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392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392B1
KR101520392B1 KR1020140166621A KR20140166621A KR101520392B1 KR 101520392 B1 KR101520392 B1 KR 101520392B1 KR 1020140166621 A KR1020140166621 A KR 1020140166621A KR 20140166621 A KR20140166621 A KR 20140166621A KR 101520392 B1 KR101520392 B1 KR 10152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battery cells
circuit
battery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국
김재민
문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392B1/ko
Priority to US14/626,763 priority patent/US92146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392B1/ko
Priority to EP15169492.4A priority patent/EP3026731B1/en
Priority to CN201510398409.8A priority patent/CN105633312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전지 셀과, 제1, 제2 전지 셀을 수용하는 제1, 제2 셀 수용부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며,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수용하는 회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회로 수용부의 상면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차전지 내부의 불필요한 사 공간이 제거되고 전체 이차전지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이차전지가 세트 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적용될 때, 세트 기기와의 물리적인 간섭이 제거되고, 세트 기기 내부에서 이차전지의 흔들림이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무선인터넷이나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전원공급장치 없이 전지를 사용하여 운용 가능한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의 보급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전자 기기가 전원공급장치에 구애됨 없이 여러 장소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이차전지 또는 다수의 이차전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불필요한 내부의 사 공간이 제거되고, 전체 부피가 감소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세트 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적용될 때, 세트 기기와의 물리적인 간섭이 제거되고, 세트 기기 내부에서의 흔들림이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전지 셀; 및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을 수용하는 제1, 제2 셀 수용부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며,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수용하는 회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회로 수용부의 상면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수용부의 상면 및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의 상면은, 제1, 제2 전지 셀의 주된 면과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면들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수용부의 하면과,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지 셀 각각은,
셀 본체와, 상기 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전극 탭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는 한 쌍의 장변부와 한 쌍의 단변부를 포함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은 상기 케이스의 장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조립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 내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 각각은,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조립 위치를 정의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전단을 둘러싸며 제1, 제2 전지 셀을 수용하기 위한 오프닝을 형성하는 림 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림 부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전단 외주를 전체적으로 둘러싼다.
예를 들어, 상기 림 부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전단과 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림 부는 이음새 없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지 셀의 전극 탭은 상기 걸림턱을 우회하여 상기 회로 수용부로 연장되고, 상기 회로 수용부 내의 보호 회로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수용부는,
상기 제1, 제2 수용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결합되어 본체와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의 상면은 상기 제1, 제2 수용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은 개방되어, 상기 커버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의 상면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전지 내부의 불필요한 사 공간이 제거되고 전체 이차전지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가 세트 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적용될 때, 세트 기기와의 물리적인 간섭이 제거되고, 세트 기기 내부에서 이차전지의 흔들림이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전지를 상하 반전시켜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지 셀과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이차전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전지를 상하 반전시켜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전지 셀(C1,C2)과,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이 수용되며,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 회로(155)가 수용되는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1, 제2 전지 셀(C1,C2)이 수용되는 제1, 제2 셀 수용부(110,120)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110,120) 사이에 배치되며,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 회로(155)를 수용하는 회로 수용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구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전지 셀(C)이란, 제1, 제2 전지 셀(C1,C2) 중의 어느 하나의 전지 셀을 의미하거나 또는 제1, 제2 전지 셀(C1,C2)을 모두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전지 셀(C)은, 셀 본체(10)와, 상기 셀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탭(1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전극 탭(11,1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지 셀(C)은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제2 전극 탭(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11,12)은, 셀 본체(10)의 같은 면, 그러니까 전지 셀(C)의 조립 방향으로 전면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지 셀(C1)의 제1, 제2 전극 탭(11,12)과, 상기 제2 전지 셀(C2)의 제1, 제2 전극 탭(11,12)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제1 전극 탭(11)들 끼리, 그리고,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제2 전극 탭(12)들 끼리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지 셀(C1)의 제1, 제2 전극 탭(11,12)과 제2 전지 셀(C2)의 제2, 제1 전극 탭(11,12)이 서로 마주하도록, 그러니까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전극 탭(11,12)이 서로 엇갈리게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전극 탭(11,12) 배치는,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연결 방식, 즉,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에 따라 달리질 수 있다.
