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167B1 -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167B1
KR101517167B1 KR1020140168857A KR20140168857A KR101517167B1 KR 101517167 B1 KR101517167 B1 KR 101517167B1 KR 1020140168857 A KR1020140168857 A KR 1020140168857A KR 20140168857 A KR20140168857 A KR 20140168857A KR 101517167 B1 KR101517167 B1 KR 10151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bar
adapter
cei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유원엔지니어링(주)
(주)대한기업
아큐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엔지니어링(주), (주)대한기업, 아큐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원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4016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167B1/ko
Priority to PCT/KR2015/011426 priority patent/WO20160851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분리 구성하여 건축물 천정 시공시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설치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천정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천정 인테리어에 대한 심미감을 극대화한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캐링바와, 상기 캐링바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클립에 양측이 걸려 캐링바의 하방에 결합되며, 하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어댑터;상기 어댑터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하 관통된 토출공을 형성하도록 상호간에 이격된 복수의 토출바;상기 토출바의 길이 방향으로 토출바 상면에 결합된 연질의 씰링부재;일측에는 온도조절된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바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되 유출구에는 상기 토출공에 대응되도록 유출구를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씰링부재에 밀착되어 토출바에 결합되는 챔버;상기 구획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구획된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A detachable-face variable air volume linear diffuser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의 편의성 및 천정 인테리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건조된 공장, 마트, 백화점, 아파트와 같은 대형건물은 그 대부분이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목적으로 냉난방장치나 환기장치와 같은 공기조화시스템을 완비하고 있는데, 냉난방장치나 환기장치에 의하여 공조된 공기(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 또는 맑은 공기)는 에어 덕트를 따라 실내의 정하여진 장소로 유실 없도록 수송되고, 이후 이 에어 덕트의 말단에 설치된 에어 디퓨저에 의하여 확산되도록 토출된다.
상기한 에어 디퓨저는,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건물에 설치되고, 실
내의 오염된 공기는 여과되거나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따뜻하게 가온하기도 하며 최종적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적절한 습도를 갖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 디퓨저에 의해 공기의 컨디션(온도, 습도, 청정 상태 등)이 유용하게 변화되고, 이러한 공기는 덕트 등의 주관을 따라 건물의 실내 쪽으로 흐를 수 있다.
상술한 디퓨저는 덕트의 단부가 실내에서 직접 보이지 않도록 하고 실내의 인테리어 적인 측면에서 더욱 미려한 실내를 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디퓨저는 설치 타입 및 목적에 따라, 공기가 네 방향으로 토출되는 사각 형태의 디퓨저와,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선형(線形)의 리니어(Linear) 디퓨저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건축물 천정에 대한 건축 구조물 시공이 이루어진다.
천정 내부를 가로질러 격자 형태로 복수의 캐링바(10)가 설치되고, 상기 캐링바(10)에는 티바(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30)이 나사 조립된다.
그리고, 티바(20)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고정클립(30)에 걸려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이 건축 구조물 시공이 완료되면, 시공된 건축 구조물에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D)를 설치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작업자는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D)의 하부를 상기 한 쌍의 티바(20) 사이에 안착시키고,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D)의 상부는 천정 구조물에 와이어 등을 이용해 고정시키거나 용접 등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구조물에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의 시공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건축 구조물 시공과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이 별개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공수가 늘고 공기가 지연되어 시공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구성하는 챔버와, 챔버를 통해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의 구성이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의 시공은 건축 구조물 시공과 별개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건축 구조물 시공 자재에는 일체형의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지지해야하는 티바(20)의 구성이 반드시 소요됨으로써 시공 비용을 줄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둘째, 티바(20)와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D)의 토출부 간에 발생한 이질감 때문에, 천정 인테리어에 대한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건축물 시공시 안정성과 함께 미적인 부분에 대한 설계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최근 추세를 감안할 때, 티바(20)와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D) 간에 중첩되는 라인 및 이질감 때문에 천정에 대한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20-2010-000780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를 향해 노출된 토출부를 천정 구조물과 이질감 없이 용이하게 디자인될 수 있도록 토출부와 챔버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실내 천정 인테리어에 대한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니어 디퓨저의 토출부가 건축 구조물을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시공과 디퓨저 시공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수를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캐링바와, 상기 캐링바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클립에 양측이 걸려 캐링바의 하방에 결합되며, 하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어댑터;상기 어댑터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하 관통된 토출공을 형성하도록 상호간에 이격된 복수의 토출바;상기 토출바의 길이 방향으로 토출바 상면에 결합된 연질의 씰링부재;일측에는 온도조절된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바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되 유출구에는 상기 토출공에 대응되도록 유출구를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씰링부재에 밀착되어 토출바에 결합되는 챔버;상기 구획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구획된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제공한다.
