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702B1 -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검출 방법 및 탄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탄 냄새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검출 방법 및 탄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탄 냄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702B1
KR101519702B1 KR1020120129666A KR20120129666A KR101519702B1 KR 101519702 B1 KR101519702 B1 KR 101519702B1 KR 1020120129666 A KR1020120129666 A KR 1020120129666A KR 20120129666 A KR20120129666 A KR 20120129666A KR 101519702 B1 KR101519702 B1 KR 101519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ppb
air conditioner
present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699A (ko
Inventor
김지완
이태희
김석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702B1/ko
Priority to US13/967,599 priority patent/US9086391B2/en
Publication of KR2014007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by organolep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탄 냄새의 성분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분류를 확인하고, 이를 재현하여 인위적으로 탄 냄새를 제조하는 방법 및 탄 냄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석 방법을 통해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탄 냄새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해당 농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재현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재현된 탄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특정의 냄새 제거 장치, 제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유의미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을 통해 탄냄새 이외의 냄새를 재현하는 데에 다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검출 방법 및 탄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탄 냄새 조성물{Detecting Method of burnt smell from Air Conditioner and Reproducing Method thereof, and the burnt smell Composition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탄 냄새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조합을 검출하는 방법과 탄 냄새를 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제조된 탄 냄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깨끗한 공기는 인간의 건강과 웰빙에 기본으로 인식된다. 밀폐된 건물에서 불만족스러운 실내 공기질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두 가지 중요한 요인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제거되거나 희석되어야 할 많은 양의 실내공기오염물질을 야기하는 건물 자체와, 다른 한 요인은 인간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냄새의 발생이다.
냉각기 시스템은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를 조화시키는 공기 조화에 목적을 두어 실내의 온도를 낮추고 실내 환경을 최적화시키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냉각기 시스템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보급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냉각기 시스템의 보급률의 증가로 냉각기의 기본적인 기능은 많은 발전이 있어왔으나, 실내 공기의 질을 위한 환경적 측면으로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있다. 과거에는 냉각시스템으로 실내 온도를 낮추는 기능이 가장 근본적이고 기본적인 기능으로 취급되었다면 현재는 실내 온도를 낮추는 기본적 기능 이외에도 실내공기질, 냄새와 같은 건강적인 측면이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실내 공기질의 저해요소 중에서 탄 냄새, 꼬릿한 냄새, 발냄새 등의 냄새가 소비자의 가장 큰 불만 사항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냉각기의 냄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냄새원인물질을 분석하여 냄새 물질의 근본 원인을 알아보는 방법이 필요하다.
에어컨 냄새의 원인은 곰팡이와 세균의 대사 물질이 에어컨 냄새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해당 곰팡이와 세균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대사 물질을 얼마나 분비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을 통해서는 구체적인 어떠한 성분이 악취 냄새를 발생시키는지에 대하여 밝혀내지 못한 실정이므로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탄 냄새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중에서 특정의 성분이 탄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필요가 대두된다.
실제 고객들이 에어컨에서 불만하는 냄새는 매우 다양하다.(곰팡이 냄새 등 20여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탄 냄새의 성분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분류를 확인하고, 실차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포집하고 이를 재현하여 인위적으로 탄 냄새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많은 악취 중에서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탄 냄새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중에서 탄 냄새가 발생할 때의 악취성분을 밝히고 탄 냄새를 실제 검출된 화학성분으로 인위적으로 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탄 냄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탄 냄새 조성물은 에어컨 이외에 탄 냄새가 발생하는 모든 영역에서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을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① 악취 평가 단계
② 에어컨으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채취하는 단계
③ 상기 채취한 가스의 성분을 분석 하는 단계
④ 조성물 분류 단계
⑤ 조성물 재현 단계
⑥ 반복 평가 단계(5명 이상)
⑦ 대표 원인 조성물 선정 단계
⑧ 탄 냄새 재현 완료
를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를 내는 성분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을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에어컨으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채취하는 단계; 및
(ii) 상기 채취한 가스의 성분을 분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를 내는 성분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의 화합물을 재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하기와 같다.
(i) 본 발명의 분석 방법을 통해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탄 냄새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해당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ii) 본 발명의 분석방법을 통해 확인된 화합물의 조합을 통하여 탄 냄새를 재현할 수 있다.
