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733B1 -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733B1
KR101519733B1 KR1020130126447A KR20130126447A KR101519733B1 KR 101519733 B1 KR101519733 B1 KR 101519733B1 KR 1020130126447 A KR1020130126447 A KR 1020130126447A KR 20130126447 A KR20130126447 A KR 20130126447A KR 101519733 B1 KR101519733 B1 KR 101519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onnector
present
exercise devi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6896A (ko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102013012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7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00Parallel bars or simi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에 대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은 운동용 봉을 결합하여 이어 주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기구로 형상화하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구 본체(10);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육면체의 각 면들 중 적어도 한 곳 또는 그 이상의 면들에 형성되어 봉(20)을 유도하여 끼워서 고정하는 결합 유도홈(11)들; 상기 결합 유도홈(11)의 선단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봉(20)의 결합을 유도하는 구배면(13); 상기 결합 유도홈(11)을 따라 진입하는 봉(20)의 선단을 안내하여 결합하여 흔들림 유동 없이 바로 잡아주는 가이드 턱(14);을 포함하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목적으로 사용되는 봉을 다 방향에서 간단하게 연결하여 이어서 결합하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 조합 운동기구는 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필요하다. 본인의 선등록 국내 등록실용 제20-0456516호에 기재된 '다용도 체육기구'에 기재된 내용은 다용도 체육기구를 구성하는 결합부재들을 여러 방향면에서 쉽고 간단하게 기능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상기 기술은 연결장치를 지지대를 축으로 장착시키기 위하여 구멍이 뚫린 홀이 형성된 연결장치 본체, 연결장치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막대형 결합부재를 안착시키는 안착홈과, 연결장치 본체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링이나 막대형 결합부재를 끼울 수 있는 핑거가 달린 그립홀더를 구비하는 것으로 이 기술은 막대나 봉을 여러 방향에서 연결하거나 결합하여 이어 줄 수 없는 단점 때문에 봉 조합운동기구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인의 또 다른 선등록 국내 등록실용 제20-0456524호에 개시된 '다용도 체육기구'에 소개된 내용은 다용도 체육기구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쓰러짐을 방지하며 운동이나 놀이중 지지베이스에 신체가 접촉하여 신체 상해가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도 지지베이스를 바닥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체육기구에 관한 것으로 마찬가지로 이 기술은 막내나 봉을 여러 방향에서 연결하거나 조립하거나 결합하여 이어 줄 수 없으므로 봉 조합 운동기구로 활용하는데 미흡했다.
이에 본 출원인 발명자는 봉을 효과적이면서도 간단하게 연결하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기구를 여러 형상으로 다변화시키면서 운동 및 체육 그리고 신체단련 교구나 운동용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구'를 개발하였으며 그 형상은 정육방면체인 큐빅 형상으로 구체화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651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652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및 체육용도로 활용하는 봉을 효과적이면서도 간단하게 연결하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 및 체육 기구를 여러 형상으로 다변화시키면서 운동 및 체육 그리고 신체단련 교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을 쉽고 간단하면서도 원하는 대로 다방면에서 결합가능하도록 유도하여 결합할 수 있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이어서 결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봉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막을 포함하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는,
운동용 봉을 결합하여 이어 주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기구로 형상화하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육면체의 각 면들 중 적어도 한 곳 또는 그 이상의 면들에 형성되어 봉의 단부를 유도하여 끼워서 고정하는 결합 유도홈들;
상기 결합 유도홈의 선단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봉의 초기 진입과 결합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구배면;
상기 결합 유도홈을 따라 진입하는 봉의 선단을 안내하여 결합하여 흔들림 유동 없이 바로 잡아주는 가이드 턱;을 포함하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 본체의 면에 형성되는 결합 유도홈의 어느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 최대 5곳이 격벽으로 막혀 있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는, 운동 및 체육용도로 활용하는 봉을 효과적이면서도 간단하게 연결하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 및 체육 기구를 여러 형상으로 다변화시키면서 운동 및 체육 그리고 신체단련 교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을 쉽고 간단하면서도 원하는 대로 다방향에서 결합가능하도록 유도하여 결합할 수 있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이어서 결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봉의 이탈을 방지하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반 단면 형상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조합 과정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봉 결합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를 통한 봉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에 의한 다방향 봉 결합 상태 전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봉 결합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사용된 봉 조합 운동기구 제품의 다양한 구성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10과 같이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봉을 연결하거나 조합하거나 이어서 다양한 형상의 봉 조합 운동기구 제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반 단면 형상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조합 과정 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절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봉 결합 상태 예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를 통한 봉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의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에 의한 다방향 봉 결합 상태 전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봉 결합 상태도 이다.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 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사용된 봉 조합 운동기구 제품의 다양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용 봉(20)을 결합하여 이어 주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기구로 형상화하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10)로 구성된다.
연결구(10)의 주요부분은 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구 본체(10)로 구성된다. 본체는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육방면체인 연결구(10)는 한번의 사출 성형법으로 완성하기 어렵고 이등분하여 한쪽씩 성형을 완료하고 후 공정으로 본딩 등으로 접합하여 완성된다. 물론 기계가공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경제성이 떨어져 이등분 사출 성형 제작으로 접합하여 큐빅 모양의 육방면체로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구 본체(10)의 육면체의 각 면들 중 적어도 한 곳 또는 그 이상의 면들에 형성되어 봉(20)을 유도하여 끼워서 고정하는 결합 유도홈(11)들이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 유도홈(11)들은 봉(20)의 선단부가 끼워져 결합 되도록 결합력을 지탱하는 부분으로서 육면체에서 결합 유도홈(11)의 깊이는 다른 어떤 구조에 비해 봉(20)의 외경에 대한 밀착 접촉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봉(20)의 빠짐이나 이탈 등의 문제 없이 견고한 상태로 봉(20)을 결합하고 지지한다.
그리고 결합 유도홈(11)의 선단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봉(20)의 결합을 유도하는 구배면(13)은 봉(20)의 선단면이 결합 유도홈(11)의 엣지 면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구멍의 크기를 확장하는 형상이므로 봉(20)의 초기 결합을 쉽고 빠르게 유도하며 또한 구배면(13)의 처리로 결합 유도홈(11)의 변형이나 구멍 사이즈 확장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연결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유도홈(11)을 따라 진입하는 봉(20)의 선단을 안내 결합하여 봉(20)을 흔들림 유동 없이 바로 잡아주는 가이드 턱(14)을 내부에 더 포함함으로써 봉(20)을 잡아주기 위한 별도의 패킹이나 보강제의 사용 없이 견고한 상태로 봉(20)을 결합하고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 본체(10)의 면에 형성되는 결합 유도홈(11)의 어느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 최대 5곳이 격벽(12)으로 막혀 있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10)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2)의 형성 위치가 육면체 중 6면을 모두 결합 유도홈(11)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어 격벽(12)과 결합 유도홈(11)이 복합 되어 도 10과 같은 다방면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연결구(10)가 적용된 봉 조합 운동기구의 완성 제품 예이다. 바닥에 세워지는 지지대(30)를 연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상부측 봉(20)을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연장하는 등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봉 운동기구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도 11로부터 응용되거 변형된 제품들일 수 있으며, 이 밖에 여러 가지 형상과 모양으로 다양한 제품으로 제작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 연결구(본체)
11: 결합 유도홈
12: 격벽
13: 구배면
14: 가이드 턱
20: 봉(막대)

