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199B1 - 도막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도막 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6199B1 KR101516199B1 KR1020130050204A KR20130050204A KR101516199B1 KR 101516199 B1 KR101516199 B1 KR 101516199B1 KR 1020130050204 A KR1020130050204 A KR 1020130050204A KR 20130050204 A KR20130050204 A KR 20130050204A KR 101516199 B1 KR101516199 B1 KR 101516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oating film
- frame
- heating
- uni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05D3/0263—After-treatment with IR heat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도막 건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는 도막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도막을 향해 열을 제공하는 가열유닛; 가열유닛에 결합되어 가열유닛을 받치는 받침유닛; 및 받침유닛에 결합되어 받침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막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작업 후의 대상물을 하부에서 건조하여 화재위험으로부터 안전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 측면에서 효율적인 도막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블록에 도장작업시 건조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도장작업 후 자연건조시, 건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종래에는 선박 제조시 도장 작업 후 소요되는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블록 내부에 승온된 열기를 제공할 수 있는 열풍기를 사용하였었다.
여기서, 열풍기를 사용하는 경우, 블록의 개방 영역으로 열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쉴딩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쉴딩처리에 비용 및 시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여 생산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는 블록 내부에서 블록의 바닥면에 지지된 채로 다른 공정을 수행해야하므로, 블록 내부 바닥면이 우선적으로 건조되는 것이 전체 작업공정에 유리하다
하지만, 블록 내부로 열기를 불어넣게 되면 대류현상에 의한 열전달 특성상 블록의 상부면과 벽면이 바닥면보다 먼저 건조되므로 작업공정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열풍기를 통해 블록 건조시, 통상 사용되는 직화식 디젤 열풍기는 화재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므로, 안전사고 측면에서도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록의 바닥면을 우선적으로 건조하여 작업공정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또한, 블록의 개방 영역을 쉴딩하지 않으므로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유리하며, 길이조절을 통해 보관이 용이하고, 안전측면에서 화재위험이 감소될 수 있는 도막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막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도막을 향해 열을 제공하는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유닛을 받치는 받침유닛; 및 상기 받침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유닛을 포함하는 도막 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유닛은 단위받침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받침유닛들 상호간에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동연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받침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동구동력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단위프레임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프레임유닛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연결하는 길이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복수의 길이방향부재가 링크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유닛에 연결되는 래크; 상기 래크에 연결되어 상기 래크에 운동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유닛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높이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유닛이 도막을 향해 미리 설정된 간격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근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방지부는 안테나형부재 또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유닛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의 간섭 또는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원케이블에 연결되는 간섭꼬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유닛은 복사열에 의해 도막을 가열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히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록의 바닥면을 우선적으로 건조하여 작업공정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또한, 블록의 개방 영역을 쉴딩하지 않으므로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유리하며, 길이조절을 통해 보관이 용이하고, 안전측면에서 화재위험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받침유닛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받침유닛이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프레임유닛이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프레임유닛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간섭꼬임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높이조절실런더에 의해 높이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받침유닛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받침유닛이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프레임유닛이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프레임유닛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간섭꼬임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에서 높이조절실런더에 의해 높이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는 도장 작업 후 건조가 필요한 각종의 블록, 기구, 장치 내지 구조물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박의 도장 작업 후 도장면의 도막(800)을 건조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에서 받침유닛(300)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에서 받침유닛(300)이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에서 프레임유닛(400)이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에서 프레임유닛(400)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에서 간섭꼬임방지부(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는 도막(80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도막(800)을 향해 열을 제공하는 가열유닛(200)과, 가열유닛(200)에 결합되어 가열유닛(200)을 받치는 받침유닛(300)과, 받침유닛(300)에 결합되어 받침유닛(3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열유닛(200)은 도막(8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도막(800)을 향해 열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블록 내부로 승온된 열기를 불어 넣어 도막(800)을 건조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블록의 바닥보다 상부와 벽멱이 먼저 건조되므로 작업 진행 측면에서 불리하며, 또한, 직화식 디젤 열풍기를 사용하므로 화재의 위험이 존재하였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에 포함된 가열유닛(200)은 도장작업이 이루어진 선박의 블록 내부로 열기를 직접 송풍시키는 것이 아니라 건조가 필요한 블록의 일측, 예를 들어, 블록 하부의 바닥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바닥면의 도막(800)을 향해 열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해, 선박의 블록 중 바닥면이 상대적으로 먼저 건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막(80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열을 제공하므로 화재의 위험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열유닛(200)은 복사열에 의해 도막(800)을 가열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히터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원적외선 히터는 도막(80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채 복사열을 통해 열을 전달하게 되는데 방사율이 높아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며, 또한, 원적외선 히터가 복수로 구비되어 건조가 필요한 블록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통해 선박 블록 하부 전체를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가열유닛(200)이 도막(800)을 향해 미리 설정된 간격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유닛(300)에는 접근방지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간격은 가열유닛(200)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도막(800)이 손상을 입지 않을 최소거리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넘는다는 것은 상기 최소거리보다 작은 거리의 범위 내로 들어오는 것을 의미한다.
