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144B1 - 액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144B1
KR101516144B1 KR1020150002487A KR20150002487A KR101516144B1 KR 101516144 B1 KR101516144 B1 KR 101516144B1 KR 1020150002487 A KR1020150002487 A KR 1020150002487A KR 20150002487 A KR20150002487 A KR 20150002487A KR 101516144 B1 KR101516144 B1 KR 10151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nufacturing
extrusion bar
presen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권
Original Assignee
(주) 나이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이테 filed Critical (주) 나이테
Priority to KR102015000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47G1/0611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the profiles having clamping action; Elongated c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재료의 손실없이 한번의 절단으로 테두리부재를 제조하고, 제조원가도 감소시키며, 비틀림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액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하 대칭과 동시에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진 압출바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압출바를 사각테두리에 대응하도록 양단부를 45°로 절단하되, 양 양단부가 대칭되도록 절단하여 복수개의 테두리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테두리부재를 이용하여 사각틀을 만들되, 상기 테두리부재 사이에 연결편을 끼우고, 외측에서 나사로 고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바는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편이 결합되고, 모서리부 상하측에 보강날개가 각각 돌출형성되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액자의 제조방법{PROCESS OF PRODUCING PICTURE FRAME}
본 발명은 액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의 손실없이 한번의 절단으로 테두리부재를 제조하고, 제조원가도 감소시키며, 비틀림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액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각으로 짜여진 프레임의 전측에 유리 등을 결합하고 프레임의 후측에 덮개판 등을 덧댄 다음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편을 조작하여 덮개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액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에 따른 압출바의 절단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액자는, 내측으로 개구된 삽입홈(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테두리부재(1)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삽입홈(1a)에 포개지도록 끼워지는 투명판(2)과 배면판(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판(2)과 배면판(3) 사이에는 그림이나 사진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부재(1)는 그 배면에 ㄷ자 형태의 끼움홈(1b)과, 상기 끼움홈(1b)의 입구쪽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c)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b)에는 ㄱ자형태의 연결편(4)이 삽입되어 배면으로부터 체결되는 스크류(5)에 의해 조여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액자를 구성하는 테두리부재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압출바(B)를 성형한 후 이를 테두리부재(1)에 대응하도록 양단부를 45°로 절단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S1 단계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압출바(B)를 준비하고, S2 단계에서는 압출바(B)를 바이스(V)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단부를 45°로 절단하게 되는데 이 절단된 부분(X)은 폐기처분해야 된다.
다시, S3 단계에서는 (가) 부분을 사용하기 위해 압출바(B)를 바이스(V)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단부를 45° 절단하고, S4 단계에서는 X 부분을 바이스(V)에 고정한 후 단부를 45° 절단하여 폐기처분하며, S5 단계에서는 (나)부분을 사용하기 위해 압출바(B)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단부를 45° 절단하게 된다.
다시, S6 단계에서는 X 부분을 바이스(V)에 고정한 후 단부를 45° 절단하여 폐기처분하고, S7 단계에서는 (다)부분을 사용하기 위해 압출바(B)를 바이스(V)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단부를 45° 절단하게 되며, 다시, S8 단계에서는 X 부분을 바이스(V)에 고정한 후 단부를 45° 절단하여 폐기처분한다.
다시, S9 단계에서는 (라)부분을 사용하기 위해 압출바(B)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단부를 45° 절단하게 되고, S10 단계에서는 절단된 (가)(나)(다)(라)부분을 준비한 후 ㄱ자형태의 연결편(4)와 스크류(5)를 이용하여 액자틀을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압출바(B)는 단면형상이 상,하 및 좌, 우가 대칭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테두리부재(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S2, S4, S6, S8 단계와 같이 불필요하게 폐기처리되는 X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불필요한 재료손실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제품특성상 바이스 등에 제품의 양측을 파지한 후 절단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폐기부분이 발생된다.)
또한, 하나의 액자틀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조공정이 많이 소요되어 제작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압출바(B)의 단면형상이 상,하 및 좌, 우 대칭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비틀림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료의 손실없이 한번의 절단으로 테두리부재를 제조하고, 제조원가도 감소시키며, 비틀림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액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조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하 대칭과 동시에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진 압출바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압출바를 사각테두리에 대응하도록 양단부를 45°로 절단하되, 양 양단부가 대칭되도록 절단하여 복수개의 테두리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테두리부재를 이용하여 사각틀을 만들되, 상기 테두리부재 사이에 연결편을 끼우고, 외측에서 나사로 고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바는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편이 결합되고, 모서리부 상하측에 보강날개가 각각 돌출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사각틀을 형성한 후 상기 테두리부재의 일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한 후 그림이 인쇄된 판부재를 부착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조방법은, 상,하 대칭과 동시에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진 압출바를 액자의 사각테두리에 대응하도록 양단부를 45°로 절단하되, 양 양단부가 대칭되도록 절단하여 사각틀을 제조하도록 함으로서, 재료의 손실없이 한번의 절단으로 테두리부재를 제조하고, 제조원가도 감소시키며, 비틀림강도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액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에 따른 압출바의 절단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모서리부위에 연결편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테두리부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가 벽에 걸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모서리부위에 연결편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테두리부재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가 벽에 걸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액자(100)는, 테두리부재(10)로 사각틀을 형성하되, 상기 테두리부재(10)는 양단부가 대칭되도록 45°의 절단면이 형성되고, 단면 중앙에 관통홈(11)이 형성되고, 모서리부 상하측에 보강날개(12)가 각각 돌출되어 H자 형태로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홈(11)에 ㄱ자형의 연결편(20)을 각각 삽입한 후 외측에서 나사로 연결편(20)과 테두리부재(10)를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10)의 일면에 양면테이프(30)를 부착한 후 그림이 인쇄된 판부재(40)를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액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 등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벽에 돌출된 못 등에 사각틀의 내부가 걸쳐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이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압출바 성형단계(S10)
제1단계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하 대칭과 동시에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진 압출바(B)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압출바(B)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앙이 관통되어 후술하는 연결편(20)이 결합되며, 모서리부 상하측에 보강날개(12)가 각각 돌출형성되어져 H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2단계: 테두리부재 제조단계(S20)
제2단계는, 상기 압출바(B)를 사각테두리에 대응하도록 양단부를 45°로 절단하되, 양 양단부가 대칭되도록 절단하여 복수개의 테두리부재(1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압출바(B)를 절단하여 상,하측 테두리부재(10)와 좌,우측 테두리부재(10)를 형성하게 되는데, 절단된 45°부위를 결합하게 되면 사각틀이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상 1번은 재료를 버리게 되는 것이고, 2번과 3번은 상,하측 테두리부재에 해당되며, 4번과 5번은 좌,우측 테두리부재에 해당되는 것이다.
제3단계: 연결편 고정단계(S30)
제3단계는 상기 테두리부재(10)를 이용하여 사각틀을 만들되, 상기 테두리부재(10) 사이에 연결편(20)을 끼우고, 외측에서 나사로 고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편(20)은 ㄱ자 형으로 이루어져 테두리부재(10)의 관통된 부위에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10)와 연결편(20)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함으로서, H형 단면을 가지는 사각틀이 형성되어 비틀림강도가 향상되는데, 대략 종래에 비해 3배정도의 비틀림강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제4단계: 판부재 부착단계 (S40)
제4단계는, 상기 사각틀을 형성한 후 상기 테두리부재(10)의 일면에 양면테이프(30)를 부착한 후 그림이 인쇄된 판부재(40)를 부착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판부재(40)는 아크릴 또는 알루미늄 판 등의 경질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판 상에 인쇄기 등을 통해 직접 그림 등이 인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액자
10: 테두리부재 11: 관통홈
12: 보강날개 20: 연결편
30: 양면테이프 40: 판부재
B: 압출바