이때, 이웃하는 어댑터를 측면에서 고정하여 복수의 토출바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 플레이트가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댑터의 상부 양측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고정클립의 하부에는 걸림홈에 걸려 결합되도록 상방을 향해 절곡된 고정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에는 씰링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씰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씰링홈에 대응되는 챔버 및 구획부재에는 씰링홈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바 중 맨 양측의 토출바는 건축물 천정의 마감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편을 연장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 블레이드에는 구획부재를 향해 돌출된 간격유지부재가 더 마련되어, 개폐 블레이드가 구획부재에 밀착되더라도, 유출구는 간격유지부재가 돌출된 만큼 항상 개방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로써,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천정에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고정클립이 결합된 복수의 캐링바를 천정에 시공하는 단계;(b) 토출바를 어댑터의 걸림수단에 결합시키는 단계;(c) 어댑터의 걸림홈에 고정클립의 고정부를 걸어 결합시키는 단계;(d) 챔버 및 구획부재의 결합돌기를 씰링부재의 씰링홈에 밀착하여 챔버를 안착시키는 단계;(d)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챔버를 토출바에 결합시키는 단계;(e) 토출부재의 안착편에 건축물 마감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어댑터에 결합된 복수의 토출바를 연이어 배치하고, 이웃하는 한 쌍의 어댑터 측면에는 연결플레이트를 대고 체결수단을 이용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가 챔버와 토출바로 분리되어 구성됨으로써, 시공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토출바가 챔버로부터 에어가 토출되는 관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건축물 천정 구조물 예컨대 티바(T-bar) 역할을 겸함으로써, 토출바 시공만으로 건축 구조물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공수를 줄여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둘째, 토출바와 건축 구조물 간에 중첩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천정 인테리어에 대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에는 일체형의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한 건축 구조물인 티바와 디퓨저의 토출바가 중첩되어 깔끔한 심미감을 제공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티바와 토출바 간에 이질감으로 인해 천정 인테리어에 대한 미관을 극대화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디퓨저의 토출바가 티바를 겸함으로써 천정 인테리어는 깔끔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에 대한 편의성과 천정 인테리어에 대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의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가 시공된 상태의 천정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가 천정에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의 토출바가 이웃하는 토출바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의 챔버와 토출바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가 천정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는 챔버와 토출부를 분리하여 구성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천정 시공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천정 인테리어에 대한 심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00)와, 토출바(200)와, 씰링부재(300)와, 챔버(400)와, 개폐 블레이드(500)와, 연결 플레이트(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댑터(100)는 토출바(200)와 챔버(400) 간에 연결 매개체 역할을 한다.
어댑터(100)의 상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링바(10)에 결합된 고정클립(30)에 결합되고, 어댑터(100)의 하부에는 토출바(200)가 결합된다.
이때, 고정클립(30)의 하부에는 상향 절곡된 고정부(31)가 형성되고, 어댑터(100)의 상부 양측에는 하향 절곡된 걸림홈(1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어댑터(100)는 고정클립(3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어댑터(100)의 하부에는 결합부(120)가 형성되며, 결합부(120)에는 토출바(200)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다음으로, 토출바(200)는 챔버(400)로부터 유출된 에어가 천정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어댑터(100)에 결합된다.
