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848B1 -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848B1
KR101518848B1 KR1020140124664A KR20140124664A KR101518848B1 KR 101518848 B1 KR101518848 B1 KR 101518848B1 KR 1020140124664 A KR1020140124664 A KR 1020140124664A KR 20140124664 A KR20140124664 A KR 20140124664A KR 101518848 B1 KR101518848 B1 KR 10151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extruded
spiral tube
cooling
wind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식
Original Assignee
(주)원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택 filed Critical (주)원택
Priority to KR102014012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885External treatment, e.g. by using air rings for cooling tubula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29C48/912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 B29C48/913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6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us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압출 성형기에서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프로파일을 압출 성형하되, 그 프로파일의 내부에는 하부중공과 그 하부중공과 상부로 이격되는 상부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는 반원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압출하는 압출 성형단계(S10);와, 상기 압출 성형기를 통해 압출되는 프로파일을 진공상태의 진공조에 진입시켜 진공 상태에서 냉각하여 상기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냉각하는 1차 냉각단계(S20);와, 상기 진공조를 통과하는 프로파일을 영하 20℃의 저온 냉각조로 진입시켜 프로파일의 표면을 급속 냉각하는 2차 냉각단계(S30);와, 상기 냉각조를 통과하는 프로파일의 표면으로 물을 분무시켜 프로파일의 표면과 함께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프로파일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는 3차 냉각단계(S40);와, 상기 3차 냉각단계(S40)를 거친 프로파일을 권취드럼에 감되,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권취드럼에 감기는 프로파일 사이로 형성되는 접착홈으로 용융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프로파일의 양측면을 서로 접합하여 나선관으로 제작하는 접합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을 1차로 대기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진공상태에서 냉각하여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2차로 저온의 냉각조에서 프로파일의 표면을 급속 냉각한 후에 3차로 프로파일의 표면에 분사되는 물을 통해 프로파일의 표면과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프로파일의 외형 및 내부 중공 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완제품인 나선관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취드럼에 감기는 프로파일 사이의 접착홈 저면에 1차로 제1압출노즐을 통해 접착제용 수지를 근접 압출하여 프로파일 사이 및 접착홈의 하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는 제1접착제층을 형성하고, 2차로 제2압출노즐을 통해 제1접착제층 상부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접착홈을 충진하는 제2접착제층을 형성하여 프로파일을 견고하게 접합하는 동시에 나선관의 외주 표면을 굴곡 없이 평평하게 형성하여 나선관과 다른 나선관의 우수한 연결 편의성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Helix tube manufacturing method of a double extrusion}
본 발명은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을 1차로 대기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진공상태에서 냉각하여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2차로 저온의 냉각조에서 프로파일의 표면을 급속 냉각한 후에 3차로 프로파일의 표면에 분사되는 물을 통해 프로파일의 표면과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프로파일의 외형 및 내부 중공 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완제품인 나선관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나선관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대체로 가볍고 내식성이 좋으며 접합이 용이하여 많이 이용되며 굽힘에 대한 강도를 증가시키기고 관의 지름방향의 변형에 대한 버팀력 증강 및 내부 물질의 보온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합성수지 나선관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은 외부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나선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을 갖는 사각형의 프로파일로 제작되는 나선관을 사용하는 곳이 많았다.
하지만, 상기의 합성수지 나선관은 사각형의 프로파일 형상으로 인해 권취드럼에 감기는 프로파일의 측면이 서로 밀착되면 프로파일 사이로 접착제용 수지의 침투가 다소 곤란하여 프로파일의 접합이 다소 약하게 형성되어 제작된 나선관의 프로파일이 종종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으로 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프로파일의 상부에서 상부로 돌출 연장되는 강화돌기를 형성하여 나선관을 제작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은 외주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나선관과 다른 나선관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나선관의 표면이 울퉁불퉁한 형상으로 인해 연결부분의 수밀성이 낮아 빈번하게 누수가 발생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작하기 위해 압출 성형기를 통해 압출 성형되는 프로파일은 곧바로 냉각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나, 종래에는 상온에서 냉각하거나 소정의 온도로 설정된 냉각조에 투입하여 프로파일을 냉각시킴으로, 그 냉각과정에서 대기압에 의해 프로파일이 하방으로 내려앉는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변형은 최종적으로 완제품인 나선관의 불량 원인이 되었다.
