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057B1 -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 Google Patents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057B1
KR101520057B1 KR1020140062097A KR20140062097A KR101520057B1 KR 101520057 B1 KR101520057 B1 KR 101520057B1 KR 1020140062097 A KR1020140062097 A KR 1020140062097A KR 20140062097 A KR20140062097 A KR 20140062097A KR 101520057 B1 KR101520057 B1 KR 101520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ame
shoe
slo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주 filed Critical 이영주
Priority to KR102014006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057B1/ko
Priority to PCT/KR2015/005162 priority patent/WO20151787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에 관통 형성되는 슬롯;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 상기 신발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바퀴; 및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퀴와 연결되고, 상기 슬롯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회전바퀴가 지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면에 접하게 되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ROLLING MODULE MOUNTED ON SHOE}
본 발명은 신발에 장착되는 롤링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 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롤러 스케이트 또는 인라인 스케이트 등도 대중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롤러 스케이트는 일반적으로 회전바퀴가 신발의 바닥부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서, 사용자는 보행을 위해 롤러 스케이트 이외에도 통상의 구두나 운동화를 항시 휴대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신발의 바닥부 내에 회전바퀴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행 겸용 롤러 스케이트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보행 겸용 롤러 스케이트는 간편함과 더불어 대중들의 흥미 유발로 인해 인기를 끌고 있으나, 여러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보행 겸용 롤러 스케이트는 회전바퀴가 신발의 바닥부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므로, 회전바퀴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보행 겸용 롤러 스케이트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속도감을 제공할 수 없다.
아울러, 회전바퀴가 신발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신발의 바닥부 두께가 두꺼워져 신발의 지상고가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회전바퀴를 바닥부 내에 집어 넣고 보행하는 경우, 신발의 높은 지상고로 인하여 보행에 대한 이질감을 느끼게 되고, 또한 발목 등에 대한 부상 위험도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바퀴에 의한 구름 주행 및 도보 이동을 모두 가능케 하면서도, 구름 주행시 사용자에게 충분한 속도감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도보 이동시 사용자에게 보행에 대한 이질감을 줄일 수 있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은, 신발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에 관통 형성되는 슬롯;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 상기 신발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바퀴; 및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퀴와 연결되고, 상기 슬롯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회전바퀴가 지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면에 접하게 되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고, 상기 제1 안착부와 연통 형성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를 향해 잡아당기는 탄성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와 각각 연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보다 멀리 떨어진 상사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안착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호 이격된 복수의 회전바퀴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샤프트; 및 상기 한쌍의 샤프트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각각 수직을 이루는 버티컬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탄성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 중 일부가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 중 나머지가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 및 상기 전방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전방 하우징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보; 상기 연장보에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고정홀; 상기 후방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홀; 및 상기 제1 고정홀을 통해 상기 제2 고정홀에 체결되어 상기 연장보를 상기 후방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방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쿠션부; 및 상기 후방 하우징,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상기 쿠션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밑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신발에 감기도록 형성되는 신발 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발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고정끈; 및 상기 고정끈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끈을 감기 위한 끈조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에 의하면, 회전바퀴가 하우징의 측방에 배치되어 신발의 측방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회전바퀴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보다 전체적인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발의 지상고가 상당량 낮아지게 되어, 보행에 대한 이질감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발목 부상 위험도 낮출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관련된 버티컬 프레임의 구성에 의하면, 샤프트가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어, 회전바퀴의 지름을 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바퀴를 이용한 구름 주행시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속도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프레임(15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슬롯(13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이 신발(S)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은 하우징(110), 슬롯(130), 프레임(150), 회전바퀴(170), 및 탄성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방 하우징(111), 후방 하우징(112), 및 길이 조절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11)은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진행 방향 측에 배치되고, 후방 하우징(112)은 전방 하우징(111)의 