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829B1 -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829B1
KR101518829B1 KR1020080057051A KR20080057051A KR101518829B1 KR 101518829 B1 KR101518829 B1 KR 101518829B1 KR 1020080057051 A KR1020080057051 A KR 1020080057051A KR 20080057051 A KR20080057051 A KR 20080057051A KR 101518829 B1 KR101518829 B1 KR 10151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moving picture
portable terminal
fil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195A (ko
Inventor
유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829B1/ko
Priority to EP09162717A priority patent/EP2136556B1/en
Priority to DE602009001218T priority patent/DE602009001218D1/de
Priority to AT09162717T priority patent/ATE508581T1/de
Priority to CN200910149336.3A priority patent/CN101610376B/zh
Priority to US12/485,392 priority patent/US8463101B2/en
Publication of KR2009013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녹화 및 재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은 동영상 파일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위치 정보(파일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동영상, GPS 수신기, 위치 정보, 동영상 압축, 동영상 프레임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moving images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동영상 녹화 및 재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의 급속한 기술 발전으로 하나의 단말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은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카메라(Camera)에 의한 고유 기능인 사진 촬영 기능, 촬영된 사진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 엠피3(Moving Picture Experts Group(MPEG)-1 Audio Layer 3: MP3) 플레이어(Player)의 음악 재생 기능, 또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에 의한 위치 정보를 제공 기능 등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들이다. 사진 촬영은 움직이지 않는 정지 영상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영상인 동영상을 녹화하는 기능까지 휴대 단 말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움직이는 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은 영상을 보는 이용자들의 착시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서 동영상은 연속적인 정지 영상을 보면서 정지 영상속의 객체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시각적 잔상효과를 이용한다. 영상을 프레임단위로 처리한 후 일반적으로 1초에 24 내지 30프레임들을 재생하는 경우 영상의 움직임이 이용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1초에 24 내지 30프레임들을 재생하기 위하여 저장되어야하는 프레임들이 매우 많기 때문에 동영상에서는 통상적으로 압축기술이 이용하여 프레임들을 압축하여 저장하고 재생 시 복원하여 재생한다.
한편, GPS 수신기는 GPS 위성들로부터 GPS 수신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된 정보로부터 GPS 수신기는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GPS 수신기의 사용자가 자동차 주행 시 목적지를 탐색하거나 모르는 목적지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준다.
GPS 수신기를 장착하고 동영상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두 가지 기능들을 분리하여 사용하기 보다는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을 촬영한 후 이후에 상기 동영상이 촬영된 곳의 위치 정보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을 녹화한 후 녹화한 사용자 혹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동영상이 녹화된 곳을 방문하여 동일한 경로를 따라 여행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영상 프레임에 위치 정보까지 포함시키면서 저장하는 확장된 동영상을 녹화하는 방법과 이러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녹화하는 방법은 동영상 녹화 요청이 있으면, 동영상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녹화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동영상 프레임에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추가하는 과정은 상기 동영상 프레임의 끝부분에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하나의 동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프레임에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추가한 후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와 이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있으면 녹화 중에 생성되는 동영상 프레임에 이동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있지 않으면 녹화 중에 생성되는 동영상 프레임에 상기 이동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지 않은 채 하나의 동영상 프레임을 생성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동영상 파일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위치 정보(파일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중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PS) 위성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재생 중인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재생되는 파일 위치 정보가 불일치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 위치 정보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 정지 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있으면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정지된 동영상 파일을 다시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녹화하는 장치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동영상의 입력을 받는 동영상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동영상에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동영상 처리부와,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PS) 위성들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동영상 녹화 요청이 있으면 상기 동영상 입력부를 통한 동영상 입력을 시작하면서 상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와,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와 이전에 획득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처리부는 상기 동영상 프레임의 끝부분에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하나의 동영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처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있는 녹화 중에 생성되는 동영상 프레임에 