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264B1 -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264B1
KR101521264B1 KR1020130096019A KR20130096019A KR101521264B1 KR 101521264 B1 KR101521264 B1 KR 101521264B1 KR 1020130096019 A KR1020130096019 A KR 1020130096019A KR 20130096019 A KR20130096019 A KR 20130096019A KR 101521264 B1 KR101521264 B1 KR 101521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e
sodium
surfactant
fatty acid
dio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312A (ko
Inventor
유인기
김지현
강택균
정국인
최정진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9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2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4Carboxylates or sulfonates est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향상, 기포특성 개선 및 피부자극 감소를 위해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불순물로 생성되는 다이옥산(dioxane)을 제거하기 위해, 분자 포집물질인 쿠커비투릴(cucurbituril)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이러한 쿠커비투릴의 용도 및 쿠커비투릴이 첨가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공유결합된 쿠커비투릴 및 실리카겔을 포함하는 필터에 계면활성제를 통과시켜 다이옥산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방법{Surfactant composition with reduced dioxane content and method of removing dioxane}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향상, 기포특성 개선 및 피부자극 감소를 위해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부가하는 과정에서, 불순물(impurity)로 생성되는 다이옥산(dioxane)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물질의 용도 및 이러한 물질이 연결된 필터를 이용하여 다이옥산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면활성제는 서로 다른 액체나 액체와 기체 간의 계면장력을 낮추어 거품을 발생시키고 오염을 쉽게 제거하는데 이용되어 일상 생활에 널리 이용되는 물질이다. 계면활성제는 매우 많은 종류의 것이 있으며, 크게는 이온 성질에 따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구분된다.
이들 중 특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정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로 탄소수 8 내지 22의 고급 지방산이나 고급알코올에 술포네이트, 설페이트 또는 카르복시레이트 등의 음이온 기능기를 결합하고, Na+, K+, Mg2 +, Ca2 + 또는 NH4+ 등의 양이온으로 이온성을 중화하여 얻어진다. 가장 대표적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석유로부터 얻어지는 리니어 알킬벤젠설페이트(linear alkylbenzene sulfate, LAS) 또는 알파-올레핀설페이트(α-olefin sulfate, AOS) 등과 지방산을 NaOH 나 KOH 등의 강염기로 중화하여 합성하는 비누와 식물성 고급알코올로부터 만들어지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SLES),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ALS)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ALES)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중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는 경제성과 함께 기포 및 세정 성능이 우수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이다.
이들 계면활성제가 도입되던 초기에는 주로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등이 이용되었으나, 세정력이 우수한 반면 피부자극이 심하고 기포가 조잡한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친수성인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1 내지 n개의 에틸렌옥사이드가 부가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는 기존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에 비하여 자극 및 기포 특성이 개선되어, 현재 다양한 세정제 제품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들이다.
그러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하는 과정에서 불순물로 발암 위험성이 있는 다이옥산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미국, 유럽, 일본 및 대한민국 등 대부분의 나라에서 원료 및 제품중의 다이옥산 함량을 법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대부분 100 ppm 이하로 관리하고 있다.
계면활성제 중의 다이옥산 농도를 저감하기 위하여 반응조건을 최적화하고, 발생된 다이옥산은 가온, 진공, 흡착 또는 분해 과정을 통하여 제거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4472호는 폐수중의 다이옥산을 고압의 오존으로 분해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1709호는 UV를 처리하여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지만, 계면활성제를 고압의 오존 또는 UV로 처리하면 계면활성제 원료의 손상 및 또 다른 불순물까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원료중의 다이옥산 제거를 위한 기술로 부적절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91758호는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다이옥산 제거에 관한 기술을 소개하고 있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높은 농도의 계면활성제에서는 미생물이 사멸하므로 적용하기에 문제점이 있다.
현재 계면활성제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다이옥산을 제거하기 위해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진공을 이용하는 기술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원료 중 다이옥산 농도를 수십 ppm 내지 수 ppm 수준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진공을 이용하여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경우 수 ppm 이하의 낮은 농도 수준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면활성제 중의 유해 성분인 다이옥산의 제거 또는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계면활성제의 다이옥산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에 존재하는 불순물(impurity)인 다이옥산(dioxane)의 제거 또는 분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73435987-pat00001
상기 n은 7 이상의 정수임.
본 발명자들은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에 cucurbit[6]uril, cucurbit[7]uril 또는 cucurbit[8]uril을 일정량 용해하고 다이옥산의 농도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에 포함된 다이옥산에 대해서 cucurbit[6]uril은 전혀 효과가 없었고, cucurbit[7]uril 및 cucurbit[8]uril이 저감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cucurbit[7]uril이 다이옥산 저감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다이옥산의 제거 또는 분리용 조성물에서 상기 n은 7 또는 8인 것이 바람직하고, n은 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이옥산의 제거 또는 분리용 조성물에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POE-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POE-스테아릴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 소듐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시네이트 또는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이옥산의 제거 또는 분리용 조성물에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탄모노올레 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등); 또는 POE-알킬에테르류(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73435987-pat00002
