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928B1 - 차량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928B1
KR101516928B1 KR1020150010475A KR20150010475A KR101516928B1 KR 101516928 B1 KR101516928 B1 KR 101516928B1 KR 1020150010475 A KR1020150010475 A KR 1020150010475A KR 20150010475 A KR20150010475 A KR 20150010475A KR 101516928 B1 KR101516928 B1 KR 10151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haust pipe
exhaust
speed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비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비엘
Priority to KR102015001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flowing through the silencer two or more times longitudinally in opposite directions, e.g. using parallel or concentr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passing through porou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5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a central core throttling gas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배기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배기 효율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차량용 소음기가 개시된다. 상기 소음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엔진으로부터 출력된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입력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관에 연결된 "Y"자형 유도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Y"자형 유도관의 일단에 연결된 저속 배기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Y"자형 유도관의 타단에 연결된 고속 배기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관으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상기 "Y"자형 유도관을 통하여 상기 저속 배기관 및 상기 고속 배기관으로 분기된다. 또한, 상기 차량이 기설정값 미만의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가 차단되어 상기 저속 배기관을 통하여서만 배기 가스가 배기되고, 상기 차량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가 개방되어 상기 저속 배기관뿐만 아니라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 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저속 배기관의 내측에는 내부관이 배열되고 상기 저속 배기관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저속 배기관으로 유입된 배기 가스가 역배기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소음기{MUFFL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 장치(exhaust system)는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를 종합하는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배기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배기 파이프(exhaust pipe) 및 배기 소음을 저하시키는 소음기(muffl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음기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배기 소음을 저하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강판을 원통형으로 만들어 그 내부를 몇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배기 가스가 그들의 장벽을 통과한 음파의 간섭, 압력변동의 감소 및 배기 온도의 저하 등을 일으켜 점진적으로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소음기를 통해서 배기 가스가 감압, 감온 및 소음이 감소되는 과정에서 배기 저항이 증대됨에 따라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므로, 엔진의 출력과 소음방지의 면을 감안하여 자동차의 사용 목적에 따라 상호 절충하여 소음기의 사양을 결정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공회전, 저속 및 저 회전시에는 배기 가스의 압력이 낮아서 소음기에 설정된 소정의 배기 저항치에도 불구하고 원활히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지만, 고속 및 고 회전 영역으로 갈수록 배기가스의 압력이 증가되고 배기 가스는 소음기를 통과하기 전에 정체 현상을 일으킴에 따라 엔진출력이 급속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44252호 (공개일 : 1997년 7월 26일)
본 발명은 배기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배기 효율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차량용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엔진으로부터 출력된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입력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관에 연결된 "Y"자형 유도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Y"자형 유도관의 일단에 연결된 저속 배기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Y"자형 유도관의 타단에 연결된 고속 배기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관으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상기 "Y"자형 유도관을 통하여 상기 저속 배기관 및 상기 고속 배기관으로 분기된다. 또한, 상기 차량이 기설정값 미만의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가 차단되어 상기 저속 배기관을 통하여서만 배기 가스가 배기되고, 상기 차량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가 개방되어 상기 저속 배기관뿐만 아니라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 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저속 배기관의 내측에는 내부관이 배열되고 상기 저속 배기관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저속 배기관으로 유입된 배기 가스가 역배기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소음기는 저속 배기관과 고속 배기관으로 분배하여 배기 가스를 배기하고, 특히 차량이 저속 주행일 때는 저속 배기관만을 통해서만 배기 가스가 배기되도록 하고 고속 주행일 때는 저속 배기관 및 고속 배기관을 통하여서 배기 가스가 배기되도록 하여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속 배기관의 내부를 역배기 구조로 설계하여 배기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차량의 출력에 따라 다른 출력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게다가, 유도관을 "U"자 형태로 구현하여 배기 가스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여 배기 가스 배압을 감소시켜 엔진의 출력 성능을 증대시키고 승차감을 좋게 유지할 수 있으며, 흡음재를 이용하여 배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 배기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취된 소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배기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배기 효율을 향상시키는 소음기를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소음기는 저속 배기관 및 고속 배기관을 구현하고 차량이 저속일 때는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를 차단하고 고속일 때는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를 개방하여 소음기의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엔진의 출력 성능 또한 증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소음기는 저속 배기관을 역배기 구조로 설계하여 배기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배기 흐름의 제어에 따라 배기 효율이 더 향상되고 차량 출력에 따라 다른 출력음이 생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소음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 배기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취된 소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음기는 본체(100) 및 그의 내부에 포함된 입력관(114), 유도관들(118 및 120), Y자형 유도관(122), 저속 배기관(126) 및 고속 배기관(128)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형상에 제한은 없다.
