metastatic) 및 전-혈관생성(pro-angiogenic) 활성 만이 실제 개시되었다.
기관 또는 조직 세포의 무질서한 증식은 암의 제1 단계 중 하나를 구성한다. 암 세포는 관련된 기관 또는 조직내의 정상 세포의 성장 구속에 더 이상 종속되지 않는다. 암 세포는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한다; 그리고 암 세포는 성장 및 혈관 형성 인자의 영향 아래서 과잉 증식한다.
주요한 일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의 원발암의 발병 및 암 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별하게 본 발명은 CD151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을 원발암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의약품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인은 어떠한 이론에 구속받음 없이, 항-CD151 항체를 암 치료의 맥락에서 사용하는 것은 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사실에 기인되는 것 뿐 아니라 CD151의 전이-촉진 활성을 저해하는 사실에서 기인되는 것에서 매우 가치있는 것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의 CD151 단백질의 암 세포내에서의 전이-촉진 활성을 억제하는 용도를 기술한다.
특히 본 출원인은 이러한 저해가 전이 관정의 다양한 단계, 특히 세포 부착, 세포 이동 및/또는 세포 침투를 저해하는 형태로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상기 촉진 활성, 특히 암의 파급 및 전이 과정의 전형적 단계는 아래와 같다:
1/ 원발암 세포에 의한 밑의 조직에 대한 침투 단계로서, 라미닌, 콜라겐 또는 피브로넥틴과 같은 구조 단백질로 구성된 세포외 매트릭스 및 기저막을 단백분해 효소(금속단백분해효소)가 분해하는 과정을 요구한다,
2/ 암세포가 조직을 통과하여 혈류로 이동하는 단계,
3/ 혈관벽에 부착하고 기관에서 멈추는 단계,
4/ 혈관에서 빠져나와 (새로운 침투단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단계(증식 및 혈관형성).
세포 이동은 배아 발전 단계에서 필수적이다. 세포 이동은 성인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지만, 림포사이트, 마크로파지 및 피브로블라스트와 같은 타입의 세포는 성인에서도 면역반응, 염증 및 상처 치유 동안 끊임없이 움직여 항상성을 유지시킨다. 그러나 병리학적 수준에서 암세포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암이 전이 단계로 전진하도록 한다. 특정 수의 화학주성인자가 이러한 이동에 관련되며, 이 인자들은 암세포 또는 숙주에서 유래한다. 이들 인자들로서 성장인자(특히 혈관형성을 자극하는 인자), 콜라겐 분해 펩티드, 라미닌 및 피브로넥틴과 같은 부착 단백질을 들 수 있다.
특정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암세포의 세포 이동을 저해하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침범(Invasion)은 암의 악성을 나타내는 주요한 징후로서, 원래자리에서 벗어나 이웃하거나 먼 위치의 조직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침범 특성은 세포가 통상적인 성질을 잃었다는 반증이다: 통상적으로는 대부분의 조직 세포는 데스모좀이라고 지칭되는 구조에 의해 부착성 분자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상피에서 이들은 깊이 면에서 제한시키는 기저막에 부착된다. 암세포는 이러한 통상적인 성질을 잃고 새로운 성질을 획득한다. 이들간의 연결은 느슨해지고 세포는 서로로부터 자유로와진다. 암세포는 원발 부위에서 서로를 분리시키는 운동성을 획득하며 이웃 조직, 때로는 뒤따르는 섬유결합조직에까지 침투한다. 통상적으로 기저막으로 경계되는 상피 및 이로부터 유래되는 암종에 대해, 기저막은 건너야 할 첫번째 장애물이다. 상기 막은 암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효소(프로테아제, 카텝신)에 의해 분해되고 용해된다. 이러한 기저막의 파괴는 종종 백혈구에 의해 통상적으로 분비되며 이들의 일반적인 활성에서 전환된 효소에 의해 더 증강된다. 이러한 모든 생물학적이고 분자적인 세포 행동의 변경은 침범의 조건이 된다.
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암세포에 의한 세포 침범을 저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몸통 세포들은 서로서로 그리고 이들을 둘러싸는 세포외 매트릭스에 부착된다. 세포 부착은 세포의 생존, 증식 또는 분화와 같은 대부분의 생리적인 세포 현상 및 암 및 전이 현상과 같은 다양한 병리적 상황에 관여하는 보편적인 기전이다. 카드헤린 또는 인테그린과 같은 다양한 세포 표면 단백질이 세포 부착에 관여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주로 세포 부착의 저해에 기초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암세포의 세포 부착을 저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CD151 단백질은 테트라스파닌 패밀리에 속하며, 따라서 세포외 루프로 지칭되는 2개의 세포외 도메인 EC1 (18 아미노산, 서열 [40-57]) 및EC2 (109 아미노산, 서열 [113-221])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항체는 세포외 도메인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체는 EC1 및/또는 EC2 루프에 고정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은 각각 CD151 단백질의 아미노산 40-57 (서열번호: 6) 및 113-221 (서열번호: 4)에 해당하는 세포외 루프 1(EC1) 및/또는 2 (EC2), 바람직하게 EC2에 포함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의 용도를 기술한다.
EC1 루프 [40-57]는 18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이론적 중량은 2002.2 Da이다.
EC2 루프 [113-221]는 N-글리코실레이션 부위(잔기 Asn159) 및 3개의 디설파이드 가교를 형성하는 6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갖는다. 테트라스파닌, 특히 CD151의 EC2루프의 구조모델이 테트라스파닌 CD81의 EC2 루프의 3차원 구조에 기초하여 제안되었다(Seigneuret et al., 2001, J. Biol. Chem. 276, 40055-40064). 이 모델에 따르면 테트라스파닌은 3α 헬릭스로 구성되는 공통의 비교적 보존적인 스캐폴드 및 특정 가변 도메인을 갖는다. CD151의 경우 스캐폴드는 영역 [113-157] 및 [209-221]로 구성되며, 가변 도메인은 영역 [158-208]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EC2 루프의 가변 도메인은 특히 CD151과 인테그린 패밀리 단백질과의 특이적 상호작용에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도 돌연변이 (directed mutation) 실험은 특히 영역 [193-208], 더욱 정확하게는 트리펩티드 QRD [194-196] 및 192 위치의 시스테인 잔기가, 인테그린 α3β1 또는 α6β4 와 같은 특정 라미닌 수용체 인테그린과 CD151의 연합에서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었다(Kazarov et al., 2002, J. Cell Biol. 158, 1299-1309).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각각 CD 151 단백질의 위치 194, 195 및 196(QRD 194-196)에서 적어도 아미노산 글루타민, 아르기닌 및 아스파르트산을 최소한 포함하는 EC2 영역의 에피토프와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단클론항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단클론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종의 항체 집단에서 유도된 항체를 지칭한다. 특히 집단내 각 항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최소량으로 존재하는 가능한 소수의 돌연변이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단클론항체는 오직 하나의 세포 클론(예, 히브리도마, 동종 항체를 코딩하는 DNA 분자로 트랜스팩션된 진핵 숙주 세포, 동종 항체를 코딩하는 DNA 분자로 트랜스팩션된 원핵 숙주 세포 등)의 증식에서 결과되는 동종 항체로 구성되며, 통상 하나의 동일한 클래스 및 서브클래스의 중쇄 및 오직 한 형태의 경쇄를 갖는 특징이 있다. 단클론 항체는 매우 특이적이며 단일 항원에 관련된다. 또한 통상 상이한 결정자 또는 에피토프에 관련된 상이한 항체를 포함하는 다클론 항체와 달리, 각 단클론항체는 항원의 단일 에피토프에 관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단클론 항체는 항체 TS151 및 TS151r 중에서 선택된다. 하기에서 TS151r 및 TS151R의 표현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따라서 항체 TS151 및/또는 TS151r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의 용도를 개시한다.
