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572B1 -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 Google Patents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572B1
KR101514572B1 KR1020130153466A KR20130153466A KR101514572B1 KR 101514572 B1 KR101514572 B1 KR 101514572B1 KR 1020130153466 A KR1020130153466 A KR 1020130153466A KR 20130153466 A KR20130153466 A KR 20130153466A KR 101514572 B1 KR101514572 B1 KR 101514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low
present
wide type
w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이상주
김주우
김용현
조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트
Priority to KR102013015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C 보의 폭을 와이드형으로 구성하되 PC 보의 자중을 경감할 수 있도록 단면을 중공형으로 형성하는 PC 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는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슬래브를 지지하며, 하부판, 하부판 폭방향 양단에서 일정 각도(θ)를 갖고 상향 연장되는 양측 측판이 일체로 구성되어 하부판과 양측 측판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기둥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Wide Type PC Beam having Hollow Section}
본 발명은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C 보의 폭을 와이드형으로 구성하되 PC 보의 자중을 경감할 수 있도록 단면을 중공형으로 형성하는 PC 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공법(Precast Method, 이하 PC 공법)은 건축물의 구조부재를 미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이하 PC) 부재로 공장제작하고 현장으로 운송 반입한 다음 양중을 통해 소정 위치에서 조립하는 공법이다.
PC 공법은 건설현장에서 노동력의 부족을 해결하거나 가설자재의 사용을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주차장 구조물이나 물류센터처럼 단위모듈을 갖는 구조물에 적용하는 경우, 동일 작업의 반복적인 시공으로 경제성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장 제작한 PC 부재를 현장으로 운반 양중하여 설치하는 건식공법의 적용에 의해 거푸집 사용 및 가설 자재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최근 건설되는 많은 건물들은 지상 주차공간을 지하로 옮기고 지상에는 조경시설 및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지하주차장의 기본 모듈은 주차구획으로 인하여 7,500, 7,800, 10,400 등 정형화되어 있으며, 주차공간을 지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체 골조 공사비 중 지하층 공사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되므로 지하층 공사비 비중증가의 최소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환경적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공사비 증가로 인한 부담을 해결하고 투입되는 현장 인력을 줄이기 위해 지하주차장 골조 공사비 절감 방안 및 지하주차장 토공사 물량을 최소화하며 흙막이 공사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지하주차장 프리캐스트 공법 적용이다.
지하주차장이나 물류센터에 PC 공법을 적용하면 폐기물 발생량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고 효율적인 기계화 시공에 의한 현장 시공의 합리성, 투입인력의 감소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 사용시 부재 균열발생에 따른 민원예방 및 보수비 절감, 획기적인 공기단축 등의 장점을 취할 수 있어 지하주차장 PC 공법에 대한 수요가 확산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10-0712354 ‘지하주차장의 피씨 복합화 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스팬피씨 보의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특허문헌1)가 있다.
그러나 배경기술은 PC 보 사이의 거리가 큰 경우 슬래브와 보 단면을 크게 제작하게 되어 가설재 사용 및 양중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C 보 사이의 순 스팬(Clear Span)을 줄일 수 있는 와이드형 PC 보가 개발되고 있다. 와이드형 PC 보는 PC 보의 폭이 광대하게 제작되는 것으로(예를 들면 2m) 보 폭이 커짐에 따라 PC 보 사이의 순 스팬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나 PC보 자중이 크게 증가되어 양중의 문제가 있으며 기둥 및 기초판을 크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 제10-0712354호 ‘지하주차장의 피씨 복합화 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스팬피씨 보의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C 보 사이의 순 스팬이 줄어들어 슬래브의 길이를 줄이고 전체 구조물을 경량화할 수 있는 와이드형 PC 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와이드형 PC 보의 자중 감소를 통한 양중 부하 감소 및 기둥의 과다 설계를 방지할 수 있는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는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슬래브를 지지하며, 하부판, 하부판 폭방향 양단에서 일정 각도(θ)를 갖고 상향 연장되는 양측 측판이 일체로 구성되어 하부판과 양측 측판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기둥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양단 일정구간이 솔리드 단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판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판의 각도(θ)는 35˚~60˚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측판에는 상면 내측에 하부판과 평행하도록 상부판 걸침면이 형성되고, 상면 외측에는 상부판 걸침면과 단차를 두고 하부판과 평행하도록 슬래브 걸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단에서 중앙부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단부 격벽이 형성되어 개방형 중공 단면 부재의 전단력과 비틀림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판의 양단에는 기둥 상부로 노출되는 주철근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부 격벽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 측벽 상단에 양단이 접합되는 타이바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단부 격벽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내부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을 폐합하도록 양측 측판 상부를 덮는 상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 보의 폭이 와이드형으로 구성되므로 보 사이에 거치되는 슬래브의 길이를 기둥 사이의 거리에서 보의 광폭을 제외한 순 스팬 길이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래브 두께 및 가설 자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C 보의 단면이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PC 보의 자중을 감소시켜 양중계획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C 보는 단면내에 중공이 형성됨에 따라서 중공을 시공 기간중에는 작업자들에게 필요한 작업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시공 이후에는 덕트가 설치되는 설비공간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보의 하부에 별도의 설비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층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를 이용한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를 이용한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C-C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10)는 하부판(11), 하부판(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일정 각도(θ)를 갖고 상향 연장되는 양측 측판(12,12)으로 구성되고, 하부판(11)과 양측 측판(12,12)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13)이 형성된다.
