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730B1 -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730B1
KR101519730B1 KR1020130121762A KR20130121762A KR101519730B1 KR 101519730 B1 KR101519730 B1 KR 101519730B1 KR 1020130121762 A KR1020130121762 A KR 1020130121762A KR 20130121762 A KR20130121762 A KR 20130121762A KR 101519730 B1 KR101519730 B1 KR 101519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tainer
receiving groove
groove
reso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938A (ko
Inventor
나병철
김병구
이원용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7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터를 덮어 절연시키는 절연커버, 상기 절연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터미널 결합부,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부를 물어 잡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회전기의 레졸버에 관한 것으로, 절연커버와 터미널부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코일의 장력을 완화하여 단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 A resolver of a rotating mach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본 발명은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기의 제어를 위해 로터의 회전각속도 및 회전각을 측정하는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기의 레졸버(resolver)는 회전기의 제어를 위해 로터의 회전각속도 및 회전각을 측정하는 센서로, 로터의 회전각도에 대하여 sin 및 cos 상태로 변화하여 발생하는 전압으로부터 sin 출력과 cos 출력의 캐리어 진폭비를 판독함으로써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된다.
레졸버는 스테이터의 상하면에 절연커버를 덮어 절연시킨 상태에서 스테이터의 티스부에 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코일을 스테이터의 티스부에 권취한 후에는 터미널 단자에 매어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이때 코일이 느슨하지 않고 긴장되게 연결되면 충격이나 진동 및 온도 변화에 의해 단선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코일의 장력을 완화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가령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등록특허 제3299702호(고정자 코일 방법 및 고정자 코일 구조)에는 권취시에 봉부재(10)를 터미널 단자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권선 단부에 느슨한 부분이 형성되게 하였다. 이는 권선작업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해야 하고 그 봉부재(10)의 위치에 따라 긴장이 달라지게 되므로 제품의 균질성과 작업성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터미널 단자를 외부의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부가 절연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터미널부의 일부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절연커버도 함께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터미널부와 절연커버를 분리시켜 제조한 후 탈착가능하게 조립하는 경우에도 그 조립구조에 따라 결합력이 약하여 조립부분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구조가 복잡한 경우에는 탈착하는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절연커버와 터미널부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조립구조를 구비한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의 장력을 완화하여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회전기의 레졸버는 스테이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기의 레졸버로서, 상기 스테이터를 덮어 절연시키는 절연커버, 상기 절연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터미널 결합부,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부를 물어 잡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터미널 단자를 지지하는 터미널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몸체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제2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터미널부의 제1몸체부가 끼워지는 제1터미널 수용홈과 상기 제2몸체부가 끼워지는 제2터미널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몸체와 상기 제1터미널 수용홈의 내측벽 사이에 고정쐐기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리테이너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몸체의 일측에 결합브라켓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브라켓의 일측에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리테이너의 지지홈에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의 일측에 리테이너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상기 터미널부의 리테이너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몸체의 일측에 상기 리테이너의 체결공에 끼워지는 리테이너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회전기 레졸버의 조립방법은,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터미널 수용홈에 상기 터미널부를 삽입하되 소정간격만큼 미삽입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S10단계, 상기 S10단계에 의해 상기 터미널부가 미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에 코일을 권취하여 고정시키는 S20단계, 및 상기 S20단계에 의해 터미널 단자에 코일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부를 소정간격만큼 이동시켜 상기 터미널 수용홈에 완전히 삽입시키는 S3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 레졸버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S10단계에서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터미널 수용홈 내측벽과 터미널부의 사이에 고정쐐기를 삽입하여 터미널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 레졸버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 레졸버는, 상기 터미널부를 물어 잡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S30단계에 의해 상기 터미널부가 터미널 수용홈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결합하는 S40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에 의하면, 절연커버와 터미널부가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코일의 장력을 완화하여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연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측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 레졸버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의 레졸버는 스테이터(10)를 덮어 절연시키는 절연커버(20), 상기 절연커버(20)의 일측에 구비되는 터미널 결합부(30),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터미널부(40), 및 상기 터미널부(40)를 물어 잡아 지지하는 리테이너(5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터(10)는 링 형상의 스테이터 코어(11)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11)의 내측에 다수개의 티스부(12)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커버(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몸체(21)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몸체(21)의 내측에 다수개의 티스절연부(22)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몸체(21)는 스테이터 코어(11)를 덮어 절연하고, 상기 티스절연부(22)는 상기 티스부(12)를 덮어 절연한다.
