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393B1 - 좌판 깊이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좌판 깊이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393B1
KR100474393B1 KR10-2002-0079535A KR20020079535A KR100474393B1 KR 100474393 B1 KR100474393 B1 KR 100474393B1 KR 20020079535 A KR20020079535 A KR 20020079535A KR 100474393 B1 KR100474393 B1 KR 100474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eat
shell
bracket
lock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854A (ko
Inventor
이종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to KR10-2002-007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3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 깊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판(4)은, 상기 좌판 골격부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연결되는 좌판 브라켓(20)과,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딩가능케 더 큰 면적으로 포개어는 좌판 셸(30)과, 상기 좌판 브라켓(20)을 기반으로 좌판 셸(30)이 전후이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좌판 브라켓(20)의 저면 좌우단부에서 좌판 브라켓(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좌판 셸(30)의 저면과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과, 상기 좌판 셸(30)의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방에 조립되는 로킹 와이어 캡(60)과, 상기 로킹 와이어 캡(60)에 시이소운동가능케 힌지되어 일측단이 손잡이부(72)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일측과 로킹되거나 로크 해제되는 걸림부(74)를 가진 로킹 와이어(70)와, 상기 로킹 와이어(70)의 일측에 감겨져 로킹 와이어(70)의 걸림부(74)가 좌판 브라켓(20)을 향해 밀착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탄발부재(8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허벅지 길이가 좌판의 길이보다 짧은 착석자가 좌판(4)에 착석시 오금부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등을 등판에 밀착시킬 수 있게 하고, 허벅지 길이가 좌판(4)의 길이보다 긴 착석자가 좌판(4)에 착석시 둔부 및 허벅지부위에 닿는 면적을 넓게 하여 착석 자세를 보다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좌판 깊이 조절 구조{CONTROL STRUCTURE FOR DEPTH OF SEAT}
본 발명은 좌판 깊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신장(身長) 차이에 따라 좌판 길이가 전후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한 좌판 깊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의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를 방향전환시키거나 또는 위치이동시키도록 캐스터 받침대(1)의 끝단에 캐스터(2)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의 중앙에는 지지파이프(3)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파이프(3)내에는 의자의 좌판(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연장파이프(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4)을 받쳐주는 좌판 골격부(6)의 좌우측에는 팔걸이(8)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판(4)의 뒤쪽에는 등판(9)이 좌판(4)에 대해 소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9)의 상단에는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주도록 헤드레스트(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의자의 좌판(4)은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없도록 고정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신장 차이가 다른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각각 대응할 수 없어 착석 자세가 불안정하거나 오금부위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좌판(4)의 길이가 착석자의 허벅지 길이보다 길 경우 오금부위의 압박이 가해지거나 등판(9)에 등을 밀착시킬 수 없고, 좌판(4)의 길이가 착석자의 허벅지 길이보다 짧을 경우 둔부 및 허벅지부위에 닿는 면적이 줄어들어 착석 자세가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벅지 길이가 좌판의 길이보다 짧은 착석자가 좌판에 착석시 오금부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등을 등판에 밀착시킬 수 있게 하고, 허벅지 길이가 좌판의 길이보다 긴 착석자가 좌판에 착석시 둔부 및 허벅지부위에 닿는 면적을 넓게 하여 착석 자세를 보다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는 좌판 깊이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좌판 깊이 조절 구조는 좌판 골격부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연결되는 좌판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상기 좌판 골격부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연결되는 좌판 브라켓과, 상기 좌판 브라켓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딩가능케 더 큰 면적으로 포개어는 좌판 셸과, 상기 좌판 브라켓을 기반으로 좌판 셸이 전후이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좌판 브라켓의 저면 좌우단부에서 좌판 브라켓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좌판 셸의 저면과 다수의 볼트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과, 상기 좌판 셸의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방에 다수의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로킹 와이어 캡과, 상기 로킹 와이어 캡에 시이소운동가능케 힌지되어 일측단이 손잡이부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좌판 