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961B1 -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 Google Patents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961B1
KR101516961B1 KR1020120125148A KR20120125148A KR101516961B1 KR 101516961 B1 KR101516961 B1 KR 101516961B1 KR 1020120125148 A KR1020120125148 A KR 1020120125148A KR 20120125148 A KR20120125148 A KR 20120125148A KR 101516961 B1 KR101516961 B1 KR 10151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guide pin
main
screw hole
prof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830A (ko
Inventor
허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2012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9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Chucks or tool parts which are to be held in a chu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2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 A61C1/144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constricting the operating tool, e.g. chu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Abstract

본 발명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100)는 치아뼈를 어버트먼트의 하단부 형상에 맞게 절삭하여 프로파일링하기 위한 본밀(110), 핸드피스와 같은 구동장치에 장착되어지게 본밀(1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밀(110)을 구동하기 위한 장착부(120) 및 본밀(110)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임플란트 속에 수용되어 임플란트의 축방향으로 본밀(11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핀(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TOOL FOR DENTAL BONE PROFILING}
본 발명은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가 식립된 주변의 치조골을 이 임플란트에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의 하단부 형상에 맞게 절삭하여 프로파일링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에 관한 것이다.
치아뼈 프로파일링 관련 기술이 미국특허 제5,868,572호의 「METHOD AND MEANS FOR DENTAL BONE PROFILING」에 개시되어 있고, 그 대표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수단은 관모양의 본밀(38), 구동스템(40) 및 안내핀(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밀(38)은 치아뼈를 절삭하여 프로파일링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축을 따라 안쪽에 구멍(56)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56)의 하단에는 임플란트(10)의 상단면(20)에 있는 비회전피팅(18)이 수용되어지는 둥근리세스(58)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밀(38)은 임플란트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구동스템(40)은 본밀(38)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부는 핸드피스와 같은 구동장치에 고정되게 장착되어지게 척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본밀(38)에 형성된 구멍(56)에 고정되게 끼워지게 된다.
안내핀(36)는 임플란트(10)에 수용되어 임플란트(10)의 축선방향으로 본밀(38)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본밀(38)의 구멍(56)에 여유롭게 수용되어지고 하단은 임플란트(10)의 안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게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치아뼈 프로파일링 수단이 사용되어지는 예가 도 2a 내지 도 2h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10)는 초기에 치실골(14)와 해면골(16)로 이루어진 턱뼈(12)에 식립되어 있고 그 위에는 덮개나사(24)가 체결되게 되는데, 식립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치실골의 표층(22)이 덮개나사(24)의 상면으로 성장하여 상면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도 2b는 힐링어버트먼트를 장착하기에 앞서 덮개나사(24)가 제거된 모습이다.
도 2c는 최종적으로 보철물이 장착될 어버트먼트와 같은 형상의 하단부를 갖는 힐링어버트먼트(30)를 장착하기 위해 힐링어버트먼트(30)의 하단부의 형상과 표층(22)의 형상이 같은지를 가늠해 보는 모습이고, 두 형상이 다름이 확인된다.
도 2d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수단을 사용하여 힐링어버트먼트(30)의 하단부의 형상과 같이 표층(22)의 형상을 가공하기 위해 안내핀(36)이 임플란트(10)에 설치되는 모습이다.
도 2e는 임플란트(10)에 완전히 설치된 안내핀(36)에 본밀(38)이 올려지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f는 본밀(38)에 의해 피층(22)이 힐링어버트먼트(30)의 하단부의 형상으로 가공되는 모습이다.
도 2g는 힐링어버트먼트(30)의 하단부의 형상에 맞게 피층(22)의 가공이 이루어진 모습이다. 도면에서 안내핀(36)은 이미 제거된 상태이다.
