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904B1 -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3904B1 KR101853904B1 KR1020160067460A KR20160067460A KR101853904B1 KR 101853904 B1 KR101853904 B1 KR 101853904B1 KR 1020160067460 A KR1020160067460 A KR 1020160067460A KR 20160067460 A KR20160067460 A KR 20160067460A KR 101853904 B1 KR101853904 B1 KR 1018539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derground
- wiring
- coupling
- fitting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또는 제2지중배선이 소정각도를 갖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누전 없이 용이하게 지중배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제1 또는 제2지중배선 내부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케이블이 노출될 수 있게 선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도 제1 또는 제2커터에 의해 각각의 외피가 절개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시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지중배전선이 서로 누전 없이 직선은 물론, 소정각도를 갖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작업자의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절연대에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분기 되어져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되기 위해서 지중배전선 보호관 내에서 배전선 간의 접속을 이루게 되는데, 배전선 간의 접속시 작업자의 실수나 혹은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서 배전선이 당겨지게 되면 접속재에 고정된 배전선이 외부로 분리되면서 단선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5178호(2012.09.17.)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23286호(2015.05.20.)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등이 있으며, 여기에는 각 전선을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상호 연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한 쌍의 지중 배선선을 직선 연결만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지중 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외피를 절개한 이후에 사용하여야 하는 선 작업이 필수여서 공정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지중배선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에 직선형태는 물론, 소정각도를 갖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접속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접속대에 지중배선을 연결시에 소요되는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접속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는 내부에 제1지중배선이 삽입되되 삽입시에 상기 제1지중배선의 외피가 절개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결합부와, 내부에 제2지중배선이 삽입되되 삽입시에 상기 제2지중배선의 외피가 절개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지중배선과 상기 제2지중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결합부 및 서로 연결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지중에 설치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내부로 이물질 또는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결합각도에 따라 소정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또는 제2지중배선이 누전 없이 소정각도를 갖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용이하게 지중배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작업자가 제1 또는 제2지중배선 내부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케이블이 노출될 수 있게 선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도 제1 또는 제2커터에 의해 각각의 외피가 절개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1결합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2결합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1 및 제2결합부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1결합부에 제1지중배선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작용관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2결합부에 제2지중배선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1 및 제2결합부가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작용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1결합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2결합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1 및 제2결합부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1결합부에 제1지중배선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작용관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2결합부에 제2지중배선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의 제1 및 제2결합부가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작용관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이하, 간략하게 '접속대'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속대(1)는 크게 제1결합부(100), 제2결합부(200) 및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결합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지중배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제1지중배선(L)이 결합하는 구성으로 제1관통관(110), 제1연결체(120), 제1삽입관(130) 및 제1전도체(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관통관(110)은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다각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제1지중배선(L)이 삽입되게 소정지름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을 갖는다.
제1연결체(120)는 제1관통관(110)과 제1삽입관(130)이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예컨대 제1연결체(120)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제1관통관(110)에 삽입된 제1지중배선(L)이 관통하여 제1삽입관(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지름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관통관(110)과 제1삽입관(130) 사이에 배치된다.