(iii) 상기 재현된 탄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특정의 냄새 제거 장치, 제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유의미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을 통해 탄 냄새 이외의 냄새를 재현하는 데에 다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탄 냄새를 내는 성분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을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컨 탄 냄새를 내는 혼합물은 하기 농도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 냄새에 포함된 농도 중 헥산알은 0.700-0.900 ppb;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1.000-1.100ppb;
헵탄알 0.500-0.700ppb;
옥탄알 1.100-1.300ppb;
데칸알 1.100-1.400ppb;
1,3,5-트리메틸벤젠 4.000-4.200ppb;
1-메톡시-2-프로판올 2.700-3.000ppb;
데칸 2.800-3.200ppb;
2- 부톡시에탄올 10.000-10.300ppb;
에틸벤젠 2.300-2.700ppb;
헵탄 0.300-0.500ppb;
2-메틸 펜탄 0.700-0.900ppb; 및
n-운데칸 4.200-4.600ppb 인 에어컨 탄 냄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① 악취 평가 단계
② 에어컨으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채취하는 단계
③ 상기 채취한 가스의 성분을 분석 하는 단계
④ 조성물 분류 단계
⑤ 조성물 재현 단계
⑥ 반복 평가 단계(5명 이상)
⑦ 대표 원인 조성물 선정 단계
⑧ 탄 냄새 재현 완료
를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를 내는 성분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 및 탄 냄새 재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탄 냄새 성분 분석 단계 및 탄 냄새 재현 방법에 대하여 도 1에서 순서도로 작성하였다.
본 발명의 에어컨 탄 냄새는 건물, 실내, 승용차, 승합차, 대형 버스 등의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승용차, 승합차, 대형버스 등의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성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성분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상기 단계 (ii)의 가스의 성분은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탄 냄새의 성분인 상기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ii)의 성분 분석은 GC/MS, GC/AED, GC/FID/Olfactometry 또는 HPLC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에 대표적인 분석 방법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다.  그러나 분석 방법은 하기에 작성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Gas Chromatography))
이 시험방법에서 충전물로서 흡착성 고체분말을 사용할 경우에는 기체-고체 크로마토그래피(GSC)라 하고, 적당한 고체지지체(Solid Support)에 정지상 액체를 입힌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GLC)라 한다.
일정유량으로 유지되는 운반기체(Carrier Gas)는 전처리 장치를 거쳐 시료주입부로부터 분리관내로 흘려서 검출기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전처리장비, 시료주입부, 컬럼, 검출기 등은 필요한 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
시료주입부로 기체, 액체를 도입하면 기체는 그대로, 액체는 가열, 기화되어 운반 기체에 의하여 컬럼 내로 유입되고 시료중의 각 성분은 충진물에 대한 각각의 흡착성 또는 용해성의 차이에 의하여 분리관 내에서의 이동속도에 의하여 각각 분리되고 분리관 출구에 접속된 질량분석계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설정된 조건에서 시료를 분리관에 주입시킨 후, 그 중의 어떤 성분이 검출되어 피크를 보일 때까지의 시간을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이라 하며 이 머무름 시간에 운반기체의 유량을 곱한 것을 머무름부피(Retention Volume)라 한다. 이 값은 어떤 특정한 실험조건 하에서는 그 성분물질마다 고유한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성분석을 할 수 있으며, 봉우리의 면적 또는 높이는 시료성분량과 일정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하여 정량분석을 할 수 있다.
전자충격 이온화법은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이온화법이며, 고속전자로 기체상태의 중성 시료분자를 때려서 전자를 떼어내 분자이온(양이온, M+)을 생성한다. 중성분자(M)에서 분자이온(M+)를 만드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이온화에너지(ionizationenergy, IE)라하고, 유기화합물의 이온화에너지는 8?12 eV (800-1200 kJ/mol-1)가 사용된다.
M + e- → M+ + 2 e-
생성된 분자이온 중 내부에너지가 큰 상태인 것들은 분해하여 토막이온(fragment ion)을 만든다.