도 2h는 임플란트(10) 위에 힐링어버트먼트(30)가 장착된 모습이고, 이 모습으로 시간이 지난 후 힐링어버트먼트(30)를 제거하고 그 위에 어버트먼트를 장착하고 그 위에 다시 보철물을 고정되게 장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마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수단은 안내핀(36)을 임플란트(10)에 나사 결합하고 다시 해제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작업 공정이 증가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안내핀(36)을 임플란트(10)에 고정되게 나사 결합할 때, 안내핀(36)에 과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임플란트(10)의 식립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고, 안내핀(36)을 제거할때에는 역방향으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다시 임플란트(10)의 식립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피층(22)이 거의 다 가공되는 무렵에는 본밀(38)의 끝단이 임플란트(10)의 상단면과 닿지 않게 하기 위해 본밀(38) 속에 끼워진 구동스템(40)의 정지면(62)이 안내핀(36)의 상단면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되는 구동스템(40)의 흔들림이 안내핀(36)을 통해 임플란트(10)로 그대로 전해지게 되어 임플란트(10)의 식립력이 추가로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미국특허 제5,868,57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내핀을 본밀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안내핀을 설치하고 해제하는 별도의 작업을 없애어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임플란트의 식립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임플란트 속에 수용되어지는 안내핀의 끝단부를 라운딩 또는 테이퍼 처리함으로써 회전하는 안내핀의 흔들림이 임플란트로 거의 전달되지 않게 하여 임플란트의 식립력이 저하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안내핀이 임플란트의 나사구멍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본밀의 바닥면날이 임플란트의 상단면과 닿지 않게 함으로써 고속으로 회전되는 본밀의 바닥면날에 의해 임플란트의 상단면이 손상되는 것과 임플란트의 식립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뼈를 어버트먼트의 하단부 형상에 맞게 절삭하여 프로파일링하기 위한 본밀, 핸드피스와 같은 구동장치에 장착되어지게 본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밀을 구동하기 위한 장착부, 및 본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임플란트 속에 수용되어 임플란트의 축방향으로 본밀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는 본밀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삭날들이 형성되고, 다수의 절삭날들은 바닥면날과 측면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밀이 다수의 절삭날들의 끝단의 안쪽으로 임플란트의 결합돌기가 수용되게 되는 원모양의 수용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수용리세스가 결합돌기가 여유공간을 두고 수용되는 크기의 직경 및 결합돌기의 높이와 대응하는 크기의 깊이를 갖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내핀은 주변이 라운딩된 끝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안내핀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깊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길이가 4.5㎜~5.0㎜인 것과 안내핀이 나사구멍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그 끝단은 나사구멍의 바닥면에 닿고, 본밀의 바닥면날과 임플란트의 상단면 사이에는 여유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는 본밀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삭날들이 형성되고, 다수의 절삭날들은 바닥면날 및 제1,제2측면날들을 갖는 측면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내핀이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수용되는 제1핀부 및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어버트먼트 삽입구멍에 수용되는 제2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핀부가 주변이 테이퍼진 끝단을 갖고 있고 제2핀부가 테이퍼진 외형의 몸통을 갖는 것과 제1핀부가 나사구멍의 깊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길이가 4.0㎜~4.3㎜인 것과 안내핀이 나사구멍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끝단은 나사구멍의 바닥면에 닿고, 본밀의 바닥면날과 임플란트의 상단면 사이에는 여유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는 안내핀이 본밀과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안내핀을 설치하고 해제하는 별도의 작업이 없어져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임플란트의 식립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는 임플란트 속에 수용되어지는 안내핀의 끝단부이 라운딩 또는 테이퍼 처리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안내핀의 흔들림이 임플란트로 거의 전달되지 않게 하여 임플란트의 식립력이 저하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는 안내핀이 임플란트의 나사구멍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본밀의 바닥면날이 임플란트의 상단면과 닿지 않기 때문에 고속으로 회전되는 본밀의 바닥면날에 의해 임플란트의 상단면이 손상되는 것과 임플란트의 식립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수단이 임플란트에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h는 도 1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수단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본밀과 안내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3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의 안내핀이 임플란트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본밀과 안내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도; 및
도 8은 도 6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의 안내핀이 임플란트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는 외부형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본밀과 안내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100)는 본밀(110), 장착부(120) 및 안내핀(130)을 포함한다.
본밀(110)은 어버트먼트의 하단부 형상에 맞게 치아뼈를 절삭하여 프로파일링하기 위한 것으로, 속이찬 테이퍼진 원통형상을 갖고 있고, 일단에 치아뼈를 절삭하기 위한 크기가 같은 다수의 절삭날들(111)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절삭날들(111)은 바닥면날(111a)과 측면날(111b)을 갖고 있다.
또한 본밀(110)은 다수의 절삭날들(111)의 끝단의 안쪽으로 임플란트의 육각모양의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원모양의 수용리세스(112)가 형성된다. 이때, 수용리세스(112)의 직경은 결합돌기가 여유공간을 두고 수용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깊이는 결합돌기의 높이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120)는 본밀(11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본밀(110)의 일단면에 동축선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끝단부는 핸드피스와 같은 구동장치에 고정되게 장착되어지게 척(121)이 형성된다.