브라켓의 일측과 로킹되거나 로크 해제되는 걸림부를 가진 로킹 와이어와, 상기 로킹 와이어의 일측에 감긴상태에서 그 일측단이 로킹 와이어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좌판 셸에 고정되어 로킹 와이어의 걸림부가 좌판 브라켓을 향해 밀착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탄발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좌판 브라켓은, 그 좌측 및 우측단부에 공지의 좌판 골격부의 틸팅축과 다수의 부쉬를 매개로 연결되어 팅팅되도록 하부쪽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측면부와, 그 평면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좌판 셸의 저면과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이 연결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면서 좌판 셸이 전후이동될 때 길이폭을 제한하도록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관통된 좌측 및 우측 복수의 슬라이딩 슬롯과, 그 평면 중앙에 상기 로킹 와이어의 걸림부가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되도록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좌판 셸은, 그 저면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좌판 브라켓의 평면 좌우에 관통된 복수의 슬라이딩 슬롯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과 다수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좌판 셸이 전후이동될 때 스톱퍼역할을 함과 동시에 좌판 셸이 좌우로 유격되지 않게 잡아주도록 각각 돌설된 다수의 보스와, 그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측단에 상기 로킹 와이어 캡과 대응되게 맞닿아 코너부분이 다수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그 중앙에 상기 로킹 와이어가 관통되면서 시이소운동가능토록 일체로 돌설된 캡 고정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은 상기 좌판 브라켓의 슬라이딩 슬롯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좌판 골격부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연결되는 좌판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상기 좌판 골격부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연결되는 좌판 브라켓과, 상기 좌판 브라켓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딩가능케 더 큰 면적으로 포개어는 좌판 셸과, 상기 좌판 브라켓의 좌우단 중앙에 각각 돌출된 돌출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안쪽 측면에 요홈이 각각 형성된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전후끝단과 상기 좌판 셸의 저면 좌우측단을 서로 고정함과 동시에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전후끝단을 통해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톱퍼기능을 가진 복수의 볼트와, 상기 좌판 셸의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방에 다수의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로킹 와이어 캡과, 상기 로킹 와이어 캡에 시이소운동가능케 힌지되어 일측단이 손잡이부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좌판 브라켓의 일측과 로킹되거나 로크 해제되는 걸림부를 가진 로킹 와이어와, 상기 로킹 와이어의 일측에 감긴상태에서 그 일측단이 로킹 와이어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좌판 셸에 고정되어 로킹 와이어의 걸림부가 좌판 브라켓을 향해 밀착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탄발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은 그 단면상태가 디긋자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보다 더 큰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그 디긋자형상의 개구부를 통해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이 삽입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좌판 브라켓의 걸림홀과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때 마찰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고무재질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탄발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좌판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좌판 브라켓에서 좌판 셸이 후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4는 좌판 브라켓에서 좌판 셸이 전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좌판 깊이 조절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좌판(4)은, 좌판 골격부(미도시)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적어도 4곳이 좌우 대칭되게 연결되도록 프레스가공된 금속제의 좌판 브라켓(20)과,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딩가능케 더 큰 면적으로 포개어는 합성수지제의 좌판 셸(30)과, 상기 좌판 브라켓(20)을 기반으로 좌판 셸(30)이 전후이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좌판 브라켓(20)의 저면 좌우단부에서 좌판 브라켓(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좌판 셸(30)의 저면과 다수의 볼트(40)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과, 상기 좌판 셸(30)의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방에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조립되는 로킹 와이어 캡(60)과, 상기 로킹 와이어 캡(60)에 시이소운동가능케 힌지되어 일측단이 손잡이부(72)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일측과 로킹되거나 로크 해제되는 걸림부(74)를 가진 로킹 와이어(70)와, 상기 로킹 와이어(70)의 일측에 감긴상태에서 그 일측단이 로킹 와이어(70)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좌판 셸(30)에 고정되어 로킹 와이어(70)의 걸림부(74)가 좌판 브라켓(20)을 향해 