생성된 이온과 중성분자간의 이분자반응(이온-분자반응)에 의한 이온 생성을 없애기 위하여 이온원 내의 압력을 10-5 torr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필라멘트에서 방출되는 전자살은 이온화 효율이 높고 전자에너지 변화에 따른 질량 스펙트럼의 변화가 적은 70 eV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전자살을 사용하여 표준 질량 스펙트럼을 얻는다. 질량스펙트럼은 분자이온과 토막이온들을 질량대전하비(m/z) 별로 분리 검출하여 기록된 것이다. 표준 질량스펙트럼은 라이브러리(Library)로 저장되어 있고, 이것과 미지시료의 질량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물질을 확인한다.
물리적 방법에 의해서 이온을 질량대전하비(m/z)에 따라 분리하는 장치로서 자기장과 전기장이 단독으로 또는 함께 사용된다. 분석관(Analyzer)으로는 자기장부채꼴, 사중극자, 이온트랩, 비행시간형 등이 있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이 시험방법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에 적용하기 곤란한 비휘발성 물질들을 고정상과 액체 이동상 사이의 물리화학적인 반응성의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공기 중 알데하이드의 정성 및 정량분석에 적용한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목적성분이 분리관내에 주입되었을 때, 고정상과 이동상 사이의 반응성의 차이에 따라 분리가 일어난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알데하이드의 분석에 이용되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이하, HPLC)법은 비극성의 고정상이 지지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분리관을 이용하며, 이동상과 고정상의 두 상에 대한 반응성 및 용해도에 따라 이동 평형이 달라지면서 분리되는 분배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비극성의 고정상을 포함한 컬럼을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극성의 성질을 가진 시료전개 용매를 사용하여 혼합물질 중에 목적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역상액체크로마토그래피라 칭한다.
HPLC 장치의 연결관으로는 스테인리스강, PTFE, PEEK, 유리 등의 재질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은 산화제에 강하고, 부식의 진행을 방해한다. 하지만, 산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연결관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사용 후 반드시 증류수로 세척하여야 한다.
HPLC 검출기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출기로서, 목적성분이 자외선-가시광선 영역의 특정 파장에서 흡수하는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검출기이다.
이러한 자외선-가시광선 검출기는 광원에서 특정 파장의 빛이 광로를 거쳐 검출기 셀 내의 시료에 투사되면, 특정파장의 빛이 시료에 의해 흡수된다. 검출기에서는 이러한 빛의 흡수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나타내어, 신호의 크기로서 시료의 정량분석이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서 탄 냄새 냄새에서 확인되는 성분들을 검출하는 방식에 대해 기재하였다. 그러나 하기에 기재된 성분들을 확인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암모니아 시험방법
이 방법은 대기 중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분석용 시료용액에 페놀-니트로프루시드 나트륨용액과 차아염소산 나트륨용액을 가하고 암모늄이온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인도 페놀류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암모니아를 정량한다.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설파이드 및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시험방법
이 방법은 대기 환경 중에 존재하는 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방법이다.   흡인상자법을 시료채취방법으로 하고, 저온농축-모세 분리관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과 저온농축-충전형 분리관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이하 GC로 한다)을 분석방법으로 한다.
저온농축-모세 분리관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저온농축-충진형 분리관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
시료채취주머니에 채취한 황화물 시료를 저온농축장치에 농축한(냉매를 사용하여 -183℃이하) 다음 탈착과정을 거처 GC로 주입되어 분석된다. 측정은 시료의 채취, 농축, 분리관 주입 단계로 이루어지며, 검출기로는 미량 황화물의 검출이 가능하고 직선성이 좋고, 황화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불꽃염광광도검출기(FPD), 펄스형불꽃염광광도검출기(PFPD), 원자발광검출기(AED), 황화학발광검출기(SCD), 질량분석기(MS) 등의 검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전기냉각저온농축-모세분리관 GC분석법
대기시료 중의 황화합물질을 저온농축관을 이용하여 저온으로 농축하고 중온으로 탈착되어 운반기체의 밀어주는 압력과 저온 트랩 다음단계에 장착된 주사기 펌프(Syringe Pump)에 의한 감압으로 탈착되어 주사기에 이동된다. 이때 주사기펌프에 의한 감압으로 고온 탈착이 아닌 중저온 탈착(100℃이하)이 이루어진다. 주사기펌프(Syringe pump)로 이동된 농축된 시료는 분리관으로 주입되고 분리된 후 검출기에 의해 분석 된다. 또한 저온농축된 시료는 열탈착에 의해 분리관으로 주입 할 수도 있다.