아울러 제1연결체(120)는 가열시 액상으로 변화하여 제1관통관(110) 및 제1삽입관(130) 외면에 접착되되 일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경화되어 고정되는 실리콘이 사용된다. 이때, 제1연결체(120) 양 끝단에는 제1관통관(110) 또는 제1삽입관(130)이 삽입되는 제1접착부(121)가 돌출형성되어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삽입관(130)은 양측이 개방된 원형 또는 사각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제1연결체(120)의 중공부를 통해 삽입된 제1지중배선(L)이 삽입되는 소정 지름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1삽입관(130) 내벽에는 중공부의 지름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삽입관(130)의 중공부 내부로 진입하는 제1지중배선(L)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제1커터(135)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아울러 제1삽입관(130) 외면에는 상기 제1삽입관(130)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1배출구(131)가 형성되어 제1커터(135)에 의해 절개된 제1지중배선(L)의 외피가 제1배출구(131)를 통해 제1삽입관(13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배출구(131) 하부에는 절개된 제1지중배선(L)의 외피가 벗겨져 용이하게 제1배출구(131)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1안내턱(133)이 형성되며, 외피가 벗겨진 제1지중배선(L)의 제1케이블은 제1삽입관(130)에 삽입된 제1전도체(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및 도 10 참조)
제1전도체(140)는 외피가 절개된 제1지중배선(L)의 제1케이블과 결합하여 후술하는 제2결합부(200)에 삽입된 제2지중배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결합구(141) 및 제1삽입체(143)를 포함한다. 이때, 제1전도체(140)는 전체적으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지중배선(L,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구(141)는 전체적으로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져 반구 형상을 갖는 제2결합부(200)의 끼움체(241)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한다. 이때, 결합구(141)는 제1삽입체(143)와 소정거리 이웃하게 이음봉(141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이음봉(141a)이 끼움홈(241a)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삽입체(143)는 일측이 이음봉(141a)에 의해 결합구(14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제1삽입관(130) 내에 삽입되어 외피가 절개된 제1지중배선(L)의 제1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43a)이 형성된다. 이때, 제1삽입체(143)는 제1삽입공(143a)에 삽입된 제1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엠보싱 형상을 갖는 제1돌기(143b)가 다수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삽입체(143)는 외면에 제1지지편(143c)이 돌출형성되어 제1삽입체(143) 내면과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지중배선(L')이 상술한 제1결합부(100)에 삽입된 제1지중배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관통관(210), 제2연결체(220), 제2삽입관(230) 및 제2전도체(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관통관(210)은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다각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제2지중배선(L')이 삽입되게 소정지름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을 갖는다.
제2연결체(220)는 제2관통관(210)과 제2삽입관(230)이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예컨대 제2연결체(220)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제2관통관(210)에 삽입된 제2지중배선(L')이 관통하여 제2삽입관(2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지름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관통관(210)과 제2삽입관(230) 사이에 배치된다.
아울러 제2연결체(220)는 가열시 액상으로 변화하여 제2관통관(210) 및 제2삽입관(230) 외면에 접착되되 일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경화되어 고정되는 실리콘이 사용된다. 이때, 제2연결체(220) 양 끝단에는 제2관통관(210) 또는 제2삽입관(230)이 삽입되는 제2접착부(221)가 돌출형성되어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삽입관(230)은 양측이 개방된 원형 또는 사각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제2연결체(220)의 중공부를 통해 삽입된 제2지중배선(L')이 삽입되는 소정 지름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제2삽입관(230) 내벽에는 중공부의 지름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2삽입관(230)의 중공부 내부로 진입하는 제2지중배선(L')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제2커터(235)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다.(도 11 참조)