밀착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탄발부재(8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좌판 브라켓(20)은, 그 좌측 및 우측단부에 공지의 좌판 골격부(미도시)의 틸팅축과 다수의 부쉬(18)를 매개로 연결되어 틸팅되도록 하부쪽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측면부(22)와, 그 평면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좌판 셸(30)의 저면과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이 연결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면서 좌판 셸(30)이 전후이동될 때 길이폭을 제한하도록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관통된 좌측 및 우측 복수의 슬라이딩 슬롯(24)과, 그 평면 중앙에 상기 로킹 와이어(70)의 걸림부(74)가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되도록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26)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판 셸(30)은, 그 저면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평면 좌우에 관통된 복수의 슬라이딩 슬롯(24)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과 다수의 볼트(40)에 의해 고정되어 좌판 셸(30)이 전후이동될 때 스톱퍼역할을 함과 동시에 좌판 셸(30)이 좌우로 유격되지 않게 잡아주도록 각각 돌설된 다수의 보스(32)와, 그 평면 전측단에 하향되게 만곡되는 라운딩부(34)와, 그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측단에 상기 로킹 와이어 캡(60)과 대응되게 맞닿아 가장자리에서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고정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그 중앙에 상기 로킹 와이어(70)가 관통되면서 시이소운동가능토록 일체로 돌설된 캡 고정부(36)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은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슬라이딩 슬롯(24)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판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로킹 와이어 캡(60)은 상기 좌판 셸(30)의 저면에 돌설된 캡 고정부(36)와 대응되게 맞닿아 가장자리에서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킹 와이어(70)는 그 중앙이 상기 로킹 와이어 캡(60)과 캡 고정부(36)의 사이에 회동가능케 힌지되어 그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손잡이부(72)와 걸림부(74)로 사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74)에는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걸림홀(26)과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때 마찰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고무재질이 피복되어 있다.
상기 탄발부재(80)는 예를 들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좌판 셸(30)을 전방으로 일정길이 이동시키기 위하여 좌판 셸(30)의 전측단 저면에 설치된 로킹 와이어(70)의 손잡이부(72)와 좌판 셸(30)의 라운딩부(34)를 동시 잡아 쥐면, 로킹 와이어(70)는 좌판 셸(30)의 캡 고정부(36)에 고정된 로킹 와이어 캡(60)을 회전중심으로 시이소운동되면서 그 손잡이부(72)가 아래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그 반대편 걸림부(74)가 윗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걸림부(74)는 좌판 브라켓(20)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26)중 맨 후단에 형성된 걸림홀(26)과 로크 해제된다.
이때, 로킹 와이어(70)의 손잡이부(72)를 쥔상태에서 좌판 셸(30)을 전방으로 당기면, 좌판 셸(30)은 로킹 와이어(70)의 걸림부(74)와 좌판 브라켓(20)의 걸림홀(26)과의 로크 해제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좌판 셸(30)은 그 저면 좌우단에 일체로 돌설된 다수의 보스(32)가 좌판 브라켓(20)의 평면 좌우단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24)에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좌판 브라켓(20)의 저면에서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과 각각 볼트(4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판 셸(30)을 전방으로 당길 때 상기 보스(32)가 슬라이딩 슬롯(24)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되면서 좌판 셸(30)만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착석자가 좌판 셸(30)을 신체조건(허벅지의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경우)에 알맞는 소정위치에 정지시킴과 동시에 쥐고 있던 로킹 와이어(70)의 손잡이부(72)를 놓게 되면, 이 로킹 와이어(70)는 그 일측에 설치된 탄발부재(80)의 탄발력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귀되면서 그 손잡이부(72)가 윗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그 반대편 걸림부(74)가 아래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부(74)는 좌판 브라켓(20)에 설치된 다수의 걸림홀(26)중 선택된 그 어느 하나에 로킹됨으로써 도 4와 같이 좌판(4)의 깊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석자의 허벅지 길이보다 좌판 셸(30)의 길이가 길 경우 도 3과 같이 좌판 브라켓(20)을 기반으로 좌판 셸(3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좌판 셸(3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좌판 셸(30)에 사용자가 착석시 오금부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등을 등판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착석자의 허벅지 길이보다 좌판 셸(30)의 길이가 짧을 경우 도 4와 같이 좌판 브라켓(20)을 기반으로 좌판 셸(3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좌판 셸(30)의 길이를 길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좌판 셸(30)에 사용자가 착석시 둔부 및 허벅지부위에 닿는 면적을 넓게 하여 착석 자세를 보다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종래 