가열유닛(200)이 소정 간격을 넘어서 도막(800)에 접근하게 되면 도막(800) 부분에 열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열유닛(200)은 도막(8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채, 도막(800)을 향해 열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하지만, 각종 작업중, 작업자의 작업 미숙이나 실수 또는 제어계통의 오류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가열유닛(200)이 미리 설정된 간격을 넘어 도막(800)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근방지부(500)가 받침유닛(3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접근방지부(500)는 안테나형부재 또는 근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접근방지부(500)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테나형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열유닛(200)이 도막(800)을 향해 미리 설정된 간격을 넘어서 접근하게 되면 안테나형부재가 도막(800)의 일측에 닿게되므로, 가열유닛(200)이 위험 범위의 간격 이내로 도막(800)에 접근한 것을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테나형부재의 단부에 센서를 부착하여 안테나형부재가 도막(800)에 닿게되면 경고음 발생장치나 경고등이 작동하여 가열유닛(200)의 접근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접근방지부(500)는 근접센서(미도시)로 마련될 수도 있는데, 가열유닛(200)이 도막(800)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넘어 접근하면 근접센서(미도시)가 경고음 발생장치 또는 경고등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근접센서는 비접촉으로 대상물이 근접해 온 것을 검출하는 각종의 센서를 의미하며, 자기의 영향으로 내부의 전류가 변화하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결합하는 방식,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결합하는 방식 또는 정전(靜電)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을 포함하며, 그외 공지된 다양한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열유닛(200)이 원적외선 히터로 마련되는 경우, 원적외선 히터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70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원적외선 히터가 복수로 배치된다면 전원케이블(700) 역시 원적외선 히터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되는 가열유닛(200)에 복수의 전원케이블(700)이 각각 연결되는 경우, 복수의 전원케이블(700)의 길이는 모두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이 접혀지게 되면, 복수의 전원케이블(700) 중 일부는 꼬이거나 또는 전원케이블(700) 사이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케이블(700)의 간섭 또는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케이블(700)에 연결되는 간섭꼬임방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간섭꼬임방지부(600)는 중공이 형성된 링(미도시)을 포함하여 복수의 전원케이블(700)이 링의 중공에 삽입되고, 링은 받침유닛(30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이 접혀지게 되면,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전원케이블(700)을 잡아당겨 링의 중공을 통해 전원케이블(700)을 인출시키며, 전원케이블(700)의 길이가 접혀진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하여 전원케이블(700)의 간섭 또는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꼬임방지부(600)는 2절 링크를 포함하여 2절 링크 중 일측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이 접혀지는 경우, 2절 링크가 회전하여 전원케이블(700)이 링의 중공을 통해 인출되어 전원케이블(700)의 간섭 또는 꼬임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열유닛(200)에는 합선 등의 발생시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안전차단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가열유닛(200)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가열유닛(200)에 별개로 안전차단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선박 블록의 크기에 따라 가열유닛(200)의 사용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열유닛(200) 각각에는 전원스위치가 별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의 On/Off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전원표시램프가 가열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받침유닛(300)은 가열유닛(200)에 결합되어 가열유닛(200)을 받치도록 마련된다. 즉, 받침유닛(300)의 상부에 가열유닛(200)이 배치되어 받침유닛(300)이 하부에서 가열유닛(2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유닛(300)은 단위받침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받침유닛(300)은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선박 블록의 면적에 따라 필요한 가열유닛(200)에서의 공급열량도 다르므로, 가열유닛(2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받침유닛(300)이 복수의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받침유닛(300)이 복수의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으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이 상호간에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연결부(310)가 각각의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을 연결하며, 회동연결부(310)에 의해 복수의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은 상대 회동가능해진다.