안내핀(130)은 임플란트 속에 수용되어 임플란트의 축방향으로 본밀(11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본밀(110)의 타단면에 동축선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주변이 라운딩된 끝단부(131)를 갖는다. 이때, 안내핀(130)은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깊이 보다 큰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날들(111)의 바닥면날(111a)은 본밀(110)의 축에 대해 약 80°의 각도(α1)를 갖고, 측면날(111b)은 축에 대해 약 60°의 각도(α2)를 갖는다. 또한 안내핀(130)의 길이(ℓ1)는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깊이 보다 크도록 약 4.5㎜~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라운딩된 부분의 반경(r)은 약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의 안내핀이 임플란트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핀(130)이 임플란트(10)의 나사구멍(11)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안내핀(130)의 끝단은 나사구멍(11)의 바닥면에 닿는 반면, 본밀(110)의 바닥면날(111a)은 임플란트(10)의 상단면(12)과 닿지 않고 여유높이(h1)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밀(110)의 바닥면날(111a)이 임플란트(10)의 상단면(12)과 닿지 않게 함으로써 고속으로 회전되는 본밀(110)의 바닥면날(111a)에 의해 임플란트(10)의 상단면이 손상되는 것과 임플란트(10)의 식립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는 내부형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본밀과 안내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200)는 본밀(210), 장착부(220) 및 안내핀(230)을 포함한다.
본밀(210)은 어버트먼트의 하단부 형상에 맞게 치아뼈를 절삭하여 프로파일링하기 위한 것으로, 속이찬 테이퍼진 원통형상을 갖고 있고, 일단에 치아뼈를 절삭하기 위한 크기가 같은 다수의 절삭날들(211)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절삭날들(211)은 바닥면날(211a)과 제1,제2측면날(111b',111b")을 갖는 측면날(111b)을 갖고 있다.
장착부(220)는 본밀(210)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본밀(210)의 일단면에 동축선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끝단부는 핸드피스와 같은 구동장치에 고정되게 장착되어지게 척(221)이 형성된다.
안내핀(230)은 임플란트 속에 수용되어 임플란트의 축방향으로 본밀(21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본밀(210)의 타단면에 동축선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수용되는 제1핀부(231)와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어버트먼트 삽입구멍에 수용되는 제2핀부(232)를 갖는다. 제1핀부(231)는 주변이 테이퍼진 끝단을 갖고 있고, 제2핀부(232)는 테이퍼진 외형의 몸통을 갖고 있다. 제1핀부(231)는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깊이 보다 큰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날들(211)의 바닥면날(211a)은 본밀(210)의 축에 대해 약 80°의 각도(α3)를 갖고, 측면날(211b)의 제1측면날(211b')은 축에 대해 약 60°의 각도(α4)를 가지며, 제2측면날(211b")은 축에 대해 약 60°의 각도(α5)를 갖고 있다. 또한 안내핀(230)의 길이(ℓ2)는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깊이 보다 크도록 약 4.0㎜~4.3㎜인 것이 바람직하고, 테이퍼진 부분의 각도(β)는 약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6의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의 안내핀이 임플란트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핀(230)이 임플란트(10)의 나사구멍(11)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안내핀(230)의 끝단은 나사구멍(11)의 바닥면에 닿는 반면, 본밀(210)의 바닥면날(211a)은 임플란트(10)의 상단면과 닿지 않고 여유높이(h2)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밀(210)의 바닥면날(211a)이 임플란트(10)의 상단면과 닿지 않게 함으로써 고속으로 회전되는 본밀(210)의 바닥면날(211a)에 의해 임플란트(10)의 상단면이 손상되는 것과 임플란트(10)의 식립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00, 200 :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110, 210 : 본밀
111, 211 : 절삭날들 120, 220 : 장착부
121, 221 : 척부 130, 230 : 안내핀

Claims (14)

  1. 치아뼈를 어버트먼트의 하단부 형상에 맞게 절삭하여 프로파일링하기 위한 본밀;
    핸드피스와 같은 구동장치에 장착되어지게 상기 본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밀을 구동하기 위한 장착부; 및
    상기 본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임플란트 속에 수용되어 임플란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본밀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핀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핀은 주변이 라운딩된 끝단부를 갖고, 상기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깊이 보다 큰 길이를 갖고, 상기 나사구멍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그 끝단은 상기 나사구멍의 바닥면에 닿고, 상기 본밀의 바닥면날과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면 사이에는 여유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밀은 원주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삭날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절삭날들은 바닥면날과 측면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밀은 상기 다수의 절삭날들의 끝단의 안쪽으로 상기 임플란트의 결합돌기가 수용되게 되는 원모양의 수용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리세스는 상기 결합돌기가 여유공간을 두고 수용되는 크기의 직경 및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와 대응하는 크기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는 4.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밀은 원주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삭날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절삭날들은 바닥면날 및 제1,제2측면날들을 갖는 측면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10. 치아뼈를 어버트먼트의 하단부 형상에 맞게 절삭하여 프로파일링하기 위한 본밀;