특히, TS151 항체는 최소한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 3개의 중쇄 CDR 즉 각각 서열번호: 7, 8 및 9에 해당하는 CDR-H1, CDR-H2, CDR-H3; 및
- 3개의 경쇄 CDR 즉 각각 서열번호: 11, 12 및 13에 해당하는 CDR-L1, CDR-L2 및 CDR-L3.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항체 TS151는 서열번호: 10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4을 포함하는 경쇄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요소를 요약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항체 경쇄 중쇄 서열번호



TS151


CDR-H1 7
CDR-H2 8
CDR-H3 9
CDR-L1 11
CDR-L2 12
CDR-L3 13
완전(가변 도메인) 10
완전(가변 도메인) 14
항체 TS151r는 최소한 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 3개의 중쇄 CDR 즉 각각 서열번호: 15, 16 및 17에 해당하는 CDR-H1, CDR-H2, CDR-H3; 및
- 3개의 경쇄 CDR 즉 각각 서열번호: 19, 20 및 21에 해당하는 CDR-L1, CDR-L2 및 CDR-L3.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항체 TS151r는 서열번호: 18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22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요소를 요약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항체 경쇄 중쇄 서열번호



TS151r


CDR-H1 15
CDR-H2 16
CDR-H3 17
CDR-L1 19
CDR-L2 20
CDR-L3 21
완전(가변 도메인) 18
완전(가변 도메인) 22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항체 TS151 및 TS151r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요약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항체 경쇄 중쇄 서열번호




TS151

CDR-H1 23
CDR-H2 24
CDR-H3 25
CDR-L1 27
CDR-L2 28
CDR-L3 29
완전(가변 도메인) 26
완전(가변 도메인) 30




TS151r
CDR-H1 31
CDR-H2 32
CDR-H3 33
CDR-L1 35
CDR-L2 36
CDR-L3 37
완전(가변 도메인) 34
완전(가변 도메인) 38
상기 항체를 생성하는 자세한 방법은 실시예 1에 개시하였다. 이들 두 항체는 상이한 에피토프에 대한 것으로, TS151은 인테그린과 연합해 있거나 세포 표면에서 자유롭건 간에 CD151를 인식하는 반면(Chometon et al., 2006, Exp. Cell Res. 312, 983-995), TS151r는 CD151-인테그린 복합체는 인식하지 않는다(Serru et al., 1999, Biochem. J. 340, 103-111; Geary et al., 2001, Tissue Antigens 58, 141-153; Kazarov et al., 2002, J. Cell Biol. 158, 1299-1309; Sterk et al., 2002, J. Cell Sci. 115, 1161-1173). TS151r에 의해 인식되는 에피토프는 EC2 루프에 위치하며 잔기 Q194, R195 및 D196을 포함한다(Kazarov et al., 2002, J. Cell Biol. 158, 1299-1309). 이 항체는 따라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인테그린과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CD151 상의 부위에 관한 것이다. C192 잔기 또한 TS151r에 의한 CD151인식에 관여한다(Kazarov et al., 2002, J. Cell Biol. 158, 1299-1309). TS151 항체의 에피토프는 TS151r의 에피토프와 상이하지만 아직 정확하게 결정되지 않았다.
인간 케라티노사이트(상피 세포주 HaCaT)를 TS151r 항체로 치료하면 세포-세포 접촉의 소실, 세포뼈대의 재배열, 인테그린 α6β4의 새포내 재분포 및 라미닌 1에의 세포이동의 증가가 유발된다(Chometon et al., 2006, Exp. Cell Res. 312, 983-995).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항체는 항체 TS151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암 치료 맥락에서 항-CD151 항체의 사용은 특히 동일한 CD151 수용체를 과발현하는 암에서 유용하다.
이러한 암으로 결장암 [Hashida et al., Br. J. Cancer 89 (2003):158-167], 폐암, 바람직하게 비소세포폐암 [Tokuhara et al., Clin. Cancer Res. 7 (2001):4109-4114], 전립선암 [Ang et al., Cancer Epidemiol. Biomarkers 13 (2004):17] 및 췌장암 [Gesierich et al., Clin. Cancer Res. 11 [2005):2840-2852]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암 치료에 항체를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암은 바람직하게 결장암, 폐암, 전립선암 또는 췌장암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체로 구성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 화합물 중 하나 또는 기능적 단편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바람직하게 부형제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2차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예를 들면 활성 화합물의 투여를 촉진시키거나 체내에서의 수명 및/또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용액내 용해도를 증가시키거나 저장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본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으며, 선택된 활성 화합물의 성질 및 투여 모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 화합물은 전신 경로, 특히 정맥 경로, 근육내, 피부내, 복강내, 또는 피하 경로, 또는 경구 경로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시간차를 두어 복수회로 투여된다.
적정 투여 모드, 용량 계획 및 제형은 예를 들면 환자의 나이나 체중, 일반적인 상태의 심각성, 치료에 대한 내성 및 수립된 2차 효과 등에 따라 환자마다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고려되어야 하는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활성 성분으로서 CD151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활성 성분으로서 CD151 단백질과 결합하고 및/또는 그 전이-촉진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활성 성분으로서 원발암의 발병를 저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체는 TS151 항체 또는 TS151r 항체에서 선택되는 단클론 항체인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항체 TS151 및 TS151r의 조합,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에 의하면 CD151 단백질은 암, 특히 결장암 [Hashida et al., Br. J. Cancer 89 (2003): 158-167], 비소세포 폐암 [Tokuhara et al., Clin. Cancer Res. 7 (2001): 4109-4114], 전립선암 [Ang et al., Cancer Epidemiol. Biomarkers 13 (2004): 1717-1721] 및 췌장암 [Gesierich et al., Clin. Cancer Res. 11 (2005): 2840-2852]에서 과발현된다.
물론 상기 목록은 오로지 예시의 목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CD151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암이면 어떤 암이든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보충적 실시형태는 동시, 개별적 또는 시간 차(time-staggered)를 두고 사용하기 위한 세포독성제/세포증식억제제 및/또는 단클론항체를 조합 제품으로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시, 개별적 또는 시간 차를 두고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포독성제/세포증식억제제 및/또는 세포 독소 및/또는 방사성원소 및/또는 단클론항체를 조합 제품으로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시 사용(Simultaneous use)"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두 화합물을 하나의 동일한 약학적 형태로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개별적 사용(Separate use)"은 별개의 약학적 형태에 함유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두 화합물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시간차 사용(Time-staggered use)"은 각각 별개의 약학적 형태에 함유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두 화합물을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암 치료의 효능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의 치료적 효능은 세포독성제 투여에 의해 예기치 않게 증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생성되는 다른 중요한 후속적 이점은 활성 성분을 낮은 효과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인데, 이는 2차적 효과, 특히 세포독성제 효과가 나타날 우려를 없애거나 경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대되는 치료학적 효과를 더욱 신속하게 성취할 수 있게 한다.
"항암 치료제" 또는 "세포독성제"는 환자에게 투여되었을 때 암의 치료 또는 암의 발병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약제의 비제한적 예로서 "알킬"화제, 항대사제, 항암 항생제, 유사분열 저해제, 크로마틴 기능 저해제, 항-혈관형성제, 항-에스트로겐제, 항-안드로겐제 또는 면역조절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약제는 예컨대 VIDAL에 언급되어 있으며, 종양학 및 혈액학에 사용되는 화합물에 관한 페이지의 "세포독성제" 칼럼에 언급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에 참조로 언급된 세포독성 화합물은 바람직한 세포독성제로 본 명세서에 언급된다.