더욱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거나, 상부가 돌출되는 강화돌기가 연장 형성되어 다소 높은 중량을 갖는 기능성 프로파일의 경우에 신속하게 내·외부가 냉각되지 못하면, 높은 중량으로 인해 더욱 쉽게 프로파일이 하방으로 내려앉는 변형이 발생하거나 프로파일 내부 중공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을 1차로 대기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진공상태에서 냉각하여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2차로 저온의 냉각조에서 프로파일의 표면을 급속 냉각한 후에 3차로 프로파일의 표면에 분사되는 물을 통해 프로파일의 표면과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프로파일의 외형 및 내부 중공 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완제품인 나선관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권취드럼에 감기는 프로파일 사이의 접착홈 저면에 1차로 제1압출노즐을 통해 접착제용 수지를 근접 압출하여 프로파일 사이 및 접착홈의 하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는 제1접착제층을 형성하고, 2차로 제2압출노즐을 통해 제1접착제층 상부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접착홈을 충진하는 제2접착제층을 형성하여 프로파일을 견고하게 접합하는 동시에 나선관의 외주 표면을 굴곡 없이 평평하게 형성하여 나선관과 다른 나선관의 우수한 연결 편의성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은 압출 성형기에서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프로파일을 압출 성형하되, 그 프로파일의 내부에는 하부중공과 그 하부중공과 상부로 이격되는 상부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는 반원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압출하는 압출 성형단계(S10);와, 상기 압출 성형기를 통해 압출되는 프로파일을 진공상태의 진공조에 진입시켜 진공 상태에서 냉각하여 상기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냉각하는 1차 냉각단계(S20);와, 상기 진공조를 통과하는 프로파일을 영하 20℃의 저온 냉각조로 진입시켜 프로파일의 표면을 급속 냉각하는 2차 냉각단계(S30);와, 상기 저온 냉각조를 통과하는 프로파일의 표면으로 물을 분무시켜 프로파일의 표면과 함께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프로파일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는 3차 냉각단계(S40);와, 상기 3차 냉각단계(S40)를 거친 프로파일을 권취드럼에 감되,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권취드럼에 감기는 프로파일 사이로 형성되는 접착홈으로 용융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프로파일의 양측면을 서로 접합하여 나선관으로 제작하는 접합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을 1차로 대기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진공상태에서 냉각하여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2차로 저온의 냉각조에서 프로파일의 표면을 급속 냉각한 후에 3차로 프로파일의 표면에 분사되는 물을 통해 프로파일의 표면과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프로파일의 외형 및 내부 중공 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완제품인 나선관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취드럼에 감기는 프로파일 사이의 접착홈 저면에 1차로 제1압출노즐을 통해 접착제용 수지를 근접 압출하여 프로파일 사이 및 접착홈의 하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는 제1접착제층을 형성하고, 2차로 제2압출노즐을 통해 제1접착제층 상부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접착홈을 충진하는 제2접착제층을 형성하여 프로파일을 견고하게 접합하는 동시에 나선관의 외주 표면을 굴곡 없이 평평하게 형성하여 나선관과 다른 나선관의 우수한 연결 편의성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나선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의 블럭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나선관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3의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100)은 압출 성형단계(S10)와, 1차 냉각단계(S20)와, 3차 냉각단계(S40)와, 접합단계(S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 성형단계(S10)는 압출 성형기(1)에서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프로파일(10)을 압출 성형하되, 그 프로파일(10)의 내부에는 하부중공(11)과 그 하부중공(11)과 상부로 이격되는 상부중공(12)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부는 반원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압출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10) 내부로 하부중공(11) 및 상부중공(12)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해소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중공(12)은 상기 하부중공(11)에 대비하여 작게 형성하여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부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하중에 의한 상기 프로파일(10)의 변형을 방지하여 완제품인 나선관(200)의 우수한 강성을 확보하도록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e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후설될 상기 접합단계(S50)에서 프로파일(10)이 권취드럼(5)에 감기면 프로파일(10) 사이의 상부에 자연스럽게 접합홈(20)이 형성되므로 접착제 압출기(6)에서 압출되는 접착제용 수지가 용이하게 프로파일(10)의 사이에 침투하여 견고한 프로파일(10)의 접합을 유도하여 완제품인 나선관(200)의 우수한 강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도 1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냉각단계(S20)는 상기 압출 성형기(1)를 통해 압출되는 프로파일(10)을 진공상태(대략 20mmHg)의 진공조(2)에 진입시켜 진공 상태에서 냉각하여 상기 압출 성형기(1)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1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냉각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압출 성형기(1)에서 압출 성형되는 프로파일(10)은 고온에서 용융된 수지가 상기 압출 성형기(1)를 통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압출되는 특성상, 경화되지 않은 상태로 압출되므로 대기압의 영향에 쉽게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더욱이 내부에 중공(11,12)이 형성되어 다소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성형되는 프로파일(10)은 대기압에 영향에 의해 더욱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출 성형기(1)를 통해 압출 성형되는 프로파일(10)은 최초 진공상태의 상기 진공조(2)에 투입하여 대기압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냉각하여 프로파일(10)의 표면을 냉각 경화시킨다.
