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753B1 -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 Google Patents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753B1
KR101518753B1 KR1020140026109A KR20140026109A KR101518753B1 KR 101518753 B1 KR101518753 B1 KR 101518753B1 KR 1020140026109 A KR1020140026109 A KR 1020140026109A KR 20140026109 A KR20140026109 A KR 20140026109A KR 101518753 B1 KR101518753 B1 KR 10151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elding
line
single cabl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진
Original Assignee
황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진 filed Critical 황원진
Priority to KR102014002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는 탄산가스 아크용접 등에서 사용되는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끝단부에서 분기되는 전원라인, 가스라인, 제어라인이 규격화된 단일한 블록체에 원터치 결합되면서 용접용 싱글케이블 간 연결이 이루어져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길이 연장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는 블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관통홀, 제2관통홀, 제3관통홀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어댑터 몸체와; 어댑터 몸체의 제1관통홀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제1관통홀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제어라인용 커플러와; 어댑터 몸체의 제2관통홀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서로 연통되는 한 쌍의 가스라인용 니플과; 어댑터 몸체의 제3관통홀의 양단에 끼움결합되어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전원라인용 접속구를 포함하여,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끝단부에서 분기되는 제어라인, 가스라인, 전원라인이 제어라인용 커플러, 가스라인용 니플, 전원라인용 접속구와 연결되면서 용접용 싱글케이블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An adapter connecting single cable for welding}
본 발명은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탄산가스 아크용접 등에서 사용되는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끝단부에서 분기되는 전원라인, 가스라인, 제어라인이 규격화된 단일한 블록체에 원터치 결합되면서 용접용 싱글케이블 간 연결이 이루어져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길이 연장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탄산가스 아크 용접(CO2 arc welding)은 보호가스(shield gas)로 아르곤(Ar), 헬륨(He)과 같은 불활성 가스 대신 가격이 저렴한 탄산가스(CO2 가스)가 사용되는 용접으로서, 작업비용이 절감될 수 있음에 따라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탄산가스 용접은 일반적으로 용접와이어, 탄산가스, 전원이 공급되는 용접기 본체, 용접와이어를 송급하게 되는 용접와이어 피더,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는 용접토치 및, 용접기 본체와 용접토치를 연결하는 용접케이블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원, 가스,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전원 케이블, 가스케이블, 제어 케이블을 일체화시킨 용접용 싱글케이블이 용접기 본체와 용접토치를 연결시키는 용접케이블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용접용 싱글케이블과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69431호 "용접용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 어댑터 플러그 구조", 등록번호 제10-0884173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70059호 "용접케이블 조립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1-0002266호 "이산화탄소 용접용 커넥션 싱글 케이블 어댑터", 공개번호 제20-2000-0019708호 "이산화탄소 용접기용 싱글케이블" 등이 안출되어 있다.
한편, 각종 용접이 수행되는 산업현장에서는 실제 용접이 이루어지는 위치와 용접기 본체가 설치된 위치 간 거리가 수시로 변동되고, 이에 대응하여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길이도 용접기 본체와 용접 위치 간 거리에 맞추어야 했다.
이를 위하여 용접용 싱글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게 되는데, 종래에서 용접용 싱글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분기되는 전원라인, 제어라인을 일일이 서로 접속시키는 작업을 통해 용접용 싱글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켰다. 이에 따라 용접용 싱글케이블 간 연결작업에 번거로움이 많았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용 싱글 케이블의 양단부에서 각각 분기되는 전원라인, 가스라인, 제어라인의 단부를 이루는 접속소켓이 암수 타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통일되어 있어 용접용 싱글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 젠더를 구비할 필요가 있어 용접용 싱글케이블 간 연결작업이 더욱 번거로워지고, 용접용 싱글케이블을 연결하고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연결 젠더가 분실되는 경우가 많아 연결 젠더의 구매를 위한 비용이 수시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규격화된 단일한 블록체로 이루어지는 어댑터에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전원라인, 가스라인, 제어라인이 일괄적으로 결합되면서 싱글케이블 간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길이 연장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어댑터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싱글케이블의 연장을 위한 비용의 절감도 도모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블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관통홀, 제2관통홀, 제3관통홀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어댑터 몸체와, 상기 어댑터 몸체의 제1관통홀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관통홀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제어라인용 커플러와, 상기 어댑터 몸체의 제2관통홀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서로 연통되는 한 쌍의 가스라인용 니플과, 상기 어댑터 몸체의 제3관통홀의 양단에 끼움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전원라인용 접속구를 포함하여,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끝단부에서 분리되는 제어라인, 가스라인, 전원라인이 상기 제어라인용 커플러, 가스라인용 니플, 전원라인용 접속구와 각각 연결되면서 용접용 싱글케이블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에서, 상기 어댑터 몸체는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블록체와, 상기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블록체가 서로 분리되어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에서, 상기 제2블록체는 내열성과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3관통홀에 고정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를 통과하는 