상기 n은 7 이상의 정수임.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에서 상기 n은 7 또는 8인 것이 바람직하고, n은 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에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POE-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POE-스테아릴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 소듐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시네이트,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에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탄모노올레 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등); 또는 POE-알킬에테르류(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첨가함에 따라 다이옥산 함량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첨가하기 전에 비해 10 중량% 이상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의 cucurbit[7]uril 또는 cucurbit[8]uri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cucurbit[7]uril 또는 cucurbit[8]uril을 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다이옥산 저감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에 존재하는 불순물인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73435987-pat00003
상기 n은 7 이상의 정수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처리"라는 용어는 계면활성제에 화합물의 투입, 첨가, 용해 또는 혼합 등 계면활성제에 사용 또는 적용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n은 7 또는 8인 것이 바람직하고, n은 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POE-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POE-스테아릴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 소듐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시네이트,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등); 또는 POE-알킬에테르류(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은 조성물 총 중량 0.01 내지 1 중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계면활성제에 투입하여 용해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다이옥산을 선택적으로 포집하여, Head Space가 100℃인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조건에서 매우 우수한 다이옥산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0.01 중량% 미만으로 처리하면 다이옥산 저감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연결된 실리카겔을 포함하는 필터에 계면활성제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필터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의 실리카겔이 공유결합된 하기 화학식 4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 화학식 2에서 n은 4 내지 20의 정수이며,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20의 말단이 불포화결합인 알케닐옥시기, C1-C20의 알킬기를 갖는 카르복시알킬설파닐옥시기, C2-C8의 알킬기를 갖는 카르복시알킬옥시기, C2-C8의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알킬옥시기, 및 C2-C8의 알킬기를 갖는 히드록시알킬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하기 화학식 3에서 R2는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티올,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민,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에폭시알킬옥시알킬,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이소시안염, 및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이소티오시안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73435987-pat00004
<화학식 3>
Figure 112013073435987-pat00005
<화학식 4>
Figure 112013073435987-pat00006
본 발명의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쿠커비투릴-실리카겔 필터는 고온 세척함으로써 재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이옥산 제거 또는 분리용 조성물인 cucurbit[n]uril(n은 7 이상의 정수)을 계면활성제에 처리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에 존재하는 불순물인 다이옥산을 효과적으로 제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쿠커비투릴-실리카겔 필터를 이용하여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은 필터를 고온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cucurbit[7]uril 및 cucurbit[8]uril을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에 첨가하였을 때 다이옥산 저감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에틸렌옥사이드가 3mol 부가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에 cucurbit[6]uril, cucurbit[7]uril 및 cucurbit[8]uril을 각각 0.01%, 0.10%, 0.25% 및 0.50%의 농도로 용해하여 시료들을 준비하였다. 상기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의 농도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7% 중량%이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는 LG 생활건강으로부터 입수하였고, cucurbit[6]uril, cucurbit[7]uril 및 cucurbit[8]uril은 포스텍 첨단재료 과학부로부터 입수하였다.
실험예 1. 다이옥산 저감효과 확인
에틸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계면활성제에 쿠커비트릴을 첨가하여 다이옥산이 저감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쿠커비트릴을 첨가하기 전에, 에틸렌옥사이드 3 mol이 부가된 27%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의 다이옥산 함량은 5 ppm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상기 시료들 속의 다이옥산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하였다. Head space 온도는 100 ℃로 하였다. 에틸렌옥사이드 3mol이 부가된 27%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에 쿠커비트릴을 첨가하였을 때의 다이옥산 저감효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쿠커비트릴의 농도 cucurbit[6]uril cucurbit[7]uril cucurbit[8]uril
0.01% 0 9 2
0.10% 0 44 18
0.25% 0 72 40
0.50% 0 82 62
cucurbit[7]uril 및 cucurbit[8]uril을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에 첨가하였을 때 다이옥산 저감효과를 비교한 그래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다이옥산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cucurbit[6]uril은 저감 효과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고, cucurbit[7]uril 및 cucurbit[8]uril만이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cucurbit[7]uril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에 존재하는 불순물(impurity)인 다이옥산(dioxane)의 제거 또는 분리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123861347-pat00007