상기 셀 본체(10)는, 상하 양편으로 주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주된 면이란, 셀 본체(10)를 대략 육면체 구조로 볼 때, 가장 넓은 면적을 점유하는 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셀 본체(10)의 주된 면은, 셀 본체의 상하 양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셀 본체(10)는, 상대적으로 긴 장변부(CL)와 상대적으로 짧은 단변부(CS)를 포함하는 대략 장방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 본체(10)는 서로에 대해 나란한 한 쌍의 장변부(CL)와, 서로에 대해 나란한 한 쌍의 단변부(CS)를 포함하고, 상기 장변부(CL)와 단변부(CS)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해주는 라운드진 코너부(C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은 케이스(100) 내에 수용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제1, 제2 전지 셀(C1,C2)이 케이스(100) 내에 수용된다는 것은,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전부 또는 일부가 케이스(100) 내에 수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일부, 그러니까 조립 방향으로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전단을 수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이 끼워 조립되는 제1, 제2 셀 수용부(110,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110,1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제1, 제2 전지 셀(C1,C2)을 수용하도록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셀 수용부(101)란 제1, 제2 셀 수용부(110,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셀 수용부를 의미하거나 또는 제1, 제2 셀 수용부(110,120)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110,120) 각각은,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조립 위치를 정의하는 걸림턱(104)과, 상기 걸림턱(104)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제2 전지 셀(C1,C2)을 수용하기 위한 오프닝(OP)을 형성하는 림 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은 케이스(100)의 서로 반대 위치에 형성된 서로 다른 오프닝(OP)을 통하여 케이스(100)에 끼워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오프닝(OP)을 통하여 전지 셀(C)의 전단이 수용되는데, 상기 오프닝(OP)은 전지 셀(C)의 전단을 둘러싸는 림 부(105)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오프닝(OP)을 통하여 조립된 전지 셀(C)의 외측은 림 부(105)의 내측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림 부(105)는 상기 전지 셀(C)의 전단 외측를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림 부(105)는 조립 방향으로 전지 셀(C)의 전단을 둘러싸는데, 전단 외측을 전부 애워쌀 수 있다. 상기 림 부(105)는 전지 셀(C)의 전단과 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림 부(105)는 전지 셀(C)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이음새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림 부(105)는 이음새 없이 전지 셀(C) 외측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림 부(105)가 이음새 없이 연장된다는 것은, 서로 다른 별개의 부재를 맞대거나 이어서 형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림 부(105)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림 부(105)는, 상기 전지 셀(C)의 장변부(CL)를 덮는 한 쌍의 장변부(1051)와, 상기 전지 셀(C)의 단변부(CS)를 덮는 한 쌍의 단변부(1052)와, 상기 전지 셀(C)의 장변부(CL)와 단변부(CS) 사이의 코너부(CC)를 덮는 코너부(10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림 부(105)는 전지 셀(C)의 조립 위치를 정의하는 걸림턱(10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림 부(105)는 걸림턱(104)으로부터 전지 셀(C)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전지 셀(C)의 외측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걸림턱(104)은 조립 방향으로 전지 셀(C)의 전단과 맞닿아 전지 셀(C)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조립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턱(104)은 조립 방향을 따라 전지 셀(C)의 조립 위치까지는 전지 셀(C)의 진입을 허용하되, 더 이상의 진입은 저지하여 전지 셀(C)의 조립 위치를 정의한다.