전원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에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단과,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단에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블록체는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의 고정홈에 대응하는 핀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가 상기 핀홀과 고정홈으로 끼워지는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에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단과, 상기 제3관통호렝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는 상기 삽입단이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단에 암나사가공된 볼트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블록체는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의 볼트공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통공을 통해 한 쌍의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의 볼트공에 끼워지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가 상기 제2블록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에 의하면, 규격화된 다일한 블록체로 이루어지는 어댑터 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된 제어라인용 커플러, 가스라인용 니플, 전원라인용 접속구에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전원라인, 가스라인, 제어라인이 일괄적으로 원터치 결합되면서 싱글케이블 간 연결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의해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써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길이 연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싱글케이블의 연장을 위한 비용의 절감도 도모되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용접 케이블, 용접용 싱글케이블, 용접장치, 탄소용접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100)는 어댑터 몸체(10), 제어라인용 커플러(20), 가스라인용 니플(30), 전운라인용 접속구(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100)는 탄산가스 아크 용접(CO2 arc welding)에 사용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100)가 적용되는 용접분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댑터 몸체(10)는 블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몸체(10)는 제1관통홀(11), 제2관통홀(12), 제3관통홀(13)(13')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몸체(10)는 서로 분리되는 제1블록체(10a)와 제2블록체(10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제1블록체(10a)에는 제1관통홀(11)과 제2관통홀(12)이 형성되고, 제2블록체(10b)에는 제3관통홀(13)(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몸체(10)는 'Ⅰ'자 형상의 수직단면을 가져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블록체(10a)는 'ㅗ'자 형상의 수직단면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몸체(10)는 제1블록체(10a)와 제2블록체(10b)가 서로 이종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제2블록체(10b)는 내열성과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는 제2블록체(10b)에 고정되는 전원라인용 접속구(40)를 통과하는 전원에 의한 제2블록체(10b)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라인용 커플러(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어댑터 몸체(10)의 제1관통홀(11)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한 쌍의 제어라인용 커플러(20)는 제1관통홀(11)의 내부에서 연결선(21)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전달이 도모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결선(21)은 제어라인용 커플러(20)에 납땜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어라인용 커플러(20)는 고무소재와 같이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개스킷(50)을 매개로 제1블록체(10a)와 체결볼트(70)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에 따라, 용접과정에서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반복적인 이동에도 제어라인용 커플러(20)와 제1블록체(10a) 간 결합이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되어 제어라인용 커플러(20)나 제1블록체(10a)의 손상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가스라인용 니플(30)은 한 쌍이 구비되어 어댑터 몸체(10)의 제2관통홀(12)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한 쌍의 가스라인용 니플(30)은 제2관통홀(12)의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어 용접에 사용되는 가스의 전달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가스라인용 니플(30)은 끝단이 서로 맞물리면서 연결되어 가스가 제2관통홀(12)이 형성된 제1블록체(10a)의 제2관통홀(12)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어 용접과정에서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반복적인 이동에도 제1블록체(10a)와의 결합이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라인용 접속구(40)는 한 쌍의 구비되어 어댑터 몸체(10)의 제3관통홀(13)(13')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한 쌍의 전원라인용 접속구(40)는 제3관통홀(13)(13')의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용접에 사용되는 전원의 전달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라인용 접속구(40)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단(41)과, 제3관통홀(13)(13')에 삽입되는 삽입단(42)으로 이루어지는데, 삽입단(42)에는 고정홈(43)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3관통홀(13)(13')이 형성되는 제2블록체(10b)는 전원라인용 접속구(40)의 고정홈(43)에 대응하는 핀홀(14)을 형성하여 제3관통홀(13)(13')에 삽입된 전원라인용 접속구(40)가 핀홀(14)과 고정홈(43)으로 끼워지는 고정핀(6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핀홀(14)과 고정홈(43)은 제2블록체(10b)와 전원라인용 접속구(40)의 삽입단(42) 양측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라인용 접속구(40)의 삽입단(42)은 원형단면의 고정편(42a)과 직사각형 단면의 연결편(42b)으로 이루어지거나, 전체적으로 직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원라인용 접속구(40)는 삽입단(42)의 연결편(42b)이 상하방향으로 겹쳐지거나, 직사각 단면 형상의 삽입단(42)이 상하방향으로 겹쳐지거나, 삽입단(42)의 연결편(42b)과 직사각 단면 형상의 삽입단(42)이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그리가, 삽입단(42)의 연결편(42b)이나 직사각 단면 형상의 삽입단(42)에는 암나사가공된 볼트공(4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블록체(10b)는 전원라인용 접속구(40)의 볼트공(44)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15)을 통해 한 쌍의 전원라인용 접속구(40)의 볼트공(44)에 끼워지는 체결볼트(70)에 의해 제3관통홀(13)(13')에 삽입된 전원라인용 접속구(40)가 제2블록체(10b)에 고정된다.