이동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가한 후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장치는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PS) 위성들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동영상 파일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위치 정보(파일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제 어부와,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GPS 모듈을 장착한 휴대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동영상 재생과 함께 동영상 녹화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추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전에 산행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녹화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동영상 녹화자의 이동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여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예가 변경 또는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개념 및 구조와 균등한 개념들 및 구조들이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형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 및 재생하는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하고 재생하는데 요구되는 구성들만을 도시한 것이며, 다른 기능, 예를 들어 음성/화상 통신 기능을 위한 구성들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 입력부(110)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빛(광)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영상 입력부(110)는 카메라 렌즈,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to-Digital Converter; ADC)를 구비할 수 있으며, CCD는 카메라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optic-to-electronic transform)하고 소정의 시간(예: 1/15초) 및 소정의 크기(예: 640ㅧ480 해상도)의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CCD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는 전처리 회로를 통하여 노이즈 제거 및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실시하고, 그 후 ADC에서 디지털 데이터, 즉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Microphone: MIC)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동영상을 위한 화상은 상기 카메라 렌즈로 입력되고, 동영상을 위한 음향 즉,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Microphone: MIC)로 입력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40)는 앰프(Amplifier: AMP), ADC를 구비할 수 있는데,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앰프에 의하여 소정의 이득만큼 증폭된 후, ADC를 통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동영상 처리부(120)는 동영상 입력부(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처리한다. 영상처리부(140)는 상기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단위로 처리된 프레임 영상 신호를 표시부(13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40)는 압축/복원부(125)를 구비하는데, 압축/복원부(125)는 변환되어 입력된 동영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압축 방식으로 압축하여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동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압축 방식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경우 MP3, WMA(Windows Media Audio) 등의 오디오 신호 압축 표준에 따라서 압축될 수 있고, 디지털 영상 신호의 경우 동영상 전문가 그룹(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1, MPEG-2, MPEG-4, H.263, H.264 등 다양한 동영상 압축 표준에 따라서 압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의 압축 및 복원에 한정하여 설명할 것이며, 그 압축 방식으로는 MPEG-4에 의한 압축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MPEG-4 이외에 다른 압축 표준에 의한 압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경우에도 상술한 표준들 중의 하나에 의해 압축됨에 유의한다. 특히, 상기 압축/복원부(125)는 제어부(150)의 위치 정보 생성부(152)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고, 재생 시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로 복원한다.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는 도 2와 같을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압축/복원부(125)는 동영상 처리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동영상 처리부(120)에 구비되지 않고 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제어부(1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GPS 모듈(18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152) 및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전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거나 재생 중인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와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이동 방향 표시를 선택하는 위치 정보 비교부(154)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동영상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될 수도 있다. 입력부(16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압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동 방향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한다. 위치 정보 수신 모 듈인 GPS 모듈(180)은 GPS 위성 등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시간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계산은 이미 알려진 방법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가정하므로 이하 본 발명에서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GPS 네비게이션(Navigation) 데이터를 수신하여 GPS 위성을 검색(Searching)하여 직접 다수의 위성 신호들을 수신하여 스스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인 독립형 GPS(Standalone GPS) 모드에 의한 위치 정보 획득 방법에 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영상을 위한 다수의 프레임(Frame)들로 구성되는 각각의 동영상 파일은 비트 스트림(Bit stream)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동영상 프레임1 내지 프레임N으로 구성된 동영상 파일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의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헤더 필드와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필드로 구분될 수 있다. 동영상 녹화시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프레임 뒷부분에 위치 정보(GPS Info) 필드가 추가된다. 