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068B1 -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068B1
KR101517068B1 KR1020130088673A KR20130088673A KR101517068B1 KR 101517068 B1 KR101517068 B1 KR 101517068B1 KR 1020130088673 A KR1020130088673 A KR 1020130088673A KR 20130088673 A KR20130088673 A KR 20130088673A KR 101517068 B1 KR101517068 B1 KR 10151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thable
waterproof
fabric
film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748A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주)득금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득금티앤씨 filed Critical (주)득금티앤씨
Priority to KR102013008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0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09Surgeons' gowns or 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섬유원단이 적층된 복합필름으로서, 상기 3-레이어 투습방수원단은 투습방수 필름층의 투습방수 성능에 의해 땀의 배출은 용이하고 외부로부터의 감염성 병원균 침투를 차단하여 감염성 병원균에 대한 보호성능이 우수하며,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이 폴리우레탄계 소재로서, 종래 PTFE 소재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감염성 병원균 차단성이 우수한 제품을 의료기관에 공급하여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습방수원단을 구성하는 층간 접착내구성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고온 살균의 다수회 세탁시 세탁내구성이 확보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이를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SURGICAL ARTICLES USING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FABRIC HAVING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섬유원단이 적층된 투습방습원단을 이용하되, 상기 투습방수 필름의 투습방수 성능에 의해 땀의 배출은 용이하고 외부로부터의 감염성 병원균 침투를 차단하여 감염성 병원균에 대한 보호성능이 우수하며, 층간 접착내구성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고온 살균의 다수회 세탁시 세탁내구성이 확보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AIDS등의 치명적인 병원균의 등장으로 감염성 병원균에 의한 의료진 및 환자의 의료시설에서의 2차 감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1980년대 후반부터 전통적인 면 소재의 제품 대신에 병원균 차단성이 극대화된 소재의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차단성이 우수한 대표적인 소재로서, 면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소재가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 미국에서는 편의성과 2차 감염 방지목적으로 1회용(Disposable)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의료폐기물 처리문제로 인해 경제적 측면에서 재사용 가능한(Reusable) 제품시장 규모가 점차 각광을 받으면서 시장규모가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1162383호에는 일회용 흡수용품으로 대표적인 기저귀 등의 물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지방족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탄산칼슘 또는 기타 적합한 충전제 입자를 포함하여 증기 투과성과 차단성 및 인장 강도 특성을 높여 흡수 용품뿐 아니라, 비흡수 용품인 수술용 드레이프 또는 수술가운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제시하고 있으나, 수술용 드레이프 또는 수술가운 적용에 요구되는 성능 충족여부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수술용 드레이프 또는 수술가운에 대한 성능규정조차 존재하지 않아 이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고, 2차 감염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낮은 제품을 선호하고 있으며, 실례로 감염성 병원균의 차단성능이 거의 없는 면 소재 제품이 90% 이상 사용되고, 10% 정도만이 1회용 부직포 제품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10%의 1회용 부직포 제품 역시 병원균 차단성능이 낮은 등급의 제품이거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병원균 차단성능에 따른 부직포 등급은 내수성, 충격침투, 내수압 및 세균침투 내성에 따라 1 내지 4 등급으로 분류되는데, 3등급 제품에 도달하면 수출품질로 인정되며, 4등급 제품은 최고급 등급으로서, 의료기관에서 실시하는 세탁공정 및 살균공정에 의해서도 일정수준 이상의 성능을 유지한다. 즉, 다수회에 걸친 고온의 세탁공정에서도 염색견뢰도, 내수압, 발수도가 유지되어야 하며, 오염물이 잘 빠져야 하며 치수안정성이 있어야 하며, 가장 중요한 병원균 차단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현재, 개발하려는 4등급 제품 소재는 고어(W.L Gore)사의 고어텍스가 시장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으며, 일부 업체에 의해서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요에 비해 공급이 모자라면서 매우 고가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국산화를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 개발 및 제조기술의 확보가 시급하다.