트라이메틸아민 시험방법
이 방법은 대기 환경 중에 존재하는 트라이메틸아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방법이다. 임핀저 방법과 산성여과지 방법을 시료채취방법으로 하고, 저온농축-충전형 분리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이하 GC), 헤드스페이스-모세관 칼럼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 한다.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티르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및 iso-발레르알데하이드 측정방법
이 시험방법은 악취물질 중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티르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및 iso-발레르알데하이드에 대한 농도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한 시험법으로서 알데하이드 물질을 2,4-디니트로페닐히드라존(이하 DNPH라 함) 유도체를 형성하게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이하 HPLC)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이하 GC)로 분석 한다.
DNPH 유도체화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UV) 분석법
이 시험방법은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용매로 추출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자외선(UV)검출기의 360 nm파장에서 분석한다.
DNPH 유도체화 기체크로마토그래프 분석법
이 시험방법은 카보닐화합물과 2,4-Dinitrophenylhydrazine(DNPH)가 반응하여 형성된 DNPH 유도체를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용매로 추출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용매를 전환한 후 GC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프(HPLC) 분석장치
시료분석에 필요한 HPLC는 다음의 조건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이어야 한다. 장치의 구성은 시료주입장치, 펌프, 분리관 및 검출기(자외선 검출기)로 이루어져야한다. 분리관은 비극성 흡착제가 코팅된 역상 칼럼 (ODS 계통 칼럼)을 사용하고 이동상 용매를 혼합비율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주입구(Injector)의 샘플루프(Loop)는 대상 시료의 농도에 따라 20?100 uL의 범위 내의 것을 사용한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 분석장치
기체크로마토그래피는 모세관형 분리관을 사용하며 검출기로는 불꽃이온화검출기(FID : Flame Ionization Detector), 질소인검출기(NPD) 또는 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er)를 사용한다.
스타이렌 시험방법
스타이렌은 단일악취물질로서 시료는 부지경계선에서 채취한다. 고체흡착관을 이용한 방법, 캐니스터를 이용한 방법, 시료채취주머니를 이용한 방법을 시료채취방법으로 하고 저온농축-기체크로마토그래피(이하 GC로 한다)방법과 고체상미량추출장치(이하 SPME라 한다)-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 한다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티르아세테이트, 스타이렌, i-뷰티르알코올 시험방법
이 방법은 대기환경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악취물질인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티르아세테이트, 스타이렌, i-뷰티르알코올을 동시에 측정하기 위한 시험방법이다.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티르아세테이트, 스타이렌, i-뷰티르 알코올은 지정악취물질로서 시료는 부지경계선에서 채취한다. 고체흡착관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저온농축/열탈착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한다.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시험방법
이 방법은 환경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기산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방법이다. 알칼리 함침필터법, 알칼리수용액 흡수법을 시료채취방법으로 하고 채취된 시료의 유기산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하여 헤드스페이스법을 사용하여 전처리하고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n-운데칸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헥산알,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헵탄알, 옥탄알, 데칸알, 1,3,5-트리메틸벤젠, 1-메톡시-2-프로판올, 데칸, 2- 부톡시에탄올, 에틸벤젠, 헵탄, 2-메틸 펜탄, n-운데칸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탄 냄새에 포함된 농도 중 헥산알은 0.700-0.900 ppb;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1.000-1.100ppb;
헵탄알 0.500-0.700ppb;
옥탄알 1.100-1.300ppb;
데칸알 1.100-1.400ppb;
1,3,5-트리메틸벤젠 4.000-4.200ppb;
1-메톡시-2-프로판올 2.700-3.000ppb;
데칸 2.800-3.200ppb;
2- 부톡시에탄올 10.000-10.300ppb;
에틸벤젠 2.300-2.700ppb;
헵탄 0.300-0.500ppb;
2-메틸 펜탄 0.700-0.900ppb; 및
n-운데칸 4.200-4.600ppb 인 에어컨 탄 냄새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관능 평가 실험
1) 차종 선택
A 차종의 자동차의 에어컨에서 나는 냄새를 채취하였다.