이러한 위치 정보 필드는 프레임마다 추가될 수 있으나, 저장 공간의 절약을 위하여 위치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위치 정보 필드가 추가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영상이 도 1의 동영상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면서 프레임 단위로 압축되는데, 이와 동시에 GPS 모듈(180)을 통해 GPS 위성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가 획득된 다. 획득된 위치 정보에 변경이 있는 경우 동영상 프레임의 뒷부분에 상기 위치 정보 필드가 추가되어 동영상 프레임이 생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2와 같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프레임들이 생성된다. 도 2는 프레임 1, 프레임 3, 프레임 4,..., 프레임 N들이 위치 정보 필드를 추가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러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0 단계에서 도 1의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의 녹화 요청이 있는지 확인한다. 위치 정보 포함 동영상의 녹화 요청이 있으면, 32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동영상 입력부(110)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녹화한다. 즉, 동영상 입력부(110)를 통한 연속적인 영상들을 입력 받는다. 상기 녹화 요청은 입력부(160)로부터 미리 정해진 특정 키(Key)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녹화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33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GPS 모듈(180)이 GPS 위성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제어부(150), 특히 위치 정보 생성부(152)는 GPS 모듈(180)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획득한다. 34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녹화된 동영상이 압축되는 단위 즉, 1 프레임만큼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프레임들에 대한 압축을 1 프레임 단위로 수행함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설정에 따라서 압축되는 프레임 단위는 변경될 수 있다. 1 프레임만큼 녹화되면, 제어부(150)는 35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20 단계로 되돌아가서 동영상 입력부(110)를 제어하여 계속하여 동영상을 녹화한다.
35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변경 즉,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확인한다.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 변경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GPS 모듈(180)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하는 중 GPS 위성들로부터 정보를 계속하여 수신하며, 위치 정보 생성부(152)는 수신된 정보로부터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위치 정보 비교부(154)는 이렇게 획득된 위치 정보와 이전에 획득된 위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알 수 있다. 단말기의 이동이 있는 경우 즉, 단말기의 위치 정보 변경이 있는 경우 동영상 프레임에 변경된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압축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런 식으로 확인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변경이 있으면 제어부(150)는 36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70 단계로 진행한다. 36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압축/복원부(125)를 제어하여 프레임에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압축한다. 37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압축/복원부(125)를 제어하여 프레임에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동영상 영상 프레임만을 압축한다. 38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녹화 종료 요청이 있는지 확인한다. 녹화 종료 요청은 입력부(160)로부터 종료를 알리는 특정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50)는 종료 요청이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 종료 요청이 있으면 390 단계로 진행하여 39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도 2와 같은 구조로 압축된 동영상 프레임들로 구성된 하나의 동영상 파일을 저장부(170)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320 단계로 되돌아가서 계속하여 동영상을 녹화한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등 특정한 경우에 제 어부(150)는 상기 동영상 프레임 또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 프레임 뒤에 특정 데이터 또는 특정 파일로 연결되는 링크(Link)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녹화시 이동 중에 갈림길 또는 교차로 등 적어도 2개 이상의 길들이 있는 경우 상기 길들에 대한 영상을 포함하는 프레임 뒤에 도 1의 입력부(160) 등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 정지영상,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정지영상, 또는 데이터는 상기 길들 중에서 선택된 이동 방향에 대한 동영상, 정지영상, 또는 이동 방향 선택을 위한 데이터로의 링크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택된 길의 확대된 배경영상 등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이거나 네트워크(Network)에 연결되어 획득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녹화된 동영상 파일의 재생 시 갈림길 등을 통과하는 경우 함께 저장된 동영상, 정지영상, 또는 데이터가 함께 표시되어 길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1의 제어부(150)는 405 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에 대한 재생 요청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재생 요청은 입력부(160)로부터 미리 정해진 특정 키(Key)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녹화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위치 정보 포함 동영상 파일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410 단계에서 GPS 모듈(180)에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50) 특히, 위치 정보 생성부(152)는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부(150) 특히, 위치 정보 비교부(154)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와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415 단계에서 제어부(150), 특히 위치 정보 비교부(154)는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동영상 파일이 시작되는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일치하면 제어부(150)는 4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60 단계로 진행한다. 42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50)는 압축된 동영상 파일을 복원하여 동영상 프레임들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복원된 오디오 신호가 있으면 동영상 프레임과 함께 재생하지만, 이하 설명에서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재생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동영상 프레임들의 재생은 기존의 동영상 프레임 재생 방식과 동일하게 시간에 동기화하여 재생된다.