반면에, 국내 섬유제품의 기능성 관련 기술개발은 일반 의류로 이루어져 왔으나, 일반 의류제품은 상온 또는 40℃ 이하의 온도에서 소량 세탁하는 반면, 대부분의 수술가운 및 수술포, 작업복(Workwear), 보호복(Protective wear) 용도의 제품은 제품의 특성상 고온(60∼95℃) 세탁을 기본으로 하며, 병원용의 경우 살균을 위해 고온 고압의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기에, 수술용 드레이프 또는 수술가운 등에 적용되는 의료용 섬유소재는 일반의류와는 차별화되는 고온의 산업용 세탁 및 살균공정에 내구성을 가지는 기술들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제품은 주로 스펀레이스 부직포 또는 SMS 부직포 소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매우 높은 차단성능을 요구하는 4등급 제품의 경우에는 부직포에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박막을 덧댄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재사용이 가능한 제품은 사용 후 세탁 및 살균공정을 거쳐 재사용해야 하므로, 단순히 박막을 덧대는 공정만으로는 지속적인 성능을 유지하기 힘들며, 의료기관의 세탁공정 및 살균공정에 의해서도 일정수준 이상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감염성 병원균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하고, 고온의 산업용 세탁 후에도 세탁전의 병원균 차단성을 유지하고, 세탁에 대한 염색견뢰도, 발수성, 내수압, 항균성 등의 내구성이 확보된 소재를 탐색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수술가운 및 수술포용 투습방수원단을 설계하고, 상기 투습방수원단의 내구성이 최적화되어 적어도 60 내지 100℃의 고온세탁 및 120 내지 140℃ 이상의 살균 세탁조건에서 50 내지 100회의 세탁내구성이 구현되어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의 제공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염성 병원균에 대한 보호성능이 우수하고, 고온살균 세탁시 세탁내구성이 우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염성 병원균에 대한 보호성능 및 고온살균 세탁시 세탁내구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은 봉제시 안감지가 필요없어 경량이면서 착용시 쾌적성이 부여되어 고기능성의 수술가운 또는 수술포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기재원단층;
상기 기재원단 상에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이 형성된 2-레이어 투습방수 원단; 및
상기 2-레이어 투습방수 원단의 투습방수 필름층 상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섬유원단층;이 라미네이트된 3-레이어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3-레이어 투습방수원단은 투습방수 필름층의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과 접착되는 기재원단 또는 섬유원단의 피접착면에 상온 플라즈마 가공처리에 의해 층간 접착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3-레이어 투습방수원단에서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은 순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폴리우레탄 필름층 또는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상기 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상에 탑 코트된 복합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5∼10㎛ 두께로 탑 코트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합구조에서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기재원단층에 라미네이트된다.
이상의 투습방수원단은 적어도 60 내지 100℃의 고온세탁 및 120 내지 140℃ 이상의 살균 세탁조건에서 50 내지 100회의 세탁내구성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하여 적용되는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으로서 바람직한 일례로는 환자복 또는 수술가운에 적용되는 보호용 의복 또는 수술용 드레이프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섬유원단이 적층된 3-레이어 구조의 투습방습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은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의 투습방수 성능에 의해 땀의 배출은 용이하고 외부로부터의 감염성 병원균 침투를 차단하여 감염성 병원균에 대한 보호성능이 우수하며,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이 폴리우레탄계 소재로서, 종래 PTFE 소재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감염성 병원균 차단성이 우수한 제품을 의료기관에 공급하여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레이어 구조의 투습방수원단의 층간 접착내구성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고온 살균의 다수회 세탁시 세탁내구성이 확보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3-레이어 구조의 투습방수원단은 다층구조이면서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층간 접착내구성을 보강한 라미네이팅 가공기술에 의해, 병원균 차단성능, 고온 살균의 다수회 세탁시 세탁내구성이 확보되어 재사용이 가능하고, 착용시 쾌적성이 우수하고, 4등급 제품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즉, 환자복, 수술복, 수술용 드레이프 등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종래 면 소재 사용시 발생하는 린트(lint) 발생이 없고, 종래 고가의 PTFE 소재 대비 저가의 폴리우레탄 박막층을 사용하여 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원사가 편직된 경편 일측에, 기재원단층상에 투습방수 필름층이 적층된 2-레이어 투습방수 원단의 단면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가운의 혈액침투저항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기재원단층;
상기 기재원단 상에 형성된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이 형성된 2-레이어 투습방수 원단; 및
상기 2-레이어 투습방수 원단의 투습방수 필름층 상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섬유원단층;이 라미네이트된 3-레이어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은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섬유원단이 적층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은 순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폴리우레탄 필름층 또는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상기 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상에 탑 코트된 복합구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상에 5∼10㎛ 두께로 탑 코트된 구조일 때, 릴리스페이퍼 상에 1차로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5∼10㎛ 두께의 박막으로 성형하고, 그 위에 이어서 2차, 3차 코팅하여 다공질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각각 20∼40㎛ 두께로 적층하여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투습방수 필름층 양면에, 기재원단층 또는 섬유원단층에 핫 멜트 라미네이트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복합구조의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의 형성은 기재원단층에 투습방수용 코팅액을 도포한 후, 물/유기용매가 혼합된 희석용제에서 유기용매가 먼저 증발되고, 이후에 물이 증발되도록 하는 다단건조방식을 수행하여, 제거된 물 위치에 기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투습방수 코팅액은 폴리우레탄 수지 대비, 혼합용매, 피막방지제, 가교제, 실리콘 수지, 소포제, 발수제 및 안료가 물/유기용매가 혼합된 희석용매에 혼합된 것이다.
