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973B1 -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 - Google Patents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973B1
KR101516973B1 KR1020140032573A KR20140032573A KR101516973B1 KR 101516973 B1 KR101516973 B1 KR 101516973B1 KR 1020140032573 A KR1020140032573 A KR 1020140032573A KR 20140032573 A KR20140032573 A KR 20140032573A KR 101516973 B1 KR101516973 B1 KR 10151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egistration request
network
routing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동원
이종성
배문관
최형석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3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2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by periodical 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이동성 지원을 위해, 터널링과 호스트 지정 라우팅(HSR: Host Specific Routing)을 혼합해 사용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Method for supporting hybrid mobility based on Internet Protoco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이동성 지원을 위해, 터널링과 호스트 지정 라우팅(HSR: Host Specific Routing)을 혼합해 사용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및 단말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중 인터넷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기지국간 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기술이 중요시되고 있다. 더욱이, 이동 통신망을 민간 망뿐만 아니라 재난 복구망, 차량망, 군 전투망 등 다양한 환경에 적용하면서 이동 단말에게 IP 이동성을 지원하는 기법이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인 IP 이동성 지원 기법은 크게 두 가지로, 1) 네트워크 망간 이동시에도 단말의 서비스 지원을 위한 터널링 기반 핸드오버 기법, 2) 단말의 터널링기반 핸드오버 지연시간 단축을 위한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기법 중 대표적으로는 이동단말이 최초 접속한 라우터(이하: HA(Home Agent))와 이동단말이 새롭게 접속한 라우터(이하: FA(Foreign Agent)) 사이 터널링을 설정하여 이동단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동단말은 새로운 FA에 접속한 경우, 자신의 위치(위치 정보는 지형정보가 아닌 네트워크 관점에서 자신이 어느 네트워크로 이동했다는 정보 의미함)를 FA를 통하여 HA에게 등록하여 HA와 FA간 터널링을 설정한다.
터널링을 사용해 이동성을 보장하는 이유는 IP 라우팅의 개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동단말이 최초 접속한 네트워크 IP 주소로 서비스 트래픽이 라우팅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제안된 Mobile IP와 Mobile IPv6가 있다.
두 번째 기법은 Mobile IP/IPv6의 핸드오버 시간을 단축한 기법으로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한 라우터와의 링크가 끊어지는 시간을 예측해 사전에 접속할 라우터와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기법이다.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제안된 Fast Mobile IPv6가 있다.
상기 터널링 기반의 IP 이동성 지원 기법(Mobile IP, Mobile IPv6, Fast Mobile IPv6)에서는 라우터로 구성된 백본망의 HA는 기본적으로 안정화되어 있다는 전재조건을 가지고 제안되었기 때문에, 만약 이동단말의 HA에 이상이 생긴 경우(장비다운, 링크다운, 등), 터널링이 지원되지 않아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한 모든 이동단말의 HA에게 서비스를 지원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터널링뿐만 아니라 HA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이동단말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기법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7-0010834호 2.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2-0103681호 3.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2674930000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터널링뿐만 아니라 HA(Home Agent)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이동단말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터널링뿐만 아니라 HA(Home Agent)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이동단말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은,
이동 단말이 최초 접속하는 홈 에이전트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서비스 수신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새롭게 접속하는 외부 에이전트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네트워크 ID(IDentity)를 주기적으로 광고하는 네트워크 ID 광고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광고된 네트워크 ID를 이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로의 이동성을 인지하고 등록 요청을 수행하는 등록 요청 수행 단계;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등록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등록 요청 응답 단계;
등록 요청 및 응답이 성공이면, 상기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간 터널링을 설정하는 터널링 설정 단계; 및