또한 동영상 프레임 재생 시 재생되는 동영상 프레임 이후에 특정 데이터 또는 특정 파일로 연결되는 링크(Link)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가 추가된 경우 제어부(150)는 재생되는 동영상과 함께 상기 특정 데이터 또는 링크된 특정 파일을 함께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특정 데이터 또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가 추가됨을 알리는 정보가 미리 정해진 이전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영상 파일 재생 시 갈림길 등에 대한 정보가 미리 표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 또는 특정 파일은, 예를 들어, 이동 방향에 해당하는 배경의 확대된 영상이 될 수 있으며, 선택을 요하는 다수의 길들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에 갈림길이 있는 경우 미리 정해진 이전 프레임에 다수의 길 즉, 갈림길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어 해당 동영상 프레임 재생 시 미리 표시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이전 프레임은 사용자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수의 길 존재를 알리기에 적절한 거리 만큼에 해당하는 이전 프레임일 수 있다.
425 단계에서 제어부(150) 특히, 위치 정보 비교부(154)는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재생 중인 동영상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 위치 정보 비교부(154)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는 중에는 계속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와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 430 단계에서 위치 정보 비교부(154)는 상기 두 위치 정보들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일치하면 제어부(150)는 470 단계로 진행하여 동영상 파일의 마지막 프레임인지 확인하고, 마지막 프레임인 경우 동영상 파일 재생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420 단계로 되돌아가서 동영상 파일을 계속하여 재생한다. 430 단계에서 두 위치 정보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435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위치 정보의 비교는 GPS 위성들로부터의 위치 정보 오차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오차 범위, 예를 들어 2m의 오차 범위를 적용하여 비교한다.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435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하고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 상의 경로 이탈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경로 이탈을 알리는 메시지의 표시는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두 위치 정보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존의 시간 동기화 방식으로 재생되던 동영상 프레임들의 재생을 멈추고, 이후 위치 정보 필드가 일치하여 다시 재생을 시작하면 기존의 방식에 의해 다시 시간에 동기화하여 동영상 프레임들을 재생한다. 440 단계에서 제어 부(150)는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정보, 즉 이동할 방향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이동할 방향 표시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이동방향 표시 테이블로부터 선택되어 표시부(130)의 일부분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방향 표시 테이블은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08043368758-pat00001
제어부(150) 특히, 위치 정보 비교부(154)는 경로 이탈로 인해 동영상이 정지된 시점의 프레임 또는 정해진 오차 범위만큼의 이전 프레임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기준점으로 이후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 이때 이후 프레임은 이후 재생될 프레임들 중 정해진 수의 프레임들 이후 프레임이 되거나 상기 기준점에 해당하는 프레임 이후의 정해진 다수의 프레임들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준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후 프레임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점의 위치 정보보다 상기 이후 프레임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가 좌방향에 있는지, 우방향에 있는지, 혹은 정방향에 있는지에 따라 대응되는 표시를 상기 <표 1>로부터 선택하여 표 시부(130)의 정해진 부분에 표시한다. 상기 <표 1>은 3가지의 경우를 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우방향, 정방향, 좌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에 따른 다른 표시들도 표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445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획득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단말기의 이동여부를 확인한다. 이동이 있으면 제어부(150)는 44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80 단계로 진행한다. 447 단계에서 제어부(150) 특히, 위치 정보 생성부(152)는 단말기의 이동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450 단계에서 위치 정보 비교부(154)는 이동된 위치 정보와 재생이 중지된 동영상의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두 위치 정보들이 일치하면 455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정지된 동영상을 다시 재생한 후 425 단계로 되돌아간다. 두 위치 정보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440 단계로 되돌아가서 이동할 방향을 계속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에도 정지된 동영상 프레임이 특정 데이터 또는 특정 파일로 연결되는 링크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재생되는 동영상과 함께 상기 특정 데이터 또는 링크된 특정 파일을 함께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상기 특정 데이터 또는 특정 파일은 이동 방향에 대한 확대된 배경 영상 혹은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동영상 파일의 시작 위치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46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를 무시하고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동영상 파일의 재생 여부 확인은 메시지 등이 표시부(130)에 표시된 후 입력부(16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미리 정해진 키입력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무시하고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46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62 단계로 진행한다. 464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지 않고 동영상만을 재생한다. 466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동영상 파일의 마지막 프레임인지 확인한다. 마지막 프레임인 경우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464 단계로 되돌아가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 462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동영상 파일의 시작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지도 등을 표시부(160)에 표시한 다. 