상기 물/유기용매가 혼합된 희석용제에서 물의 함량에 따라 기공형성이 좌우되며, 기공이 많이 생성되면, 내수압 및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상대적으로 투습도가 증가되는 특성을 가지며, 기공이 적게 생성되면, 반대의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적정 비율의 물의 함량이 최적의 물성을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물/유기용매가 혼합된 희석용제에서 물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물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이면, 투습도가 현저히 저하되고, 반면에, 물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내수압 및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투습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므로,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서 코팅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상기 다단건조방식에 의해 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상에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탑 코트된 복합구조의 투습방수 필름층을 형성한다.
이때,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의 두께는 5∼10㎛로 성형되며, 그 위에 이어서 2차, 3차 코팅하여 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각각 15∼30㎛ 두께로 적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지 필름층의 총 코팅두께는 20 내지 60㎛가 바람직하며, 상기 60㎛를 초과하면, 투습방수 필름이 완전 건조가 진행되지 않아서 내수압 및 투습도가 저하된다. 이때, 상기 얇은 두께로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탑 코트하여 형성함으로써, 내수압 성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재원단 또는 섬유원단은 30 내지 70 데니어급의 폴리에스테르 원사가 사용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제조시 적용분야에 요구되는 기능성을 부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0 데니어급의 섬유 즉, 30D/12F, 30D/24F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원사제조 시 항균성 등의 기능성을 부가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원사가 편직된 경편 일측에, 투습방수 필름층이 적층된 2-레이어 투습방수 원단의 단면사진으로서,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이 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섬유원단층에 핫 멜트 도트 라미네이트됨으로써, 효과적으로 견고하게 라미네이팅되어 통기성 및 고온 살균세탁에도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이 복합구조일 때,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기재원단층에 라미네이트되고, 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섬유원단층에 핫 멜트 도트 라미네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투습방수 필름층의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과 접착되는 기재원단 또는 섬유원단의 피접착면에 상온 플라즈마 가공 처리함으로써, 층간 접착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적어도 60 내지 100℃의 고온세탁 및 120 내지 140℃ 이상의 살균 세탁조건에서 50 내지 100회 세탁에 대한 내구성뿐만 아니라, 염색견뢰도, 발수성, 내수압이 확보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술가운(실시예 5)에 대하여 혈액침투저항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 면 소재의 수술가운(비교예 4)은 인공혈액이 닫자마자 흡수 및 투과되어 혈액에 대한 보호성능이 전혀 없는 반면, 종래 일회용 부직로 소재로서, 스펀레이스 소재(비교예 5) 및 SMS 소재(비교예 6)로 제조된 수술가운은 각각 압력 1.7KPa 및 6KPa 조건에서 혈액이 침투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가운은 압력 20KPa 조건에서도 혈액침투현상이 관찰되지 않은 4 등급 제품의 요건을 충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은 투습방수원단 내 투습방수 필름층이 폴리우레탄계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면 소재 사용시 발생하는 린트(lint) 발생이 없고, 종래 고가의 PTFE 소재 대비 저가의 폴리우레탄 박막층을 사용하므로 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은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섬유원단이 적층된 3-레이어 구조의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함으로써, 봉제시 안감지가 필요없어 중량이 가벼워 수술에 의한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착용시 쾌적성이 부여되어 고기능성의 환자복, 수술가운 또는 수술용 드레이프로서의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투습방수원단 제조 1
단계 1: 투습방수 필름층 형성단계
릴리스페이퍼상에 투습방수용 코팅액을 40㎛ 두께로 도포하여 투습방수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투습방수용 코팅액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톨루엔 13 중량부/18 중량부의 혼합용매, 피막방지제((주)빅스사의 제품명 R446) 3 중량부, 가교제((주)빅스사의 제품명 CRL) 5 중량부, 실리콘 수지 1 중량부, 소포제((주)빅스사의 제품명 AS-41) 2 중량부, 발수제((주)빅스사의 제품명 UM651) 2 중량부 및 백색안료 10 중량부가 물/메틸에틸케톤이 40/5 중량부로 혼합된 희석용매에 용해되어 준비되었다.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의 형성단계는 상기 투습방수용 코팅액을 도포한 후, 희석용제 중에서 유기용제를 먼저 증발시키고, 이후에 물이 증발되도록 하는 다단건조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이에, 상기 물이 제거된 위치에 기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투습방수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작업조건은 3-코팅헤드 타입의 트랜스퍼코팅(릴리스페이퍼 라미네이팅 시스템) 라인에서 수행하였으며, 70℃→100℃→120℃→140℃로 승온하면서 15m/min 속도로 진행하였다.