2) 관능평가 방법
i) 차량 내부 4개 에어컨 배기구 중 3개를 밀폐시켰다.
ii) 운전석 왼쪽 배기구 부분을 운전석 왼쪽 배기구 부분을 관능평가와 가스채취를 위해 공기가 흐를수 있는 유리관과 비닐을 이용하여 밀폐하였다.
iii) 에어컨을 내기 및 2단 조건에서 작동시켰다.
iv) 선정된 판정자가 유리관에 직접 코를 대고 냄새 세기 및 냄새종류를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은 냄새의 세기에 따른 냄새의 정도를 나타낸 표이며, 관능 검사, 하기 실시예 3 및 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시료를 채취하거나 냄새를 재현하기 위한 혼합물의 제조 과정 후 결과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냄새세기 냄새의 정도
5 자극적이고 강렬한 냄새
4 강한 냄새
3 약하지만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냄새
2 냄새가 감지되나 미미함
1 거의 감지할 수 없는 냄새
0 냄새 없음
실시예 2: 시료채취 과정
1) 차종의 선택
실시예 1과 동일한 차에 대하여 시료 채취를 진행하였다.
2) 시료채취 방법
i) 차량 내부 4개 에어컨 배기구 중 3개를 밀폐하였다.
ii) 운전석 왼쪽 배기구 부분을 관능평가와 가스채취를 위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리관과 비닐을 이용하여 밀폐하였다.
iii) 10L PE 소재로 만든 시료채취용 백 주입부를 유리관에 연결하였다.
iv) 에어컨을 내기 및 2단 조건에서 작동하고, 가스를 채취하였다.
실시예 3: 시료 채취 분석 결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채취한 시료를 흡광광도법, HS-GC/FID, GC/FPD, HPLC/UV, GC/MSD, HS-GC/MS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하기 표 2-5에서는 시료 채취 분석 결과 시험 차량 지정 항목에서 나타난 22대 악취 화합물의 분류 및 각 취기 강도에 대한 검출 농도를 나타내었다.
성 분 명 검출농도(ppb)
암모니아 0.0
아세트알데하이드 25.1
프로피온알데하이드 0.0
뷰티르알데하이드 0.0
아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 0.0
발레르알데하이드 4.8
황화수소 0.0
메틸머캅탄 0.0
다이메틸설파이드 0.0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0.0
트라이메틸아민 0.0
톨루엔 57.7
m,p-자일렌 17.9
o-자일렌 8.6
스타이렌 0.5
메틸에틸케톤 0.7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4.0
뷰티르아세테이트 10.9
프로피온산 0.0
n-뷰티르산 0.0
n-발레르산 0.0
i-발레르산 0.0
i-뷰티르알코올 2.4
성 분 명 검출농도(ppb)
2-Heptanone, 7,7,7-trichloro- 1.2
Silane, methyl- 1.2
1,4-Pentadiene 0.5
Hexane, 3,3,4,4-tetrafluoro- 1.6
Pentane, 2-methyl- 0.8
Propane, 1-chloro-2-methyl- 0.6
Oxetane, 2,3,4-trimethyl-, (2.alpha.,3.a 8.9
2-Propanol, 1-methoxy- 2.9
Sulfide, allyl methyl 0.8
Heptane 0.5
Methyl isobutyl ketone (MIBK) ; 4-methyl 1.3
Toluene 24.4
Hexanal 0.9
Acetic acid, butyl ester 5.7
Heptane, 2,4-dimethyl- 0.4
Cyclotrisiloxane, hexamethyl- 1.4
Heptane, 2,4-dimethyl- 0.8
Butanoic acid, 2-methyl-, ethyl ester 1.1
1-Methoxy-2-propyl acetate 4.6
성 분 명 검출농도(ppb)
Ethylbenzene 2.6
o-Xylene 8.4
Octane, 4-methyl- 0.2
Heptanal 0.7
o-Xylene 4.1
Ethanol, 2-butoxy- 10.1
Decane, 2,5,6-trimethyl- 1.2
Hexanoic acid, methyl ester 0.6
2-Pentanol, 4,4-dimethyl- 0.5
n-Propylbenzene 1.0
Benzene, 1,2,3-trimethyl- 4.0
Benzene, 1,2,3-trimethyl- 1.6
Propanoic acid, 3-ethoxy-, ethyl ester 1.2
Benzene, 1,3,5-trimethyl- 4.0
Decane, 2,5,6-trimethyl- 1.3
Benzene, 1-ethyl-2-methyl- 1.9
Pentanoic acid, 4-methyl-, ethyl ester 1.3