    상기 n은 7 또는 8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소듐POE-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POE-스테아릴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 소듐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시네이트,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인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POE-알킬에테르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산의 제거 또는 분리용 조성물.
  4.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및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123861347-pat00008

    상기 n은 7 또는 8임.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소듐POE-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POE-스테아릴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 소듐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시네이트,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인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POE-알킬에테르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7.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첨가함에 따라 다이옥산 함량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첨가하기 전에 비해 10 중량% 이상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8.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를 포함하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의 cucurbit[7]uril 또는 cucurbit[8]uri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에 존재하는 불순물인 다이옥산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4123861347-pat00009

    상기 n은 7 또는 8임.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소듐POE-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POE-스테아릴에테르포스페이트, 소듐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 소듐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시네이트,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인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POE-알킬에테르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연결된 실리카겔을 포함하는 필터에 계면활성제를 통과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9항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의 실리카겔이 공유결합된 물질을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3에서 R2는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티올,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민,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에폭시알킬옥시알킬,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이소시안염, 및 C3-C8의 알킬기를 갖는 이소티오시안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14123861347-pat00011

KR1020130096019A 2013-08-13 2013-08-13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방법 KR10152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019A KR101521264B1 (ko) 2013-08-13 2013-08-13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019A KR101521264B1 (ko) 2013-08-13 2013-08-13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312A KR20150019312A (ko) 2015-02-25
KR101521264B1 true KR101521264B1 (ko) 2015-06-16

Family

ID=5257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019A KR101521264B1 (ko) 2013-08-13 2013-08-13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2275A (zh) * 2017-09-27 2018-12-28 江苏汉邦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亲水烷基键合硅胶填料的制备方法
CN115770554A (zh) * 2022-11-08 2023-03-10 昊华气体有限公司 一种改性吸附剂及其在一氟甲烷中脱除六氟乙烷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082B1 (ko) * 1999-10-21 2003-09-29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쿠커비투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20040072810A (ko) * 2003-02-11 2004-08-19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쿠커비투릴이 결합된 실리카 겔
KR100499275B1 (ko) * 2002-01-03 2005-07-0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하이드록시쿠커비투릴 및 그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들의 용도
KR100793461B1 (ko) * 1999-05-07 2008-01-14 뉴사우쓰 이노베이션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쿠커비투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61B1 (ko) * 1999-05-07 2008-01-14 뉴사우쓰 이노베이션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쿠커비투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400082B1 (ko) * 1999-10-21 2003-09-29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쿠커비투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499275B1 (ko) * 2002-01-03 2005-07-0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하이드록시쿠커비투릴 및 그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들의 용도
KR20040072810A (ko) * 2003-02-11 2004-08-19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쿠커비투릴이 결합된 실리카 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312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okoohi et al. Adsorption of Acid Red 18 (AR18) by activated carbon from poplar wood-A kinetic and equilibrium study
KR101521264B1 (ko) 다이옥산이 저감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다이옥산을 제거하는 방법
RU2008117852A (ru) Катализатор трансэтерификации и споc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EP2981600B1 (de) Formulierungen, ihre verwendung als geschirrspülmittel und ihre herstellung
DE102013206066A1 (de) Verfahren zur Abtrennung fluorierter organischer Verbindungen aus kontaminierten Fluiden und hierfür verwendetes Adsorbens-Kit
Shrestha et al. Adsorptiv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aqueous solution with environmental friendly material—exhausted tea leaves
CN108187707B (zh) 改性钢渣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149927B (zh) 一种改性蚕丝纤维制备重金属吸附材料的方法及其应用
JP6550870B2 (ja) 天然ゴムの製造方法
RU2617492C1 (ru) Каталитический сорбент для очистки водных сред
CN1073153A (zh) 用稻壳净化水的方法
CN108404595A (zh) 一种利用葡萄酿酒残渣制备甲醛吸附剂的方法
CN102531118A (zh) 一种处理含铜废水的去除剂及其应用方法
Shrestha et al. Exhausted Tea Leaves–a low cost bioadsorbent for the removal of Lead (II) and Zinc (II) ions from their aqueous solution
WO2015028295A1 (de) Verwendung von mischungen organofunktionell modifizierter polysiloxane mit amiden bei der herstellung von polyurethanweichschäumen
US8679350B1 (en) Acidic mine water remediation
CN107224966B (zh) 一种吸附法处理苯酚废水的方法及pH敏感吸附剂
RU2326549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молока-сырья от свинца
CN115770487A (zh) 一种过氧化物复合缓释片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DE69910807T2 (de) Disulfonierte alkylamines als entfettungsmittel und hydrotrope
KR20190044215A (ko) 새우양식장용 복합 활성 무기양이온제의 처리방법
CN111099749A (zh) 一种藻基生物除磷净水剂及其制备方法
Waghmare Waste water treatment by adsorption and coagulation
Salim et al. Removal of Methylene Blue and Neutral Red Dyes from Spiked Waste-Water Using Edtad Modified Cellulose Obtained from Pennisetum purpureum
Suhad et al. Biosorptive removal of hea-vy metal zinc from synthetic wastewater using duckw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