토출바(200)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상,하 관통된 토출공(21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토출바(200)는 코안다 효과를 위해 일측을 향해 라운드진 곡선의 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토출바(200) 중 맨 외측에 배치된 각 토출바(200)의 단부는 외측을 향해 더 연장되어 안착편(22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안착편(220)의 연장 길이는 어댑터(100)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후술하는 마감부재(P)가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토출바(200)에 마감부재(P)가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편(220)이 마련됨으로써, 마감부재(P)를 지지하던 기존의 건축 구조물 예컨대 티바(T-bar)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토출바(200)는 서플라이(S)와 리턴(R)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서플라이(S)는 챔버(400)가 안착되어 챔버(400)의 에어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이며, 리턴(R)은 챔버(400)의 설치와는 관계없이 마감부재(P) 설치 및 천정 인테리어를 위해 서플라이(S)에 연결되어 토출바(200) 전체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서플라이(S)는 챔버(400)의 길이에 대응되며, 리턴(R)은 천정 크기에 고려되어 제작이 된다.
다음으로, 씰링부재(300)는 챔버(400)와 토출바(200) 간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에 완충작용 및 기밀 유지 역할을 한다.
씰링부재(300)는 챔버(400)가 안착되는 토출바(서플라이)(2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씰링부재(300)에는 챔버(40))를 향해 상방으로 개구된 씰링홈(310)이 형성된다.
씰링부재(3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연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챔버(400)는 중앙 시스템을 통해 온도 조절된 에어를 실내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토출바(200)에 결합된다.
챔버(4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유입구(410) 및 유출구(420)가 형성된다.
유입구(410)는 덕트를 통해 에어가 유입되는 통공이며, 유출구(420)는 유입구(410)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바(200)를 향해 유출되는 통공이다.
상기 유출구(420)는 하방의 토출바(200)를 향해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유출구(420)에는 유출구(420)를 복수로 구획하는 구획부재(430)가 설치된다.
상기 구획부재(430)는 복수의 토출바(200)에 대응되며, 구획부재(430) 사이의 공간은 토출바(200) 사이의 토출공(210)에 대응된다.
상기 유출구(420)를 형성하는 챔버(400)의 양측 및 가운데 구획부재(430)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된 결합돌기(431)가 형성된다.
결합돌기(431)는 씰링부재(300)에 챔버(400)가 안착되는 과정에서, 씰링홈(310)에 결합돌기(431)가 삽입되도록 하여 챔버(400)와 토출바(200) 간에 기밀 유지 및 결합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챔버(400)는 온도 감지기를 통해 에어 온도 및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개폐 블레이드(500)를 자동으로 개폐하면서 에어를 유출시킨다.
이러한 온도감지기 및 개폐 블레이드(500)의 작동원리는 기존에 공지된 기술과 동일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개폐 블레이드(500)는 챔버(400)의 유출구(420)를 개폐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재(430)에 힌지 결합된다.
개폐 블레이드(500)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이웃하는 구획부재(430)에 밀착하여 유출구(420)를 폐쇄하거나, 구획부재(430)로부터 떨어져 유출구(420)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개폐 블레이드(500)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재(51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간격유지부재(510)는 개폐 블레이드(500)가 유출구(420)를 완전히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계절에 따라 디퓨저 작용이 정지된 경우에도 챔버(400)의 유출구(420)가 일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간격유지부재(510)는 개폐 블레이드(500)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특정한 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간격유지부재(510)는 개폐 블레이드(500)의 길이방향 즉, 챔버(400)의 길이 방향으로 개폐 블레이드(500)에 고정되되 복수로 마련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개폐 블레이드(500)가 구획부재(430)에 밀착이 되더라도, 유출구(420)는 간격유지부재(510)가 개폐 블레이드(500)로부터 돌출된 만큼 개방된다.
다음으로, 연결 플레이트(600)는 이웃하는 토출바(200)를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금속의 플레이트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천정에 설치되는 토출바(200)는 복수로 마련된 후 연이어 설치되는데, 연결 플레이트(600)는 연이어 배치된 토출바(200)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매개체인 것이다.
정확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600)는 연이어 배치된 토출바(200)의 어댑터(100) 측면에 밀착이 되며, 나사,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연결 플레이트(600)를 어댑터(100)에 고정시킴으로써 복수의 토출바(200)를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건축물의 천정 시공을 위한 캐링바(10)를 설치한다.(S100)
캐링바(100)는 천정 구조물의 틀을 구성하며, 천정의 슬래브를 가로질러 복수로 설치된다.
이때, 캐링바(10)는 천정 슬래브에 고정된 행거볼트에 매달려 고정되며, 캐링바(10)에는 고정클립(30)을 결합시킨다.