"알킬화제"는 세포내 어떠한 분자, 특히 핵산(예, DNA)에 공유결합하거나 알킬화할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알킬화제의 예로는 메토클로에타민, 클로람부실, 메팔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피포브로만, 프레드니뮤스틴디소듐포스페이트 또는 에스트라뮤스틴과 같은 질소머스타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알트레타민, 트로포스파미드, 설포포스파미드 또는 이포스파미드와 같은 옥사조포린; 티오테파, 트리에틸렌아민 또는 알테트라민과 같은 아지리딘 또는 에틸렌-이민; 카무스틴, 스트렙토조신, 포테뮤스틴 또는 로뮤스틴과 같은 니트로소우레아; 부설판, 트레오설판, 또는 임프로설판과 같은 알킬 설포네이트; 다카바진과 같은 트라아젠; 및 시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또는 카보플라틴과 같은 백금 복합체를 들 수 있다.
"항대사제"는 일반적은 DNA 합성과 같은 활성을 저해하여 세포 성장 및/또는 세포 대사를 차단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항대사체의 예로서 메토트렉세이트, 5-플루오로우라실, 플록수리딘, 5-플루오로데옥시우리딘, 카페시타빈, 시타라빈, 플루다라빈,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 6-머캅토푸린(6-MP), 6-티오구아닌(6-TG), 클로로데옥시아데노신, 5-아자시티딘, 젬시타빈, 클라드리빈, 데옥시코포마이신 및 펜토스타틴을 들 수 있다.
"항암 항생제"는 DNA, RNA 및/또는 단백질의 합성을 방지하거나 저해할 수 있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항암 항생제의 예로는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이다루비신, 발루비신, 미톡산트론, 닥티노마이신, 미쓰라마이신, 필카마이신, 미토마이신 C, 블레오마이신 및 프로카바진을 들 수 있다.
"유사분열 저해제"는 세포 주기의 정상적인 진전 및 유사분열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파클라탁셀 및 도세탁셀과 같은 미소관 저해제 또는 "탁소이드"는 유사분열을 저해할 수 있다.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및 비노렐빈과같은 빈카 알칼로이드 또한 유사분열을 저해할 수 있다.
"크로마틴 기능 저해제" 또는 "토포이소머라제 저해제"는 토포이소머라제 I 및 II와 같은 크로마틴 리모델링 단백질의 정상적인 기능을 저해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저해제의 예로는 토포이소머라제 I에 대해서는 캄토테신 및 이리노테칸 또는 토포테칸과 같은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고, 토포이소머라제II에 대해서는 에토포시드, 에티포시드 포스페이트 및 테니포시드를 들 수 있다.
"항-혈관형성제"는 혈관의 성장을 저해하는 약, 화합물, 물질 또는 제품을 지칭한다. 항혈관형성제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라조신, 마리마스타트, 바티마스타트, 프리노마스타트, 타노마스타트, 일로마스타트, CGS-27023A, 할로푸기논, COL-3, 네오바스타트, BMS-275291, 탈리도마이드, CDC 501, DMXAA, L-651582, 스콸라민, 엔도스타틴, SU5416, SU6668, 인터페론-알파, EMD121974, 인터루킨-12, IM862, 안지오스타틴 및 비탁신을 들 수 있다.
"항에스트로겐" 또는 "항에스트로겐제"는 에스트로겐의 작용을 경감시키거나, 길항하거나 저해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제제의 예로는 타목시펜, 토레미펜, 랄로시펜, 드롤록시펜, 아이오도시펜,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및 엑세메스탄을 들 수 있다.
"항안드로겐" 또는 "항안드로겐제"는 안드로겐의 작용을 경감시키거나, 길항하거나 저해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제제의 예로는 플루타미드, 닐루타미드, 비칼루타미드, 스피로노락톤,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피나스테라이드 및 시미티딘을 들 수 있다.
면역조절제는 면역 시스템을 자극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면역조절제의 예로는 인터페론, 알데스루킨, OCT-43, 데니루킨 디플리톡스 또는 인터루킨-2와 같은 인터루킨, 타소너민과 같은 암괴사인자, 또는 렌티난, 시조피란, 로퀴니멕스, 피도티모드, 페가데마즈, 티모펜틴, 폴리I:C,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과 조합한 레바미솔과 같은 다른 형태의 면역조절제들을 포함한다.
더욱 자세한 사항을 위해서 당업자는 "Traite de chimie theapeutique, Vol. 6, Meicaments antitumoraux et perspectives dans le traitement des cancers, ed. TEC & DOC, 2003"로 명명된 프랑스 치료 화학 선생님 협회에 의해 발행된 매뉴얼을 참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단클론 항체는 수용체 IGF-IR, EGFR, HER2/neu, cMET, VEGFR, VEGF 등의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특이적으로 저해하고, 상기 수용체에 의해 촉진된 증식성 및/또는 항-아폽토시스 및/또는 혈관형성 및/또는 전이성 전염-유발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분리된 항체 (또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알려진 기타 다른 항암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 또는 유도체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합 제품의 형태로 된 조성물은 동시 사용을 위해 상기 세포독성제가 항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세포독성/세포증식억제제가 방추체 저해제 또는 안정화제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비노렐빈 및/또는 빈플루닌 및/또는 빈크리스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포독성제와 본 발명에 따른 항체 간의 결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특히 결합될 두 화합물간에 간격자 분자,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렌)글리콜, 또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아미노산 등을 도입하여, 세포독성제 내로 본 발명의 항체와 반응할 수 있는 기능기를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기술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항체 또는 이들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기능적 단편 중 하나 이상이 세포 독소 및/또는 방사성 원소와 콘쥬게이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독소 또는 방사성 원소는 암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암세포를 전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독소는 장내세균 독소, 특히 슈도모나스 외독소 A이다.
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성원소(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바람직하게 항체와 콘쥬게이트되며, 감마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서, 바람직하게 요오드131, 이트륨90, 금199, 팔라듐100, 구리67, 비스무스217 및 안티몬211이다. 베타선 및 알파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또한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항체 또는 이들의 기능적 단편과 콘쥬게이트되는 독소 또는 방사성 원소는 상기 독소 또는 방사성원소를 상기 하나 이상의 항체에 연결 분자를 도입하거나 도입없이 두 화합물이 특히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것을 지칭한다.
콘쥬게이트의 모든 또는 일부 원소를 화학적(공유적), 정전기적 또는 비공유적으로 연결시키는 물질은 특히 벤조퀴논, 카보디이미드 및 , 특히 ED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말레이미드, 디티오비스-니트로벤조산 (DTNB), N-숙신이미딜 S-아세틸 티오아세테이트 (SATA), 하나 이상의 페닐아지드기와 자외선(UV)과 반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를 갖는 "가교"제로 지칭되는 물질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N-[-4-(아지도살리실아미노)부틸]-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온아미드 (APDP), N-숙신이미딜 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 (SPDP) 및 6-히드라지노-니코틴아미드 (HYNIC)이다.
특히 방사성 원소에 대한 다른 결합 형태는 2기능 이온 킬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킬레이트는 금속, 특히 방사성활성 금속 및 면역글로불린과 결합하기 위해 개발된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DTPA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를 들 수 있다. DTPA 및 이들의 유도체는 리간드-금속 복합체의 안정성 및 강도를 증강시키기 위해 탄소 사슬상에서 상이한 기로 치환될 수 있다 (Krejcarek et al. (1977); Brechbiel et al. (1991); Gansow (1991); US patent 4 831 175).
