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666B1 -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666B1
KR101518666B1 KR1020140025313A KR20140025313A KR101518666B1 KR 101518666 B1 KR101518666 B1 KR 101518666B1 KR 1020140025313 A KR1020140025313 A KR 1020140025313A KR 20140025313 A KR20140025313 A KR 20140025313A KR 101518666 B1 KR101518666 B1 KR 101518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ay rod
fixing member
coupl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
이명수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02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7Head-rests with sleeves located in the back-rest for guiding the rods of the head-rest

Abstract

측면에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스테이로드; 상기 스테이로드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써, 스테이로드에 관통결합되는 가이드; 중심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덮개 형상으로써, 상기 가이드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고정홈에 락킹 또는 언락킹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된 캡; 및 일단은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에 결합되어 캡의 회전 시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ASSEMBLING APPARATUS OF HEAD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와 시트의 결합에 관련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를 장착하는 시트백 내에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가이드와 프레임의 조립에 관련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에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락함을 도모하고,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며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성향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헤드레스트 서포트(10)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70, 90)과 가이드봉(30, 50)을 도시하였는데, 제2가이드봉(50)에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었을 때 헤드레스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락킹부(54)가 형성되게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가이드봉(30)과 제2가이드봉(50)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하는 공정에서 제1가이드봉(30)과 제2가이드봉(50)을 반대로 결합하거나 또는 가이드봉(30, 50)의 전후를 혼돈하여 결합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통상적으로 헤드레스트는 "n"자 형상으로 형성된 헤드레스트 서포트(10, 본 발명에서는 스테이로드로 지칭)의 상측에 결합되고, 헤드레스트 서포트(10)의 양측에는 프레임(70, 90)과 가이드봉(30, 50)이 각각 결합되어가이드를 형성하고, 가이드가 헤드레스트 서포트(10)에 결합되게 된다. 이 때, 가이드 중 한 쪽에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후 사용자의 체형이나 취향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락킹부(54)가 형성된다.
상기 락킹부(54)를 조작하여 시트백에 고정된 가이드에서 헤드레스트 서포트(10)가 언락킹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헤드레스트 서포트(1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락킹부(54)에 의해 작동된 고정부재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되어 락킹되는 것으로써, 헤드레스트 서포트(10)의 일측면만 고정되다보니 고정되지 않은 쪽은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헤드레스트 장치의 복잡한 구조를 개선하여 심미성을 높여 고급감을 구현하면서도,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래틀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879994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의 헤드레스트 장치의 복잡한 구조를 개선하여 심미성을 높여 고급감을 구현하면서도,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시트로부터 헤드레스트를 단단하게 지지하여 래틀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는 측면에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스테이로드; 상기 스테이로드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써, 스테이로드에 관통결합되는 가이드; 중심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덮개 형상으로써, 상기 가이드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고정홈에 락킹 또는 언락킹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된 캡; 및 일단은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에 결합되어 캡의 회전 시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로드의 고정홈은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되, 스테이로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부재가 탄성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되 상기 캡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홈에 락킹 또는 언락킹될 수 있다.
상기 캡의 내부에는 홀더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홀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슬라이딩되어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헤드레스트 장치의 복잡한 구조를 개선하여 심미성을 높여 고급감을 구현하면서도,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시트로부터 헤드레스트를 단단하게 지지하여 래틀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캡의 회전 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상세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캡의 회전 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는 측면에 복수의 고정홈(110)이 형성된 스테이로드(100); 상기 스테이로드(100)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써, 스테이로드(100)에 관통결합되는 가이드(300); 중심측에 관통홀(510)이 형성된 덮개 형상으로써, 상기 가이드(300)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스테이로드(100)의 고정홈(110)에 락킹(Locking) 또는 언락킹(Unlocking)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530)와 고정부재(5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50)가 형성된 캡(500); 및 일단은 상기 가이드(3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500)에 결합되어 캡(500)의 회전 시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7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스테이로드(10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이격형성된 복수의 고정홈(110)이 형성되되, 스테이로드(100)의 내측과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테이로드(100)에는 스테이로드(100)를 외측에서 감싸는 파이프형상의 가이드(300)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300)의 상측에는 중심측에 관통홀(510)이 형성된 덮개 형상의 캡(500)이 결합된다.
상기 캡(500)은 종래의 도 1의 락킹부(54)를 대체하는 수단으로써, 캡(500)을 회전하여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500)의 상세한 구조와 동작에 대해 서술하면, 상기 캡(500)의 내측에는 홀더(570), 고정부재(530) 및 지지부재(550)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570)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홀을 스테이로드(100)가 관통하며 스크류 타입인 것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홀더(570)의 측면에는 캡(500)의 회전에 의해 고정부재(530)가 스테이로드(100)의 고정홈(110)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테이로드(100)의 좌우측 걸림홈(110)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플레이트 형상이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 대비 폭이 좁게 형성된 고정부재(530)와 상기 고정부재(530)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고정부재(530)가 동작하도록 하는 지지부재(55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530)는 스테이로드(10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며, 지지부재(550)의 탄성력에 의해 홀더(570)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스테이로드(100)의 걸림홈(110)을 양측에서 잡아 보다 단단하게 락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550)는 상기 고정부재(530)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탄성력으로 고정부재(530)를 지지하여 고정부재(530)를 스테이로드(100)의 고정홈(110)측으로 밀어 락킹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550)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53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50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캡(500)의 회전에 의해 고정부재(530)가 탄성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지지부재(550)는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50)는 고정부재(53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조절을 위하여 사용자가 캡(500)을 회전시키면 스테이로드(100)의 양측에서 캡(500) 내부의 홀더(570)와 지지부재(550)에 의해 고정홈(110)에 맞물린 상태의 고정부재(530)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스테이로드(100)의 고정홈(100)을 따라 회전하면서 고정홈(110)에서 이탈하여 언락킹된다.
상기 가이드(300)와 캡(500)는 탄성부재(7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700)는 일단은 상기 가이드(3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500)에 결합되어 캡(500)의 회전 후 힘의 해제 시 원래의 위치로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캡(500)을 돌린 후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재(700)에 의해 캡(500)은 원상태로 복귀되나 캡(500) 내부의 고정부재(530)는 지지부재(550)가 압축된 상태로써, 스테이로드(100)가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700)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스테이로드(100)의 고정홈(110)에 캡(500)의 고정부재(530)가 고정되도록 위치를 맞추면 다시 지지부재(550)가 고정부재(530)를 탄성적으로 밀어 고정부재(530)는 홀더(570)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되어 다시 고정홈(110)에 고정되게 되어 락킹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레버를 스테이로드의 가이드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었던 복잡한 구조를 개선하여 파손 위험을 감소하여 부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심미성을 높여 고급감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이로드의 편측에서만 고정되던 것을 양측에서 고정하여 보다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 주행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시트로부터 헤드레스트를 보다 단단하게 지지하여 래틀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테이로드 110 : 고정홈
300 : 가이드 500 : 캡
510 : 관통홀 530 : 고정부재
550 : 지지부재 570 : 홀더
700 : 탄성부재