측판(12)의 상면 내측은 하부판(11)과 평행하도록 상부판 걸침면(122)이 되고, 상면 외측으로는 상부판 걸침면(122)과 단차를 두고 하부판(11)과 평행하도록 슬래브 걸침턱(121)이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판 걸침면(122)에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13)을 폐쇄하기 위한 상부판(40)이 거치되고 슬래브 걸침턱(121)에는 슬래브(30)가 거치된다.
하부판(11)의 폭은 기둥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두께는 휨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구조계산에 의해 결정된다. 양측 측판(12,12)은 전단력에 저항하는 부분으로 두께는 구조계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특히, 하부판(11)으로부터 연장되는 양측 측판(12,12)의 각도(θ)는 PC 보(10)의 상부 폭과 단면 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따라 구조계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60˚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중공(13)은 시공기간 중에는 작업자들에게 필요한 작업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를 이용한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한 기둥(20)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10)의 양단을 거치하고 서로 평행한 PC 보(10) 사이에 슬래브(30)의 양단을 거치한다.(구조부재 배치의 이해를 위해 토핑콘크리트는 도 2에서 생략되어 있음)
주차장 건물이나 물류센터 같은 개방형 평면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의 경우 기둥 사이의 거리(L)가 장스팬으로 길어지게 된다. 이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PC 보(10)를 기둥(20) 사이에 배치하면 보 사이의 거리, 순 스팬(S)이 기둥 사이의 거리(L) 보다 크게 줄어든다. 예를 들어, PC 보 폭(W)이 2m로 제작되면 순 스팬은 8m에서 6m로 줄어든다. 이에 따라 보 사이에 거치되는 슬래브(30)의 길이를 순 스팬(S) 길이로 줄일 수 있어 슬래브 두께 및 가설 자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를 이용한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PC 보에는 양단에서 중앙부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단부 격벽(1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개방형 중공 단면 부재는 자중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전단력과 비틀림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부 격벽(14)을 구성하면, 개방형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10)의 전단력 저항을 향상시키고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격벽(14)은 토핑콘크리트 타설시 PC 보의 중앙부로 콘크리트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막음판으로 이용되고, PC 보의 단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짐으로써 기둥과의 구조적 일체성도 향상된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PC 보(10)는 앞서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둥(20)의 상단에 양단이 거치되며 서로 평행한 보에 슬래브(30)가 거치되고 그 상부에 토핑콘크리트(50)가 타설 양생된다.
토핑콘크리트(50)가 타설되기 전 단계에서 개방형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10) 상부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40)이 설치된다. 상부판(40)은 와이드평 PC 보의 상부가 개방된 중공(13)을 폐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PC 판을 사용하여 상부판 걸침면(122)에 거치될 수 있다. 상부판(40)의 양단 하면에는 상부판(4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돌기(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판(40)에 의해 폐합된 중공(13)은 덕트가 설치되는 설비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어 보의 하부에 별도의 설비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층고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개방형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10)를 측판(12)의 상면에 단차를 두고 슬래브 걸침턱(121)이 형성된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2)의 상면은 별도의 걸침턱이나 걸침면이 형성되지 않고 하부판(11)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판(40)과 슬래브(30)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판(11)의 양단에 기둥 상부로 노출되는 주철근을 수용하는 수용홈(111)이 더 형성된다. 또한 토핑콘크리트(50)가 타설 양생되기 전 단순 거치 단계에서 PC 보가 기둥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방지볼트 삽입홈(1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둥(20) 상면에 전도방지볼트 삽입홈(112) 위치에 상응하게 전도방지볼트(미도시)가 설치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PC 공법의 경우 토핑콘크리트 타설 전에 PC 보가 기둥에 단순 거치되는 단계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PC 보를 설계 위치인 해당 기둥 위로 이송시 불안정한 상태로 거치되고 거치 후에 다른 PC 보와 충돌하거나 다른 외력에 의해 빈번하게 탈락하여 추락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전도방지볼트와 전도방지볼트 삽입홈(112)은 PC 보가 탈락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시공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파손과 2차 복구 작업의 생략 등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B-B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PC 보(10)의 단부 격벽(14)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 측벽 상단에 양단이 접합되는 타이바(15)가 더 설치된다.