여기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GPS 정보들을 이용하여 설정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하여 알려주는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48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지도에 해당하는 동영상 파일의 위치를 표시하는 요청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표시 요청에 대한 확인은 표시부(130)에 메시지 등이 표시된 후 입력부(16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미리 정해진 키입력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구동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50)는 48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40 단계로 되돌아가서 이동할 방향을 계속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485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표시부(160)에 지도 등을 표시한 후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에서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 도중 현재 위치 정보와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정에 따라 위치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서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정지 된 상태이더라도 강제적으로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정지된 이후의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써, 동영상 파일의 시작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동영상 파일의 시작 위치와 동일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영상 파일의 시작 위치와 설정된 시작 위치와의 거리차를 고려한 후 이와 유사한 이동 경로, 즉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와 설정된 후 이동중인 위치 정보가 상기 거리차 만큼의 차이를 가지는 경우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 중 경로 이탈시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 요청에 따라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면서 단말기의 사용자가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 길로 따라 가던 중에 상기 사용자가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와 다른 길로 이동함으로써 경로 이탈한 경우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정지된 상태의 화면 표시 예이다. 도 1의 표시부(130)에 동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에 참조부호(510)와 같이 이동 방향을 알리는 표시도 함께 표시된다. 여기에서 참조부호(510)는 상기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로 이탈 시점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정해진 이후 프레임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후 프레임들의 위치 정보가 기준 위치 정보로부터 우방향에 있는지, 정방향에 있는지, 좌방향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표시이다. 참조부호(510)는 우방향 표시가 선택된 예를 도시한다.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지된 동영상 프레임에 추가된 필드 즉, 이동 방향에 해당하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이 있으면 상기 표시부(130)에는 참조부호(510)과 함께 동영상이나 정지영상도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면서 동영상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길을 손쉽게 찾아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 및 재생하는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을 녹화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 중 경로 이탈시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30)

  1.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녹화 요청이 있으면, 동영상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녹화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동영상 프레임에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동영상 프레임에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은
    상기 획득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이전에 획득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위치 정보를 상기 동영상 프레임에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하는 과정은,
    상기 동영상 프레임의 끝부분에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하나의 동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동영상 프레임은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다수의 길들 중에서 하나의 길 선택 시 도움이 되는 정보로써 상기 선택된 길의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PS) 위성들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은,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광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있지 않으면 녹화 중에 생성되는 동영상 프레임에 상기 이동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지 않은 채 하나의 동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동영상 프레임은 MPEG-1, MPEG-2, MPEG-4, H.263, 및 H.264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해 압축된 프레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동영상 녹화 종료 요청에 따라 상기 압축된 동영상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 화 방법.
  11.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파일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위치 정보(파일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중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PS) 위성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재생되는 파일 위치 정보가 불일치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정지시 상기 파일 위치 정보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에 다수의 길들 중에서 하나의 길 선택 시 도움이 되는 영상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영상 정보를 더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표시는 정방향 표시, 우방향 표시, 또는 좌방향 표시 중의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 정지 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있으면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정지된 동영상 파일을 다시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정지 후 요청이 있으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방법.