예를 들면 DTPA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및 이들의 유도체는 의학 및 생물학에서 자유형태 또는 금속 이온과의 복합체 형태로 광범위하게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는데, 금속 이온과 안정한 킬레이트를 형성하고 암 치료에서 방사성면역콘쥬게이트의 개발을 위한 항체와 같은 치료적 또는 진단적 관심의 단백질에 결합하는 주목할 만한 특성을 갖는다(Meases et al., (1984); Gansow et al. (1990)).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조성물을 암 치료용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결장암, 폐암, 전립선암 또는 췌장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혁신적이고 유용한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술한 조성물을 원발암 치료용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CD151 수용체를 발현하거나 과발현하는 세포에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을 특이적으로 표적화하는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세포의 활성 특히 세포의 성장, 증식 또는 유전자의 전사 또는 번역을 변경하거나 특히 저해할 수 있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이 실시예 및 도면으로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CD151 단백질의 뉴클레오티드 및 단백질 서열이며, 이 서열상에 EC1 및 EC2 루프 해당 부분을 표시하였다.
도 2는 CD151 단백질이 속한 테트라스파닌 구조와 특히 두개의 세포외 루프 EC1 및 EC2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A549 정위 모델에서, PBS / 대조 항체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정위 모델에서 TS151 항체의 생체 내 항암 활성을 평가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1 x 106 A549 세포를 흉막강내 주사에 의해 면역억제 마우스( n=10)에 이식하고, 7일 후 상기 마우스에 복강 경로로 TS151 항체를 챌린지 용량 500㎍을 처치하고 마우스당 250㎍의 항체를 1주에 2번씩 5주간 처치하였다. 대조군은 동일 투여 계획에 따라 PBS를 주사하였다.
도 5는 전립선암 환자에서의 CD151 분자의 발현을 나타낸 것이다. 각 문자는 한 환자에서의 연구에 해당하고, 각 환자에 대해 상부 패널은 암조직에 인접하는 정상 조직을 나타낸 것이고, 하부 패널은 암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폐암 환자에서의 CD151 분자의 발현을 나타낸 것이다. 각 문자는 한 환자에서의 연구에 해당하고, 각 환자에 대해 상부 패널은 암조직에 인접하는 정상 조직을 나타낸 것이고, 하부 패널은 암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PC3 이종이식 모델에서 TS151 및 TS151R 항체의 생체내 활성을 나타 낸 것으로, PC3 세포를 피하 경로로 스위스 누드 마우스(n=6)에 이식하고 5일 후 복강으로 시험 항체 2 mg/마우스의 챌린지 용량을 투여하고 후속하여 상기 항체를 1 mg/마우스의 용량으로 1주에 2번 투여하였다. 암 부피는 식 π/6 x 길이 x 너비 x 두께로 계산하고, 만 및 휘트니 테스트를 수행하여 상기 결과를 통계적으로 평가하였다.
도 8은 웨스턴 블롯법에 의한 CD151 인간형에 대한 TS151 및 TS151r 항체의 특이성을 평가한 것이다.
도 9는 라미닌 5 상에서 A549 세포의 부착 저해를 도시한 것으로, 9a는 상이한 항-인테그린 항체에 의한 세포 부착 저해를 나타낸 것이고, 9b는 TS151/항-인테그린 α3 항체 조합에 의한 세포 부착 저해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 TS151r 및 TS151 항체의 생성
TS151r 항체의 생성
TS151r 항체를 생성하기 위하여, 107 HeLa 세포를 복강루트로 투여하여 BALB/c 마우스를 면역하였다. 3회의 면역과 최종 부스터 주사후, Kohler 및 Milstein에서 기술된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P3X63AG8 골수종 세포에 융합하였다(5x107 비장세포/3x107 골수종 세포). 융합으로 생성되는 히브리도마 상등액을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HeLa 세포 인식능, 계면활성제 Brij 97 존재하 제조된 HeLa 세포 용해물에서 얻은 CD151 면역침전능 및 CD9를 공-면역침전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스크리닝하였다. TS151r 항체는 이러한 다양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TS151 항체 생성
TS151 항체를 생성하기 위하여 107 저캇세포(Jurkat cell) 및 이후 107 HEL 세포(2회 면역)를 복강루트로 투여하여 BALB/c 마우스를 면역하였다. 저캇 및 HEL 세포 용해물에서 수득한 단백질 ADAM10을 함유하는 단백질 복합체를 사용하여 최종 부스터 주사한 후, 비장 세포를 Kohler 및 Milstein에서 기술된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P3X63AG8 골수종 세포에 융합하였다(5x107 비장세포/3x107 골수종 세포). 융합으로 생성되는 히브리도마 상등액을 먼저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저캇 및 HEL 세포에 대한 인식능을 스크리닝하였다. 이후 계면활성제 Brij 97 존재하 제조된 세포 용해물에서 얻은 CD151를 면역침전시키고, 다른 테트라스파닌을 공-면역침전시킬 수 있는 지에 의해 TS151 항체를 선택하였다.
실시예 2 : A549 정위 모델(orthotopic model)에서 TS151 및 TS151r 항체의 항암활성에 대한 생체내 평가
물질 및 방법
ATCC에서 입수한 A549 세포를 CD151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후(데이타 미도시), F12K 매질, 10mM 글루타민, 10% FCS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들은 이식 2일 전 분리하여 성장 지수기에 있도록 하였다. 이식을 위해 7주령 면역억제 마우스를 마취시킨 후 1x106 A549 세포를 복강 경로로 투여하였다. 원발암이 급속히 발생하였고 4일만에 주사부위에 인접하는 종격, 폐, 횡격막을 포함하는 구조체들을 침범하였다. 질병상태를 더욱 잘 모방하기 위해, 복강을 통한 세포 이식후 7일까지는 치료를 개시하지 않았다. 정제 TS151 항체를 500㎍/마우스의 챌린지 용량을 주사한 후, 1주에 2회씩 5주간 동안 250㎍/마우스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PBS 투여군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먼저 수행된 실험을 통해 대조 IgG1 이소형의 투여는 동물의 생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은 예비 데이타에서 수득된 결과로 항-CD151 항체에서 관찰되는 항체 특이성을 보여준다: 이소형 대조로 사용된 쥐 IgG1 (mIgG1)을 동물에 투여한 경우 이들 항체에 대한 담체로 사용된 PBS를 주사한 동물의 생존에 어떠한 영향도 없음을 보여주었다.
이 모델의 평가 파라미터는 동물의 생존율 및 항암 활성이며, 항암활성은 식 T/C% = 처치된 동물의 생존 메디안/대조군 동물의 생존 메디안 X 100으로부터 산출 된다. T/C%가 125% 이상인 경우 산물이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립되었다.
결과
도 4는 TS151 항체의 T/C%가 140%로 산출되며, 항암활성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 A549 정위 모델에서 TS151 및 50-6 항체의 생체내 항암활성의 비교
물질과 방법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결과
수득된 결과로부터 TS151 항체는 50-6 항체에 비해 명백히 높은 항암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50-6 항체는 T/C%가 단지 118에 지나지 않았으며, 이는 임계치 125% 보다 낮은 수치이다 (데이타 미도시).
수득된 결과 즉 전술한 방식으로 산출된 T/C%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TS151 항체 50-6 항체
T/C% 140 118
실시예 4: CD151 분자 발현 연구
면역조직화학법에 의해 전립선암 또는 폐암을 앓고 있는 환자로부터 얻은 인간 조직 샘플에서 CD151 단백질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이들 환자들로부터 암에 인접하는 정상 조직 슬라이드를 수득하여 암조직 대 정상조직에서의 발현 수준을 조정하였다.