뒷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11) 및 후방 하우징(112)은 각각 측벽부(113) 및 바닥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115)는 전방 하우징(111)과 후방 하우징(112)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길이 조절부(115)는 연장보(116), 제1 고정홀(117), 제2 고정홀(118), 및 고정볼트(119)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보(116)는 전방 하우징(111)의 바닥부(114)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홀(117)은 연장보(116)에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홀(118)은 후방 하우징(112)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119)는 제1 고정홀(117)을 통해 제2 고정홀(118)에 체결됨으로써, 전방 하우징(111)을 후방 하우징(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슬롯(130)은 프레임(150)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슬롯(130)은 하우징(110)의 측벽부(113)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슬롯(13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프레임(150)은 회전바퀴(170)에 대한 회전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프레임(150)은 전방 프레임(151) 및 후방 프레임(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51)은 전방 하우징(111)에 설치되고, 후방 프레임(152)은 후방 하우징(112)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5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회전바퀴(170)는 4개로 구성되며, 각각 하우징(11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바퀴(170)는 전방 하우징(111)에 설치되는 한쌍의 전방 회전바퀴(171)와, 후방 하우징(112)에 설치되는 한쌍의 후방 회전바퀴(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회전바퀴(171) 및 후방 회전바퀴(172)는 각각 신발(S)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회전바퀴(170)는 5cm 내지 10cm의 비교적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180)는 프레임(150)을 슬롯(13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탄성부(180)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장 스프링은 프레임(150) 및 하우징(110)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어, 프레임(150)을 슬롯(130)의 끝단부를 향해 잡아당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탄성부(180)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이 프레임(150)을 슬롯(130)의 끝단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에 의하면, 길이 조절부(115)를 통해 사용자의 신발(S) 크기에 맞게 하우징(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고정홀(117) 및 제2 고정홀(118)로부터 고정볼트(119)를 풀어 연장보(116)의 체결 길이를 적절히 조절한 후, 고정볼트(119)를 또 다른 제1 고정홀(117)을 통해 제2 고정홀(118)에 체결함으로써, 하우징(110)의 총 길이를 자신의 신발(S) 길이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바퀴(170)가 하우징(110)의 측방에 배치되므로, 회전바퀴(170)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회전바퀴(170)의 지름을 크게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속도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프레임(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프레임(15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전술한 전방 프레임(151)을 프레임(150)의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150)은 샤프트(153), 지지 프레임(154), 버티컬 프레임(155), 및 절곡 프레임(156)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53)는 회전바퀴(17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54)은 슬롯(130)에 삽입되어 그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다. 지지 프레임(154)은 샤프트(153)의 하측에 그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버티컬 프레임(155)은 샤프트(153)와 지지 프레임(154)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버티컬 프레임(155)은 샤프트(153) 및 지지 프레임(154)에 대해 각각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될 있다. 절곡 프레임(156)은 지지 프레임(154)에 대해 절곡되어 연장되며, 전체적으로 'ㄷ'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샤프트(153)가 버티컬 프레임(155)을 통해 지지 프레임(154)과 연결되므로, 샤프트(153)가 버티컬 프레임(155)의 길이 만큼 지지 프레임(154)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바퀴(170)의 지름은 버티컬 프레임(155)의 길이 만큼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50)은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간에 변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프레임(150)이 제2 위치(P2)일 때 회전바퀴(170)는 하우징(110)의 하한면(U)보다 상측에 배치되어야만 한다. 이 경우, 샤프트(153)가 지지 프레임(154)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면, 프레임(150)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위치(P2)로 이동한 경우에도 회전바퀴(170)가 지면과 맞닿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버티컬 프레임(155)의 구성에 의해 샤프트(153)가 지지 프레임(154)보다 상측에 배치되므로, 프레임(150)이 제2 위치(P2)일 때에도 회전바퀴(170)가 지면과 맞닿게 될 가능성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회전바퀴(170)의 지름을 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한쌍의 지지 프레임(154)은 전술한 절곡 프레임(156)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110)의 길이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 프레임(156)은 전술한 탄성부(180)가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ㄷ'자 형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어, 전방 하우징(111)의 길이를 확장하지 않고도 전방 하우징(111) 내에 탄성부(180)를 설치할 수 있고, 아울러 프레임(150)의 이동시에도 탄성부(180)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슬롯(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슬롯(130)의 측면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전술한 후방 하우징(112)을 하우징(110)의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슬롯(130)은 제1 안착부(131), 걸림돌기(132), 걸림홈(133), 제2 안착부(134), 상사점부(135), 제1 변위영역부(136), 및 제2 변위영역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31)는 프레임(150)이 제1 위치(P1)일 때 안착되는 지점이다. 여기서, '제1 위치(P1)'란 회전바퀴(170)가 지면과 맞닿게 배치되도록 하는 프레임(150)의 위치를 지칭한다. 걸림돌기(132)는 프레임(150)을 제1 안착부(131)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걸림돌기(132)는 제1 안착부(131)로부터 프레임(150)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33)은 슬롯(130)의 내면 중 걸림돌기(132)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33)은 프레임(150)이 걸림돌기(132)를 건너 제1 안착부(131)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제2 안착부(134)는 프레임(150)이 제2 위치(P2)일 때 안착되는 지점이다. 여기서, '제2 위치(P2)'란 하우징(110)의 하한면(U, 도 5 및 도 6 참조)이 지면과 맞닿게 배치되도록 하는 프레임(150)의 위치를 지칭한다.