등록 요청 및 응답이 실패이면, 호스트 지정 라우팅 모드를 실행하는 라우팅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라우팅 모드 실행 단계는, 이동 단말이 외부 에이전트에 호스트 지정 라우팅 요청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이동 단말의 주소를 명시적으로 설정하고 백본망의 라우팅에 이동 단말을 위한 경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등록 요청 및 응답의 실패를 응답 메시지의 코드 필드값을 통해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상기 홈 에이전트와의 링크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Alive 요청 메시지 및 Ali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에이전트는 상기 홈 에이전트와의 링크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터널링 또는 호스트 지정 라우팅 모드를 적응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응적으로 실행은 상기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간 링크상태에 따라 핸드오버방식을 차별화해 이동단말의 서비스 지속성 보장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은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요청시 상기 홈 에이전트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 요청 및 응답의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내 이동 단말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 정보는 이동 단말 IP 주소, 홈 에이전트 IP 주소, 유효시간, 및 라우팅 방식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우팅 방식은 터널링 또는 호스트 지정 라우팅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홈 에이전트; 최초 접속하는 상기 홈 에이전트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홈 에이전트로부터 이동하여 새롭게 접속하며, 네트워크 ID(IDentity)를 주기적으로 광고하는 외부 에이전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이 광고된 네트워크 ID를 이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로의 이동성을 인지하고 등록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등록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며, 등록 요청 및 응답이 성공이면, 상기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간 터널링을 설정하고, 등록 요청 및 응답이 실패이면, 호스트 지정 라우팅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개념을 기반으로 HA(Home Agent)와 FA(Foreign Agent)간 링크 상황에 따라 터널링과 호스트 지정 라우팅(HSR: Host Specific Routing)을 적응화하여 터널링뿐만 아니라 HA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이동단말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FA가 단말이 접속된 경우 해당 HA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은 여러 각도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현재 이동 통신망은 상용 망외에 다양한 환경(재난 복구망, 차량 망, 군 전투 망 등) 으로 진화되고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더 증가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이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 FA(Foreign Agent)를 통해 HA(Home Agent)로 위치 등록/터널링을 설정하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링 설정 결과에 따라 호스트 지정 라우팅을 동작시키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링을 맺은 HA-FA간 주기적인 메시지 전달을 통해 서로의 상태를 관리하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A-FA간 주기적 상태관리 절차 결과에 따라 터널링과 호스트 지정 라우팅을 적응적으로 실행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는 이동 단말 정보에 대한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이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 FA(Foreign Agent)를 통해 HA(Home Agent)로 위치 등록/터널링을 설정하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110), HA(120), FA(130), 대상 노드(140) 및 백본망(150)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단말(110)이 HA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받는 경우와, 이동 단말(110)이 FA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여기서, HA(120)는 이동 단말(110)이 최초로 접속한 라우터이고, FA(130)는 이동 단말(110)이 새롭게 접속한 라우터이다.
이동 단말(110)이 HA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받는 경우, 대상 노드(140)로부터 HA(120), 이동 단말(110) 순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한다(S101).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110)이 최초 접속한 HA(120)로부터 서비스를 지원 받다가, 다른 네트워크(FA가 서비스)로 이동하면 이동 단말(110)은 FA(130)가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네트워크 광고 메시지 수신을 통해 자신이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동했음을 인지한 후, FA(130)에 접속한다(S102). 부연하면, 광고된 네트워크 ID (IDentity) 기반 자신의 이동성을 인지한다.
FA(130)에 접속한 후, FA(130)를 통해 HA(120)에게 자신의 위치 등록 요청/응답 처리를 수행한다(S103). 등록 요청/응답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HA(120)와 FA(130)간 터널링이 생성된다(S107,S108). 따라서, FA(130)와 이동 단말(110)간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한다(S109).
이러한 절차는 일반적인 IP 이동성 기법(MIP/MIPv6)을 사용하여 구현 가능하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과의 연동을 위한 기능추가가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링 설정 결과에 따라 호스트 지정 라우팅을 동작시키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FA(130)가 네트워크 ID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110)이 이러한 네트워크 ID를 통해 이동성을 인지후 등록 요청 메시지를 FA(130)에 전송한다(단계 S201,S202).
이때, 이동 단말(110)의 위치 등록요청/응답 과정이 실패한 경우, 이동 단말(110)은 응답 메시지의 코드 필드(Code Field)값을 통해 이를 인지하고 호스트 지정 라우팅(HSR: Host Specific Routing)모드를 실행한다(S203,S205,S207).
HSR 모드설정을 위해 이동 단말(110)은 FA(130)에게 HSR 요청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S207). HSR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FA(130)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이동 단말(110)의 주소를 명시적으로 설정하고 백본망의 라우팅에 이동 단말을 위한 경로를 추가한다(S209). 이후, 이동 단말(110)과 FA(130) 간에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한다(S210).