이들 실험에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조직 어레이" 타입의 슬라이드를 사용하였다. 파라핀을 제거하고 펩신 포함 효소 용액을 사용하여 30℃에서 항원을 노출하였다(Labvision ref. AP-9007-005). 이후 물내 하이드로겐퍼옥시드(Sigma) 0.3% 용액에 상기 섹션을 인큐베이션하여 내인성 퍼옥시다제를 제거하였다. 이후Ultra-V-Block (Labvision, ref. TA-125-UB)용액으로 비특이적 부위를 포화시키고, 시판 쥐 항-CD151 항체(Serotech, Ref. MCA 1856)를 최종 농도 5 ㎍/ml로 사용하여 라벨링하였다. 쥐 IgG1 이소형 대조 항체(DakoCytomation, Ref. X0931)를 음성 실험 대조로 사용하였다. 엔비젼 듀얼 링크 가시화 시스템 (DakoCytomation, Ref. K4061)으로 라벨링을 가시화하였고, DAB 퍼옥시다제 기질의 참조는 S3309(Dako Cytomation)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전립선암을 보이는 다수의 환자가 CD151 분자를 과발현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과발현은 연구 대상 환자의 20%에서는 매우 심각하거나 (환자 A 및 C), 중등도 정도였다 (환자 A 및 D). 대응하는 정상 전립선 조직은 상피 세포 수준을 제외하고는 CD151을 발현하지 않거나 매우 소량 발현하거나, 발현한 경우라도 선 타입 구조에 제한되는 것으로 보이는 점이 주목된다. 환자 E는 CD151를 발현하지 않는 암의 예를 보여준다.
폐암의 경우(도 6), 중등도 (환자 A) 내지 현저한 (환자 B) 발현이 정상 폐 조직의 특정 세포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암 세포는 매우 높은 밀도의 라벨된 세포들을 나타내었다(환자 A 및 B). 환자 C는 CD151를 발현하지 않는 암의 예를 보여준다.
실시예 5 : 누드 마우스에 피하 이식된 PC3 암의 생체내 성장에 대한 TS151 및 TS151R 항체의 효과
전립선 조직 어레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에 의해 수득한 결과를 바탕으로, PC3 암 이종 이식에 대한 항-CD151 항체 평가 계획을 수립하였다. PC3 세포주는 ATCC로부터 수득한 안드로겐-비의존성 전립선 암 세포주로서, F12K 매질 + 10% FCS + L-글루타민에서 배양하였다. 평가를 위해 스위스 누드 마우스의 우측 옆구리에 5x106 PC3 세포를 이식하였다. 이식 5일 후, 암 부피를 기초로 동물들을 랜덤화한 후 3개의 비교군으로 나누었다. 선택된 이식 동물군의 암 부피는 처치 0일 째 41 내지47 mm3 였다(식 π/6 x 길이 x 너비 x 두께에서 산출된 부피). 이후 정제된 시험 항체 또는 PBS를 동물에 처치하였다. 항체 용량 및 주입 회수는 아래와 같다: 챌린지 항체 용량 2 mg/용량; 유지 용량 1 mg/용량, 1주 당 2회.
그 결과를 도 7에 도시하였으며, 시험된 두 항체(TS151 및 TS151R)는 유사하 게 행동하였으며, 스위스 누드 마우스의 피하 위치에 이식된 PC3 암의 성장을 매우 유의하게 저해하였다.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표 5]
D0 D3 D7 D10 D14 D17 D20 D24 D28 D31 D35
대조
/TS151
만-휘트니 (윌콕손) p=
0.132
p=
0.937
p=
0.065
p=
0.589
p=
0.002
p=
0.002
p=
0.002
p=
0.002
p=
0.002
p=
0.002
p=0.002
대조
/TS151R
만-휘트니 (윌콕손) p=
0.485
p=
0.180
p=
0.180
p=
0.589
p=
0.240
p=
0.026
p=
0.004
p=
0.002
p=
0.002
p=
0.002
p=0.002
병행 연구를 수행하여 도 8에 도시하였으며, 이로부터 TS151 및 S151R 항체가, 쥐 수용체와는 어떠한 교차-반응 없이, 인간 CD151 분자를 특이적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누드 마우스에서 이식 모델에서 관찰된 활성이 전적으로 이종이식된 인간 조직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로 인한 것이고 결과적으로 TS151 및 TSR151R 항체가 암의 간질세포 또는 쥐 상피세포를 저해할 가능성은 전적으로 배제되었다. 또한 TS151 및 TS151R은 둘다 쥐 IgG1 항체이며, 따라서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관찰된 활성이 마우스에서 쥐 IgG2a-타입 항체에 의해 특히 매개되는 ADCC 및 CDC 타입의 효과자의 기능에 기인되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결과는 TS151 및 TS151R 항체에 의한 생체내 암 세포 증식 저해에 직접적으로 기인되는 작용기전과 일치한다.
실시예 6: TS151 및 TS151r 항체의 특이성
TS151 및 TS151r 항체 특이성을 웨스턴 블롯법으로 평가하였다. 인간 및 쥐의 폐, 췌장 및 결장 조직 용해물 (Biochain, 전체 단백질 10 ㎍) 및 상승 용량의 HT-29 세포 용해물들(전체 단백질 10, 20 및 50 ㎍)을 4-12% 아크릴아미드겔(BioRad)상에 위치시켰다. 전기영동후 (비-환원 조건),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스막으로 이동시켰다. 이후 이동막을 정제된 TS151 및 TS151r 항체, 이후 퍼옥시다제 커플링한 래빗 항-마우스 Ig 다클론 항체 (GE Healthcare)로 인큐베이션한 후 ECL-타입 가시화를 수행하였다.
TS151 및 TS151r 항체는 웨스턴 블롯법에 의한 HT-29 세포 용해물 및 인간 기원의 다른 조직 용해물의 CD151에 대한 인식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형 CD151에 대한 특이성을 나타낸다(도 8). 마우스에서 샘플링한 다양한 조직 용해물내 쥐 CD151에 대하여 반응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인간형 CD151에 대한 TS151 및 TS151r 항체의 특이성을 더욱 확인해 준다.
실시예 7: 세포 부착의 저해
CD151가 연합할 수 있는 인테그린 α3β1 및 α6β4의 리간드인 라미닌 5상의 암세포 부착실험은 96-웰 플레이트에서 수행되었다. 라미닌 5 (Chemicon, 1 ㎍/ml 농도 200 ㎕)을 1시간 동안 37℃에서 고정화한 후, 상기 웰을 2 mg/ml 농도의 BSA로 포화하였다 (200 ㎕, 37℃에서 1시간). 현탁액내 A549 세포를 5-클로로메틸플루로세인 디아세테이트(CMFDA, Invitrogen)로 라벨링하고 웰당 100000 세포 (100 ㎕)의 속도로 항체(100 ㎕)존재 또는 비존재하에 가하였다. 37℃에서 15분, 30분 또는 60분간 인큐베이션하고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였다. 루미노미터(Mithras, Berthold)로 화학발광을 판독하여, 부착된 세포 퍼센트를 CMFDA-라벨된 세포 범위에 의해 결정하였다. 항-CD151 항체 TS151 및 항-인테그린 α3 항체 P1B5, 항-α6 항체 NKI-Go3 및 항-β4 항체 ASC-3 (Chemicon)를 최종 농도 20 ㎍/ml에서 평가하였다. 이소형 대조로 대장균 막 단백질에 대한 항체 9G4를 사용하였다.
항-인테그린 α3 항체 P1B5는 라미닌 5에 대한 A549 세포의 부착을 저해하였다 (도 9a). 반면 항-인테그린 α6 항체 NKI-Go3 및 항-인테그린 β4 항체 ASC-3는 상기 동일한 리간드에의 A549세포의 부착을 저해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에 따른 저해능 소실이 발견되었는데, P1B5에 의해 일어난 저해는 15분에는 90% 이상이었으나 1시간 후에는 약 20%로 떨어졌다. 항-인테그린 α6 항체 NKI-Go3 또는 항-인테그린 β4 항체 ASC-3와의 P1B5 항체 연합은 1 시간 후에도 부착 저해가 현저하였으며, 항-α6 항체와의 연합은 90% 이상의 저해를 나타내었고, 항-β4 항체와의 조합에는 약 70%의 저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A549 세포는 laminin 5에 대해 초기에는 인테그린 α3β1에 의해 이후 제2기에는 인테그린 α6β4에 의해 부착함을 보여준다.
