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018B1 -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 Google Patents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018B1
KR101518018B1 KR1020130098592A KR20130098592A KR101518018B1 KR 101518018 B1 KR101518018 B1 KR 101518018B1 KR 1020130098592 A KR1020130098592 A KR 1020130098592A KR 20130098592 A KR20130098592 A KR 20130098592A KR 101518018 B1 KR101518018 B1 KR 10151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eat
back plate
assembly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341A (ko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비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비케이
Priority to KR102013009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0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3Lumbar supports portable with attachment to the back-res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전면에 부가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 등받이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등판과; 상기 등판 각각에 대해 상부 결착 브릿지와 하부 결착 브릿지를 통하여 연결되어서 등판을 후방에서 탄성 지지하는 등판 지지 프레임과; 상기 등판과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으로서, 차량 시트에 고정되며 전면의 양측부에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시트 지지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캔틸레버 고정단이 제공되고 고정되지 않은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제공되는 걸림구가 제공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A Height Adjustable Auxiliary Backrest for Car Sea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seat),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차량 시트에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차량용 보조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을 장시간 운전하는 운전자 등의 둔부를 지지하는 안착 시트의 좌판부와 등판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의 각도를 일정 각도로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탄성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허리를 곧게 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척추 주변의 근육에 적절한 긴장 상태와 이완 상태의 교번 상태가 적절히 제공되도록 하여 척추에 걸리는 하중을 덜어주며, 나아가 운전할 때 가장 좋은 자세를 만들어 주도록 하는 차량용 보조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차량 탑승자의 둔부가 안착되며 차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소정 이송수단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시트 좌판부 및, 상기 안착 시트의 좌판부의 후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설치되되 각도 조절 장치(틸팅 장치)를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시트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트 등받이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의한 쿠션부재가 구비된 후, 상기 프레임 및 쿠션부재 전체가 가죽 또는 직물 등의 커버로 감싸져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에 있어서는, 시트 등받이의 형태나 시트 좌판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구조로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자세 등에 따라 원활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장시간 운전 또는 착석한 상태에서는 피로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시트 등받이 전면에 별도의 보조 쿠션이나 보조 등받이 등을 설치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는 장시간 착석 시에 척추 및 허리 등에 무리를 주게 되므로, 직업 운전자의 경우에는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점에 노출되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종래 기술로서 2개의 횡방향으로 분리된 2개의 등판을 구비한 보조 등받이가 등록특허 제 10-1293081호와 같이 본원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제품으로서 위 등록 특허와 달리 시트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후방 지지판을 형성한 첨부 도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 보조 등받이가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상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보조 등받이의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1a 및 도 1b와 그리고 위 등록특허 제 10-1293081호의 특허공보의 도면 2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등판의 위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 사용상 등받이의 위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보조 등받이 뒷면의 조절 나사(1b)를 풀고 등받이의 위치를 상하 슬라이딩 조절 홈(1a)을 따라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조절 나사(1b)를 체결하여 고정시켜야 하며, 이를 위하여서는 보조 등받이를 차량 시트로부터 분리하여야만 가능하게 되는 한계점과 이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 등받이의 경우에는,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는 독립된 2개의 등판이 이를 연결 지지하는 등판 지지 프레임과 결합될 때 등판에 상하로 2점 결합되고 등판 지지 프레임에 그 중간 부분이 결합되는 구조의 고무 재질의 탄성 결착구(등록특허 제 10-1293081호의 특허공보 도면 3의 도면부호 '40' 부분 참조)를 사용함으로써, 차량 운행 중에 급격한 커브 구간을 선회하는 경우와 같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상당히 크기의 편심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한쪽 등판의 과도한 회전 또는 밀림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탑승자의 상체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보조 등받이를 차량 시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는 등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도록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 설치되는 2개의 등판과 이를 연결 지지하는 등판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차량 운행 중에 급격한 커브 구간을 선회하는 경우와 같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상당히 크기의 편심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한쪽 등판의 과도한 회전 또는 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등받이는, 차량 시트의 전면에 부가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 등받이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등판과;