상기 절연커버(2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11)와 티스부(1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대칭되게 구비된다.
상기 절연커버(20)의 커버몸체(21) 일측에는 터미널 결합부(3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 결합부(30)는 터미널부(40)를 수용하는 터미널 수용홈(3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터미널부(40)는 터미널 수용홈(31)에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끼워지거나 탈거된다.
상기 터미널부(40)는 터미널 단자(46)를 지지하는 터미널몸체(41)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몸체(41)는 제1몸체부(41a)와 제2몸체부(41b)로 구성된다. 상기 제2몸체부(41b)는 상기 제1몸체부(41a)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 단자(46)는 일단에 코일이 연결되고 타단에 리드선(도면 미도시)이 연결되어 코일을 전원공급부와 같은 외부 소자(도면 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터미널 수용홈(31)은 상기 터미널부(40)의 제1몸체부(41a)가 끼워지는 제1터미널 수용홈(31a)과, 상기 제2몸체부(41b)가 끼워지는 제2터미널 수용홈(31b)으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부(40)의 제2몸체부(41b)의 폭은 제1몸체부(41a)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제2터미널 수용홈(31b)의 폭도 제1터미널 수용홈(31a)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터미널 수용홈(31b)에 상기 제2몸체부(41b)가 끼워져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터미널 수용홈(31a)에 제1몸체부(41a)가 끼워져 안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부(40)의 제2몸체부(41b)가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제2터미널 수용홈(31b)에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끼워질 때 상기 제1몸체부(41a)는 상기 제1터미널 수용홈(31a)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제1터미널 수용홈(31a)의 내측벽과 제1몸체부(41a) 사이에 고정쐐기(60)가 삽입되어 제1몸체부(41a)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쐐기(60)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41a)와 제1터미널 수용홈(31a)의 내측벽에 마찰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1몸체부(41a)와 제1터미널 수용홈(31a)의 사이에 변형되면서 끼워져 제1몸체부(41a)가 제1터미널 수용홈(31a)에 억지끼움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부(40)가 미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고, 미삽입된 상태에서 터미널 단자(46)에 코일을 권취한 후 다시 터미널부(40)를 삽입함으로써 코일의 긴장을 이완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하면, 상기 터미널부(40)는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터미널 수용홈(31)에 슬라이드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쐐기(60)가 제1몸체부(41a)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터미널부(40)가 터미널 수용홈(31)에 삽입되기는 하였으나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미삽입 상태의 위치에서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몸체부(41a)와 제1터미널 수용홈(31a)의 사이에 고정쐐기(60)를 삽입하면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1몸체부(41a)를 제1터미널 수용홈(31a)으로 진입시키게 되면(이때 상기 제2몸체부(41b)는 제2터미널 수용홈(31b)으로 진입하기 시작한다), 상기 제1몸체부(41a)가 고정쐐기(60)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는 위치에서 정지하여 고정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부(40)가 터미널 수용홈(31)에 미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면, 그 고정위치에서 터미널 단자(46)에 코일 권선작업을 한 후 다시 외력을 가하여 상기 터미널부(40)를 터미널 수용홈(31)에 완전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권선작업시 코일에 인가되어진 장력을 이완시켜줌으로써 로터 동작시 외력에 의해 코일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코일은 상기 스테이터(10)의 티스부(12)와 상기 절연커버(20)의 