아울러 제2삽입관(230) 외면에는 상기 제2삽입관(230)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제2배출구(231)가 형성되어 제2커터(235)에 의해 절개된 제2지중배선(L')의 외피가 제2배출구(231)를 통해 제2삽입관(23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배출구(231) 하부에는 절개된 제2지중배선(L')의 외피가 벗겨져 용이하게 제2배출구(231)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2안내턱(233)이 형성되며, 외피가 벗겨진 제2지중배선(L')의 제2케이블은 제2삽입관(230)에 삽입된 제2전도체(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제2전도체(240)는 외피가 절개된 제2지중배선(L')의 제2케이블과 결합하여 상술한 제1결합부(100)에 삽입된 제1지중배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끼움체(241), 제2삽입체(243) 및 고정체(245)를 포함한다. 이때, 제2전도체(240)의 고정체(245)를 제외한 끼움체(241) 및 제2삽입체(243)는 전체적으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지중배선(L,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끼움체(241)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구(2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면에는 개구된 끝단과 이어지되 이음봉(141a)이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복수의 끼움홈(241a)이 '+'자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제1 또는 제2지중배선(L,L')이 소정의 결합각도를 갖도록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끼움체(241)는 끼움봉(241b)에 의해 후술하는 제2삽입체(243)와 소정거리 이웃하게 이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끼움봉(241b) 외면에는 고정체(245)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참조)
제2삽입체(243)는 일측이 끼움봉(241b)에 의해 끼움체(24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제2삽입관(230) 내에 삽입되어 외피가 절개된 제2지중배선(L')의 제2케이블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243a)이 형성된다. 이때, 제2삽입체(243)는 제2삽입공(243a)에 삽입된 제2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엠보싱 형상을 갖는 제2돌기(243b)가 다수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삽입체(243)는 외면에 제2지지편(243c)이 돌출형성되어 제2삽입체(243) 내면과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체(245)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내부에는 구 형상을 갖는 끼움체(241)가 삽입되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전면(제1결합부 방향)에는 상기 안착홈과 이어지되 상술한 끼움홈(241a)과 대향되게 복수의 고정홈(245a)이 '+'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결합구(141)가 소정각도를 갖도록 회전하여 끼움체(24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도 12 참조). 이때, '+'자 형상을 갖는 끼움홈(241a)은 이음봉(141a)이 정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중심으로 결합구(141)가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최대 108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구(141)는 회전시, 이음봉(141a)이 고정체(245) 및 끼움체(241)에 복수 형성된 고정홈(245a) 및 끼움홈(241a) 중 어느 하나의 홈(245a,241a)으로 인입되면서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고정체(245)는 안착홈으로 끼움체(241)가 인입된 상태에서 후면으로 끼움봉(241b)이 통과하면서 끼움체(241)에 고정되며, 커버부(300)를 통해 고압의 전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결합구(141)는 회전시, 이음봉(141a)이 고정체(245) 및 끼움체(241)에 복수 형성된 고정홈(245a) 및 끼움홈(241a) 중 어느 하나의 홈(245a,241a)으로 인입되면서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고정체(245)는 안착홈으로 끼움체(241)가 인입된 상태에서 후면으로 끼움봉(241b)이 통과하면서 끼움체(241)에 고정되며, 커버부(300)를 통해 고압의 전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삭제
나아가 고정체(245)는 두 분체가 서로 분리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끼움체(24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제1 및 제2결합부(100,200)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되되 결합구(141)와 끼움체(241)의 구성만이 암수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및 제2지중배선(L,L')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1 및 제2배출구(131,23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 및 제2지중배선(L,L')의 외피(자투리)는 별도의 공구를 통해 노출된 부분만 커팅하여 후술하는 커버부(30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팅이 이루어지지 않은 절개된 제1 및 제2지중배선(L,L')의 외피는 제1 및 제2배출구(131,231)를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제1 또는 제2삽입관(130,23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도 10(c) 참조)