단계 2: 플라즈마 가공 처리단계
상기 단계 1에서 롤 상으로 공급되어 이송된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에 상온 플라즈마로 가공 처리하였다. 이때, 플라즈마 처리하여 표면개질함으로써, 이후 공정에서 핫멜트 접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단계 3: 섬유원단의 라미네이팅 단계
상기 단계 2에서 플라즈마 처리된 필름층 양면에 습기 경화형 무용제타입의 폴리우레탄 핫 멜트 수지 접착제를 돗트 형상으로 도포하고 핫 멜트 라미네이팅기를 이용하여 30D/24F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편직하여 경편물인 기재원단 및 섬유원단을 라미네이팅하였다.
상기 30D/24F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편직된 경편물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 71℃, 75회 세탁시 내수성(AATCC 42) 평가에서 1.0g이하이고, 내수압(AATCC 127) 평가에서 500mmH2O 이상으로 관찰되었으며, 정균감소율 및 살균감소율 평가(KS K 0693) 결과, 각각 99.9% 및 살균감소율 99.9%로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은 핫 멜트 라미네이팅기를 이용한 작업조건을 기재하였다.
Figure 112014079716953-pat00006
이후, 상기 라미네이팅 단계 이후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충분히 경화되도록 45℃에서 48시간 동안 숙성 단계를 수행하였다.
< 실시예 2> 투습방수원단 제조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사용된 원사 대신에, 30D/12F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투습방수원단 제조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의 투습방수용 코팅액의 총 도포두께가 50㎛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투습방수원단 제조 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의 플라즈마 가공처리단계에서, 단계 3)의 30D/24F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편직한 경편물에 수행하여, 투습방수 필름층과 핫 멜트 라미테이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 실시예 5>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가운 제작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투습방사원단을 이용하여 수술가운을 제작하였다.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의 물/메틸에틸케톤이 혼합된 희석용매에서, 상기 물의 함량이 10 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의 투습방수용 코팅액의 총 도포두께가 70㎛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의 용제타입의 폴리우레탄 핫 멜트 수지 접착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면 소재를 이용하여 수술가운을 제작하였다.
< 비교예 5>
스펀레이스 소재를 이용하여 수술가운을 제작하였다.
< 비교예 6>
SMS 소재를 이용하여 수술가운을 제작하였다.
< 실험예 1> 혈액침투저항성 평가
기존 국내 병원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수술가운 및 수술포에서 채취한 원단의 혈액침투 저항성(ASTM F 1670)을 테스트하여 각 제품의 실제 등급을 측정하였다.