고정클립(30)은 후술하는 어댑터(100)를 결합시키기 위함이며, 디퓨저 한 개당 한 쌍이 제공된다.
이때, 한 쌍의 고정클립(30) 사이 간격은 어댑터(100) 너비에 대응된다.
다음으로, 토출바(200)와 어댑터(100)를 결합시킨다.(S200)
즉, 토출바(200)는 천정으로부터 에어가 토출되는 통로로서, 어댑터(100)를 통해 천정의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로 조립되어야 하는 것이다.
상기 토출바(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플라이(S)와 리턴(R)으로 구분되며, 작업자는 설계된 챔버(400)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플라이(S)와 리턴(R)을 번갈아가며 어댑터(100)를 이용해 조립시킨다.
다음으로, 천정 슬래브에 시공된 캐링바(10)에 어댑터(100)가 조립된 토출바(200)를 결합시킨다.(S300)
상세하게는, 캐링바(10)에 결합된 고정클립(30)의 고정부(31)를 어댑터(100)의 걸림홈(110)에 걸어 조립시킨다.
이에 따라, 어댑터(100)의 양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30)에 매달려 지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공에 의해 토출바(200)는 캐링바(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시공됨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캐링바(10)에 매달린 어댑터(100)는 토출바(200)를 천정에 연이어 배치시키며, 작업자는 연이어 배치된 토출바(200)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작업자는 이웃하는 어댑터(100) 간에 연결 플레이트(600)를 밀착시키고,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토출바(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 플레이트(600)를 어댑터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캐링바(10)에 토출바(200)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토출바(200)는 디퓨저의 일부를 구성하지만, 건축물 천정의 구조물과 함께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하여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시공된 토출바(200)에 챔버(400)를 안착시킨다.(S400)
정확하게는 토출바(200) 중 서플라이(S)에 챔버(400)의 유출구(420)가 대응되도록 안착시킨다.
이때, 챔버(400) 유출구(420)의 양측 및 구획부재(430)에 형성된 결합돌기(431)는 토출바(200) 상면에 설치된 씰링부재(300)의 씰링홈(310)에 삽입이 되며, 구획된 유출구(420)는 토출바(200)의 토출공(210)에 대응된다.
다음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토출바(200)와 챔버(4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챔버(400)의 결합돌기(431)와 씰링부재(300)는 더욱 견고하게 밀착이 되면서 기밀 유지가 된다.
다음으로, 맨 양측에 배치된 토출바(200) 안착편(220)에 마감부재(P)를 안착시키고, 체결수단을 이용해 고정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천정 시공이 완료된다.(S50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시공방법은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구성하는 토출바가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건축물 시공시 건축물 천정 구조물의 일부를 겸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천정 구조물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천정 인테리어에 대한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어댑터 110 : 걸림홈
120 : 결합부 200 : 토출바
210 : 토출공 220 : 안착편
300 : 씰링부재 310 : 씰링홈
400 : 챔버 410 : 유입구
420 : 유출구 430 : 구획부재
431 : 결합돌기 500 : 개폐 블레이드
510 : 간격유지부재 600 : 연결 플레이트

Claims (8)

  1. 천정에 설치된 복수의 캐링바와, 상기 캐링바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클립에 양측이 걸려 캐링바의 하방에 결합되며, 하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어댑터;
    상기 어댑터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하 관통된 토출공을 형성하도록 상호간에 이격된 복수의 토출바;
    상기 토출바의 길이 방향으로 토출바 상면에 결합된 연질의 씰링부재;
    일측에는 온도조절된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바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되 유출구에는 상기 토출공에 대응되도록 유출구를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씰링부재에 밀착되어 토출바에 결합되는 챔버;
    상기 구획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구획된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2. 제 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어댑터를 측면에서 고정하여 복수의 토출바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 플레이트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상부 양측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고정클립의 하부에는 걸림홈에 걸려 결합되도록 상방을 향해 절곡된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에는 씰링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씰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씰링홈에 대응되는 챔버 및 구획부재에는 씰링홈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바 중 맨 양측의 토출바는 건축물 천정의 마감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편을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블레이드에는 구획부재를 향해 돌출된 간격유지부재가 더 마련되어, 개폐 블레이드가 구획부재에 밀착되더라도, 유출구는 간격유지부재가 돌출된 만큼 항상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7.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를 천정에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고정클립이 결합된 복수의 캐링바를 천정에 시공하는 단계;