한편, 제2블록체(10b)는 내열성과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제3관통홀(13)(13')에 고정된 전원라인용 접속구(40)를 통과하는 전원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100)는 용접용 싱글케이블(2)의 끝단부에서 분기되는 제어라인(2a), 가스라인(2b), 전원라인(2c)의 단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접속소켓이 어댑터 몸체(10)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어라인용 커플러(20), 가스라인용 니플(30), 전원라인용 접속구(40)에 원터치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다수개의 용접용 싱글케이블(2)이 본 발명의 연결 어댑터(100)를 통해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되어 길이가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용접기 본체 2. 용접용 싱글케이블
2a. 제어라인 2b. 가스라인
2c. 전원라인 10. 어댑터 몸체
10a. 제블록체 10b. 제2블록체
11. 제1관통홀 12. 제2관통홀
13. 13'. 제3관통홀 14. 핀홀
15. 통공 17, 18, 22, 44, 52. 볼트공
20. 제어라인용 니플 40. 전원라인용 접속구
41. 노출단 42. 삽입단
42a. 고정편 42b. 연결편
43. 고정홈 50. 개스킷
51. 삽입홀 60. 고정핀
70. 체결볼트

Claims (5)

  1. 블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관통홀, 제2관통홀, 제3관통홀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어댑터 몸체;
    상기 어댑터 몸체의 제1관통홀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관통홀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제어라인용 커플러;
    상기 어댑터 몸체의 제2관통홀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서로 연통되는 한 쌍의 가스라인용 니플;
    상기 어댑터 몸체의 제3관통홀의 양단에 끼움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전원라인용 접속구를 포함하여,
    용접용 싱글케이블의 끝단부에서 분리되는 제어라인, 가스라인, 전원라인이 상기 제어라인용 커플러, 가스라인용 니플, 전원라인용 접속구와 각각 연결되면서 용접용 싱글케이블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몸체는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블록체와, 상기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블록체가 서로 분리되어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체는 내열성과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3관통홀에 고정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를 통과하는 전원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단과,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단에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블록체는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의 고정홈에 대응하는 핀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가 상기 핀홀과 고정홈으로 끼워지는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단과,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는 상기 삽입단이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단에 암나사가공된 볼트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블록체는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의 볼트공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통공을 통해 한 쌍의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의 볼트공에 끼워지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전원라인용 접속구가 상기 제2블록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KR1020140026109A 2014-03-05 2014-03-05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KR10151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09A KR101518753B1 (ko) 2014-03-05 2014-03-05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09A KR101518753B1 (ko) 2014-03-05 2014-03-05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753B1 true KR101518753B1 (ko) 2015-05-15

Family

ID=5339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109A KR101518753B1 (ko) 2014-03-05 2014-03-05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7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101A (ko) * 2005-06-17 2006-12-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 어댑터 플러그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101A (ko) * 2005-06-17 2006-12-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익스텐션 싱글 케이블 어댑터 플러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279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GB2474612B (en) Umbilical field connect
EP2255916A1 (en) Modular device for plasma cutting with plasma torch and cable for mutual connection to the plasma torch and a generator
CN104220206B (zh) 用于将气体冷却式焊炬的管状弯头可拆卸地连接至软管包装的插头部件和插座部件以及具有这种插头部件和插座部件的连接装置
CN104253334B (zh) 插座电气连接结构
MX2010003295A (es) Canal no metalico para cableado y cable de fibra optica y metodo para formar el canal.
KR101518753B1 (ko) 용접용 싱글케이블 연결 어댑터
CN203415751U (zh) 一种可拆分式医用接头
KR101796307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20170139293A (ko) 로봇용 용접토치
KR101163495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0793617B1 (ko) 전선 인출용 풀링아이
US7033203B2 (en) Connector and components therefor
KR101409246B1 (ko)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EP1982788A1 (en) Connecting device with alignment means for complementary and/or compatible connection
KR101163498B1 (ko) 전기 융착식 파이프
CN104900158A (zh) Led显示屏
CN110630837B (zh) 转接接头
KR200469758Y1 (ko) 용접용 케이블 커넥터
US9368949B2 (en) Channel system
KR200429819Y1 (ko) 파이프 연결구
CN103541970A (zh) 一种直角接头
KR101853904B1 (ko)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KR101774565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20140005638U (ko) Co2 용접기 싱글 케이블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