상기 등판 각각에 대해 상부 결착 브릿지와 하부 결착 브릿지를 통하여 연결되어서 등판을 후방에서 탄성 지지하는 등판 지지 프레임과;
상기 등판과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으로서, 차량 시트에 고정되며 전면의 양측부에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시트 지지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캔틸레버 고정단이 제공되고 고정되지 않은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제공되는 걸림구가 제공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등판과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의 후면 양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단에는 가이드핀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 체결공에는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핀을 지지하는 핀고정구가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의 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되고,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의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로서 시트 지지 프레임의 양측부에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이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의 종방향 길이는 등판의 상하 이동 거리만큼 설정되고, 상기 핀고정구가 상기 가이드 롤러핀과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핀 체결공에 체결 고정되어서 제1 어셈블리가 시트 지지 프레임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가이드 롤러핀에 의해 지지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걸림구를 구비한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은 좌우 양측에 종방향으로 2열로 형성되고, 2열로 형성된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대에는 누름 스위치가 제공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가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는 2개의 등판 사이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판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상기 상부 결착 브릿지와 상기 하부 결착 브릿지는, 탄성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의 본체로부터 "L"자형으로 전개되면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하중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L"자형의 양측단을 연결하는 보강 브릿지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의 경우에는, 보조 등받이를 차량 시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는 등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도록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 설치되는 2개의 등판과 이를 연결 지지하는 등판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의 결합 구조를 등판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지만 상호 분리된 상부 결착 브릿지와 하부 결착 브릿지를 사용하면서, 이러한 결착 브릿지의 구조 또한 탄성 복원력과 하중 지지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차량 운행 중에 급격한 커브 구간을 선회하는 경우와 같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상당히 크기의 편심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한쪽 등판의 과도한 회전 또는 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최대한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보조 등받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등받이의 구조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등받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등받이를 차량 시트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설치 상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는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등판과, 이들 등판을 연결하며 후방에서 지지하는 등판 지지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등판과 등판 지지 프레임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 시트에 고정되는 시트 지지 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시트 지지 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서, 양측부에 도 5에 도시된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제공되고, 그 중앙의 관통부에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 작동에 대한 록킹과 언록킹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시트 지지 프레임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 등받이에서 등판의 상하 슬라이딩 조절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 배면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 등받이에서 등판의 상하 슬라이딩 조절 작동 상태에 대한 록킹과 언록킹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시트 지지 프레임의 전방 사시도와, 그 작동 상태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 시트(도시 생략)의 전면에 부가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 등받이(100)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2 내지 도 9b에 도시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등판(110)과;
상기 등판(110) 각각에 대해 상부 결착 브릿지(121u)와 하부 결착 브릿지(121d)를 통하여 연결되어서 등판(110)을 후방에서 탄성 지지하는 등판 지지 프레임(120)과;
상기 등판(110)과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으로서, 차량 시트에 고정되며 전면의 양측부에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시트 지지 프레임(130)과; 그리고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캔틸레버 고정단(141)이 제공되고 고정되지 않은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제공되는 걸림구(144)가 제공되는 스토퍼(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보조 등받이(100)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등판(110)과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도 8a (Down) 및 도 8b (Up)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후면 양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단(124)에는 가이드핀 체결공(124a1)이 형성되고(도 5 참조), 상기 가이드핀 체결공(124a1)에는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핀(125a)을 지지하는 핀고정구(125b)가 가이드 지지부(125)로서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된다 (도 5 및 도 3 참조).