입력관(114)은 외부 입력관(110)을 통하여 엔진으로부터 출력된 배기 가스를 흡입하는 관으로서, 입력 연결부(112)를 통하여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연결부(112)는 예를 들어 용접 등을 통하여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입력관(114)과 외부 입력관(110)이 분리된 별도의 부재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입력관과 외부 입력관은 하나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관(114)의 일부에는 다수의 통공들(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통공들(116)의 외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섬유(Fiberglass) 등으로 이루어진 흡음재(140)가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음재(140)는 본체(100) 내부에서 입력관(114), 유도관들(118 및 120), Y자형 유도관(122), 저속 배기관(126) 및 고속 배기관(128)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영역들에 충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력관(114)을 통하여 흡입된 배기 가스가 통공들(116)을 통하여 배출된 후 다시 입력관(114)으로 흡입되며, 이 과정에서 흡음재(140)로 인하여 소음기의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유도관(118)은 입력관(114)의 일단에 연결되며, 입력관(114)을 통하여 흡입된 배기 가스를 배기관들(126 및 128)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도관(120)은 연결구(124)를 통하여 유도관(118)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의 일부에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통공들 또한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도관(120)의 일 종단에는 "Y"자형 유도관(122)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관(122) 중 일부(122a)는 저속 배기관(126)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122b)는 고속 배기관(128)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유도관(120)을 통하여 입력된 배기 가스가 저속 배기관(126) 및 고속 배기관(128)으로 분기되어 배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이 저속, 예를 들어 3000rpm 미만으로 주행하면, 고속 배기관(128)을 통하여 흐르는 배기 가스의 출력을 밸브(138)를 이용하여 차단시키며, 그 결과 배기 가스는 저속 배기관(126)을 통하여서만 배기된다. 반면에, 차량이 고속, 예를 들어 3000rpm 이상으로 주행하면, 밸브(138)가 고속 배기관(128)을 개방시키며, 그 결과 배기 가스가 저속 배기관(126) 뿐만 아니라 고속 배기관(128)을 통하여서도 배기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 가스의 배출 방법은 배기 가스의 배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엔진의 출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밸브(138)의 구조 및 동작은 후술하겠다.
저속 배기관(126)은 본체(100)에 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된 배기 연결부(130)를 통하여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외부 배기관(134)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저속 배기관(126)과 외부 배기관(136)은 하나의 배기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속 배기관(126)의 일부에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되어 배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고속 배기관(128)은 본체(100)에 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된 배기 연결부(132)를 통하여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외부 배기관(136)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고속 배기관(128)과 외부 배기관(136)은 하나의 배기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배기관(136) 또는 고속 배기관(128) 상에 밸브(138)가 결합될 수 있으며, 밸브(138)의 제어에 따라 고속 배기관(128) 내의 배기 가스가 외부로 배기되거나 배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외부 배기관들(134 및 136)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인 머플러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소음기의 전체적인 배기 가스 배기 동작을 살펴보겠다.