도 1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 냉각단계(S30)는 상기 진공조(2)를 통과하는 프로파일(10)을 영하 20℃의 저온 냉각조(3)로 진입시켜 프로파일(10)의 표면을 급속 냉각하는 공정이다.
즉, 상기 진공조(2)를 통과한 프로파일(10)을 상기 저온 냉각조(3)로 투입하여 프로파일(10)의 표면이 상기 저온 진공조(3) 내부의 저온 공기와 열교환하여 프로파일(10)의 표면이 급속 냉각되어 경화되게 한다.
도 1과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 냉각단계(S40)는 상기 저온 냉각조(3)를 통과한 프로파일을 수 냉각조(4)로 진입시켜 상기 프로파일(10)의 표면으로 물을 분무시켜 프로파일(10)의 표면과 함께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프로파일(10)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1,12)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는 공정이다.
즉, 상기 1차 및 2차 냉각단계(S20,S30)를 통해 프로파일(10)의 표면이 경화되면 상기 수 냉각조(4)에 진입시켜 프로파일(10)의 표면에 물을 분무시켜 물과 프로파일(10)의 직접적인 열교환을 통해 프로파일(10)의 표면(외부)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신속한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 프로파일(10)의 외부 형상 및 내부의 중공(11,12) 형상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냉각 경화되도록 한다.
통상 공기 접촉을 통한 열교환에 대비하여 액상(물) 접촉을 통한 열교환이 더욱 우수함으로 수 냉각을 통해 신속하게 프로파일(10)의 내부까지 경화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1차 냉각단계(S20)인 진공조(2)를 통과한 프로파일(10)을 곧바로 상기 수 냉각조(4)에 투입하여 상기 2차 냉각단계(S30) 과정을 줄여 냉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진공조(2)를 통과한 프로파일(10)의 외부 표면은 견고히 경화되지 못한 상태임으로 상기 수 냉각조(4)에서 분사되는 물이 충돌되는 충격에 상기 프로파일(10)의 표면이 쉽게 변형될 수 있어 상기 2차 냉각단계(S30)인 저온 냉각 과정을 통해 프로파일(10)의 표면을 견고히 경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 냉각조(4)로 진입시킴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e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단계(S50)는 상기 3차 냉각단계(S40)를 거친 프로파일(10)을 권취드럼(5)에 감되,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 사이로 형성되는 접착홈(20)으로 용융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상기 권취드럼(5)에 권취되는 프로파일(10)의 양측면을 서로 접합하여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으로 제작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단계(S50)는 상기 권취드럼(5)의 상부에 위치되어 용융된 접착제용 수지가 내부로 유입되는 몸체(6a)와, 상기 몸체(6a)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 사이의 접착홈(20)으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는 제1압출노즐(6b)과 제2압출노즐(6c)로 구성되는 접착제 압출기(6)를 구비하고,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 사이의 접착홈(20)으로 상기 제1압출노즐(6b)을 통해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프로파일(10)의 접합 고정을 유도하는 제1접착제층(30)을 형성하는 제1압출 접합공정(S51)과,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 사이의 접착홈(20)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30)의 상부에 상기 제2압출노즐(6c)을 통해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프로파일(10)의 견고한 접합 고정을 유도하는 제2접착제층(40)을 형성하는 제2압출 접합공정(S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축노즐(6b)을 통해 1차로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홈(20)으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프로파일(10)의 접합을 유도하는 상기 제1접착제층(30)을 형성하고,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압축노즐(6c)을 통해 2차로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의 접착홈(20)에 형성되는 상기 제1접착제층(30)의 상부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프로파일(10)의 양측면이 견고히 접합되게 하는 제2접착제층(40)을 형성하여 프로파일(10)의 매우 견고한 접합을 유도하여 제작되는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의 우수한 강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2f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압출 접합공정(S52)에서 제2압출노즐(6c)을 통해 압출되어 형성되는 제2접착제층(40)은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상기 접합단계(S50)를 통해서 접합 완성되는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의 외주 표면은 굴곡 없이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 끝단과 다른 상기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의 끝단을 통상의 연결구(7)를 통해 연결시 상기 연결구(7)의 내측에 밀착되는 상기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의 외주 표면이 평평하여 수밀성이 우수하게 확보되어 상기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과 연결구(7) 사이를 통한 누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출노즐(6b)은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 사이의 접착홈(20) 저면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프로파일(10) 사이 및 접착홈(20)의 하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유도하여 프로파일(10)의 용이한 접착을 유도하고,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압출노즐(6c)은 프로파일(10)의 상부보다 높게 위치시켜 상기 제1압출노즐(6b)을 통해 형성되는 제1접착제층(30)과 접촉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압출노즐(6c)을 통해 형성되는 제2접착제층(40)이 상기 제2압출노즐(6c)의 간섭 없이 형성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100)은 압출 성형기(1)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20)을 1차로 대기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진공상태에서 냉각하여 압출 