또한, 도 6의 배면도 및 도 7의 전방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단(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로서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양측부에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134)이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134)의 종방향 길이는 등판의 상하 이동 거리만큼 설정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지지부(125)를 구성하는 핀고정구(125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롤러핀(125a)과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134)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핀 체결공(124a1)에 체결 고정되어서, 제1 어셈블리가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가이드 롤러핀(125a)에 의해 지지 가이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단(124)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분리된 2단 구조의 슬라이딩홈(124a)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핀 체결공(124a1)은 이러한 2단 구조의 슬라이딩홈(124a) 각각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시트 지지프레임(130)의 양측에 제공되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134) 각각도 상하 방향으로 분리된 2단 구조를 구비하며, 나아가 상기 가이드 롤러핀(125a)과 상기 핀고정구(125b)도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20) 및 그 후방의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양측에서 각각 상하로 2세트가 제공되는 것이 상하 밸런스를 갖춘 안정적인 작동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등판(110)과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보다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로서,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전면에 종방향으로 돌출 성형되는 미끄럼 가이드(137, 138)가 제공되는 것이 작동 편의성 측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 중에 발생하는 작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아울러서 이러한 슬라이딩 이동 작동과 상관없이 차량 운전 중에 발생하는 작은 변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마찰 소음의 방지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40)가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에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중앙부에는 관통부(135)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140)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캔틸레버 고정단(141)은 상기 관통부(135)의 일측에 제공된 결착단(136)에 체결나사(142)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140)의 타단부를 형성하는 캔틸레버 자유단(143)은 관통부(135) 내의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제공되는 상기 걸림구(144)는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의 전면에 제공되어서,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이 전방의 잠금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배면의 양측부에 설정 구간 만큼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다수개의 쐐기형 걸림홈(128)들 중 하나와 상기 걸림구(144)가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하고,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이 후방으로 밀려난 해정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 걸림홈(128)으로부터 상기 걸림구(144)가 빠져 나오게 하여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언록킹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140)의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의 중간부에는 도 7과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지게 형성된 탄발력 제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편리한 작동성 제공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40)의 걸림구(144)를 구비한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은, 도 7과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종방향으로 2열로 형성되고, 2열로 형성된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대에는 누름 스위치(145)가 제공되며,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중앙부(123)에는 관통공(126)이 제공되어서 상기 누름 스위치(145)가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는 2개의 등판(110) 사이로 노출될 수 있게 되며, 그리하여 보조 등받이를 차량 시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시트의 전면에서 2개의 등판(110) 사이로 노출되는 누름 스위치(145)를 누른 채 2개의 등판(110)을 손으로 잡고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판(110)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나사(122)에 의해 체결되는 상기 상부 결착 브릿지(121u)와 상기 하부 결착 브릿지(121d)는 탄성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본체(121)로부터 "L"자형으로 전개되면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하중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L"자형의 양측단을 연결하는 보강 브릿지(121a)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 중에 도 4와 도 7에는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양측단에 고정 벨트(15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벨트 결합공(133)이 제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구체적인 연결 방법은 도시한 바와 유사하면서도 다양하게 변형된 설계 예가 채택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보조 등받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하단부를 구성하도록 절곡 형성된 하단 지지대(132)가 차량 시트(10)를 구성하는 좌판 시트(11)와 등받이 시트(12) 사이에 끼워지도록 