및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좌판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좌판 브라켓에서 좌판 셸이 후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7은 좌판 브라켓에서 좌판 셸이 전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좌판 깊이 조절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좌판(4)은, 좌판 골격부(미도시)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다수곳이 좌우 대칭되게 연결되도록 프레스가공된 금속제의 좌판 브라켓(20a)과, 상기 좌판 브라켓(20a)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딩가능케 더 큰 면적으로 포개어는 합성수지 또는 합판재질의 좌판 셸(30a)과, 상기 좌판 브라켓(20a)의 좌우단 중앙에 각각 돌출된 돌출부(28)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안쪽 측면에 요홈(52c)이 각각 형성된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의 전후끝단과 상기 좌판 셸(30a)의 저면 좌우측단을 서로 고정함과 동시에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의 전후끝단을 통해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톱퍼기능을 가진 복수의 볼트(40)와, 상기 좌판 셸(30a)의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방에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조립되는 로킹 와이어 캡(60)과, 상기 로킹 와이어 캡(60)에 시이소운동가능케 힌지되어 일측단이 손잡이부(72)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좌판 브라켓(20a)의 일측과 로킹되거나 로크 해제되는 걸림부(74)를 가진 로킹 와이어(70)와, 상기 로킹 와이어(70)의 일측에 감긴상태에서 그 일측단이 로킹 와이어(70)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좌판 셸(30a)에 고정되어 로킹 와이어(70)의 걸림부(74)가 좌판 브라켓(20a)을 향해 밀착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탄발부재(8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좌판 셸(30a)의 저면 좌우측에 대하여 전후단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의 양끝단부를 관통하는 상기 볼트(40)가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너트(90)가 인서트되어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은 그 단면상태가 디긋자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보다 더 큰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그 디긋자형상의 개구부를 통해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이 삽입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로킹 와이어(70)의 로킹 및 로크해제동작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로킹 와이어(70)의 로킹 및 로크 해제동작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한다.
즉, 좌판 셸(30a)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좌판 셸(30a)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은 좌판 브라켓(20a)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을 타고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되면서 좌판 셸(30a)이 좌우측으로 유격되지 않도록 잡아 줌과 동시에 좌판 셸(30a)이 좌판 브라켓(20a)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이때,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의 전후끝단과 좌판 셸(30a)을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40)는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이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을 타고 전후방향으로 끝까지 이동될 때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의 전후단에 걸림으로써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과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이 전후방향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스톱퍼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좌판 깊이 조절 구조는 착석자의 신장 차이에 따라 좌판 길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허벅지 길이가 좌판 길이보다 짧은 착석자가 좌판에 착석시 오금부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등을 등판에 밀착시킬 수 있게 하고, 허벅지 길이가 좌판 길이보다 긴 착석자가 좌판에 착석시 둔부 및 허벅지부위에 닿는 면적을 넓게 하여 착석 자세를 보다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좌판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좌판 브라켓에서 좌판 셸이 후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좌판 브라켓에서 좌판 셸이 전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는 좌판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좌판 브라켓에서 좌판 셸이 후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좌판 브라켓에서 좌판 셸이 전진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좌판 20,20a : 좌판 브라켓
22 : 측면부 24 : 슬라이딩 슬롯
26 : 걸림홀 28 : 돌출부
30,30a : 좌판 셸 32 : 보스
36 : 캡 고정부 40,42 : 볼트
50a,50b :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
52a,52b :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
54a,54b :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
60 : 로킹 와이어 캡 70 : 로킹 와이어
72 : 손잡이부 74 : 걸림부
80 : 탄발부재

Claims (8)

  1. 좌판 골격부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연결되는 좌판(4)에 있어서,
    상기 좌판(4)은,