상사점부(top dead point, 135)는 프레임(150)이 평형 상태(equilibrium)를 이루게 되는 지점이다. 이를 위해, 상사점부(135)는 하우징(110)에 대한 탄성부(180)의 고정단(181)으로부터 제1 안착부(131) 및 제2 안착부(134)보다 멀리 떨어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변위영역부(136) 및 제2 변위영역부(137)는 각각 제1 안착부(131)와 상사점부(135) 사이의 영역, 및 상사점부(135)와 제2 안착부(134) 사이의 영역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슬롯(130) 및 프레임(15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54)은 제1 위치(P1)일 때 제1 안착부(131)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곡 프레임(156, 도 1 및 도 2 참조)에는 탄성부(180)가 연결되어 그를 잡아당기게 되므로, 절곡 프레임(156)과 연결된 지지 프레임(154)은 제1 안착부(131)의 폐쇄단을 향해 압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안착부(131)의 개방단 측에는 걸림돌기(132)가 배치되므로, 주행 중 회전바퀴(17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지지 프레임(154)은 제1 안착부(13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일상적인 도보로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지지 프레임(154)은 제2 안착부(134)를 향해 이동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50)에 외압이 가해지면, 지지 프레임(154)은 걸림홈(133)을 통해 제1 변위영역부(136)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큰 외압이 가해지면, 지지 프레임(154)은 상사점부(135)까지 이동하게 된다.
지지 프레임(154)이 상사점부(135)까지 이동하게 되면, 지지 프레임(154)은 탄성부(180)의 인장력에 의해 제2 변위영역부(137)를 따라 제2 안착부(134)까지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지지 프레임(154)을 보다 쉽게 제2 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레임(150)이 제2 위치(P2)일 때 회전바퀴(170)는 하우징(110)의 하한면(U)보다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하한면(U)을 통해 지면을 디디며 도보 이동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사용자가 다시 회전바퀴(170)를 통해 구름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프레임(150)을 다시 제1 위치(P1)로 이동시켜 회전바퀴(17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54)이 외력에 의해 제2 안착부(134)로부터 상사점부(135)까지 이동하게 되면, 지지 프레임(154)이 탄성부(180)의 인장력에 의해 제1 안착부(131)를 향해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프레임(150)이 제1 위치(P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작동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프레임(150)이 제1 위치(P1)일 때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프레임(150)이 제2 위치(P2)일 때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150)이 제1 위치(P1)일 때, 회전바퀴(170)는 하우징(110)의 하한면(U)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지면과 맞닿게 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50)이 제2 위치(P2)일 때, 회전바퀴(170)는 하우징(110)의 하한면(U)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하우징(110)의 하한면(U)이 지면과 직접 맞닿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사용자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 하나만으로도 회전바퀴(170)를 이용한 구름 주행은 물론 도보 이동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이 신발(S)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은 쿠션부(183), 밑창부(184), 및 신발 고정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183)는 전방 하우징(11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부(183)는 폴리머폼(polymer foam)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플렉시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밑창부(184)는 후방 하우징(112), 전방 하우징(111), 및 쿠션부(183)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밑창부(184)는 쿠션부(183)보다 흠집에 강한 러버(rubber) 계열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신발 고정부(185)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을 신발(S)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신발 고정부(185)는 고정끈(186), 끈조임부(187), 및 벨크로 테잎(188)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끈(186)은 하우징(110)에 연결되어, 신발(S)에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끈조임부(187)는 고정끈(186)과 연결되어 이를 감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끈조임부(187)는 고정끈(186)이 감겨지는 보빈(bobbin)과, 감겨진 보빈의 역회전을 막기 위한 래칫(ratche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벨크로 테잎(188)은 하우징(110)에서 연장되어 신발(S)의 발등부를 감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 하우징(111) 및 후방 하우징(112)의 총 길이는 대략 18cm 내지 22cm로 구성되어서, 사용자의 발의 뒤꿈치로부터 발가락 관절의 시작부까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발가락 관절에 대응하는 영역에 가요성의 쿠션부(183)가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발 앞꿈치를 상대적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50)이 제2 위치(P2)에 배치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을 신고서 비교적 자유로이 도보할 수 있다.