상기 걸림턱(104)은, 전지 셀(C)의 진입이 허용되는 경계 위치를 정의하며, 셀 수용부(101)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턱(104)을 경계로 하여, 셀 수용부(101)와, 회로 수용부(150)가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걸림턱(104) 밑으로는 전지 셀(C)의 전극 탭(11,12)이 우회할 수 있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탭(11,12)은 걸림턱(104) 밑의 갭(g)을 통하여 걸림턱(104)을 우회하고 회로 수용부(150)로 연장되며, 회로 수용부(150) 내에서 보호 회로(155)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11,12)은 보호 회로(155)에 형성된 접속 홀(155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전극 탭(11,12)은 전지 셀(C)의 충, 방전 전류의 패스를 형성하며 충, 방전 전류는 전극 탭(11,12)을 통하여 보호 회로(155)로 흘러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110,120) 사이에는 전지 셀(C)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 회로(155)를 수용하는 회로 수용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 수용부(150)는, 본체(151)와, 상기 본체(151)에 결합되어 본체(151)와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본체(151)는, 양편으로 형성된 제1, 제2 셀 수용부(110,120)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151)는 셀 수용부(101)의 림 부(105)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1)는, 상기 림 부(105) 중에서 한 쌍의 단변부(1052)와 상기 단변부(1052)들 사이의 일 장변부(1051)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51)는 상기 림 부(105)의 일 장변부(1051)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본체(151)는, 상기 전지 셀(C)의 주된 면과 나란한 일 주된 면(하면에 해당)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지 셀(C)의 주된 면이란 대략 육면체 형상의 전지 셀(C) 중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점유하는 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지 셀(C)의 상하 양면이 주된 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본체(151)는 하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개방된 하면을 통하여 커버(15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52)는 본체(151)에 결합되어 보호 회로(15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보호 회로(155)는 상기 본체(151)의 개방된 하면을 통하여 회로 수용부(150) 내에 수납될 수 있고, 보호 회로(155)를 수납한 본체(151)의 하면을 커버(152)로 마감함으로써 회로 수용부(150)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본체(151)와 커버(152) 간의 결합은 후크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본체(151)와 커버(152) 중 어느 일 편에는 후크(1521)가 형성되고, 다른 일 편에는 후크(1521)가 체결되는 체결 홀(15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호 회로(155)는 회로 수용부(150) 내에 수납된다. 상기 보호 회로(155)는, 전지 셀(C)과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전지 셀(C)의 전극 탭(11,12)은 회로 수용부(150)로 연장되고 회로 수용부(150) 내에서 보호 회로(155)에 접속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전극 탭(11,12)은 걸림턱(104) 밑의 갭(g)을 통하여 회로 수용부(150) 내부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회로 수용부(150)에서 보호 회로(155)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회로(155, 회로 기판) 상에는 전극 탭(11,12)이 끼워지는 접속 홀(155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 회로(155)는 제1, 제2 전지 셀(C1,C2)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보호 회로(155)의 양편으로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과의 접속을 위한 서로 다른 접속 홀(15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155)는, 양편으로 접속된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회로(155)는,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전압, 전류, 온도와 같은 정보를 취합하여 전지 셀(C)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하여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155)는, 양편으로 접속된 제1, 제2 전지 셀(C1,C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회로(155)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요구되는 전기적인 출력 특성에 맞게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 수용부(150)는 보호 회로(155)가 수용되기에 충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남는 여분의 잉여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보호 회로(155)를 수용하고 남는 잉여 공간은, 사 공간으로서 실질적으로 이차전지의 충, 방전 동작에 기여하는 바가 없으면서도 전체 이차전지의 부피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상면 또는 하면은 회로 수용부(15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데, 회로 수용부(150)의 사 공간을 줄이고 전체 이차전지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로 수용부(150)의 상면 그러니까 본체(151)의 상면이나, 회로 수용부(150)의 하면 그러니까 커버(152)의 하면은 회로 수용부(15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수용부(150)의 인입 형상은 단순히 전체 이차전지의 부피를 줄이는 목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가 세트 기기(미도시)의 구동 전원으로 적용될 때, 세트 기기와의 물리적인 간섭을 피하고, 세트 기기 내부에서 이차전지의 흔들림이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즉, 세트 기기(미도시) 내부의 장착 공간이 단차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차전지의 컴팩트한 장착이 가능하며, 세트 기기와 이차전지가 서로에 대해 정합되는 형상으로 조립됨으로써, 세트 기기 내에서 이차전지의 흔들림이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 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도 5의 VI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상면은, 상기 셀 수용부(101)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단차(S)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상면 및 셀 수용부(101)의 상면은 서로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상면과, 셀 수용부(101)의 상면은 전지 셀(C)의 주된 