입력관(114)을 통하여 흡입된 배기 가스는 유도관들(118 및 120) 및 "Y"자형 유도관(122)을 통하여 배기관들(126 및 128)로 분기된다. 이 때, 유도관들(118 및 120)이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고 유도관들(120 및 122) 또한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므로, 배기 가스의 배기 시간이 길어져서 소음이 더 감소될 수 있고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도관들이 "U"자 형상을 가지므로, 배기 가스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여 배기 가스 배압을 감소시키며, 그 결과 엔진의 출력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유도관(122)을 통하여 유도된 배기 가스는 저속 배기관(126) 및 고속 배기관(128)으로 분기되며, 특히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고속 배기관(128)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가 차단되고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에만 고속 배기관(128)을 통하여 배기 가스가 배기되므로, 배기 가스의 배기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서 소음기의 배기 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배기 가스가 저속 배기관(126) 및 고속 배기관(128)으로 배기될 때 병목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 효율 및 출력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속 백기관(126)의 내부 구조를 역배기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속 배기관(126)의 내부에는 내부관(200)이 형성되며, 저속 배기관(126)의 내측면과 내부관(200)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들(202 및 2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들(202 및 204)에서 배기 가스의 일부가 외부 배기관(134)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역행하는 역배기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간(202)으로 진입한 배기 가스가 역배기된 후 내부관(200)을 통하여 배기되고, 공간(204)으로 진입한 배기 가스가 역배기된 후 내부관(200)을 통하여 배기될 수 있다. 즉, 공간들(202 및 204)을 활용하여 배기 가스의 배기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기 효율이 향상되고 차량의 출력에 따라 출력음이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출력 음질 또한 향상된다.
공간들(202 및 204)의 사이즈는 차량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공간들(202 및 204)에서 배기 가스의 흐름을 더 원활히 하기 위하여, 내부관(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저속 배기관(126)의 내측면으로 길이 연장되는 부분들(200a 및 200b)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는 저속 배기관(126) 내부에 2개의 공간들(202 및 204)이 존재하였으나, 하나의 공간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 즉, 내부관(200)의 일측면이 저속 배기관(126)의 일측면에 접촉하는 구조를 가지며, 내부관(200)의 다른 측면과 저속 배기관(126)의 해당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는 저속 배기관(126)만 역배기 구조로 설계하였지만, 고속 배기관(128) 또한 역배기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외부 배기관(136) 또는 고속 배기관(128)에 연결된 밸브(138)의 구조 및 동작을 살펴보겠다.
도 4를 참조하면, 밸브(138)는 밸브체(402), 회전축(404), 디스크(406), 스프링(408), 고무막(410), 실린더(412), 흡기 노즐(414), 작동간(416) 및 회동간(418)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138)는 배출관(136)에 연결되는 밸브체(402)의 내부에는 밸브체(402)의 일측을 관통하는 회전축(404)에 의해 디스크(406)를 회동되게 설치하고, 밸브체(402)의 일측에는 중간에 스프링(408)에 의해 복원되는 고무막(410)을 형성한 실린더(412)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412)의 상부에는 흡기노즐(414)을 형성하고, 실린더(412)의 하부에는 고무막(410)에 의해 상하 작동하는 작동간(416)을 형성하며, 작동간(416)의 끝단에는 회동간(418)의 일측을 회동되게 연결하고, 회동간(418)의 타측은 회전축(404)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밸브(138)는 밸브체(402)의 흡기노즐(414)을 호스(400) 등으로 차량의 흡기매니폴드와 연결시키며, 호스(400)의 중간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연결하고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밸브(138)의 동작을 살펴보면, 차량이 고속(기설정값 이상의 속도)으로 주행하면, 스위치 작동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가 열리면서 흡기매니폴드의 흡입력으로 실린더(412)의 공기가 흡기노즐(414)과 호스(400)를 통해 흡기매니폴드로 유입되며, 그 결과 실린더(412)의 고무막(410)이 상승하고 고무막(410)의 상승으로 작동간(416)이 상승하여 회동간(418)을 회동시킨다. 회동간(418)의 회동에 따라 회전축(404)이 회전되며, 그 결과 밸브체(402)의 디스크(406)가 열리면서 고속 배기관(128)을 통하여 배기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반면에, 차량이 저속(기설정값 미만의 속도)으로 주행하면, 스위치가 오프되면서 솔레노이드밸브가 닫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실린더(412)로부터의 공기 흡입이 차단됨에 따라 고무막(410)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작동간(416)이 하강하여 회동간(418)을 회동시킨다. 