티스절연부(22)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몸체(41)에 고정된 상기 터미널 단자(46)에 권선되어 연결되는데, 상기 터미널부(40)를 소정의 간격만큼 미삽입한 상태에서 코일의 권선작업을 한 후 다시 밀어 넣어 완전히 삽입시키게 되면 터미널 단자(46)가 상기 스테이터(10)의 티스부(12) 및 절연커버(20)의 티스절연부(22)에 가까워지면서 코일이 느슨해져 장력이 이완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터미널 수용홈(31)의 내측벽에는 터미널부(40)의 삽입방향을 따라 지지부재(3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부(40)의 제2몸체부(41b) 선단 측면에 상기 지지부재(33)가 끼워지는 지지부재 수용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3)는 터미널부(40)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되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수용홈(45)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상기 터미널몸체(41)가 터미널 수용홈(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부재(33)는 터미널몸체(41)가 터미널 수용홈(31)에 삽입될 때 지지부재 수용홈(45)으로 진입하여 끼워지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50)는 리테이너몸체(51)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몸체(51)의 양단에 결합브라켓(53)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몸체(51)와 결합브라켓(53)은 전체적으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몸체(51)가 터미널부(40)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결합될 때 상기 결합브라켓(53)은 터미널 결합부(30)의 측면과 마주하게 된다.
상기 결합브라켓(53)의 일측에는 지지홈(54)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측면에 상기 리테이너(50)의 지지홈(54)에 끼워지는 지지돌기(3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53)은 리테이너몸체(51)의 선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결합브라켓(53)이 벌어지면서 상기 지지돌기(32)가 지지홈(54)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32)는 단면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몸체(51)가 터미널부(40)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리테이너(50)를 위치시킨 후 아래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결합브라켓(53)의 선단이 상기 지지돌기(3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벌어졌다가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지지돌기(32)가 지지홈(54)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50)의 지지홈(54)에 지지돌기(32)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돌기(32)의 형상으로 인해 지지홈(54)이 지지돌기(32)에 걸려 리테이너(50)가 위쪽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결합브라켓(53)을 벌려 지지홈(54)으로부터 지지돌기(32)가 빠져 나오게 하여 리테이너(50)를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몸체(51)의 일측에 체결공(52)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몸체(41)의 상부면에 상기 리테이너(50)의 체결공(52)에 끼워지는 리테이너 결합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부(40)가 터미널 수용홈(31)에 완전히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몸체(51)가 터미널몸체(41)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브라켓(53)이 터미널 결합부(3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리테이너(50)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몸체(51)의 체결공(52)에 상기 리테이너 결합돌기(44)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리테이너몸체(51)가 체결공(52)을 통해 터미널부(40)의 상부면에 형성된 리테이너 결합돌기(44)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터미널부(40)가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터미널 수용홈(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방향의 반대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저지된다.