터널링은 망에 부하를 줄이면서 이동 단말(110)의 이동성에 따른 서비스를 보장하지만 HA(120)의 링크에 문제가 생긴 경우 서비스를 보장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호스트 지정 라우팅(HSR)은 HA(120)의 링크에 문제가 생겨도 이동 단말(110)에게 서비스를 보장하지만, 망의 라우팅에 이동 단말(110)의 IP 주소를 명시적으로 추가해 라우팅 테이블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두 기법을 망의 상황에 적응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FA(130)는 이동 단말(110)의 HA(120)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그 결과를 이동 단말(110)에게 리포팅하여 이동 단말(110)이 터널링과 HSR를 적응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부연하면, FA(130)가 HA(120)의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 HA와 FA간 링크의 문제가 생긴 경우(데이터 전달 불가시)에 적응적으로 실행된다. 예를 들면, HA의 장비 오류, 링크 오류, 군 전술환경에서는 HA를 가지고 있는 통신소 이동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FA(130)가 HA(120)의 상태 모니터링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 단말(110)이 핸드오버를 요청시 해당 HA(120)에 대해서만 모니터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링을 맺은 HA-FA(Home Agent-Foreign Agent) 간 주기적인 메시지 전달을 통해 서로의 상태를 관리하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110)이 FA(130)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 FA(130)는 네트워크 ID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면, 이동 단말(110)이 FA(130)에 등록 요청을 한다(S302,S303).
이 때, 주기적으로 FA(130)는 HA(120)에 Aliv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HA(120)는 FA(130)에 Ali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HA-FA간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다(S305,S306).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A-FA간 주기적 상태관리 절차 결과에 따라 터널링과 호스트 지정 라우팅을 적응적으로 실행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처리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FA(130)가 이동 단말(110)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 등록 요청 메시지를 HA(120)에게 전달한다(단계 S510,S520).
이후, FA(130)는 등록 요청 응답 메시지를 HA(12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이동 단말(110)에 전달한다(단계 S530). 이때, 단말 정보(이동 단말의 IP주소, HA IP주소, 유효시간, 라우팅 방식 = 터널링)를 데이터베이스(DB)(400)에 생성한다(단계 S540).
물론, 단계 S520에서, FA(130)가 HA(120)로부터 등록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 HSR 지원을 위해서 이동 단말(110)로부터 호스트 지정 라우팅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 정보(이동 단말의 IP주소, HA IP주소, 유효시간, 라우팅 방식 = HSR)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생성한다(단계 S550,S560).
또한, HA(120)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FA(130)는 Alive 요청 메시지를 HA(120)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데이터베이스(DB)(400)내 이동 단말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한다. 또한, 모티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110)의 라우팅 방식을 조절하며 세부 절차가 도 5에 기술된다.
도 5를 참조하면, Alive 요청 메시지 전송의 타이머 설정 및 만료 후, FA(130)는 Alive 요청 메시지를 HA(120)에게 전송해 Ali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타이머를 초기화한다(단계 S610,S611,S621,S622).
FA(130)는 이동 단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400)에서 읽어와 유효시간을 갱신하고 라우팅 방식을 확인하여 HSR인 경우, 이동 단말에게 터널링 설정이 가능하다고 알려준다(단계 S623,S625,S627,S629).
터널링 설정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받은 이동 단말(110)은 도 1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터널링이 사용되고 있다면, 이동 단말(110)은 다시 Aliv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한다.
만일 FA(130)가 HA(120)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지 못하면, 도 2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110)에게 실패 코드를 리포팅하고, 데이터베이스(DB)(400)에 이동 단말 정보(단말의 IP주소, HA의 IP주소, 유효시간, 라우팅 방식 = HSR)를 등록한다.
HA(120)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Aliv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는 위에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며, 단계 S621에서 FA(130)가 Ali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료되었으면 이동 단말(110)의 라우팅 방식을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확인한다(단계 S620,S630).
부연하면, FA(130)가 Alive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타이머 만료시까지 HA(120)로부터 Ali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받지 못하면 이동 단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서 읽어와 라우팅 방식을 확인하여 만약 터널링인 경우 이동 단말(110)에게 HSR 설정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640,S650).
이동 단말(110)이 FA(130)로부터 HSR 설정 알림 메시지를 받으면, 도 2에 도시된 단계 S207 내지 S209의 과정을 통해 HSR을 설정하고, 이동 단말 정보의 라우팅 방식을 터널링에서 HSR 방식으로 변경한다(S660,S670,S680).
만약, HSR을 사용하고 있다면, 다시 Aliv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는 이동 단말 정보에 대한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 정보는, 이동 단말 IP 주소, 홈 에이전트 IP 주소, 유효시간, 및 라우팅 방식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라우팅 방식은 터널링 또는 호스트 지정 라우팅 모드가 된다.