TS151 항-CD151 항체는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는 A549 세포가 라미닌 5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았다(도 9b). 이후 A549 세포 부착에 대한 TS151 및 P1B5 조합효과를 평가하고 전술한 조합들과 비교하였다. TS151/P1B5 조합은 항-α6/항-α3 및 항-β4/항-α3 항체 조합과 필적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1시간 후 약 80%의 부착 저해가 유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TS151 항체는 인테그린 α6β4에 대한 길항 효과에 의해 A549 세포의 부착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SEQUENCE LISTING <110> Pierre Fabre Medicament <120> Use of an anti-CD151 antibody in the treatment of cancer <130> IP20091317 <150> FR 06/09135 <151> 2006-10-18 <160> 38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759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atgggtgagt tcaacgagaa gaagacaaca tgtggcaccg tttgcctcaa gtacctgctg 60 tttacctaca attgctgctt ctggctggct ggcctggctg tcatggcagt gggcatctgg 120 acgctggccc tcaagagtga ctacatcagc ctgctggcct caggcaccta cctggccaca 180 gcctacatcc tggtggtggc gggcactgtc gtcatggtga ctggggtctt gggctgctgc 240 gccaccttca aggagcgtcg gaacctgctg cgcctgtact tcatcctgct cctcatcatc 300 tttctgctgg agatcatcgc tggtatcctc gcctacgcct actaccagca gctgaacacg 360 gagctcaagg agaacctgaa ggacaccatg accaagcgct accaccagcc gggccatgag 420 gctgtgacca gcgctgtgga ccagctgcag caggagttcc actgctgtgg cagcaacaac 480 tcacaggact ggcgagacag tgagtggatc cgctcacagg aggccggtgg ccgtgtggtc 540 ccagacagct gctgcaagac ggtggtggct ctttgtgggc agcgagacca tgcctccaac 600 atctacaagg tggagggcgg ctgcatcacc aagttggaga ccttcatcca ggagcacctg 660 agggtcattg gggctgtggg gatcggcatt gcctgtgtgc aggtctttgg catgatcttc 720 acgtgctgcc tgtacaggag tctcaagctg gagcactac 759 <210> 2 <211> 25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Met Gly Glu Phe Asn Glu Lys Lys Thr Thr Cys Gly Thr Val Cys Leu 1 5 10 15 Lys Tyr Leu Leu Phe Thr Tyr Asn Cys Cys Phe Trp Leu Ala Gly Leu 20 25 30 Ala Val Met Ala Val Gly Ile Trp Thr Leu Ala Leu Lys Ser Asp Tyr 35 40 45 Ile Ser Leu Leu Ala Ser Gly Thr Tyr Leu Ala Thr Ala Tyr Ile Leu 50 55 60 Val Val Ala Gly Thr Val Val Met Val Thr Gly Val Leu Gly Cys Cys 65 70 75 80 Ala Thr Phe Lys Glu Arg Arg Asn Leu Leu Arg Leu Tyr Phe Ile Leu 85 90 95 Leu Leu Ile Ile Phe Leu Leu Glu Ile Ile Ala Gly Ile Leu Ala Tyr 100 105 110 Ala Tyr Tyr Gln Gln Leu Asn Thr Glu Leu Lys Glu Asn Leu Lys Asp 115 120 125 Thr Met Thr Lys Arg Tyr His Gln Pro Gly His Glu Ala Val Thr Ser 130 135 140 Ala Val Asp Gln Leu Gln Gln Glu Phe His Cys Cys Gly Ser Asn Asn 145 150 155 160 Ser Gln Asp Trp Arg Asp Ser Glu Trp Ile Arg Ser Gln Glu Ala Gly 165 170 175 Gly Arg Val Val Pro Asp Ser Cys Cys Lys Thr Val Val Ala Leu Cys 180 185 190 Gly Gln Arg Asp His Ala Ser Asn Ile Tyr Lys Val Glu Gly Gly Cys 195 200 205 Ile Thr Lys Leu Glu Thr Phe Ile Gln Glu His Leu Arg Val Ile Gly 210 215 220 Ala Val Gly Ile Gly Ile Ala Cys Val Gln Val Phe Gly Met Ile Phe 225 230 235 240 Thr Cys Cys Leu Tyr Arg Ser Leu Lys Leu Glu His Tyr 245 250 <210> 3 <211> 327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3 gcctactacc agcagctgaa cacggagctc aaggagaacc tgaaggacac catgaccaag 60 cgctaccacc agccgggcca tgaggctgtg accagcgctg tggaccagct gcagcaggag 120 ttccactgct gtggcagcaa caactcacag gactggcgag acagtgagtg gatccgctca 180 caggaggccg gtggccgtgt ggtcccagac agctgctgca agacggtggt ggctctttgt 240 gggcagcgag accatgcctc caacatctac aaggtggagg gcggctgcat caccaagttg 300 gagaccttca tccaggagca cctgagg 327 <210> 4 <211> 109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Ala Tyr Tyr Gln Gln Leu Asn Thr Glu Leu Lys Glu Asn Leu Lys Asp 1 5 10 15 Thr Met Thr Lys Arg Tyr His Gln Pro Gly His Glu Ala Val Thr Ser 20 25 30 Ala Val Asp Gln Leu Gln Gln Glu Phe His Cys Cys Gly Ser Asn Asn 35 40 45 Ser Gln Asp Trp Arg Asp Ser Glu Trp Ile Arg Ser Gln Glu Ala Gly 50 55 60 Gly Arg Val Val Pro Asp Ser Cys Cys Lys Thr Val Val Ala Leu Cys 65 70 75 80 Gly Gln Arg Asp His Ala Ser Asn Ile Tyr Lys Val Glu Gly Gly Cys 85 90 95 Ile Thr Lys Leu Glu Thr Phe Ile Gln Glu His Leu Arg 100 105 <210> 5 <211> 54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5 tggacgctgg ccctcaagag tgactacatc agcctgctgg cctcaggcac ctac 54 <210> 6 <211> 1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 Trp Thr Leu Ala Leu Lys Ser Asp Tyr Ile Ser Leu Leu Ala Ser Gly 1 5 10 15 Thr Tyr <210> 7 <211> 8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7 Gly Tyr Thr Phe Thr Asp Tyr Ser 1 5 <210> 8 <211> 8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8 Ile Asn Thr Glu Thr Gly Glu Pro 1 5 <210> 9 <211> 13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9 Ala Arg Arg Glu Tyr Gly Asn Tyr Tyr Gly Met Glu Tyr 1 5 10 <210> 10 <211> 120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0 Gln Ile Gln Leu Val Gln Ser Gly Pro Glu Leu Lys Lys Pro Gly Glu 1 5 10 15 Thr Val Lys Ile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Ser Met His Trp Val Lys Gln Ala Pro Gly Lys Gly Leu Lys Trp Met 35 40 45 Gly Trp Ile Asn Thr Glu Thr Gly Glu Pro Thr Tyr Thr Asp Asp Phe 50 55 60 Lys Gly Arg Phe Ala Phe Ser Leu Glu Thr Ser Ala Asn Thr Ala Tyr 65 70 75 80 Leu Arg Ile Asn Asn Leu Lys Asn Glu Asp Thr Ala Thr Tyr Phe Cys 85 90 95 Ala Arg Arg Glu Tyr Gly Asn Tyr Tyr Gly Met Glu Tyr Trp Gly Gln 100 105 110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11 <211> 10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1 Gln Ser Val Ser Thr Ser Thr Phe Ser Tyr 1 5 10 <210> 12 <211> 3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2 Ser Ala Ser 1 <210> 13 <211> 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3 Gln His Ser Trp Glu Ile Pro Leu Thr 1 5 <210> 14 <211> 111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4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1 5 10 15 Gln Arg Ala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n Ser Val Ser Thr Ser 20 25 30 Thr Phe Ser Tyr Ile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35 40 45 Lys Leu Leu Ile Lys Ser Ala Ser Asn Leu Glu Ser Gly Val Pro Ala 50 55 60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His 65 70 75 80 Pro Val Glu Glu Glu Asp Thr Ala Thr Tyr Phe Cys Gln His Ser Trp 85 90 95 Glu Ile Pro Leu Thr Phe Gly Ala Gly Thr Lys Leu Glu Leu Lys 100 105 110 <210> 15 <211> 8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5 Gly Tyr Thr Phe Thr Ser Ser Trp 1 5 <210> 16 <211> 8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6 Ile His Pro Asn Ser Gly Asn Thr 1 5 <210> 