즉,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선박 블록을 건조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이 중앙단위받침유닛(300b)에 대해 펼쳐지도록, 회동연결부(310)를 통해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을 회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선박의 블록은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 및 중앙단위받침유닛(300b) 모두로부터 열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선박 블록을 건조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이 접혀지도록 회동연결부(310)를 통해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을 회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선박의 블록은 중앙단위받침유닛(300b)으로부터만 열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에너지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이 회동연결부(310)를 통해 상대 회동하는 경우,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에 전달하도록,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에는 회동구동력실린더(32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회동구동력실린더(320)의 작동을 통해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이 중앙단위받침유닛(300b)에 대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선박 블록의 건조 작업이 완료된 후,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을 접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를 창고 등의 보관공간에 보관하게 되면, 창고 내부의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뿐만 아니라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 사이의 상호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유닛(400)은 받침유닛(300)에 결합되어 받침유닛(3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프레임유닛(400)은 단위프레임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레임유닛(400)은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선박 블록에 제공되는 열량의 조절을 위해 복수의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은 각각의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에 연결되는 길이조절부(41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이 펼쳐진 상태로 넓은 범위의 선박 블록에 대해 건조를 행할 수도 있고,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이 접힌 상태로 소정 위치에 집중적으로 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과 공통되게, 길이조절부(410)를 통해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을 접은 후 보관하게 되면, 보관공간 내부의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보관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을 연결하는 길이조절부(410)는 복수의 길이방향부재(411)가 상호 연결되어 신장과 수축을 할 수 있는 링크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길이조절부(41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조절부(410)는 실린더 타입 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각종의 접철식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유닛(400)에는 프레임유닛(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42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선박 블륵의 설치 위치, 도막(800)의 도장 상태 내지 건조작업시의 외부환경 등에 따라 선박 블록과 가열유닛(200)과의 거리를 조절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 높이조절부(420)를 통해 프레임유닛(4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가열유닛(200)으로부터 선박 블록까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부(420)는 프레임유닛(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으며,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크(421)와, 피니언(422)과, 손잡이(4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부(420)가 래크(421)와, 피니언(422)과, 손잡이(423)를 포함하는 경우, 프레임유닛(400)의 일측에 직선형상의 래크(421)가 연결되고, 래크(421)에 운동력을 제공하도록 원형형상의 피니언(422)이 래크(421)에 연결되며, 피니언(422)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손잡이(423)가 피니언(42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손잡이(423)를 돌리게 되면, 손잡이(423)에 연결된 피니언(422)이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422)의 회전력이 피니언(422)에 연결된 래크(421)에 전달되어 래크(421)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면, 래크(421)에 연결된 프레임유닛(400)이 직선으로 움직이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에 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과 중앙단위받침유닛(300b)은 회동연결부(31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단위받침유닛(300a,300b,300c)에 연결된 회동구동력실린더(320)를 통해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의 상대 회동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선박 블록을 건조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이 접혀진 상태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관시에도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이 접혀진 상태로 보관가능하며, 이에 의해, 보관장소의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선박 블록을 건조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단위받침유닛(300a,300c)이 중앙단위받침유닛(300b)에 대해 회동연결부(310)를 통해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펼쳐진 상태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부(420)를 작동하여 프레임유닛(4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선박 블록으로부터 가열유닛(200)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부(420)를 통해 프레임유닛(4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접근방지부(500)에 의해 가열유닛(200)이 선박 블록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넘어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은 각각의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에 연결되는 길이조절부(41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길이조절부(410)는 복수의 길이방향부재(411)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링크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박 블록의 건조시, 필요에 따라,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이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로 건조가 가능해지며, 보관시에는 단위프레임유닛(400a,400b,400c,400d)을 접어서 보관하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는 이동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프레임유닛(400)의 하측에 바퀴가 결합될 수 있고, 바퀴를 통해 이동 후 작업지점에서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지게차 등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유닛(400)의 하측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막 건조 장치(100)에서 높이조절실린더(424)에 의해 높이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차이점 중 하나는 높이조절부(420)의 구동방식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420)는 프레임유닛(400)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높이조절실린더(4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직접 프레임유닛(4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높이조절실린더(424)에 제어부가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를 통해 프레임유닛(400)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건조 대상인 선박 블록에 따라 받침유닛(30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유닛(400)의 구조도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도막 건조 장치 200 : 가열유닛