면과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회로 수용부(150)의 상면이, 셀 수용부(101)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단차진 구성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호 회로(155)를 수용하고 남는 회로 수용부(150)의 사 공간을 줄임으로써 전체 이차전지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구되는 출력 특성을 맞추기 위해, 제1, 제2 전지 셀(C1,C2)의 크기, 그러니까 제1, 제2 수용부(110,120)의 크기를 줄일 수는 없지만, 회로 수용부(150)의 공간은 줄일 수 있으므로, 회로 수용부(150)의 상면은 셀 수용부(101)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단차(S)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단차(S) 구성은, 이차전지가 세트 기기(미도시)의 구동 전원으로 적용될 때, 이차전지와 세트 기기 간의 물리적인 간섭을 피하고, 세트 기기의 장착 공간과 정합되는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트 기기의 장착 공간에 단차 형상이 형성될 때, 장착 공간과 정합되는 단차 형상의 이차전지를 장착함으로써, 전체 세트 기기의 설계 변경 없이도, 세트 기기와의 물리적인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트 기기와 이차전지가 서로에 대해 정합되는 형상으로 조립됨으로써, 세트 기기 내에서 이차전지의 흔들림이나 유동이 방지될 수 있고, 세트 기기 내부에서 이차전지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세트 기기 내부의 유동에 따른 이차전지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는 노트북(미도시)의 전원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차전지는 노트북(미도시)의 터치 패드(미도시) 하부에 장착될 수 있고, 노트북은 터치 패드 위치에서 여타 다른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차전지 중 회로 수용부(150)가 터치 패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로 수용부(150)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 이차전지는, 터치 패드와의 물리적인 간섭 없이, 그리고 노트북의 설계 없이, 원활하게 노트북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회로 수용부(150)의 하면과 셀 수용부(101)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로 수용부(150)와 셀 수용부(101)의 하면이 같은 평면을 형성한다는 것은, 세트 기기(미도시)에 장착되었을 때, 이차전지의 전체 하면이 같은 지지면(미도시) 상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하면과 셀 수용부(101)의 하면은 세트 기기 내부의 동일한 지지면(미도시)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를 통하여 회로 수용부(150)의 상면 및 하면은 이차전지의 배치 상태에 따라 뒤바뀔 수 있다. 유사하게, 셀 수용부(101)의 상면 및 하면도 이차전지의 배치 상태에 따라 뒤바뀔 수 있다. 회로 수용부(150) 및 셀 수용부(101)의 상하면은, 전지 셀(C)의 주된 면과 나란한 일 면 및 타 면을 의미할 수 있으나, 상면 및 하면은 이차전지의 배치 상태에 따라 서로 뒤바뀔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회로 수용부(150)의 하면이, 셀 수용부(101)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단차를 갖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회로 수용부(150)가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수용부(150) 중 본체(151) 또는 커버(152) 둘 중의 어느 하나가 내측으로 인입되더라도 회로 수용부(150)가 내측으로 인입된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51) 또는 커버(152) 중에서 어느 하나는 셀 수용부(101)와 단차(S)를 형성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셀 수용부(101)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는 전지 셀(C)과 케이스(100)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한 쌍의 장변부(100L)와 한 쌍의 단변부(100S)를 포함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의 장변부(100L)는 전지 셀(C)의 배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케이스(100)의 장변부(100L)는 전지 셀(C)의 조립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전지 셀(C1,C2) 사이에 케이스(100)가 장변부(100L)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스(100)가 장변부(100L) 또는 단변부(100S)의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 제2 전지 셀(C1,C2)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길게 또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세트 기기(미도시)의 구동 전원으로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이차전지의 구조는 세트 기기의 설계에 따라 적합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는 노트북(미도시) 내에 장착될 수 있고, 특히 노트북의 터치 패드(미도시)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 중에서 회로 수용부(150)가, 터치 패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로 수용부(150)는 터치 패드의 형상에 맞물리도록 셀 수용부(101)에 대해 단차(S)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노트북의 터치 패드는 한 쌍의 장변부(미도시)와, 한 쌍의 단변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로 수용부(150)의 장변부와 단변부가 터치 패드의 장변부 및 단변부와 정렬되도록 상기 회로 수용부(150)는, 제1, 제2 전지 셀(C1,C2)의 배열 방향과 장변부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수용부(150)에 수납되는 보호 회로(155, 회로 기판)도 제1, 제2 전지 셀(C1,C2)의 배열 방향과 장변부가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전지 셀(C)과 상기 전지 셀(C)이 삽입된 케이스(100) 상에는 라벨 시트(180)가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벨 시트(180)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과,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이 삽입된 케이스(100)를 다 함께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라벨 시트(180)는 이차전지의 외형을 형성한다. 즉, 라벨 시트(180)가 부착된 전지 셀(C) 및 케이스(100)는 더 이상의 추가적인 케이싱 없이, 완성된 제품으로 세트 기기(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지 셀(C)의 일부는 케이스(100) 내에 삽입되고, 전지 셀(C)의 나머지 부분은 라벨 시트(180) 외에, 다른 케이싱 내부에 수납되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셀(C)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조립되는 케이스(100)가 적용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전지 셀(C)의 전단 외측를 둘러싸는 셀 수용부(1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셀 수용부(101)는 전지 셀(C)의 전단 외측를 전체적으로 둘러쌈으로써 이차전지의 벤딩, 휨, 또는 트위스트의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대비되는 비교예에서, 상기 전지 셀(C)과 보호 회로(155)는 다 함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조립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미도시)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구조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미도시)는 전지 셀(C)과 보호 회로(155)의 상하 양면을 덮도록 형성되므로, 이차전지에 대한 벤딩, 휨 또는 트위스트 하중에 취약하게 된다.