110: 이동 단말
120: 홈 에이전트(HA: Home Agent)
130: 외부 에이전트(FA: Foreign Agent)
140: 대상 노드
150: 백본망

Claims (10)

  1. 이동 단말이 최초 접속하는 홈 에이전트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서비스 수신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새롭게 접속하는 외부 에이전트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네트워크 ID(IDentity)를 주기적으로 광고하는 네트워크 ID 광고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광고된 네트워크 ID를 이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로의 이동성을 인지하고 등록 요청을 수행하는 등록 요청 수행 단계;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등록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는 등록 요청 응답 단계;
    등록 요청 및 응답이 성공이면, 상기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간 터널링을 설정하는 터널링 설정 단계; 및
    등록 요청 및 응답이 실패이면, 호스트 지정 라우팅 모드를 실행하는 라우팅 모드 실행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모드 실행 단계는,
    이동 단말이 외부 에이전트에 호스트 지정 라우팅 요청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이동 단말의 주소를 명시적으로 설정하고 백본망의 라우팅에 이동 단말을 위한 경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등록 요청 및 응답의 실패를 응답 메시지의 코드 필드값을 통해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상기 홈 에이전트와의 링크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Alive 요청 메시지 및 Ali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에이전트는 상기 홈 에이전트와의 링크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터널링 또는 호스트 지정 라우팅 모드를 적응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으로 실행은 상기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간 링크상태에 따라 핸드오버방식을 차별화해 이동단말 서비스의 지속성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은 상기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요청시 상기 홈 에이전트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 및 응답의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내 이동 단말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정보는 이동 단말 IP 주소, 홈 에이전트 IP 주소, 유효시간, 및 라우팅 방식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우팅 방식은 터널링 또는 호스트 지정 라우팅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10. 홈 에이전트;
    최초 접속하는 상기 홈 에이전트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홈 에이전트로부터 이동하여 새롭게 접속하며, 네트워크 ID(IDentity)를 주기적으로 광고하는 외부 에이전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이 광고된 네트워크 ID를 이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로의 이동성을 인지하고 등록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 에이전트가 등록 요청에 대하여 응답하며, 등록 요청 및 응답이 성공이면, 상기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간 터널링을 설정하고, 등록 요청 및 응답이 실패이면, 호스트 지정 라우팅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장치.
KR1020140032573A 2014-03-20 2014-03-20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 KR10151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573A KR101516973B1 (ko) 2014-03-20 2014-03-20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573A KR101516973B1 (ko) 2014-03-20 2014-03-20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973B1 true KR101516973B1 (ko) 2015-05-04

Family

ID=5339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573A KR101516973B1 (ko) 2014-03-20 2014-03-20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9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914A (ko) * 2000-10-31 2002-09-13 3콤 코포레이션 무선 기기들을 위한 상시 예비 프로토콜
KR20090081151A (ko) * 2008-01-23 2009-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이동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방법
KR20120071699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케이티 홈 에이전트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동 단말
JP2013510493A (ja) * 2009-11-06 2013-03-2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モバイルip(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のための仮想気付アドレ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914A (ko) * 2000-10-31 2002-09-13 3콤 코포레이션 무선 기기들을 위한 상시 예비 프로토콜
KR20090081151A (ko) * 2008-01-23 2009-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이동성 제공을 위한 장치 및방법
JP2013510493A (ja) * 2009-11-06 2013-03-2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モバイルip(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のための仮想気付アドレス
KR20120071699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케이티 홈 에이전트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동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099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utilization of core based nodes for state transfer
JP4897044B2 (ja) アイドルモードで移動端末のハンドオーバを行う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及び方法
US9036601B2 (en) Support for continuity of tunnel communications for mobile nodes having multiple care of addressing
CN102598626A (zh) 用于移动ip的虚拟转交地址
CN105637913B (zh) 在通信系统中提供推送服务的方法和装置
KR101561108B1 (ko)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 기반한 프록시 모바일 IPv6환경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핸드오버 방법
JP5362732B2 (ja) マルチホーミング・プロトコルのためのサポート
CN113453292B (zh) 一种建立连接的方法和通信装置以及系统
KR20100080485A (ko) 네트워크 프로세스들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998566B (zh) 一种代理移动ip中移动接入网关的切换方法及装置
KR101516973B1 (ko) Ip 기반 하이브리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이의 장치
EP1990953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home agent attached by mobile node
KR101598109B1 (ko) 견고한 분산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3327482A (zh) 终端和网络切换控制方法
KR20030017194A (ko)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시스템 및 이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시 등록 방법
KR101654938B1 (ko) 오픈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0010226A (ja) 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端末装置、制御装置、サービス管理装置、エッジホストサーバ、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68469B1 (ko)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JP2018107726A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191066A (ja) 移動通信端末管理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管理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並びに記憶媒体
US20080240041A1 (en) Method and system of reducing handover time in mobile IP network
KR20120079993A (ko) 시간 정보 동기화를 이용한 모바일 아이피 등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354769A (zh) 远程用户端至网络端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
EP3485678A1 (en) Network partitions
JP2004048335A (ja) 通信端末装置、通信中継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