  17.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녹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를 통해 동영상의 입력을 받는 동영상 입력부와,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PS) 위성들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동영상 녹화 요청이 있으면 상기 동영상 입력부를 통한 동영상 입력을 시작하면서 상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입력된 동영상에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동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와,
    상기 획득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이전에 획득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처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동영상 프레임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처리부는,
    상기 동영상 프레임의 끝부분에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하나의 동영상 프레임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처리부는,
    상기 변경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가한 동영상 프레임을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있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채 동영상 프레임을 압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MPEG-1, MPEG-2, MPEG-4, H.263, 및 H.264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해 압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동영상 녹화 종료를 나타내는 요청에 따라 상기 압축된 동영상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고 이동 방향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녹화 장치.
  24.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GPS) 위성들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동영상 파일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위치 정보(파일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중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획득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재생되는 파일 위치 정보가 불일치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장치.
  25. 삭제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와 재생되는 파일 위치 정보가 불일치하면, 상기 파일 위치 정보의 이동 방향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 다수의 길들 중에서 하나의 길 선택 시 도움이 되는 영상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영상 정보를 더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표시는 정방향 표시, 우방향 표시, 또는 좌방향 표시 중의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 정지 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있으면 이동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된 휴대 단말기 위치 정보가 상기 파일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정지된 동영상 파일을 다시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정지 후 요청이 있으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파일 재생 장치.
KR1020080057051A 2008-06-17 2008-06-17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51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51A KR101518829B1 (ko) 2008-06-17 2008-06-17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EP09162717A EP2136556B1 (en) 2008-06-17 2009-06-15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motion picture with location information
DE602009001218T DE602009001218D1 (de) 2008-06-17 2009-06-1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eines Spielfilms mit Positionsinformationen
AT09162717T ATE508581T1 (de) 2008-06-17 2009-06-1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eines spielfilms mit positionsinformationen
CN200910149336.3A CN101610376B (zh) 2008-06-17 2009-06-16 用于记录和再现具有位置信息的运动图像的方法和设备
US12/485,392 US8463101B2 (en) 2008-06-17 2009-06-16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motion picture with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051A KR101518829B1 (ko) 2008-06-17 2008-06-17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195A KR20090131195A (ko) 2009-12-28
KR101518829B1 true KR101518829B1 (ko) 2015-05-11

Family

ID=4107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051A KR101518829B1 (ko) 2008-06-17 2008-06-17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63101B2 (ko)
EP (1) EP2136556B1 (ko)
KR (1) KR101518829B1 (ko)
CN (1) CN101610376B (ko)
AT (1) ATE508581T1 (ko)
DE (1) DE60200900121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109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정보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645185B1 (ko) * 2010-04-26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80186A (ko) * 2012-01-04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 태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426937A (zh) * 2013-08-26 2015-03-18 何愈 通过移动电话和云计算实现对其他设备所记录内容的定位
US9883004B2 (en) * 2013-11-25 2018-01-30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viewer-specific visitor history for a location
US20160021332A1 (en) * 2014-07-17 2016-01-2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patially Synchronized Video
CN106153054A (zh) * 2015-04-21 2016-11-23 沈阳美行科技有限公司 行车轨迹点和实景录像同时采集同时回放的系统和方法
CN105141829A (zh) * 2015-07-08 2015-12-09 成都西可科技有限公司 一种实时同步融入速度信息到视频中的录像方法
CN104991961B (zh) * 2015-07-22 2018-07-1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可视化物品摆放记忆设备及记忆方法