성형기(1)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10)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2차로 저온의 냉각조(3)에서 프로파일(10)의 표면을 급속 냉각한 후에 3차로 프로파일(10)의 표면에 분사되는 물을 통해 프로파일(10)의 표면과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프로파일(10)의 외형 및 내부 중공(11,12) 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완제품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 사이의 접착홈(20) 저면에 1차로 제1압출노즐(6b)을 통해 접착제용 수지를 근접 압출하여 프로파일(10) 사이 및 접착홈(20)의 하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는 상기 제1접착제층(30)을 형성하고, 2차로 제2압출노즐(6c)을 통해 상기 제1접착제층(30) 상부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상기 접착홈(20)을 충진하는 상기 제2접착제층(40)을 형성하여 프로파일(10)을 견고하게 접합하는 동시에,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의 외주 표면을 굴곡 없이 평평하게 형성하여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과 다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의 우수한 연결 편의성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100)은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성형기(1)를 통해 내부에 하부중공(11) 및 상부중공(12)이 형성되고 상부는 반원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10)을 압출 성형한다. (S10)
그런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 성형기(1)를 통해 압출되는 프로파일(10)을 진공상태의 진공조(2)에 진입 냉각시켜 상기 압출 성형기(1)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10)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1차 냉각되도록 한다. (S20)
그런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조(2)를 통과하는 프로파일(10)을 저온 냉각조(3)로 진입시켜 프로파일(10)의 표면을 급속 냉각하여 프로파일의 표면을 경화한다. (S30)
그런 후,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온 냉각조(3)를 통과한 프로파일(10)을 수 냉각조(4)로 진입시켜 상기 프로파일(10)의 표면으로 물을 분무시켜 프로파일(10)의 표면과 함께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프로파일(10)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1,12)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여 냉각한다. (S40)
그런 후,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축노즐(6b)을 통해 1차로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홈(20)으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프로파일(10)의 접합을 유도하는 상기 제1접착제층(30)을 형성한다. (S51)
그런 후,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압축노즐(6c)을 통해 2차로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의 접착홈(20)에 형성되는 상기 제1접착제층(30)의 상부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프로파일(10)의 양측면이 견고히 접합되게 하는 제2접착제층(40)을 형성하여 프로파일(10)의 매우 견고한 접합을 유도하여 완제품인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의 우수한 강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S52)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압출 접합공정(S52)에서 제2압출노즐(6c)을 통해 압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2접착제층(40)은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접합 완성되는 상기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의 외주 표면이 굴곡 없이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100)에서 하부중공(11)을 하나의 사각 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체화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가 형성되어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압출 성형기 2. 진공조
3. 저온 냉각조 4. 수 냉각조
5. 권취드럼 6. 접착제 압출기
6a. 몸체 6b. 제1압출노즐
6c. 제2압출노즐 7. 연결구
10. 프로파일 11. 하부중공
12. 상부중공 20. 접착홈
30. 제1접착제층 40. 제2접착제층
S10. 압출 성형단계 S20. 1차 냉각단계
S30. 2차 냉각단계 S40. 3차 냉각단계
S50. 접합단계 S51. 제1압출 접합공정
S52. 제2압출 접합공정
100.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200.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

Claims (5)

  1. 압출 성형기(1)에서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프로파일(10)을 압출 성형하되, 그 프로파일(10)의 내부에는 하부중공(11)과 그 하부중공(11)과 상부로 이격되어 상부중공(12)이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부는 반원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압출하는 압출 성형단계(S10);
    상기 압출 성형기(1)를 통해 압출되는 프로파일(10)을 진공상태의 진공조(2)에 진입시켜 진공 상태에서 냉각하여 상기 압출 성형기(1)에서 압출되는 프로파일(1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냉각하는 1차 냉각단계(S20);
    상기 진공조(2)를 통과하는 프로파일(10)을 영하 20℃의 저온 냉각조(3)로 진입시켜 프로파일(10)의 표면을 급속 냉각하는 2차 냉각단계(S30);
    상기 저온 냉각조(3)를 통과한 프로파일을 수 냉각조(4)로 진입시켜 상기 프로파일(10)의 표면으로 물을 분무시켜 프로파일(10)의 표면과 함께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프로파일(10)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1,12)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는 3차 냉각단계(S40); 및
    상기 3차 냉각단계(S40)를 거친 프로파일(10)을 권취드럼(5)에 감되,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부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권취드럼(5)에 감기는 프로파일(10) 사이로 형성되는 접착홈(20)으로 용융된 접착제용 수지를 압출하여 상기 권취드럼(5)에 권취되는 프로파일(10)의 양측면을 서로 접합하여 나선관(200)으로 제작하는 접합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의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200).