회동간(418)의 회동에 따라 회전축(416)이 회전하여 디스크(406)가 닫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고속 배기관(128)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출이 차단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소음기는 배기 가스를 저속 배기관(126) 및 고속 배기관(128)으로 분배하고, 고속 배기관(128)을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만 개방시키며, 저속 배기관(126)을 역배기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소음기의 배기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고, 차량 속도에 따라 다른 출력음을 출력시켜 다양한 운전자들의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통공들 및 흡음재를 이용하고 유도관들을 "U"자형 형상으로 설계하여, 배기 소음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배기 가수의 입력관을 "Y"자형으로 설계하고 하나의 배기관을 설계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배기관에서 배기 가스 배기시 병목 현상이 발생되어 배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음기는 하나의 입력관(114)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를 2개의 배기관들(126 및 128)을 통하여 배기시키는 구조를 사용하여 배기 가스 배기시 병목 현상을 방지시킨다. 따라서, 배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통공 부위에는 메탈메시가 감싸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 부호들은 도 1의 도면 부호들을 사용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Y"자형 유도관(122)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 및 동작은 도 1의 소음기에서의 구성요소들 및 동작과 동일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고속 배기관(128)과 "Y"자형 유도관(122)의 일부(122b)가 직선 라인으로 연결되고, 저속 배기관(126)과 연결되는 "Y"자형 유도관(122)의 일부(122a)는 일부(122b)로부터 가지 형태로 분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Y"자형 유도관(122)을 통하여 입력된 배기 가스가 저속 배기관(126) 및 고속 배기관(128)으로 유사하게 분배되었던 도 1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Y"자형 유도관(122)을 통하여 입력된 배기 가스가 저속 배기관(126) 방향보다는 고속 배기관(128) 방향으로 더 흐르게 될 수 있다. 물론, 저속 배기관(126)과 고속 배기관(128)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는 도 1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Y"자형 유도관(122)을 통하여 입력된 배기 가스를 고속 배기관(128) 방향으로 더 흐르게 하면, 더 우수한 차량의 출력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고속 배기관(128)과 "Y"자형 유도관(122)의 일부(122b)가 직선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Y"자형 유도관(122)을 통하여 입력된 배기 가스가 저속 배기관(126) 방향보다는 고속 배기관(128) 방향으로 더 흐르는 한 "Y"자형 유도관(122)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Y"자형 유도관(122)은 "Y"자형 유도관(122)을 통하여 입력된 배기 가스가 고속 배기관(128) 방향보다는 저속 배기관(126) 방향으로 더 흐르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외부 입력관
112 : 입력 연결부 114 : 입력관
116 : 통공 118 : 유도관
120 : 유도관 122 : "Y"자형 유도관
124 : 연결구 126 : 저속 배기관
128 : 고속 배기관 130, 132 : 배기 연결부
134, 136 : 외부 배기관 138 : 밸브
400 : 호스 402 : 밸브체
404 : 회전축 406 : 디스크
408 : 스프링 410 : 고무막
412 : 실린더 414 : 흡기 노즐
416 : 작동간 418 : 회동간

Claims (8)

  1. 차량용 소음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엔진으로부터 출력된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입력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관에 연결된 "Y"자형 유도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Y"자형 유도관의 일단에 연결된 저속 배기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Y"자형 유도관의 타단에 연결된 고속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관으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상기 "Y"자형 유도관을 통하여 상기 저속 배기관 및 상기 고속 배기관으로 분기되되,
    상기 차량이 기설정값 미만의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가 차단되어 상기 저속 배기관을 통하여서만 배기 가스가 배기되고, 상기 차량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가 개방되어 상기 저속 배기관뿐만 아니라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 가스가 배출되며,
    상기 저속 배기관의 내측에는 내부관이 배열되고 상기 저속 배기관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저속 배기관으로 유입된 배기 가스가 역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가 역배기되는 상기 저속 배기관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차량의 출력에 따라 상기 소음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음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배기관 또는 상기 고속 배기관에 연결된 외부 배기관의 일부분에 밸브가 결합되어 상기 고속 배기관을 통한 배기 가스의 배기가 제어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고속 배기관 또는 상기 외부 배기관에 연결되는 밸브체, 회전축, 디스크, 스프링, 고무막, 실린더, 흡기 노즐, 고무막, 작동간 및 회동간을 포함하되,