17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7 Ala Arg Gly Asp Asp Ala Tyr Tyr Ser Gly Leu Tyr Ala Met Asp Tyr 1 5 10 15 <210> 18 <211> 123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8 Gln Val Gln Leu Gln Gln Pro Gly Ser Val Val Val Arg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Leu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Ser Ser 20 25 30 Trp Met His Trp Ala Lys Gln Arg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Gln Ile His Pro Asn Ser Gly Asn Thr Asn Tyr Asn Glu Lys Phe 50 55 60 Lys Val Lys Ala Thr Leu Thr Ile Asp Thr Ser Se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Val Asp Leu Asn Ser Leu Thr Ser Gly Asp Se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y Asp Asp Ala Tyr Tyr Ser Gly Leu Tyr Ala Met Asp Tyr 100 105 110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19 <211> 10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9 Gln Ser Val Ser Thr Ser Arg Tyr Ser Tyr 1 5 10 <210> 20 <211> 3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0 Tyr Ala Ser 1 <210> 21 <211> 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1 Gln His Ser Trp Glu Ile Pro Tyr Thr 1 5 <210> 22 <211> 111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2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1 5 10 15 Gln Arg Ala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n Ser Val Ser Thr Ser 20 25 30 Arg Tyr Ser Tyr Met His Trp Tyr Gln Gln Ile Gln Gly Gln Pro Pro 35 40 45 Lys Leu Leu Ile Lys Tyr Ala Ser Asn Leu Glu Ser Gly Val Pro Ala 50 55 60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Asn Ile His 65 70 75 80 Pro Val Glu Glu Glu Asp Thr Ala Thr Tyr His Cys Gln His Ser Trp 85 90 95 Glu Ile Pro Tyr Thr Phe Gly Gly Gly Thr Thr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23 <211> 24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23 ggttatacct tcacagacta ttca 24 <210> 24 <211> 24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24 ataaacactg agactggtga gcca 24 <210> 25 <211> 39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25 gctagaaggg agtatggtaa ctactatggt atggagtac 39 <210> 26 <211> 360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26 cagatccagt tggtgcagtc tggacctgag ctgaagaagc ctggagagac agtcaagatc 60 tcctgcaagg cttctggtta taccttcaca gactattcaa tgcactgggt gaagcaggct 120 ccaggaaagg gtttaaagtg gatgggctgg ataaacactg agactggtga gccaacatat 180 acagatgact tcaagggacg gtttgccttc tctttggaaa cctctgccaa cactgcctat 240 ttgcggatca acaacctcaa aaatgaggac acggctacat atttctgtgc tagaagggag 300 tatggtaact actatggtat ggagtactgg ggtcaaggaa cctcagtcac cgtctcgtca 360 <210> 27 <211> 30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27 caaagtgtca gtacatctac ctttagttat 30 <210> 28 <211> 9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28 tctgcatcc 9 <210> 29 <211> 27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29 cagcacagtt gggagattcc gctcacg 27 <210> 30 <211> 333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0 gacattgtgc tgacacagtc tcctgcttcc ttagctgtat ctctggggca gagggccacc 60 atctcatgca gggccagcca aagtgtcagt acatctacct ttagttatat acactggtac 120 caacagaaac caggacagcc acccaaactc ctcatcaagt ctgcatccaa cctagaatct 180 ggggtccctg ccaggttcag tggcagtggg tctgggacag acttcaccct caccatccat 240 cctgtggagg aggaggatac tgcaacatat ttctgtcagc acagttggga gattccgctc 300 acgttcggtg ctgggaccaa gctggagctg aaa 333 <210> 31 <211> 24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1 ggctacacct tcaccagctc ctgg 24 <210> 32 <211> 24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2 attcatccta atagtggtaa tact 24 <210> 33 <211> 48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3 gcaagagggg atgatgctta ctacagcggg ctctatgcta tggactac 48 <210> 34 <211> 369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4 caggtccaac tgcagcagcc tgggtctgtg gtggtgaggc ctggagcttc agtgaaactg 60 tcctgcaagg cttctggcta caccttcacc agctcctgga tgcactgggc gaagcagagg 120 cctggacaag gccttgagtg gattggacag attcatccta atagtggtaa tactaattac 180 aatgagaagt tcaaggtcaa ggccacactg actatagaca catcctccag cacagcctac 240 gtggatctca acagcctgac atctggggac tctgcggtct attactgtgc aagaggggat 300 gatgcttact acagcgggct ctatgctatg gactactggg gtcagggaac ctcagtcacc 360 gtctcctca 369 <210> 35 <211> 30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5 caaagtgtca gtacatctag gtatagttat 30 <210> 36 <211> 9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6 tatgcatcc 9 <210> 37 <211> 27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7 caacacagtt gggagattcc gtacacg 27 <210> 38 <211> 333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38 gacattgtgc tgacacagtc tcctgcttcc ttagctgtat ctctggggca gagggccacc 60 atctcatgca gggccagcca aagtgtcagt acatctaggt atagttatat gcactggtac 120 caacagatac aaggacagcc acccaaactc ctcatcaagt atgcatccaa cctagaatct 180 ggggtccctg ccaggttcag tggcagtggg tctgggacag acttcaccct caacatccat 240 cctgtggagg aggaggatac tgcaacatat cactgtcaac acagttggga gattccgtac 300 acgttcggag gggggaccac gctggaaata aaa 333

Claims (25)

  1. CD151 단백질과 결합하고 암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원발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이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이 암 세포내 CD151 단백질의 전이-촉진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이 암세포의 세포 이동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이 암세포에 의한 세포 침범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이 암세포의 세포 부착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이, CD151 단백질의 아미노산 40-57(서열번호 6)에 해당하는 세포외 루프 1(EC 1), CD151 단백질의 아미노산 113-221(서열번호 4)에 해당하는 세포외 루프 2(EC 2), 또는 상기 세포외 루프 1 및 상기 세포외 루프 2에 포함되는 에피토프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 또는 그 기능적 단편이, 각각 CD151 단백질의 위치 194, 195 및 196(QRD194-196)의 아미노산 글루타민, 아르기닌 및 아스파르트산을 최소한 포함하는 EC 2 영역의 에피토프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가 단클론 항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CD151 항체는 항체 TS151, 항체 TS151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항체 TS151은, 3개의 중쇄 CDR로서 서열번호 7의 CDR-H1, 서열번호 8의 CDR-H2 및 서열번호 9의 CDR-H3; 및 3개의 경쇄 CDR로서 서열번호 11의 CDR-L1, 서열번호 12의 CDR-L2 및 서열번호 13의 CDR-L3;을 포함하며,