KR1020140124664A 2014-09-18 2014-09-18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51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64A KR101518848B1 (ko) 2014-09-18 2014-09-18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64A KR101518848B1 (ko) 2014-09-18 2014-09-18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848B1 true KR101518848B1 (ko) 2015-05-12

Family

ID=5339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664A KR101518848B1 (ko) 2014-09-18 2014-09-18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47B1 (ko) * 2018-12-31 2020-01-15 김시우 나선관용 프로파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프로파일을 이용한 나선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573A (ko) * 1998-04-27 1998-07-25 김종원 초강성 평활 다층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110144A (ko) * 2003-06-18 2004-12-31 유명상 나선관 제조방법 및 나선관
KR20060011627A (ko) * 2004-07-30 2006-02-03 국제산업주식회사 이중벽을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용 단위 파이프 제조장치
KR20120002725A (ko) * 2010-07-01 2012-01-09 김경량 다층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다층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573A (ko) * 1998-04-27 1998-07-25 김종원 초강성 평활 다층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110144A (ko) * 2003-06-18 2004-12-31 유명상 나선관 제조방법 및 나선관
KR20060011627A (ko) * 2004-07-30 2006-02-03 국제산업주식회사 이중벽을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용 단위 파이프 제조장치
KR20120002725A (ko) * 2010-07-01 2012-01-09 김경량 다층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다층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47B1 (ko) * 2018-12-31 2020-01-15 김시우 나선관용 프로파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프로파일을 이용한 나선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0719B1 (en) Compound tube
KR20050000859A (ko)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1518848B1 (ko) 이중 압출가공에 의한 나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661103B1 (ko) 다중 강성 보강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0694802B1 (ko) 원주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킨 사중 복층 하수관
CN204062220U (zh) 内肋增强外波纹型塑料缠绕结构壁管材
KR100749717B1 (ko) 합성수지 나선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29514A (zh) 一种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
JP2020528850A5 (ko)
KR101855810B1 (ko) 강성 보강형 다중 이중벽 하수관
CN210999798U (zh) 高效冷却热嘴
KR101203143B1 (ko) 다층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CN101619782B (zh) 注塑型钢网增强塑料压力管的制造方法
KR102066748B1 (ko) 나선관용 프로파일 및 그 프로파일을 이용한 나선관 제조방법
KR101376696B1 (ko)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된 소켓파이프의 제조방법
KR100941170B1 (ko) 강도를 향상시킨 합성수지관 및 이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장치
KR102066747B1 (ko) 나선관용 프로파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프로파일을 이용한 나선관
CN110748713A (zh) 一种高强度的pvc塑料排水管
JP6542046B2 (ja) 複合材の製造装置
KR20120052213A (ko) 다층관
KR200311881Y1 (ko) 고강도 합성수지관
KR100638403B1 (ko) 경질층 사이에 연질층이 형성되는 파이프 제조용 압출 장치
KR200197252Y1 (ko) 대구경 삼중관
JP2012092856A (ja) ホース端部接続構造およびホース端部に口元部材を形成一体化したホースの製造方法
JPH0686065B2 (ja) プラスチツク筒状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