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전지 셀(C)의 전단 외측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셀 수용부(101)를 포함함으로써, 전지 셀(C)의 상하 양면을 포함하여 그 외측을 전부 둘러싼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전지의 벤딩, 휨이나 트위스트 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벤딩이나 휨 또는 트위스트 하중에 의한 이차전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미 설명된 도면 부호 15는 전지 셀(C)의 노출된 면에 끼워지는 셀 커버를 나타낸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제1, 제2 전지 셀(C1,C2)과,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을 수용하는 제1, 제2 셀 수용부(210,220)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210,220) 사이에 배치되며,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수용하는 회로 수용부(250)를 포함하는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 수용부(250)의 상면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210,220)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단차(S)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로 수용부(250)의 상면 또는 하면은 회로 수용부(25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데, 이는 회로 수용부(250)의 사 공간을 줄이고 전체 이차전지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구조이다.
이러한 회로 수용부(250)의 인입 형상은 단순히 전체 이차전지의 부피를 줄이는 목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가 세트 기기(미도시)의 구동 전원으로 적용될 때, 세트 기기와의 물리적인 간섭을 피하고, 세트 기기 내부에서 이차전지의 흔들림이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즉, 세트 기기 내부의 장착 공간이 단차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차전지의 컴팩트한 장착이 가능하며, 세트 기기와 이차전지가 서로에 대해 정합되는 단차 형상으로 조립됨으로써, 세트 기기 내에서 이차전지의 흔들림이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과, 상기 제1, 제2 전지 셀(C1,C2) 사이의 보호 회로(255)를 개재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조립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200U,200L)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1, 제2 전지 셀(C1,C2)과, 보호 회로(255)를 다 함께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00)는 제1, 제2 전지 셀(C1,C2)의 전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전지 셀 본체 11,12 : 전극 탭
15 : 셀 커버 100,200 : 케이스
101,110,120,210,220 : 셀 수용부 104 : 걸림턱
105 : 림 부 1051 : 림 부의 장변부
1052 : 림 부의 단변부 1053 : 림 부의 코너부
150,250 : 회로 수용부 151 : 회로 수용부 본체
1511 : 체결 홀 152 : 커버
1521 : 후크 155 : 보호 회로
1551 : 접속 홀 180 : 라벨 시트
200U : 상부 케이스 200L : 하부 케이스
C,C1,C2 : 전지 셀 CL : 전지 셀의 장변부
CS : 전지 셀의 단변부 CC : 전지 셀의 코너부
OP : 오프닝 S : 단차
g : 갭

Claims (15)

  1.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전지 셀; 및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을 수용하는 제1, 제2 셀 수용부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며,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수용하는 회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회로 수용부의 상면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 각각은,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전단을 둘러싸며 제1, 제2 전지 셀을 수용하기 위한 오프닝을 형성하는 림 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회로의 주된 면은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주된 면과 같이 상하 방향을 바라보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수용부의 상면 및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의 상면은, 제1, 제2 전지 셀의 주된 면과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수용부의 하면과,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의 하면은 같은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지 셀 각각은,
    셀 본체와, 상기 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전극 탭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한 쌍의 장변부와 한 쌍의 단변부를 포함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은 상기 케이스의 장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 각각은,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조립 위치를 정의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림 부는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 부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전단 외주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 부는 상기 제1, 제2 전지 셀의 전단과 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 부는 이음새 없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셀의 전극 탭은 상기 걸림턱을 우회하여 상기 회로 수용부로 연장되고, 상기 회로 수용부 내의 보호 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수용부는,
    상기 제1, 제2 수용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결합되어 본체와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은 상기 제1, 제2 수용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은 개방되어,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은 상기 제1, 제2 셀 수용부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40166621A 2014-11-26 2014-11-26 이차전지 KR101520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21A KR101520392B1 (ko) 2014-11-26 2014-11-26 이차전지