Claims (10)

  1. 측면에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스테이로드;
    상기 스테이로드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써, 스테이로드에 관통결합되는 가이드;
    중심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덮개 형상으로써, 상기 가이드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고정홈에 락킹 또는 언락킹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된 캡; 및
    일단은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에 결합되어 캡의 회전 시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로드의 고정홈은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되, 스테이로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캡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부재가 탄성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되 상기 캡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홈에 락킹 또는 언락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부에는 홀더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슬라이딩되어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KR1020140025313A 2014-03-04 2014-03-04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KR101518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13A KR101518666B1 (ko) 2014-03-04 2014-03-04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13A KR101518666B1 (ko) 2014-03-04 2014-03-04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666B1 true KR101518666B1 (ko) 2015-05-07

Family

ID=5339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313A KR101518666B1 (ko) 2014-03-04 2014-03-04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155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폴가이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705A (ja) * 1992-01-07 1994-02-15 Rhone Poulenc Inc 減じられた脂肪液体食品に滑かさ及び不透明性を付与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ためのリン酸三カルシウム
KR20100003146U (ko) * 2008-09-10 2010-03-18 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탈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705A (ja) * 1992-01-07 1994-02-15 Rhone Poulenc Inc 減じられた脂肪液体食品に滑かさ及び不透明性を付与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ためのリン酸三カルシウム
KR20100003146U (ko) * 2008-09-10 2010-03-18 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탈거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155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폴가이드
KR102466071B1 (ko) 2016-12-16 202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폴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219B2 (en) Mounting device for the headrest of a vehicle seat
JP6155232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車体取付構造
US9789795B2 (en) Head rest
US20150329021A1 (en) A sleeve device for a headrest
CN102398535A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KR100636402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151866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US11691686B2 (en) Windscreen with an adjustable height for a motorcycle
JP6149722B2 (ja) 乗物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JP6269449B2 (ja) 車両用シート
KR20100131557A (ko) 차량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WO2005120894A1 (en) A device for a collapsible headrest
KR101327952B1 (ko) 차량용 리어 시트백 프레임의 조립장치
KR101593847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2133957B1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101518593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립 장치
CA2472703A1 (en) A neck rest for the back rest of automobile seats, in particular rear seats
KR101775200B1 (ko) 자동차 리어 시트의 스토퍼형 아암 레스트 장치
KR101593811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2135278B1 (ko) 차량의 조향 컬럼용 틸트장치
JP6390288B2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KR20130004997A (ko) 호환성을 가진 헤드레스트
KR1015186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200475522Y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200479297Y1 (ko) 차량용 시트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