그리고, 커버부(3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중배선(L,L')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제1 및 제2결합부(100,200)가 타설된 지하에 설치시에 토사나 습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310) 및 주름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커버부(300)는 절연재질이 사용되어 제1 및 제2지중배선(L,L')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310)는 소정길이를 갖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해 서로 결합한 제1 및 제2결합부(100,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몸체(310)의 길이는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결합부(100,2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몸체(310) 양측 외면에는 클램프(C)의 가압에 의해 중공부 내에 삽입된 제1 및 제2결합부(100,200)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또한 클램프(C)는 상술한 제1 및 제2연결체(120,220)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체(120,220)의 중공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삽입된 제1 및 제2지중배선(L,L')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주름부(320)는 몸체(31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 중앙부 즉, 결합구(141)와 끼움체(241)가 서로 결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를 갖게 형성되어 결합구(141)가 소정의 결합각도를 갖도록 끼움체(241)와 결합시에 상기 결합각도와 대응하는 각도를 갖게 구부러져 지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접속대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또는 제2지중배선(L,L')이 소정각도를 갖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누전 없이 용이하게 지중배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작업자가 제1 또는 제2지중배선(L,L') 내부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케이블이 노출될 수 있게 선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도 제1 또는 제2커터(135,235)에 의해 각각의 외피가 절개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100: 제1결합부 110: 제1관통관
120: 제1연결체 121: 제1접착부
130: 제1삽입관 131: 제1배출구
133: 제1안내턱 135: 제1커터
140: 제1전도체 141: 결합구
143: 제1삽입체 145: 제1지지편
200: 제2결합부 210: 제2관통관
220: 제2연결체 221: 제2접착부
230: 제2삽입관 231: 제2배출구
233: 제2안내턱 235: 제2커터
240: 제2전도체 241: 끼움체
243: 제2삽입체 245: 고정체
300: 커버부 310; 몸체
320: 주름부 C: 클램프
L: 제1지중배선 L': 제지중배선
100: 제1결합부 110: 제1관통관
120: 제1연결체 121: 제1접착부
130: 제1삽입관 131: 제1배출구
133: 제1안내턱 135: 제1커터
140: 제1전도체 141: 결합구
143: 제1삽입체 145: 제1지지편
200: 제2결합부 210: 제2관통관
220: 제2연결체 221: 제2접착부
230: 제2삽입관 231: 제2배출구
233: 제2안내턱 235: 제2커터
240: 제2전도체 241: 끼움체
243: 제2삽입체 245: 고정체
300: 커버부 310; 몸체
320: 주름부 C: 클램프
L: 제1지중배선 L': 제지중배선
Claims (1)
- 내부에 제1지중배선(L)이 삽입되되 삽입시에 상기 제1지중배선(L)의 외피가 절개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결합부(100);
내부에 제2지중배선(L')이 삽입되되 삽입시에 상기 제2지중배선(L')의 외피가 절개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1결합부(100)와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지중배선(L)과 상기 제2지중배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결합부(200); 및
서로 연결된 상기 제1결합부(100)와 상기 제2결합부(200)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지중에 설치된 상기 제1결합부(100)와 상기 제2결합부(200) 내부로 이물질 또는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제1결합부(100)의 결합각도에 따라 소정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주름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00)는,
상기 제1지중배선(L)이 삽입되는 제1관통관(110);
상기 제1관통관(110)을 통과한 상기 제1지중배선(L)이 삽입되며 내벽에 내부로 진입하는 상기 제1지중배선(L)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제1커터(135)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제1삽입관(130);
상기 제1관통관(110)과 상기 제1삽입관(130)을 연결하는 제1연결체(120); 및
상기 제1삽입관(130)에 삽입되며, 외피가 절개된 상기 제1지중배선(L)이 연결되는 제1전도체(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도체(14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구(141); 및
일측이 이음봉(141a)에 의해 상기 결합구(141)와 연결되고, 타측에 외피가 절개된 상기 제1지중배선(L)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43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관(130) 내에 삽입되는 제1삽입체(143)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200)는,
상기 제2지중배선(L')이 삽입되는 제2관통관(210);
상기 제2관통관(210)을 통과한 상기 제2지중배선(L')이 삽입되며, 내벽에 내부로 진입하는 상기 제2지중배선(L')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제2커터(235)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제2삽입관(230);
상기 제2관통관(210)과 상기 제2삽입관(230)을 연결하는 제2연결체(220); 및
상기 제2삽입관(230)에 삽입되며, 외피가 절개된 제2지중배선(L')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1전도체(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도체(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도체(240)는,
상기 결합구(1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 이음봉(141a)이 끼움 결합하는 복수의 끼움홈(241a)이 '+'자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지중배선(L,L')이 소정의 결합각도를 갖도록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체(241);