    상기 좌판 골격부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연결되는 좌판 브라켓(20)과,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딩가능케 더 큰 면적으로 포개어는 좌판 셸(30)과,
    상기 좌판 브라켓(20)을 기반으로 좌판 셸(30)이 전후이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좌판 브라켓(20)의 저면 좌우단부에서 좌판 브라켓(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좌판 셸(30)의 저면과 다수의 볼트(40)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과,
    상기 좌판 셸(30)의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방에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조립되는 로킹 와이어 캡(60)과,
    상기 로킹 와이어 캡(60)에 시이소운동가능케 힌지되어 일측단이 손잡이부(72)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일측과 로킹되거나 로크 해제되는 걸림부(74)를 가진 로킹 와이어(70)와,
    상기 로킹 와이어(70)의 일측에 감긴상태에서 그 일측단이 로킹 와이어(70)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좌판 셸(30)에 고정되어 로킹 와이어(70)의 걸림부(74)가 좌판 브라켓(20)을 향해 밀착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탄발부재(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깊이 조절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브라켓(20)은,
    그 좌측 및 우측단부에 공지의 좌판 골격부의 틸팅축과 다수의 부쉬(18)를 매개로 연결되어 틸팅되도록 하부쪽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측면부(22)와,
    그 평면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좌판 셸(30)의 저면과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이 연결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면서 좌판 셸(30)이 전후이동될 때 길이폭을 제한하도록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관통된 좌측 및 우측 복수의 슬라이딩 슬롯(24)과,
    그 평면 중앙에 상기 로킹 와이어(70)의 걸림부(74)가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해제되도록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2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깊이 조절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셸(30)은,
    그 저면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평면 좌우에 관통된 복수의 슬라이딩 슬롯(24)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과 다수의 볼트(40)에 의해 고정되어 좌판 셸(30)이 전후이동될 때 스톱퍼역할을 함과 동시에 좌판 셸(30)이 좌우로 유격되지 않게 잡아주도록 각각 돌설된 다수의 보스(32)와,
    그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측단에 상기 로킹 와이어 캡(60)과 대응되게 맞닿아 가장자리에서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고정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그 중앙에 상기 로킹 와이어(70)가 관통되면서 시이소운동가능토록 일체로 돌설된 캡 고정부(36)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깊이 조절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가이드판(50a)(50b)은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슬라이딩 슬롯(24)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깊이 조절 구조.
  5. 좌판 골격부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연결되는 좌판(4)에 있어서,
    상기 좌판(4)은,
    상기 좌판 골격부의 상면에 틸팅가능케 연결되는 좌판 브라켓(20)과,
    상기 좌판 브라켓(20a)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딩가능케 더 큰 면적으로 포개어는 좌판 셸(30a)과,
    상기 좌판 브라켓(20a)의 좌우단 중앙에 각각 돌출된 돌출부(28)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안쪽 측면에 요홈(52c)이 각각 형성된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의 전후끝단과 상기 좌판 셸(30a)의 저면 좌우측단을 서로 고정함과 동시에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의 전후끝단을 통해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톱퍼기능을 가진 복수의 볼트(40)와,
    상기 좌판 셸(30a)의 저면 중앙에 대하여 전방에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조립되는 로킹 와이어 캡(60)과,
    상기 로킹 와이어 캡(60)에 시이소운동가능케 힌지되어 일측단이 손잡이부(72)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좌판 브라켓(20a)의 일측과 로킹되거나 로크 해제되는 걸림부(74)를 가진 로킹 와이어(70)와,
    상기 로킹 와이어(70)의 일측에 감긴상태에서 그 일측단이 로킹 와이어(70)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좌판 셸(30a)에 고정되어 로킹 와이어(70)의 걸림부(74)가 좌판 브라켓(20a)을 향해 밀착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탄발부재(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깊이 조절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레일(54a)(54b)은 그 단면상태가 디긋자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보다 더 큰 길이로 이루어져 있고, 그 디긋자형상의 개구부를 통해 좌측 및 우측 슬라이딩 블록(52a)(52b)이 삽입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깊이 조절 구조.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74)에는 상기 좌판 브라켓(20)의 걸림홀(26)과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때 마찰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고무재질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깊이 조절 구조.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부재(8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깊이 조절 구조.