Octanal 1.2
Benzene, 1,2,3-trimethyl- 9.0
Cyclotetrasiloxane, octamethyl- 1.0
Decane 3.0
2-Propyl-1-pentanol 6.1
Benzene, 1,2,3-trimethyl- 3.5
Decane, 2,6,7-trimethyl- 1.6
Cyclohexene, 1-methyl-5-(1-methylethenyl 2.3
Decane, 2-cyclohexyl- 0.9
성 분 명 검출농도(ppb)
2-Propyl-1-pentanol 6.1
Benzene, 1,2,3-trimethyl- 3.5
Decane, 2,6,7-trimethyl- 1.6
Cyclohexene, 1-methyl-5-(1-methylethenyl 2.3
Decane, 2-cyclohexyl- 0.9
2-(1-Hydroxyethyl)hydroxymethylbenzene 1.4
Decane, 2,6,7-trimethyl- 3.6
Hydroxylamine, O-decyl- 1.3
Benzene, 4-ethyl-1,2-dimethyl- 1.1
Nonanal 5.6
2-Propenoic acid, tridecyl ester 0.8
Undecane 4.5
Decane, 2,4,6-trimethyl- 1.4
Benzene, 1,2,4,5-tetramethyl- 1.3
Benzene, 1,2,4,5-tetramethyl- 2.1
p-Trimethylsilyloxyphenyl-(trimethylsily 14.5
3-Hydroxymandelic acid, ethyl ester, di- 0.1
Cyclohexanol, 5-methyl-2-(1-methylethyl) 0.8
Decanal 1.3
Tridecane 1.4
4-(Prop-2-enoyloxy)octane 0.3
Trisiloxane, 1,1,1,5,5,5-hexamethyl-3,3- 0.4
Trisiloxane, 1,1,1,5,5,5-hexamethyl-3,3- 0.9
Pentadecane 1.1
Decane 1.5
Silane, dimethyl(dimethyl(dimethyl(2-iso 36.3
Hydroxylamine, O-decyl- 0.2
Tridecane 1.7
3-Isopropoxy-1,1,1,7,7,7-hexamethyl-3,5, 2.8
실시예 4: 성분의 조합에 의한 탄 냄새의 제조 과정
상기 실시예 3의 표 2및 표 3에 기재된 성분 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뷰티르알데하이드, 톨루엔, o-자일렌, m-자일렌, p-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및 뷰티르아세테이트를 하기 표 6의 농도 조건에 맞추어 혼합한 기체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분자량 밀도 1차표준가스
제조농도
2차표준가스
제조농도
희석용표준가스
제조농도
주입량
[mL]
백용량
[L]
농도
[ppm]
주입량
[mL]
백용량
[L]
농도
[ppb]
농도
[ppb]
백용량
[L]
주입량
[mL]
Hexanal 100.16 0.82 1.0 3.0 61.129 1.0 3.0 20.4 20.4 6.0 2.0
Ethyl 2-methylbutyrate
=Butanoic acid, 2-methyl-,
ethyl ester
130.18 0.87 1.0 3.0 49.900 1.0 3.0 16.6 16.6 7.0 2.3
Heptanal 114.19 0.82 1.0 3.0 53.618 1.0 3.0 17.9 17.9 11.0 3.7
Octanal 128.21 0.82 1.0 3.0 47.755 1.0 3.0 15.9 15.9 17.0 5.7
Decanal 158.28 0.83 1.0 3.0 39.154 1.0 3.0 13.1 13.1 24.0 8.0
1,3,5-Trimethylbenzene 120.20 0.86 2.0 6.0 53.671 1.0 3.0 17.9 17.9 27.0 9.0
1-Methoxy-2-propanol 90.12 0.92 2.0 6.0 76.224 1.0 3.0 25.4 25.4 30.0 10.0
Decane 142.28 0.73 2.0 6.0 38.309 1.0 3.0 12.8 12.8 36.0 12.0
2 - Butoxyethanol 118.18 0.90 2.0 6.0 57.052 1.0 3.0 19.0 19.0 38.0 12.7
Ethylbenzene 106.17 0.87 2.0 6.0 61.185 1.0 3.0 20.4 20.4 40.0 13.3
Heptane 100.21 0.68 2.0 6.0 50.965 1.0 3.0 17.0 17.0 42.0 14.0
2-Methyl pentane, 99% 86.18 0.65 2.0 6.0 56.576 1.0 3.0 18.9 18.9 25.0 8.3
n-Undecane, 99% 156.31 0.74 2.0 6.0 35.349 1.0 3.0 11.8 11.8 25.0 8.3
실험 결과, 하기 표 7에서 실시예 3의 실차 에어컨 냄새의 경우 차량 A에 의거할 때, 강도는 3~4 단계로 모두 냄새의 특성은 탄 냄새였다.