일측이 끼움봉(241b)에 의해 끼움체(241)와 연결되고, 타측에 외피가 절개된 제2지중배선(L')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243a)이 형성되는 제2삽입체(243); 및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끼움체(241)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끼움홈(241a)과 대향되게 복수의 고정홈(245a)이 '+'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결합구(141)가 소정각도를 갖도록 회전하여 상기 끼움체(24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245)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끼움홈(241a)은,
'+'자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이음봉(141a)이 정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중심으로 상기 결합구(141)가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최대 108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141)는,
회전시, 상기 이음봉(141a)이 복수의 고정홈(245a) 및 끼움홈(241a) 중 어느 하나의 홈(245a,241a)으로 인입되면서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삽입관(130)은,
외면에 상기 제1삽입관(130)과 연통되어 상기 제1커터(135)에 의해 절개된 제1지중배선(L)의 외피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배출구(1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관(230)은,
외면에 상기 제2삽입관(230)과 연통되어 상기 제2커터(235)에 의해 절개된 제2지중배선(L')의 외피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배출구(2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460A KR101853904B1 (ko) | 2016-05-31 | 2016-05-31 |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460A KR101853904B1 (ko) | 2016-05-31 | 2016-05-31 |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474A KR20170135474A (ko) | 2017-12-08 |
KR101853904B1 true KR101853904B1 (ko) | 2018-05-02 |
Family
ID=6091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460A KR101853904B1 (ko) | 2016-05-31 | 2016-05-31 |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39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7679B1 (ko) * | 2019-04-05 | 2019-08-06 | 송영복 |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설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4865B1 (ko) * | 2013-11-25 | 2014-05-13 | 조석현 | 엘리베이터 승강로 케이블 분기 연결장치 |
KR101774565B1 (ko) * | 2016-04-18 | 2017-09-05 | 미래전기기술단(주) |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
-
2016
- 2016-05-31 KR KR1020160067460A patent/KR1018539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4865B1 (ko) * | 2013-11-25 | 2014-05-13 | 조석현 | 엘리베이터 승강로 케이블 분기 연결장치 |
KR101774565B1 (ko) * | 2016-04-18 | 2017-09-05 | 미래전기기술단(주) |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474A (ko) | 2017-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RPI0717004B1 (pt) | Conector tubular para compor furo do poço | |
CN204991997U (zh) | 电力电缆连接端子组合件 | |
CA2280899A1 (en) | Cable connector with fluid injection port | |
CN104885318A (zh) | 用于电气设备的电气盒 | |
CN107004996B (zh) | 电线端子组件和适配器套件 | |
KR101853904B1 (ko) |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 |
RU2001131592A (ru) |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 |
CN109193523A (zh) | 母线弯头连接器及照明母线系统 | |
KR101774565B1 (ko) |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 |
CN100483849C (zh) | 用于编织式同轴电缆的压缩式连接器 | |
KR100818327B1 (ko) |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 |
NL1005863C2 (nl) | Geleidingsysteem, koppeling alsmede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geleidingsysteem. | |
CN104852344B (zh) | 欧式电缆分支箱带电连接构件 | |
CN206432688U (zh) | 井下电缆快速联接装置 | |
KR200394084Y1 (ko) |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 |
CN205583316U (zh) | 一种圆形连接器 | |
KR101562166B1 (ko) |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 |
EP2328248A2 (en) | Support tube for cold-shrink sleeve for electrical cable joint | |
US9368949B2 (en) | Channel system | |
CN210142732U (zh) | 管线等电位连接件 | |
CN109950764B (zh) | 印制板接线用转接器 | |
CN207455014U (zh) | 具有导电功能的导管组件 | |
EP3355426A1 (en) | Tubular insulating seal and corresponding insulating arrangement | |
CN104993435A (zh) | 电缆分支箱穿墙套管及其串接组合件 | |
KR102134880B1 (ko) |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