US11709070B2 (en) * 2015-08-21 2023-07-25 Nokia Technologies Oy Location based service tools for video illustration, selection, and synchronization
CN105466449B (zh) * 2015-11-20 2018-12-28 沈阳美行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环境信息的播放方法及装置
CN105812660A (zh) * 2016-03-15 2016-07-27 深圳市至壹科技开发有限公司 基于地理位置的视频处理方法
TWI614683B (zh) * 2016-11-16 2018-02-11 鉅碼科技股份有限公司 依速度提供適地性資訊的方法、系統與電腦可讀取媒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1227A1 (en) 2003-04-30 2004-11-04 Peng Wu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of video annotations
JP2004320242A (ja) * 2003-04-14 2004-11-11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060007298A1 (en) 2004-06-23 2006-01-12 Nozomi Takeuchi Motion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computer program of motion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videophone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9186B2 (ja) * 1996-06-21 2002-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像データの再生制御方式
JPH10150585A (ja) * 1996-11-19 1998-06-02 Sony Corp 画像合成装置
US6741790B1 (en) * 1997-05-29 2004-05-25 Red Hen Systems, Inc. GPS video mapping system
US20030182170A1 (en) * 2000-03-09 2003-09-25 Thomas Rozsa Computer sofware program for an interactive multi-media calendar
KR100498043B1 (ko) * 2002-12-13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
US20040174443A1 (en) * 2003-03-07 2004-09-09 Simske Steven J.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of records in a database
US20060172773A1 (en) * 2003-07-24 2006-08-03 Yusaku Morishita Mobile body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fee discount method and program
JP2005223499A (ja) * 2004-02-04 2005-08-18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JP2005312022A (ja) * 2004-03-25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ビデオカメラ
EP1744576A1 (en) * 2004-05-06 2007-01-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munic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of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7627227B2 (en) * 2004-05-17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Reverse presentation of digital media streams
US7958135B2 (en) * 2005-09-06 2011-06-07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5176311B2 (ja) * 2006-12-07 2013-04-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表示方法
EP2177010B1 (en) * 2006-12-13 2015-10-28 Quickplay Media Inc. Mobile media platform
US8571501B2 (en) * 2008-04-21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handheld device with FM Radio Data System rece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242A (ja) * 2003-04-14 2004-11-11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040221227A1 (en) 2003-04-30 2004-11-04 Peng Wu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of video annotations
US20060007298A1 (en) 2004-06-23 2006-01-12 Nozomi Takeuchi Motion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computer program of motion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videophone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63101B2 (en) 2013-06-11
ATE508581T1 (de) 2011-05-15
DE602009001218D1 (de) 2011-06-16
KR20090131195A (ko) 2009-12-28
EP2136556A1 (en) 2009-12-23
EP2136556B1 (en) 2011-05-04
CN101610376A (zh) 2009-12-23
US20090310938A1 (en) 2009-12-17
CN101610376B (zh)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829B1 (ko)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녹화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022343B1 (ko) 정보 생성 장치, 기록 장치, 재생 장치, 정보 생성 방법, 기록 방법, 재생 방법, 및 기록 재생 시스템
JP4965475B2 (ja) 仮想移動表示装置
EP28165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video rendering
JP4937592B2 (ja) 電子機器
JP2012151817A (ja) 再生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6262135A (ja) 撮影装置、動画再生装置、動画記録再生プログラム
US9154545B2 (en) Video inform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9239381A (ja) 映像記録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
JP5349488B2 (ja) 撮影装置、出力装置、プログラム及び撮影装置の撮影方法
JP201104115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KR101230746B1 (ko) 음악데이터와 동시 출력을 위한 동기화된 영상데이터 생성방법과 그 동기화 출력을 위한 재생 방법
JP5045213B2 (ja) 撮像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ファイル作成方法
JP4798215B2 (ja) 電子機器
KR1017485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세그먼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27865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3125346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228502A (ja) 動画データの同期再生装置
JP200214806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
JP2023125032A (ja) 映像作成プログラム
JP557463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100457775B1 (ko) 영상촬영기기의 촬영장면 탐색방법
JP5298214B2 (ja) 仮想移動表示装置
JP2009290572A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JP2004072306A (ja) ビデオカメラ及びビデオ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