실차 에어컨을 성분 검사한 성분 중 탄 냄새 냄새를 구성하는 검출된 화합물의 조합으로 냄새 조합을 시킨 경우에 실차 조건과 마찬가지로, 강도는 3~4 단계에 이르렀고, 탄 냄새가 났다.
또한 검출된 화합물질들 간의 냄새 조합을 통해 관능평가 기준에 의거할 때 3-4단계로 모두 탄 냄새가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실차 에어컨 냄새 강도 3~4 단계
냄새특성 탄냄새/ 매캐한냄새
방향제
검출된 화학물질로
냄새 조합
강도 3~4 단계
특성 탄냄새
원인 물질 탄화수소류
재현 결과 강도 유사
재현가능 O

Claims (11)

  1. 삭제
  2. 헥산알 0.700-0.900 ppb;
    에틸-2-메틸부티레이트(Butanoicacid,2-methyl-,ethylester) 1.000-1.100ppb;
    헵탄알 0.500-0.700ppb;
    옥탄알 1.100-1.300ppb;
    데칸알 1.100-1.400ppb;
    1,3,5-트리메틸벤젠 4.000-4.200ppb;
    1-메톡시-2-프로판올 2.700-3.000ppb;
    데칸 2.800-3.200ppb;
    2- 부톡시에탄올 10.000-10.300ppb;
    에틸벤젠 2.300-2.700ppb;
    헵탄 0.300-0.500ppb;
    2-메틸 펜탄 0.700-0.900ppb; 및
    n-운데칸 4.200-4.600ppb;
    을 포함하는 에어컨 탄 냄새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129666A 2012-11-15 2012-11-15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검출 방법 및 탄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탄 냄새 조성물 KR10151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66A KR101519702B1 (ko) 2012-11-15 2012-11-15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검출 방법 및 탄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탄 냄새 조성물
US13/967,599 US9086391B2 (en) 2012-11-15 2013-08-15 Method for detecting burnt odor from air conditioner, reproducing burnt odor and preparing corresponding burnt odo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66A KR101519702B1 (ko) 2012-11-15 2012-11-15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검출 방법 및 탄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탄 냄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699A KR20140070699A (ko) 2014-06-11
KR101519702B1 true KR101519702B1 (ko) 2015-05-19

Family

ID=5068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666A KR101519702B1 (ko) 2012-11-15 2012-11-15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검출 방법 및 탄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탄 냄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86391B2 (ko)
KR (1) KR101519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74B1 (ko) * 2013-04-23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에서 나는 물비린내의 검출 방법 및 물비린내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물비린내 조성물
KR101637772B1 (ko) 2014-12-11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 냄새 가속 재현 시험 장치 및 방법
JP6912805B2 (ja) * 2017-09-15 2021-08-04 柴田科学株式会社 カルボニル化合物捕集剤、それを含むサンプラー及びカルボニル化合物の測定方法
US10744359B1 (en) * 2019-09-25 2020-08-18 Charles Pottier Climate change reducing malodorous composition of matter and warning system
CN112740033B (zh) * 2020-02-10 2022-10-14 华测检测认证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件材料气味评价参照样块的制备和使用方法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CN112980575A (zh) * 2021-02-09 2021-06-18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阳光味道香精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26168A0 (en) 1998-09-10 1999-05-09 Aromix Technologies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odor reproduction
JP2002174569A (ja) 2000-12-07 2002-06-21 Odor Research & Engineering Association Of Japan 発生源別臭気のモデル用調合対照ガスとその利用法。
JP2002195970A (ja) 2000-12-27 2002-07-10 Toppan Forms Co Ltd におい伝送再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159475B2 (en) * 2004-02-27 2007-01-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of sampling semivolatile compounds