아울러,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은 상술한 끈조임부(187)의 회전을 통해 신발(S)과 손쉽게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은 고정끈(186) 및 끈조임부(187) 이외에, 벨크로 테잎(188)을 더 구비하므로, 사용자는 신발(S)을 착용한 후에 벨크로 테잎(188)을 부착함으로써,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100)이 사용자의 발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110: 하우징
111: 전방 하우징 112: 후방 하우징
113: 측벽부 114: 바닥부
115: 길이 조절부 130: 슬롯
131: 제1 안착부 132: 걸림돌기
133: 걸림홈 134: 제2 안착부
135: 상사점부 136: 제1 변위영역부
137: 제2 변위영역부 150: 프레임
151: 전방 프레임 152: 후방 프레임
153: 샤프트 154: 지지 프레임
155: 버티컬 프레임 156: 절곡 프레임
170: 회전바퀴 171: 전방 회전바퀴
172: 후방 회전바퀴 180: 탄성부
181: 고정단 183: 쿠션부
184: 밑창부 185: 신발 고정부

Claims (13)

  1. 신발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에 관통 형성되는 슬롯;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 상기 신발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바퀴; 및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퀴와 연결되고, 상기 슬롯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회전바퀴가 지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면에 접하게 되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고, 상기 제1 안착부와 연통 형성되는 제2 안착부; 및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를 향해 잡아당기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와 각각 연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보다 멀리 떨어진 상사점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안착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호 이격된 복수의 회전바퀴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샤프트; 및
    상기 한쌍의 샤프트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7. 신발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에 관통 형성되는 슬롯;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 상기 신발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바퀴; 및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퀴와 연결되고, 상기 슬롯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회전바퀴가 지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면에 접하게 되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호 이격된 복수의 회전바퀴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샤프트;
    상기 한쌍의 샤프트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각각 수직을 이루는 버티컬 프레임을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탄성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 중 일부가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 중 나머지가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 및
    상기 전방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전방 하우징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보;
    상기 연장보에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고정홀;
    상기 후방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홀; 및
    상기 제1 고정홀을 통해 상기 제2 고정홀에 체결되어 상기 연장보를 상기 후방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방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쿠션부; 및
    상기 후방 하우징,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상기 쿠션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밑창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신발에 감기도록 형성되는 신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고정끈; 및
    상기 고정끈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끈을 감기 위한 끈조임부를 포함하는,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KR1020140062097A 2014-05-23 2014-05-23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KR10152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97A KR101520057B1 (ko) 2014-05-23 2014-05-23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PCT/KR2015/005162 WO2015178723A1 (ko) 2014-05-23 2015-05-22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97A KR101520057B1 (ko) 2014-05-23 2014-05-23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057B1 true KR101520057B1 (ko) 2015-05-14

Family

ID=5339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097A KR101520057B1 (ko) 2014-05-23 2014-05-23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0057B1 (ko)
WO (1) WO201517872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8970A (en) * 1993-07-28 1995-03-21 Tucky; Edward W. Shoes for walking and roller skating
KR200276787Y1 (ko) * 2002-02-19 2002-05-27 전일 접이식 신발 겸용 롤러스케이트
KR200292550Y1 (ko) * 2002-07-19 2002-10-25 에스캠 시스템 리미티드 롤러가 구비된 신발 구조
KR20110100897A (ko) * 2010-03-05 2011-09-15 김현 인라인 스케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8970A (en) * 1993-07-28 1995-03-21 Tucky; Edward W. Shoes for walking and roller skating
KR200276787Y1 (ko) * 2002-02-19 2002-05-27 전일 접이식 신발 겸용 롤러스케이트
KR200292550Y1 (ko) * 2002-07-19 2002-10-25 에스캠 시스템 리미티드 롤러가 구비된 신발 구조
KR20110100897A (ko) * 2010-03-05 2011-09-15 김현 인라인 스케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8723A1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2345B2 (ja) 引張構造体を有する履物物品
KR100662805B1 (ko)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발등조임장치.
US3638333A (en) Snowshoe and harness
RU2015128139A (ru) Системы натяжения обуви
CN107397292A (zh) 具有生物力学脚部支撑的凉鞋
CN104394728A (zh) 具有鞋盖的无鞋舌鞋子
US20080265532A1 (en) Roller skate
JP2020531231A5 (ko)
KR100967653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1520057B1 (ko) 신발 장착형 롤링 모듈
KR200392500Y1 (ko) 발판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
KR101255186B1 (ko) 깁스용 신발
CN208065727U (zh) 可穿戴设备
KR101157543B1 (ko) 신발끈 장력조정 구조 신발
KR20130024683A (ko)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KR200378100Y1 (ko) 바퀴달린 신발을 위한 착탈형 바퀴 유니트
KR200476314Y1 (ko) 아이젠이 부착된 신발
KR101149477B1 (ko)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US20080296854A1 (en) Pair of wheeled skate-skis usable on most terrains
KR20150098829A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1868569B1 (ko) 탈착구조를 갖는 기능성 슈즈
KR200426711Y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100822049B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200364894Y1 (ko) 신발 겸용 변신 인라인 스케이트
KR20100009041U (ko) 샌들의 결속밴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