    상기 항체 TS151r은, 3개의 중쇄 CDR로서 서열번호 15의 CDR-H1, 서열번호 16의 CDR-H2 및 서열번호 17의 CDR-H3; 및 3개의 경쇄 CDR로서 서열번호 19의 CDR-L1, 서열번호 20의 CDR-L2 및 서열번호 21의 CDR-L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TS151은 서열번호 10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4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TS151r은 서열번호 18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22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발암은 결장암, 폐암, 전립선암 또는 췌장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동시, 개별적 또는 시간 차를 두고 사용하기 위한 조합 제품으로서, 하나 이상의 세포독성제/세포증식억제제 및/또는 세포 독소 및/또는 방사성원소 및/또는 단클론 항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97010125A 2006-10-18 2007-10-15 암치료에서의 항-cd151 항체의 사용 KR101521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9135A FR2907341B1 (fr) 2006-10-18 2006-10-18 Utilisation d'un anticorps anti-cd151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FR0609135 2006-10-18
PCT/FR2007/001688 WO2008049990A2 (fr) 2006-10-18 2007-10-15 Utilisation d'un anticorps anti-cd151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219A KR20090067219A (ko) 2009-06-24
KR101521863B1 true KR101521863B1 (ko) 2015-05-20

Family

ID=3786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125A KR101521863B1 (ko) 2006-10-18 2007-10-15 암치료에서의 항-cd151 항체의 사용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2) US8178096B2 (ko)
EP (1) EP2079482B1 (ko)
JP (2) JP5757646B2 (ko)
KR (1) KR101521863B1 (ko)
CN (1) CN101528256B (ko)
AT (1) ATE499387T1 (ko)
AU (1) AU2007310763B2 (ko)
BR (1) BRPI0717455A2 (ko)
CA (1) CA2665912C (ko)
DE (1) DE602007012743D1 (ko)
DK (1) DK2079482T3 (ko)
ES (1) ES2361696T3 (ko)
FR (1) FR2907341B1 (ko)
HK (1) HK1132904A1 (ko)
HR (1) HRP20110374T1 (ko)
IL (1) IL198043A (ko)
MA (1) MA30777B1 (ko)
MX (1) MX2009003039A (ko)
NO (1) NO20091919L (ko)
NZ (1) NZ575781A (ko)
PL (1) PL2079482T3 (ko)
PT (1) PT2079482E (ko)
RS (1) RS51729B (ko)
RU (1) RU2464041C2 (ko)
SI (1) SI2079482T1 (ko)
TN (1) TN2009000144A1 (ko)
UA (1) UA99601C2 (ko)
WO (1) WO20080499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3699B1 (fr) 2004-07-29 2009-08-21 Pierre Fabre Medicament Sa Nouveaux anticorps anti igf ir rt leurs utilisations
FR2907341B1 (fr) * 2006-10-18 2012-08-17 Pf Medicament Utilisation d'un anticorps anti-cd151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FR2929946B1 (fr) * 2008-04-11 2010-05-28 Pf Medicament Nouveaux anticorps anti-cd151 et leur utilisation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EP2308897A1 (en) * 2009-10-09 2011-04-13 Pierre Fabre Medicament Chimeric antibodies specific for CD151 and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cancer
EP2371863A1 (en) * 2010-03-30 2011-10-05 Pierre Fabre Médicament Humanized anti CXCR4 antibodi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WO2012131680A2 (en) 2011-03-28 2012-10-04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ion
CN102605057A (zh) * 2012-02-28 2012-07-25 芮屈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癌症病变前期CD151的mRNA水平原位杂交检测试剂盒及检测方法和应用
US9982057B2 (en) 2014-11-17 2018-05-29 Pelican Therapeutics, Inc. Human TNFRSF25 antibody
CN109219620B (zh) 2016-06-09 2023-01-31 派立卡恩治疗公司 抗-tnfrsf25抗体
CN108690136B (zh) * 2017-04-05 2022-09-20 凯惠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一种人源化抗tpbg抗体及其制备方法、其偶联物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6027A1 (en) * 1998-06-15 1999-12-23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onoclonal antibodies that recognize antigens associated with tumor metastasis
JP2003321494A (ja) * 2002-02-26 2003-11-11 Daiichi Fine Chemical Co Ltd プロmmp−7の活性化調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7752B1 (fr) * 1992-11-10 1995-04-14 Rhone Poulenc Rorer Sa Compositions antitumorales contenant des dérivés du taxane.
JP2003189851A (ja) * 2001-12-28 2003-07-08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抗ヒトcd151モノクローナル抗体産生ハイブリドーマ
EP2041175A4 (en) * 2006-06-23 2011-03-16 Augmenta Biolog Llc TARGETED IMMUNOJUGATE
FR2907341B1 (fr) * 2006-10-18 2012-08-17 Pf Medicament Utilisation d'un anticorps anti-cd151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FR2929946B1 (fr) * 2008-04-11 2010-05-28 Pf Medicament Nouveaux anticorps anti-cd151 et leur utilisation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6027A1 (en) * 1998-06-15 1999-12-23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onoclonal antibodies that recognize antigens associated with tumor metastasis
JP2003321494A (ja) * 2002-02-26 2003-11-11 Daiichi Fine Chemical Co Ltd プロmmp−7の活性化調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079482T3 (pl) 2011-07-29
US20120219569A1 (en) 2012-08-30
PT2079482E (pt) 2011-05-25
JP2010506888A (ja) 2010-03-04
SI2079482T1 (sl) 2011-07-29
TN2009000144A1 (fr) 2010-10-18
CN101528256B (zh) 2013-10-02
CA2665912C (fr) 2014-12-09
JP2013253084A (ja) 2013-12-19
EP2079482B1 (fr) 2011-02-23
DK2079482T3 (da) 2011-06-14
AU2007310763B2 (en) 2011-02-17
JP5757646B2 (ja) 2015-07-29
NO20091919L (no) 2009-05-18
JP5723420B2 (ja) 2015-05-27
RS51729B (en) 2011-10-31
FR2907341B1 (fr) 2012-08-17
US20090324600A1 (en) 2009-12-31
HRP20110374T1 (hr) 2011-06-30
MA30777B1 (fr) 2009-10-01
WO2008049990A3 (fr) 2008-09-12
NZ575781A (en) 2012-06-29
FR2907341A1 (fr) 2008-04-25
MX2009003039A (es) 2009-04-02
BRPI0717455A2 (pt) 2013-12-24
RU2009118440A (ru) 2010-11-27
RU2464041C2 (ru) 2012-10-20
IL198043A (en) 2015-03-31
US8178096B2 (en) 2012-05-15
KR20090067219A (ko) 2009-06-24
UA99601C2 (ru) 2012-09-10
EP2079482A2 (fr) 2009-07-22
ATE499387T1 (de) 2011-03-15
WO2008049990A2 (fr) 2008-05-02
ES2361696T3 (es) 2011-06-21
DE602007012743D1 (de) 2011-04-07
IL198043A0 (en) 2011-08-01
CA2665912A1 (fr) 2008-05-02
CN101528256A (zh) 2009-09-09
HK1132904A1 (en) 2010-03-12
AU2007310763A1 (en) 200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863B1 (ko) 암치료에서의 항-cd151 항체의 사용
JP6025904B2 (ja) Egfファミリーリガンドのアンタゴニストを成分とする医薬組成物
EP2552966B1 (en) Antibodies against csf-1r
AU2009245587B2 (en) Novel antibodies used to treat cancer
US8071730B2 (en) Anti-JAM-A antibodies
EP2918605A1 (en) Axl antibodies
EP2287194B1 (en) Antibodies binding to EphB4 for inhibiting angiogenesis and tumor growth
JP4865868B2 (ja) 悪性中皮種の治療方法
JP5749009B2 (ja) EphB4に結合するヒト化抗体を利用する癌治療剤
KR101671069B1 (ko) 베타1 인테그린을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EP2308897A1 (en) Chimeric antibodies specific for CD151 and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cancer
US20120171114A1 (en) Anti-cd151 antibodi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US20110165062A1 (en) Use of an anti-cd151 antibody for early treatment of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