시트 전면에 설치하고서, 보조 등받이(100)를 구성하는 등판(110)의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110) 사이로 보이는 스토퍼(140)의 누름 스위치(145)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40)의 캔틸레버 자유단(143)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구(144)가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배면의 양측부에 제공된 다수개의 쐐기형 걸림홈(128)들 중에서 경사 돌기부(128a) 사이에 형성된 하나의 쐐기홈(128b)에 걸려서 잠겨진 잠금 상태(록킹 상태: 'Locked')로부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하게 되면서 쐐기홈(128b)으로부터 상기 걸림구(144)가 빠져 나가게 되어서 해정 위치의 상태(잠금이 해제된 언록킹 상태: 'Unlocked')가 되도록 하고서, 이와 같이 캔틸레버 자유단(143)이 전방의 잠금위치(록킹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밀려난 해정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언록킹 상태)에는 상기 쐐기형 걸림홈(128)으로부터 상기 걸림구(144)가 빠져 나오게 함으로써,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아무런 제약 없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등판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경우에 사용자가 스토퍼(140)의 누름 스위치(145)를 손가락 등으로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배면의 양측부에 제공된 다수개의 쐐기형 걸림홈(128)들 중에서 경사 돌기부(128a) 사이에 형성된 하나의 쐐기홈(128b)에 상기 걸림구(144)가 다시금 끼워져 들어가게 됨으로써 다시 잠금 상태(록킹 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보조 등받이 110: 등판
120: 등판 지지 프레임 121: 본체
121u: 상부 결착 브릿지 121d: 하부 결착 브릿지
124: 슬라이딩단 124a: 2단 구조의 슬라이딩홈
124a1: 가이드핀 체결공 125a: 가이드 롤러핀
125b: 핀고정구 125: 가이드 지지부
126: 관통공 130: 시트 지지 프레임
134: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 140: 스토퍼
141: 캔틸레버 고정단 143: 캔틸레버 자유단
144: 걸림구 145: 누름 스위치

Claims (8)

  1. 차량 시트의 전면에 부가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 등받이(100)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등판(110)과;
    상기 등판(110) 각각에 대해 상부 결착 브릿지(121u)와 하부 결착 브릿지(121d)를 통하여 연결되어서 등판(110)을 후방에서 탄성 지지하는 등판 지지 프레임(120)과;
    상기 등판(110)과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으로서, 차량 시트에 고정되며 전면의 양측부에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시트 지지 프레임(130)과; 그리고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캔틸레버 고정단(141)과, 고정되지 않은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제공되는 걸림구(144)가 제공되는 스토퍼(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140)의 걸림구(144)를 구비한 고정되지 않은 타단부가 되는 캔틸레버 자유단(143)은 좌우 양측에 종방향으로 2열로 형성되고, 2열로 형성된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대에는 누름 스위치(145)가 제공되며, 상기 누름 스위치(145)가 보조 등받이를 구성하는 2개의 등판(110) 사이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중앙부(123)에는 관통공(12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110)과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후면 양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단(124)에는 가이드핀 체결공(124a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 체결공(124a1)에는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핀(125a)을 지지하는 핀고정구(125b)가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되고,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단(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로서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양측부에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134)이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134)의 종방향 길이는 등판의 상하 이동 거리만큼 설정되고, 상기 핀고정구(125b)가 상기 가이드 롤러핀(125a)과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134)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핀 체결공(124a1)에 체결 고정되어서 제1 어셈블리가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가이드 롤러핀(125a)에 의해 지지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단(124)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분리된 2단 구조의 슬라이딩홈(124a)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핀 체결공(124a1)은 2단 구조의 슬라이딩홈(124a) 각각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시트 지지프레임(130)의 양측에 제공되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슬롯(134) 각각도 상하 방향으로 분리된 2단 구조를 구비하며, 나아가 상기 가이드 롤러핀(125a)과 상기 핀고정구(125b)도 상기 등판 지지프레임(120) 및 그 후방의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양측에서 각각 상하로 2세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110)과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제1 어셈블리가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상하 슬라이딩 가이드부로서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전면에 종방향으로 돌출 성형되는 미끄럼 가이드(137, 13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40)가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에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시트 지지 프레임(130)의 중앙부에는 관통부(135)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140)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캔틸레버 고정단(141)은 상기 관통부(135)의 일측에 제공된 결착단(136)에 체결나사(142)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140)의 타단부를 형성하는 