Claims (2)

  1. 운동용 봉을 결합하여 이어 주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기구로 형상화하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구 본체(10);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육면체의 각 면들 중 적어도 한 곳 또는 그 이상의 면들에 형성되어 봉(20)을 유도하여 끼워서 고정하는 결합 유도홈(11)들; 상기 결합 유도홈(11)의 선단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봉(20)의 결합을 유도하는 구배면(13); 상기 결합 유도홈(11)을 따라 진입하는 봉(20)의 선단을 안내하여 결합하여 흔들림 유동 없이 바로 잡아주는 가이드 턱(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면에 형성되는 결합 유도홈(11)의 어느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 최대 5곳이 격벽(12)으로 막혀 있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
  2. 삭제
KR1020130126447A 2013-10-23 2013-10-23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 KR10151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447A KR101519733B1 (ko) 2013-10-23 2013-10-23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447A KR101519733B1 (ko) 2013-10-23 2013-10-23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896A KR20150046896A (ko) 2015-05-04
KR101519733B1 true KR101519733B1 (ko) 2015-05-12

Family

ID=5338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447A KR101519733B1 (ko) 2013-10-23 2013-10-23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7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4906A (en) 1998-02-06 1999-07-20 Mattel, Inc. Pin connector for construction toy set
KR200174448Y1 (ko) 1998-05-14 2000-04-01 이수희 놀이용 블록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4906A (en) 1998-02-06 1999-07-20 Mattel, Inc. Pin connector for construction toy set
KR200174448Y1 (ko) 1998-05-14 2000-04-01 이수희 놀이용 블록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896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3951S1 (en) Vibrating fitness ball
US8464664B1 (en) Pet toy convertible between a compact configuration and an expanded configuration
USD889214S1 (en) Sport spoon
USD718005S1 (en) Cage-shaped pet toy
USD879626S1 (en) Scoreboard for a tossing game
USD810849S1 (en) Barbell end cap self-mobilization tool
USD876557S1 (en) Exercising apparatus
SE0950687A1 (sv) Spelenhet för sällskapsdjur och metod för träning eller annan stimulering av ett sällskapsdjur
ITRN20130007A1 (it) Attrezzatura per esercizi ginnici
US10758773B2 (en) Abdominal exercise mat
US20140066266A1 (en) Wooden dummy
USD898844S1 (en) Cross-member for a climbing hold exercise rig
US9149700B1 (en) Quick start to drive force
KR101519733B1 (ko)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
USD656995S1 (en) Multi-player nine square, three-dimensional game
KR101741880B1 (ko)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골 바스켓
KR20150046897A (ko) 봉 조합형 운동기구
KR200469159Y1 (ko) 다용도 짐볼
KR101741879B1 (ko)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골 네트
USD764794S1 (en) Toy golf club caddy
CN207575701U (zh) 一种羽毛球拍固定装置
KR101741878B1 (ko)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
KR20130062782A (ko) 안마봉
JP2016112145A (ja) ユニット式組立構造物キット
JP3111264U (ja) 足踏み健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