300 : 받침유닛 310 : 회동연결부
320 : 회동구동력실린더 400 : 프레임유닛
410 : 길이조절부 411 : 길이방향부재
420 : 높이조절부 421 : 래크
422 : 피니언 423 : 손잡이
424 : 높이조절실린더 500 : 접근방지부
600 : 간섭꼬임방지부 700 : 전원케이블
800 : 도막
300 : 받침유닛 310 : 회동연결부
320 : 회동구동력실린더 400 : 프레임유닛
410 : 길이조절부 411 : 길이방향부재
420 : 높이조절부 421 : 래크
422 : 피니언 423 : 손잡이
424 : 높이조절실린더 500 : 접근방지부
600 : 간섭꼬임방지부 700 : 전원케이블
800 : 도막
Claims (12)
- 선박의 도막을 건조하도록 상기 선박에 사용되는 도막 건조 장치로서,
상기 도막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막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도막을 향해 상측 방향으로 열을 제공하는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유닛을 받치는 받침유닛; 및
상기 받침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유닛이 도막을 향해 미리 설정된 간격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근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근방지부는 안테나형부재로 마련되는 도막 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은 단위받침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받침유닛들 상호간에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동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도막 건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받침유닛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동구동력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도막 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단위프레임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프레임유닛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연결하는 길이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도막 건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복수의 길이방향부재가 링크타입인 도막 건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도막 건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유닛에 연결되는 래크;
상기 래크에 연결되어 상기 래크에 운동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막 건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유닛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높이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도막 건조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의 간섭 또는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원케이블에 연결되는 간섭꼬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도막 건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복사열에 의해 도막을 가열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히터로 마련되는 도막 건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0204A KR101516199B1 (ko) | 2013-05-03 | 2013-05-03 | 도막 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0204A KR101516199B1 (ko) | 2013-05-03 | 2013-05-03 | 도막 건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1179A KR20140131179A (ko) | 2014-11-12 |
KR101516199B1 true KR101516199B1 (ko) | 2015-05-04 |
Family
ID=5245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0204A KR101516199B1 (ko) | 2013-05-03 | 2013-05-03 | 도막 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619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2075U (ko) | 2016-12-28 | 2018-07-0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도료 건조시간 예측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3851Y2 (ja) * | 1993-06-11 | 1998-02-25 | 日産アルティア株式会社 | 乾燥装置 |
KR200409367Y1 (ko) * | 2005-12-12 | 2006-02-22 | 주식회사 삼성레이저 | 자동차 도장 시스템용 이동식 건조기 |
JP2009139076A (ja) * | 2007-11-12 | 2009-06-25 | Ketaka Electric Co Ltd | 乾燥装置 |
-
2013
- 2013-05-03 KR KR1020130050204A patent/KR1015161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3851Y2 (ja) * | 1993-06-11 | 1998-02-25 | 日産アルティア株式会社 | 乾燥装置 |
KR200409367Y1 (ko) * | 2005-12-12 | 2006-02-22 | 주식회사 삼성레이저 | 자동차 도장 시스템용 이동식 건조기 |
JP2009139076A (ja) * | 2007-11-12 | 2009-06-25 | Ketaka Electric Co Ltd | 乾燥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2075U (ko) | 2016-12-28 | 2018-07-0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도료 건조시간 예측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1179A (ko) | 2014-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5188B1 (ko) | 적외선 램프에 조인트를 통하여 케이블 통로를 구비한 암을 갖는 마감 경화 장치 및 방법 | |
EP2794127B1 (en) | Arrangement for drying paint | |
JP2008006438A5 (ko) | ||
KR101516199B1 (ko) | 도막 건조 장치 | |
KR20180106671A (ko) | 자동차 부분도장 건조를 위한 멀티포인트 열처리 장치 | |
CN110315757A (zh) | 一种熔融沉积成形3d打印机的工件加热保温系统 | |
CN104848342A (zh) | 一种可用于烘衣的取暖器 | |
CN105704991A (zh) | 一种多媒体信息箱 | |
KR101172582B1 (ko) | 건조 장치 | |
KR101495794B1 (ko) | Uv-led 건조장치 | |
KR101846749B1 (ko) | 스마트 건조 장치 | |
KR20170107687A (ko) | 히터가 구비된 빨래건조대 | |
CN206724289U (zh) | 一种红外辐射电暖器散热装置 | |
CN108167791A (zh) | 一种舞台灯的机箱散热系统 | |
JP5274054B2 (ja) | 乾燥装置 | |
JP6065403B2 (ja) | 塗装乾燥装置および塗装乾燥方法 | |
JPS62268982A (ja) | 赤外線乾燥機 | |
CN209569896U (zh) | 一种微型自冷却热风笔 | |
CN107670934A (zh) | 一种伸缩式烤灯 | |
CN212856489U (zh) | 一种喷塑固化炉的加热系统 | |
CN219105936U (zh) | 一种电容铝壳的平送加热装置 | |
IT8319743A1 (it) | Asciuga-panni che sta ritto da solo riscaldabile elettricamente | |
CN207543486U (zh) | 一种移动散热源的机箱散热系统 | |
KR101507348B1 (ko) | 건조대 | |
CN204474994U (zh) | 转动式智能晾衣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