    (b) 토출바를 어댑터의 걸림수단에 결합시키는 단계;
    (c) 어댑터의 걸림홈에 고정클립의 고정부를 걸어 결합시키는 단계;
    (d) 챔버 및 구획부재의 결합돌기를 씰링부재의 씰링홈에 밀착하여 챔버를 안착시키는 단계;
    (d)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챔버를 토출바에 결합시키는 단계;
    (e) 토출부재의 안착편에 건축물 마감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어댑터에 결합된 복수의 토출바를 연이어 배치하고, 이웃하는 한 쌍의 어댑터 측면에는 연결플레이트를 대고 체결수단을 이용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KR1020140168857A 2014-11-28 2014-11-28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KR10151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57A KR101517167B1 (ko) 2014-11-28 2014-11-28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PCT/KR2015/011426 WO2016085136A1 (en) 2014-11-28 2015-10-28 Detachable and removable discharge part variable air volume linear diffus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57A KR101517167B1 (ko) 2014-11-28 2014-11-28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167B1 true KR101517167B1 (ko) 2015-05-04

Family

ID=5339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857A KR101517167B1 (ko) 2014-11-28 2014-11-28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7167B1 (ko)
WO (1) WO201608513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933B2 (ja) * 1994-02-16 2001-06-11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空調換気設備用制気口のシステム天井への固定方法と固定具
KR20060084690A (ko) * 2005-01-20 2006-07-25 (주)벤텍이엔지 실내 급기용 디퓨저
KR100663172B1 (ko) * 2004-12-27 2007-01-02 삼광공조 주식회사 에어바
KR20120017954A (ko) * 2010-08-20 2012-02-29 박희성 풍량 및 풍향 자동조절식 라인 디퓨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6923B2 (ja) * 2011-01-21 2014-08-06 興研株式会社 空気吹き出し装置の連結具およびその連結具を使用した空気吹き出し装置の連続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933B2 (ja) * 1994-02-16 2001-06-11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空調換気設備用制気口のシステム天井への固定方法と固定具
KR100663172B1 (ko) * 2004-12-27 2007-01-02 삼광공조 주식회사 에어바
KR20060084690A (ko) * 2005-01-20 2006-07-25 (주)벤텍이엔지 실내 급기용 디퓨저
KR20120017954A (ko) * 2010-08-20 2012-02-29 박희성 풍량 및 풍향 자동조절식 라인 디퓨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5136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229B2 (en) Hanger profile and ceiling assembly
US9719251B2 (en) Modular in-wall functional conduits
KR100773846B1 (ko) 모듈라 서비스 유닛
US3937133A (en) Outlets for conditioned air and mounting frames therefor
US20190323233A1 (en) Vented suspension ceiling beam and suspension ceiling system
WO2017025028A1 (zh) 通风套件和具有通风功能的嵌入式灯具组件
US8303132B2 (en) Air handling luminaire
US3665837A (en) Lineal air diffuser bar
US3411425A (en) Air diffusion outlet with laterally adjustable weir control
US3064550A (en) Air outlet construction
US5215284A (en) Support clips for modular air bar
KR101517167B1 (ko)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US4232594A (en) Modular ceiling panel unit usable with air distribution systems
AU2012202938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ir conditioning modules
US3515052A (en) Air distributing apparatus
JP6554543B2 (ja) 通風装置の空気吐出口
KR200416704Y1 (ko) 환기장치용 케이스
US20010035023A1 (en) Case fo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ner machine and an outer machine
CA2817255C (en) Modular in-wall functional conduits
US20220373217A1 (en) Linear air diffuser of a suspended ceiling
US11313581B2 (en) Linear supply outlet (LSO) system, apparatuses and methods for blending heating and cooling fenestrations with architectural appearances
KR20130051159A (ko) 공기조화기용 선형 디퓨져
JPH0612418Y2 (ja) 空気調和機
JP2004239547A (ja) 建物の廊下の換気装置
KR20180040369A (ko) 덕트형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