DE102006035746A1 (de) * 2006-07-28 2008-01-31 Henkel Kgaa Flüssigkeitsträger
JP5545551B2 (ja) 2008-06-23 2014-07-09 アトナープ株式会社 化学物質に関連した情報を取り扱うためのシステム
KR101667416B1 (ko) 2008-07-16 2016-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WO2010008232A2 (ko) 2008-07-16 2010-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519700B1 (ko) * 2012-09-25 201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에서 나는 시큼한 냄새의 검출 방법 및 시큼한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시큼한 냄새 조성물
KR101519701B1 (ko) * 2012-09-25 201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에서 나는 지린 냄새의 검출 방법 및 지린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지린 냄새 조성물
KR101491223B1 (ko) * 2012-12-31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에서 나는 달콤한 냄새의 검출 방법 및 달콤한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달콤한 냄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자동차 에어컨증발기의 코팅에 따른 VOC 및 냄새평가(강원대학교 논문, 2010년 2월) *
"자동차 에어컨증발기의 코팅에 따른 VOC 및 냄새평가(강원대학교 논문, 2010년 2월)*
한국냄새환경학회 2010 춘계학술대회 논문집(2010년 4월) *
한국냄새환경학회 2012 춘계학술대회 논문집(2012년 5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699A (ko) 2014-06-11
US9086391B2 (en) 2015-07-21
US20140131624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702B1 (ko) 에어컨에서 나는 탄 냄새의 검출 방법 및 탄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탄 냄새 조성물
KR101509861B1 (ko) 에어컨에서 나는 쉰 냄새의 검출 방법 및 쉰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쉰 냄새 조성물
KR101519701B1 (ko) 에어컨에서 나는 지린 냄새의 검출 방법 및 지린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지린 냄새 조성물
KR101491224B1 (ko) 에어컨에서 나는 비린 냄새의 검출 방법 및 비린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비린 냄새 조성물
KR101491223B1 (ko) 에어컨에서 나는 달콤한 냄새의 검출 방법 및 달콤한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달콤한 냄새 조성물
KR101500074B1 (ko) 에어컨에서 나는 물비린내의 검출 방법 및 물비린내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물비린내 조성물
KR101519700B1 (ko) 에어컨에서 나는 시큼한 냄새의 검출 방법 및 시큼한 냄새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시큼한 냄새 조성물
KR101491225B1 (ko) 에어컨에서 나는 고린내의 검출 방법 및 고린내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고린내 조성물
Schieweck et al. Analytical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very volatile organic compounds (C 3–C 6) in indoor air
Dunne et al. Comparison of VOC measurements made by PTR-MS, adsorbent tubes–GC-FID-MS and DNPH derivatization–HPLC during the Sydney Particle Study, 2012: a contribution to the assessment of uncertainty in routine atmospheric VOC measurements
KR101449145B1 (ko) 에어컨 냄새 원인 물질 규명 방법
CN110836941A (zh) 一种轨道交通车内气味溯源方法
Merlen et al. Quantitative or only qualitative measurements of sulfur compounds in ambient air at ppb level? Uncertainties assessment for active sampling with Tenax TA®
KR101361394B1 (ko) 에어컨에서 나는 구린내의 검출 방법 및 구린내 재현 방법과 이에 제조된 구린내 조성물
Grandjean et al. Comparison of two Analytical Systems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ppb to ppm-levels of Formaldehyde in Air
Rice et al. Development of Time-Weighted Average Sampling of 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ir with Solid-Phase Microextraction Fiber Housed inside a GC Glass Liner: Proof of Concept
Lamichhane Characterization and Control of Odor Emissions from 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Skowroński et al. Methodology for testing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ing the TD-GC-MS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