상기 터미널부(40)의 일측에는 리테이너 결합홈(42)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50)의 일측에 상기 터미널부(40)의 리테이너 결합홈(42)에 끼워지는 결합턱(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턱(55)은 리테이너몸체(51)의 선단에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 결합홈(42)은 터미널몸체(41)의 상부면에 함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50)가 지지홈(54)에 의해 터미널 결합부(30)에 결합될 때 상기 체결공(52)은 리테이너 결합돌기(44)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턱(55)은 리테이너 결합홈(42)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턱(55)과 리테이너 결합홈(42)은 상기 리테이너 결합돌기(44)와 체결공(52)과 같이 리테이너(50)가 터미널부(40)를 지지하여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결국, 상기 리테이너(50)는 상기 터미널부(40)가 터미널 결합부(30)의 터미널 수용홈(31)에 끼워져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공(52)과 결합턱(55)을 통해 터미널부(40)를 고정지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브라켓(53)을 벌려 지지홈(54)으로부터 지지돌기(32)가 빠져나오게 한 후에 로터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리테이너(50)를 들어 올리게 되면 리테이너 결합돌기(44)가 체결공(52)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리테이너(5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5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부(40)를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터미널 결합부(30)로부터 터미널부(4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50)를 통해 상기 터미널부(40)를 터미널 결합부(30)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탈착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터미널몸체(41)의 일측에는 상기 리테이너 결합홈(42)을 따라 지지턱(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43)은 터미널몸체(4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터미널몸체(41)가 터미널 수용홈(31)에 삽입될 때 터미널 결합부(30)의 선단 외측면에 지지되고, 그로 인해 터미널부(40)가 흔들리지 않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턱(43)은 터미널몸체(41)가 터미널 수용홈(31)에 삽입될 때 터미널 결합부(30)의 선단 외측면에 걸려 터미널몸체(41)가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저지하는 스토퍼의 역할도 하게 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 레졸버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터미널 수용홈(31)에 상기 터미널부(40)를 삽입하되 소정간격(d)만큼 미삽입한 상태로 고정시킨다(S10). 가령, 터미널부(40)를 터미널 수용홈(31)에 삽입하다가 1mm 정도 미삽입하고 그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터미널 수용홈(31) 내측벽과 터미널부(40)의 사이에 고정쐐기(60)를 삽입하여 터미널부(40)가 미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쐐기(6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터미널 수용홈(31)의 내측벽과 터미널몸체(41)의 가공공차를 작게 하여 억지끼움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는 가공에 정밀도를 요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가공공차는 크게 허용하여 삽입이 용이하게 하되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쐐기(60)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S10단계에 의해 상기 터미널부(40)를 미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터미널 단자(46)에 코일을 권취하고 고정시킨다(S20). 코일은 상기 스테이터(10)의 티스부(12)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46)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권취된 상태에서 용접 등을 통해 코일을 터미널 단자(46)에 고정결합시킨다.
상기 터미널 단자(46)에 코일 연결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터미널부(40)를 소정간격(d)만큼 이동시켜 상기 터미널 수용홈(31)에 완전히 삽입시킨다(S30). 이때, 상기 터미널단자(46)가 스테이터(10)의 티스부(12)쪽으로 소정간격(d)만큼 함께 이동되면서 코일이 느슨해지게 된다.
상기 S30단계에 의해 상기 터미널부(40)가 터미널 수용홈(31)에 완전히 삽입되면 마지막으로 상기 리테이너(50)를 결합한다(S40).
상기 S40단계에서는 상기 리테이너(50)의 체결공(52)에 터미널부(40)의 리테이너 결합돌기(44)가 끼워지도록 리테이너(50)를 위치시킨 후 아래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결합브라켓(53)이 벌어지면서 상기 터미널 결합부(30)의 지지돌기(32)가 지지홈(54)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스테이터 11 : 스테이터 코어
12 : 티스부 20 : 절연커버
21 : 커버몸체 22 : 티스절연부
30 : 터미널 결합부 31 : 터미널 수용홈
31a : 제1터미널 수용홈 31b : 제2터미널 수용홈
32 : 지지돌기 33 : 지지부재
40 : 터미널부 41 : 터미널몸체
41a : 제1몸체부 41b : 제2몸체부
42 : 리테이너 결합홈 43 : 지지턱
44 : 리테이너 결합돌기 45 : 지지부재 수용홈
46 : 터미널 단자 50 : 리테이너
51 : 리테이너몸체 52 : 체결공
53 : 결합브라켓 54 : 지지홈
55 : 결합턱 60 : 고정쐐기

Claims (10)

  1. 스테이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기의 레졸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를 덮어 절연시키는 절연커버;
    상기 절연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터미널 결합부; 및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는 터미널 단자를 지지하는 터미널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몸체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제2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터미널부의 제1몸체부가 끼워지는 제1터미널 수용홈과 상기 제2몸체부가 끼워지는 제2터미널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의 레졸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몸체와 상기 제1터미널 수용홈의 내측벽 사이에 고정쐐기가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의 레졸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부를 물어 잡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의 레졸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리테이너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몸체의 일측에 결합브라켓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브라켓의 일측에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리테이너의 지지홈에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의 레졸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의 일측에 리테이너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상기 터미널부의 리테이너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의 레졸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부의 일측에 상기 리테이너의 체결공에 끼워지는 리테이너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의 레졸버.