US14/626,763 US9214651B1 (en) 2014-11-26 2015-02-19 Secondary battery
EP15169492.4A EP3026731B1 (en) 2014-11-26 2015-05-27 Secondary battery
CN201510398409.8A CN105633312B (zh) 2014-11-26 2015-07-08 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21A KR101520392B1 (ko) 2014-11-26 2014-11-26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392B1 true KR101520392B1 (ko) 2015-05-14

Family

ID=5328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621A KR101520392B1 (ko) 2014-11-26 2014-11-26 이차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14651B1 (ko)
EP (1) EP3026731B1 (ko)
KR (1) KR101520392B1 (ko)
CN (1) CN1056333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2509S1 (en) * 2014-09-22 2016-03-29 Limefuel, LLC Rechargeable battery device
USD751984S1 (en) * 2014-09-22 2016-03-22 Limefuel, LLC Rechargeable battery device
USD751981S1 (en) * 2014-09-22 2016-03-22 Limefuel, LLC Rechargeable battery device
USD751983S1 (en) * 2014-09-22 2016-03-22 Limefuel, LLC Rechargeable battery device
USD752510S1 (en) * 2014-09-22 2016-03-29 Limefuel, LLC Rechargeable battery device
USD780112S1 (en) 2015-02-18 2017-02-28 Limefuel, LLC Rechargeable battery device
USD788698S1 (en) 2015-02-18 2017-06-06 Limefuel, LLC Rechargeable battery device
USD815032S1 (en) 2015-02-20 2018-04-10 Limefuel, LLC Rechargeable battery device
US20220085461A1 (en) * 2019-10-29 2022-03-17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KR20210091556A (ko) *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Bmu 부품 손상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32933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내부를 관통하는 보강 폴을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393A (ko) * 2007-09-12 2009-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30042095A (ko) *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이차 전지
KR101274923B1 (ko) * 2011-08-16 2013-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81658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937A (ja) * 2000-03-14 2001-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電池及び電池パック
WO2001069699A1 (fr) * 2000-03-14 2001-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ellule secondaire et procede de fixation des fils correspondant, et alimentation electrique du type batterie
KR20050069075A (ko) 2003-12-30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리튬 전지팩
CN201781031U (zh) * 2010-04-29 2011-03-30 上海比亚迪有限公司 一种软包装电池组
US9065085B2 (en) 2011-04-19 2015-06-2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9716258B2 (en) 2011-04-26 2017-07-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TWM432151U (en) 2011-08-24 2012-06-21 Dynapack Internat Technology Corp Energy supply device
KR101925934B1 (ko) 2012-09-06 2018-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3887457B (zh) * 2012-12-21 2018-07-06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组
KR102016754B1 (ko) 2013-02-05 201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016753B1 (ko) 2013-02-05 201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018693B1 (ko) 2013-02-06 2019-09-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393A (ko) * 2007-09-12 2009-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274923B1 (ko) * 2011-08-16 2013-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42095A (ko) *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이차 전지
KR20140081658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6731B1 (en) 2017-12-27
US9214651B1 (en) 2015-12-15
EP3026731A1 (en) 2016-06-01
CN105633312B (zh) 2020-04-24
CN105633312A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392B1 (ko) 이차전지
JP5511051B2 (ja) バッテリパック
US20170163062A9 (en) Wearable / mountable mobile charging device
KR101234241B1 (ko)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KR101520391B1 (ko) 전지 팩
KR20110005168A (ko) 다수의 단위 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40021468A (ko) 배터리 팩
KR101430621B1 (ko) 배터리 팩
KR20120119056A (ko) 배터리 셀 센싱 기판
KR101493829B1 (ko) 전지 팩
KR102284485B1 (ko) 배터리 팩
KR101430618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20140370356A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JP7053097B2 (ja) バッテリパック
KR101520393B1 (ko) 이차전지
KR20180010578A (ko) 배터리 모듈
KR101408047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KR20180102889A (ko) 배터리 모듈
EP2905821A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JP2006172942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2014053281A (ja) キャップ組立体及びそれを具備したバッテリパック
US20130115482A1 (en) Battery pack
KR20150094395A (ko) 전지 팩
JP2005005218A (ja) 接続装置及び電子機器
US9159965B2 (e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