시험대상으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가운(실시예 5)을 제작하고, 종래 면 소재의 수술가운(비교예 4), 일회용 수술가운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펀레이스 소재의 수술가운(비교예 5) 및 SMS 소재의 수술가운(비교예 6)을 대하여 혈액침투 저항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면 소재의 수술가운은 인공혈액이 닫자마자 흡수 및 투과되어 혈액에 대한 보호성능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스펀레이스 소재의 수술가운 및 SMS 소재의 일회용 수술가운은 각각 압력 1.7KPa 및 6KPa 조건에서 혈액이 침투되어 레벌 4 등급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가운(실시예 5)은 압력 20KPa 조건에서도 혈액침투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 실험예 2> 내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가운(실시예 5), 종래 면 소재의 수술가운(비교예 4), 일회용 수술가운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펀레이스 소재의 수술가운(비교예 5) 및 SMS 소재의 수술가운(비교예 6)을 대하여, 내수압 평가를 AATCC 127법에 근거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3067813755-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가운의 경우, 현저히 높은 내수압 결과를 보였으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물성요건을 충족하여 레벨 4등급으로 판정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섬유원단이 적층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을 제공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으로서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의 투습방수성으로 인하여, 땀의 배출은 용이하고 외부로부터의 감염성 병원균 침투를 차단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감염성 병원균 차단성이 우수한 제품을 의료기관에 공급하여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다층구조이면서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층간 접착내구성을 보강한 라미네이팅 가공기술에 의해, 병원균 차단성능, 적어도 60 내지 100℃의 고온세탁 및 120 내지 140℃ 이상의 살균 세탁조건에서 50 내지 100회의 세탁내구성이 확보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면 소재에서 발생하는 린트(lint) 발생이 없고 착용시 쾌적성능이 우수한 미국기준 레벌 4 등급을 충족할 수 있는 수술용 투습방수물품, 대표적으로 수술복, 수술용 드레이프로서 유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기재원단층;
    상기 기재원단 상에,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이 형성되되,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이 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또는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상기 다공질의 하이드로포빅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상에 탑 코트된 복합구조로 이루어진 2-레이어 투습방수 원단; 및
    상기 2-레이어 투습방수 원단의 투습방수 필름층 상에,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제직 또는 편직 후 염색 가공된 섬유원단층;이 라미네이트된 3-레이어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소재의 투습방수 필름층의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과 접착되는 기재원단 또는 섬유원단의 피접착면에 상온 플라즈마 가공 가공처리에 의해 층간 접착내구성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5∼10㎛ 두께로 탑 코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구조에서 무공질의 하이드로필릭 타입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기재원단층에 라미네이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원단이 적어도 60 내지 100℃의 고온세탁 및 120 내지 140℃ 이상의 살균 세탁조건에서 50 내지 100회의 세탁내구성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투습방수용품이 환자복, 수술가운 또는 수술용 드레이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KR1020130088673A 2013-07-26 2013-07-26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KR10151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673A KR101517068B1 (ko) 2013-07-26 2013-07-26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673A KR101517068B1 (ko) 2013-07-26 2013-07-26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748A KR20150012748A (ko) 2015-02-04
KR101517068B1 true KR101517068B1 (ko) 2015-05-04

Family

ID=5248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673A KR101517068B1 (ko) 2013-07-26 2013-07-26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88B1 (ko) * 2015-12-01 2016-02-12 문정환 원단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765A (ja) 2007-09-03 2009-03-19 Teijin Fibers Ltd 透湿防水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765A (ja) 2007-09-03 2009-03-19 Teijin Fibers Ltd 透湿防水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748A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681B1 (ko)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투습방수원단
KR101203502B1 (ko) 증강된 엘라스토머 코팅된 보호성 차단 직물 및 그 제조방법
EP2077733B1 (en) Wind resistant and water vapor permeable garments
JP6084415B2 (ja) 医療用透湿防水性布帛
KR20100080794A (ko) 직물 및 직물 적층체
US20100304108A1 (en) Stretchable nonwoven fabric, method of manufacturing, and products made thereof
RU2008130522A (ru)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мембрана, проницаемая для паров воды
KR101234044B1 (ko) 투습성이 뛰어난 자외선 경화형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7068B1 (ko) 내구성이 개선된 투습방수원단을 이용한 수술용 투습방수용품
JP2013047397A (ja) 医療用外衣
JP4936803B2 (ja) 医療用積層編地、それを用いた手術衣、それを用いた手術用資材
CN112477328A (zh) 具有双层结构的防护用品面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383178B2 (ja) 洗濯耐久性に優れた血液・ウイルスバリア性積層布帛
CN111501364A (zh) 一种医用隔离防护衣专用面料加工方法
JP6009282B2 (ja) 医療用透湿防水性布帛
JP6120353B2 (ja) 洗濯耐久性に優れた血液バリア性積層布帛
JP5755976B2 (ja) 医療用織物
WO2023158371A1 (en) A composite material, a method of making same and a garment comprising the composite material
KR20160022706A (ko) 나노웹을 이용한 투습방수 자카드 원단의 제조방법
JP6106862B2 (ja) 洗濯耐久性に優れたウイルスバリア性積層布帛
EP1192958B1 (de) Mehrschichtige Textilware für chirurgische Abdeckungen und Bekleidungsstücke
WO2023214371A1 (en) Laminated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29841B1 (ko) 투습성 및 방수성 의류용 섬유 원단
KR102539863B1 (ko) 통기쾌적성을 보유한 바이러스 차단 보호복 및 이의 제조 방법
EP2650123A1 (en) Breathable artificial lea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