  8. 스테이터를 덮어 절연시키는 절연커버; 상기 절연커버의 일측에 구비되고, 터미널 수용홈을 구비한 터미널 결합부; 및 코일과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터미널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터미널 수용홈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여 스테이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기 레졸버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터미널 수용홈에 상기 터미널부를 삽입하되 소정간격만큼 미삽입한 상태로 고정시키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의 터미널 수용홈 내측벽과 터미널부의 사이에 고정쐐기를 삽입하여 터미널부를 고정시키는 S10단계;
    상기 S10단계에서 상기 터미널부가 미삽입된 상태로 고정된 경우, 상기 터미널 단자에 코일을 권취하여 고정시키는 S20단계; 및
    상기 S20단계에 의해 터미널 단자에 코일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부를 소정간격만큼 이동시켜 상기 터미널 수용홈에 완전히 삽입시키는 S3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의 레졸버 조립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 레졸버는 상기 터미널부를 물어 잡아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S30단계에 의해 상기 터미널부가 터미널 수용홈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결합하는 S40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기의 레졸버 조립방법.
KR1020130121762A 2013-10-14 2013-10-14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 KR101519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762A KR101519730B1 (ko) 2013-10-14 2013-10-14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762A KR101519730B1 (ko) 2013-10-14 2013-10-14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38A KR20150042938A (ko) 2015-04-22
KR101519730B1 true KR101519730B1 (ko) 2015-05-12

Family

ID=5303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762A KR101519730B1 (ko) 2013-10-14 2013-10-14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286B1 (ko) 2015-11-09 2017-09-11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레졸버
KR101788814B1 (ko) 2015-11-11 2017-10-20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레졸버
KR102372689B1 (ko) * 2020-05-28 2022-03-11 두원중공업(주) 전동압축기용 모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611B1 (ko) * 2009-10-14 2011-04-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구동모터용 레졸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611B1 (ko) * 2009-10-14 2011-04-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구동모터용 레졸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38A (ko)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7936B2 (en) Motor including a bearing holder with through-holes
JP6513203B2 (ja) 電気機械用のステ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476996B2 (en) Resolver external conductor fixing structure
JP5609275B2 (ja) 温度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温度センサの取り付け方法
CN107615026A (zh) 温度传感器的安装构造
KR101519730B1 (ko) 회전기의 레졸버 및 그 조립방법
JP201709801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電線保護部材及び電線ホルダ
CN108781019B (zh) 电机和用于制造电机的方法
CN203301276U (zh) 塑封电机及其出线保护套
JP2014007940A (ja) 電動機にコイルを固定するコイル固定装置、及び該コイル固定装置を備えた電動機
JP2016046937A (ja) ステータコアのサーミスタ配線固定クリップ
JP4514703B2 (ja) 回転検出センサ
JP4716103B2 (ja) 回転センサの製造方法
WO2015056345A1 (ja) モールド固定子、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EP3812724A1 (en) Sensor module for mounting in a motor
JP2010239825A (ja) モータ
JP4681447B2 (ja) 回転検出センサ
CN109586515B (zh) 马达和传感器安装构造
JP201324769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分岐用部材
JP7352785B2 (ja) 電動機
JP5239833B2 (ja) 回転電機ステータへの温度センサ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6250143B2 (ja) 電動機の固定子、モールド電動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5917067B2 (ja) フレキシブルセンサ
CN110504778B (zh) 一种电机接线结构
CN108988544B (zh) 电机接线结构及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