KR10-2002-0079535A 2002-12-13 2002-12-13 좌판 깊이 조절 구조 KR10047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535A KR100474393B1 (ko) 2002-12-13 2002-12-13 좌판 깊이 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535A KR100474393B1 (ko) 2002-12-13 2002-12-13 좌판 깊이 조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854A KR20040051854A (ko) 2004-06-19
KR100474393B1 true KR100474393B1 (ko) 2005-03-10

Family

ID=3734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535A KR100474393B1 (ko) 2002-12-13 2002-12-13 좌판 깊이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3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44B1 (ko) 2008-12-09 2011-05-25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사무용 의자의 좌판 전후 이동 조절 장치
KR200465611Y1 (ko) 2010-06-09 2013-02-28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용 시트의 슬라이딩구조
KR102177325B1 (ko) 2020-04-27 2020-11-11 안창규 좌판이동이 가능한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KR102323678B1 (ko) * 2021-04-01 2021-11-12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897U (ko) * 1997-09-18 1999-04-15 이양훈 수강용 책상
KR200196463Y1 (ko) * 2000-04-06 2000-09-15 이진섭 책받침판 이동식 수강용 책상
KR200196464Y1 (ko) * 2000-04-06 2000-09-15 이진섭 이동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갖는 수강용 책상
KR200237885Y1 (ko) * 2001-04-13 2001-10-11 최성희 책걸상
KR200257056Y1 (ko) * 2001-09-13 2001-12-28 이태형 의자 밑판의 슬라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897U (ko) * 1997-09-18 1999-04-15 이양훈 수강용 책상
KR200196463Y1 (ko) * 2000-04-06 2000-09-15 이진섭 책받침판 이동식 수강용 책상
KR200196464Y1 (ko) * 2000-04-06 2000-09-15 이진섭 이동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갖는 수강용 책상
KR200237885Y1 (ko) * 2001-04-13 2001-10-11 최성희 책걸상
KR200257056Y1 (ko) * 2001-09-13 2001-12-28 이태형 의자 밑판의 슬라이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44B1 (ko) 2008-12-09 2011-05-25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사무용 의자의 좌판 전후 이동 조절 장치
KR200465611Y1 (ko) 2010-06-09 2013-02-28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용 시트의 슬라이딩구조
KR102177325B1 (ko) 2020-04-27 2020-11-11 안창규 좌판이동이 가능한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KR102323678B1 (ko) * 2021-04-01 2021-11-12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854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9396B1 (en) Seat bolster adjustment assembly
US6908159B2 (en) Seat for a reclining office chair
US7234775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seat and backrest and method
US5314240A (en) Shell structure for use with a chair having synchronously moving seat and seat back
US4632455A (en) Chair with occupant assisting features
US20070222265A1 (en) Reclining chair with enhanced adjustability
EP3545795B1 (en) Forward tilt assembly for chair seat
US20060284461A1 (en) Chair with recline control mechanism, recline limit control and back tilt mechanism
KR100474393B1 (ko) 좌판 깊이 조절 구조
JP2003079472A (ja) ロッキング椅子及びそのベース
KR200304618Y1 (ko) 좌판 깊이 조절 구조
JP4255804B2 (ja) 椅子
JP4520622B2 (ja) 椅子における座の取付装置
JPH0517957Y2 (ko)
KR102341836B1 (ko) 전후방 이동부를 구비한 의자
KR100566659B1 (ko) 머리받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JPS6342848Y2 (ko)
KR200304616Y1 (ko)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10018716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트구조
KR19980046731U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200178616Y1 (ko) 의자
KR19980063050A (ko) 헤드 레스트 이동장치
JPH0824079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2000289500A (ja) 車輌用シートの座部位置調整装置
JPH1189668A (ja) オフィスチェアのアームレ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