    상기 밸브체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체의 일측을 관통되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디스크가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으로 복원되는 상기 고무막이 형성된 상기 실린더가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는 상기 흡기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는 상기 고무막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상기 작동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간의 끝단에는 상기 회동간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동간의 타측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관의 일부분 및 상기 저속 배기관의 일부분 위에는 각기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관, 상기 "Y"자형 유도관, 상기 저속 배기관 및 상기 고속 배기관을 제외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는 흡음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관과 상기 "Y"자형 유도관 사이에 "U"자형 유도관이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저속 배기관의 내측면으로 길이 연장되는 부분은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자형 유도관은 "Y"자 형상을 가지되, 상기 "Y"자형 유도관을 통하여 입력된 배기 가스가 상기 저속 배기관 방향보다 상기 고속 배기관 방향으로 더 많이 흐르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Y"자형 유도관의 일단과 상기 고속 배기관은 직선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KR1020150010475A 2015-01-22 2015-01-22 차량용 소음기 KR10151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75A KR101516928B1 (ko) 2015-01-22 2015-01-22 차량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75A KR101516928B1 (ko) 2015-01-22 2015-01-22 차량용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928B1 true KR101516928B1 (ko) 2015-05-04

Family

ID=5339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475A KR101516928B1 (ko) 2015-01-22 2015-01-22 차량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9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0316A (zh) * 2016-10-14 2017-05-10 上海天纳克排气系统有限公司 消声器
KR20190023710A (ko) 2017-08-30 2019-03-08 유재영 차량용 출력 가변식 듀얼모드 소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73U (ko) * 1989-07-14 1991-03-06
JP3022173B2 (ja) 1994-06-30 2000-03-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紙
KR100882656B1 (ko) * 2007-08-24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소음기 타입 차량용 싱글 배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73U (ko) * 1989-07-14 1991-03-06
JP3022173B2 (ja) 1994-06-30 2000-03-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紙
KR100882656B1 (ko) * 2007-08-24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소음기 타입 차량용 싱글 배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0316A (zh) * 2016-10-14 2017-05-10 上海天纳克排气系统有限公司 消声器
CN106640316B (zh) * 2016-10-14 2019-03-15 上海天纳克排气系统有限公司 消声器
KR20190023710A (ko) 2017-08-30 2019-03-08 유재영 차량용 출력 가변식 듀얼모드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1030B2 (ja) 可変の減衰特性を有する消音器
CN102770639B (zh) 带有气缸关闭的内燃机
JP2008518157A (ja) 車両用排気装置
KR101516928B1 (ko) 차량용 소음기
KR20070099259A (ko) 자동차용 배기구
JP2019533119A (ja) 原動機用マフラー
JP2006250055A (ja) 内燃機関の消音器
WO2019058350A1 (en) SILENCER FOR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5527740A (ja) 自動車内の音を修正するための装置
JP4715784B2 (ja) 気体バルブ
JP2015200184A (ja)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5568257B2 (ja) 自動二輪車の騒音低減装置
KR100759765B1 (ko) 터보 차량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JPH1182202A (ja) 吸気ダクト
JPH0828243A (ja) 自動車用排気消音装置
KR101673783B1 (ko) 가변흡기장치
CN210195846U (zh) 消声器及包括其的汽车排气系统
KR101071910B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680372B1 (ko) 가변흡기장치
JP2006063961A (ja) ターボポンプ
KR20110052841A (ko) 자동차의 소음기 장치
JP2928770B2 (ja) エンジンの消音装置
JP2002097951A (ja) 建設機械の排気装置
JPH1172022A (ja) 移動物体用エンジンの排気装置
KR200484411Y1 (ko) 가변배기 시스템을 갖는 차량용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