    핸드피스와 같은 구동장치에 장착되어지게 상기 본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밀을 구동하기 위한 장착부; 및
    상기 본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임플란트 속에 수용되어 임플란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본밀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핀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핀은 상기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수용되고 상기 나사구멍의 깊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1핀부 및 상기 임플란트 속에 형성된 어버트먼트 삽입구멍에 수용되는 제2핀부를 갖고, 상기 나사구멍에 완전히 삽입되었을때, 끝단은 상기 나사구멍의 바닥면에 닿고, 상기 본밀의 바닥면날과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면 사이에는 여유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부는 주변이 테이퍼진 끝단을 갖고 있고, 상기 제2핀부는 테이퍼진 외형의 몸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는 4.0㎜~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14. 삭제
KR1020120125148A 2012-11-07 2012-11-07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KR10151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148A KR101516961B1 (ko) 2012-11-07 2012-11-07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148A KR101516961B1 (ko) 2012-11-07 2012-11-07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830A KR20140058830A (ko) 2014-05-15
KR101516961B1 true KR101516961B1 (ko) 2015-04-30

Family

ID=5088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148A KR101516961B1 (ko) 2012-11-07 2012-11-07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3678B1 (es) * 2015-07-23 2016-09-08 Antonio TALÓN GRACIANI Sistema y procedimiento de implantoplastia guiada
KR102447221B1 (ko) * 2021-07-30 2022-09-26 황채영 잇몸뼈 제거용 임플란트 시술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636A (en) * 1996-10-02 1998-07-21 Sulzer Calcitek Inc. Bone contouring tool
US5868572A (en) * 1995-07-05 1999-02-09 Implant Innovations, Inc. Method and means for dental bone profiling
US6179615B1 (en) * 1999-03-26 2001-01-30 Gordon D. Blacklock Dental drill with integral guide
KR100946269B1 (ko) * 2008-07-29 2010-03-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KR101128730B1 (ko) * 2011-02-17 2012-03-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
KR20120100250A (ko) * 2011-03-03 2012-09-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 채취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8572A (en) * 1995-07-05 1999-02-09 Implant Innovations, Inc. Method and means for dental bone profiling
US5782636A (en) * 1996-10-02 1998-07-21 Sulzer Calcitek Inc. Bone contouring tool
US6179615B1 (en) * 1999-03-26 2001-01-30 Gordon D. Blacklock Dental drill with integral guide
KR100946269B1 (ko) * 2008-07-29 2010-03-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KR101128730B1 (ko) * 2011-02-17 2012-03-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
KR20120100250A (ko) * 2011-03-03 2012-09-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 채취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오스템 임플란트(Osstem Implant) 2011년 제품 카탈로그 (2011.0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830A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2636A (en) Bone contouring tool
US10792130B2 (en) Secondary part, set, dental implant, gingiva former, impression part,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mplant
KR101718464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JP6566955B2 (ja) エノスザールな単一義歯移植
EP3381388B1 (en) Cranial bone fixing device
KR101332697B1 (ko)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가공용 고정지그
KR101516961B1 (ko) 치아뼈 프로파일링 도구
AU2016265461A1 (en) Insertion kit for an endosseous single-tooth implant
KR20140044814A (ko)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
KR101493509B1 (ko) 임플란트 고정체 제거장치
EP3730089B1 (en) Direction confirmation pin for placing fixture for implant and guide tap drill kit
JP2020054901A (ja) 歯科用治具
JP2010051708A (ja) インプラント植込み用治具
US11185390B2 (en) System and dental implant for reducing losses of dental implants or dental prostheses
KR20160008887A (ko)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드릴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장치
EP2436337B1 (en) Dental implants
KR101308945B1 (ko) 치과용 픽스쳐
KR100929258B1 (ko) 의료용 탭핑기구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101298248B1 (ko) 치조골 삭제를 위한 인공치아 시술용 드릴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US11202689B2 (en) Combination, system; holding means; dental tool and dental set
EP2688511B1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045405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JP2014033782A (ja) インプラント周囲炎の治療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