캔틸레버 자유단(143)은 관통부(135) 내의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제공되는 상기 걸림구(144)는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의 전면에 제공되어서,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이 전방의 잠금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배면의 양측부에 설정 구간 만큼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다수개의 쐐기형 걸림홈(128)들 중 하나와 상기 걸림구(144)가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록킹하고,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이 후방으로 밀려난 해정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 걸림홈(128)으로부터 상기 걸림구(144)가 빠져 나오게 하여 상기 제1 어셈블리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언록킹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40)의 상기 캔틸레버 자유단(143)의 중간부에는 만곡지게 형성된 탄발력 제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110)의 상단과 하단에 체결나사(122)에 의해 체결되는 상기 상부 결착 브릿지(121u)와 상기 하부 결착 브릿지(121d)는 탄성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등판 지지 프레임(120)의 본체(121)로부터 "L"자형으로 전개되면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하중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L"자형의 양측단을 연결하는 보강 브릿지(121a)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8. 삭제
KR1020130098592A 2013-08-20 2013-08-20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KR10151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592A KR101518018B1 (ko) 2013-08-20 2013-08-20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592A KR101518018B1 (ko) 2013-08-20 2013-08-20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341A KR20150021341A (ko) 2015-03-02
KR101518018B1 true KR101518018B1 (ko) 2015-05-06

Family

ID=5301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592A KR101518018B1 (ko) 2013-08-20 2013-08-20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02B1 (ko) 2018-07-28 2019-05-08 주식회사 삼정에스브이씨 각도 조절 팔걸이를 구비하는 보조 등받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3544A1 (en) 2017-07-28 2019-01-31 Trac Tec Ltd. DEVICE FOR SUPPORTING LOW BACK AND POSTURE
CN112389292B (zh) * 2020-11-25 2023-11-03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座椅腰托及带该腰托的汽车座椅
CN113498944B (zh) * 2021-07-29 2024-04-16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椅子及其支撑机构
KR102388745B1 (ko) * 2021-11-15 2022-04-20 주식회사 퍼맥스 의자
CN115158127A (zh) * 2022-08-26 2022-10-11 松果新能源汽车有限公司 新能源汽车可调节座椅
EP4344583A1 (en) * 2022-09-30 2024-04-03 Ivars S.p.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of a chair and the like
GB2623525A (en) * 2022-10-17 2024-04-24 Duelhawk Ltd Chair with accessory holde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72B1 (ko) * 2011-06-01 2012-01-10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의 요추 지지장치
KR101296612B1 (ko) * 2013-05-02 2013-08-1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72B1 (ko) * 2011-06-01 2012-01-10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의 요추 지지장치
KR101296612B1 (ko) * 2013-05-02 2013-08-1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02B1 (ko) 2018-07-28 2019-05-08 주식회사 삼정에스브이씨 각도 조절 팔걸이를 구비하는 보조 등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341A (ko)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018B1 (ko)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US9085250B2 (en) Base for child safety carrier
MX2015002004A (es) Dispositivo de deslizamiento de asiento.
KR101774793B1 (ko)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KR20060117193A (ko)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드 장치
KR101607103B1 (ko) 진입 간편화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용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방법
KR20120082740A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US20080150340A1 (en) Backrest Unit for a Motor Vehicle Seat
US10821869B2 (en) Headrest assembly
KR200463979Y1 (ko)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KR101358653B1 (ko) 차량용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CN110116703A (zh) 座椅安全带总成
CN212685326U (zh) 一种汽车座椅和独立式座椅坐垫延伸装置
KR100979273B1 (ko) 헤드레스트
KR100474393B1 (ko) 좌판 깊이 조절 구조
EP4005868A1 (en) Seat sliding devic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slide lever in said seat sliding device
KR20200058188A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웨빙가이드
CN111591179A (zh) 一种汽车座椅和独立式座椅坐垫延伸装置
CN111591179B (zh) 一种汽车座椅和独立式座椅坐垫延伸装置
CN109130969A (zh) 车辆座椅导轨的锁闭装置
CN110001485B (zh) 扶手桌固定结构
JPH10297325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240039695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200145165Y1 (ko) 차량의 리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