Claims (3)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하 대칭과 동시에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진 압출바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압출바를 사각테두리에 대응하도록 양단부를 45°로 절단하되, 양 양단부가 대칭되도록 절단하여 복수개의 테두리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테두리부재를 이용하여 사각틀을 만들되, 상기 테두리부재 사이에 연결편을 끼우고, 외측에서 나사로 고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출바는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편이 결합되고, 모서리부 상하측에 보강날개가 각각 돌출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틀을 형성한 후 상기 테두리부재의 일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한 후 그림이 인쇄된 판부재를 부착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150002487A 2015-01-08 2015-01-08 액자의 제조방법 KR10151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487A KR101516144B1 (ko) 2015-01-08 2015-01-08 액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487A KR101516144B1 (ko) 2015-01-08 2015-01-08 액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144B1 true KR101516144B1 (ko) 2015-05-18

Family

ID=5339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487A KR101516144B1 (ko) 2015-01-08 2015-01-08 액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1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627A (ja) * 1999-12-03 2001-06-12 Frame Man:Kk 展示用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200402083Y1 (ko) * 2005-09-05 2005-11-24 (주)삼화 조립식 액자
KR200408772Y1 (ko) * 2005-11-30 2006-02-16 (주)삼화 조립식 액자
KR20110004860U (ko) * 2009-11-10 2011-05-18 김형태 액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627A (ja) * 1999-12-03 2001-06-12 Frame Man:Kk 展示用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200402083Y1 (ko) * 2005-09-05 2005-11-24 (주)삼화 조립식 액자
KR200408772Y1 (ko) * 2005-11-30 2006-02-16 (주)삼화 조립식 액자
KR20110004860U (ko) * 2009-11-10 2011-05-18 김형태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30720A (en) Frame construction
KR101516144B1 (ko) 액자의 제조방법
US2742690A (en) Method of corner construction
HU216266B (hu) Profilos keretléc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valamint hőszigetelő üvegezés és távtartó keretszerkezete
KR101848976B1 (ko) 유리판 복합고정물을 구비한 중공문짝 및 그 조립방법
JP5673410B2 (ja) 採光機能付建具
CN210482659U (zh) 一种装配式轻质隔墙的阳角龙骨加固结构
CN212478195U (zh) 快速装配用型材
GB2288622A (en) Corner joint for window and door frames
CN207228904U (zh) 一种通用窗框框料以及双向开启平开窗
US4413397A (en) Metal door and light assembly
KR200396780Y1 (ko) 샤시류 제품의 조립구조
KR101878166B1 (ko)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
CN209354012U (zh) 推拉百叶窗
KR200344361Y1 (ko) 창문용 중간바 연결구
KR102101471B1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JP2009191578A (ja) 枠部材の連結構造、扉及び収納家具
JP3581211B2 (ja) ルーバー付き建具とその製造方法
KR20190051129A (ko)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TWI822557B (zh) 可更換外部橫框之門窗
KR200246397Y1 (ko) 가구용 패널
CN218844123U (zh) 一种立体玻璃门
CN211851478U (zh) 一种金属装饰片材、金属装饰组件以及中空装饰玻璃
CN210013622U (zh) 一种连接强度高的扇窗
CN209369608U (zh) 铝合金门窗用新型铝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