타이바(15)는 개방형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10)가 거푸집으로부터 탈형되거나 설치위치로 양중될 때, 또는 후술되는 상판 일체형으로 PC 보가 형성될 때, 비틀림을 방지하고 측판(12)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타이바(15)는 여러 종류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양단이 측판(12)의 상단을 관통하여 측판(12) 외측에서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부 격벽(14)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내부 격벽(16)이 형성된다.
내부 격벽(16)은 앞선 실시예의 타이바(15)와 마찬가지로 개방형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10)가 거푸집으로부터 탈형될 때 그리고 현장으로 운반되어 설치위치로 양중될 때, 또는 후술되는 상판 일체형으로 PC 보가 형성될 때, 비틀림을 방지하고 측판(12)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또한 내부 격벽(16)은 상부판(40)의 지지점을 제공하므로 상부판(40)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부판(40)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하부판(11)으로 전달한다. 내부 격벽(14)을 설치하면 일정 간격으로 중공이 생략되어 와이드형 PC 보(10)의 전단력을 보강하므로 와이드형 PC 보(10)의 안정적인 거동을 기대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C-C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부판(11)과 양측 측판(12,12)으로 구성된 와이드형 PC 보(10)가 공장 제작되고 현장에서 상부판(40)이 측판 상면의 상부판 걸침면(122)에 거치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현장으로 운반하기 전에 공장에서 미리 상부판(40)이 일체로 제작된다. 단면내에 중공(13)이 형성되는 부재는 단일 제작하기 어려움이 있으므로 일차로 하부판(11)과 양측 측판(12,12)을 일체로 제작한 후 이차로 상부판(40)을 설치한다. 일차 성형시 측판의 상면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철근(123)이 미리 매입되어 상부판(40) 설치시 측판(12)과 상부판(40)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판(40)이 일체로 형성된 와이드형 PC 보(10)는 상부판(40)이 중공(13)의 상부를 폐쇄하여 토핑콘크리트(50)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상판(40)이 일체로 형성된 와이드형 PC 보(10)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구성할 때에는 앞선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슬래브(30)를 거치한 뒤 별개의 PC판을 거치할 필요없이 토핑콘크리트(50)를 타설 양생하여 일체로 구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드형 PC 보는 양단 일정구간에 솔리드 단부(18)를 갖는다. 솔리드 단부(18)의 길이는 구조계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중공을 갖는 개방형 단면을 갖는 부재는 자중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전단력과 비틀림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솔리드 단부(18)을 구성하면, 개방형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10)의 전단력 저항을 향상시키고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물의 완성 후 보의 양단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솔리드 단부(18)에는 기둥 상부로 노출되는 주철근이나 앵커를 수용하는 수용홈(111)이 더 형성된다. 이는 기둥 상부에 부분적으로 거치된 PC 보 상부에 토핑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 기둥과 보가 일체의 구조물로 형성될 때 기둥과 보의 일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솔리드 단부(18)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내부 격벽(16)이 더 형성된다. 내부 격벽(16)은 개방형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10)가 현장으로 운반되고 설치위치로 양중될 때, 또는 상술한 상판 일체형으로 PC 보가 형성될 때, 비틀림을 방지하고 측판(12)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또한 내부 격벽(16)은 상부판(40)의 지지점을 제공하므로 상부판(40)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부판(40)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하부판(11)으로 전달한다. 내부 격벽(14)을 설치하면 일정 간격으로 중공이 생략되어 와이드형 PC 보(10)의 전단력을 보강하므로 와이드형 PC 보(10)의 안정적인 거동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C 보의 폭이 와이드형으로 구성되므로 보 사이에 거치되는 슬래브의 길이를 순 스팬 길이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래브 두께 및 가설 자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C 보의 단면이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PC 보의 자중을 감소시켜 양중계획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C 보는 단면내에 중공이 형성됨에 따라서 중공을 시공 기간중에는 작업자들에게 필요한 작업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시공 이후에는 덕트가 설치되는 설비공간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보의 하부에 별도의 설비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층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11: 하부판 111: 수용홈
12: 측판 121: 슬래브 걸침턱
122: 상부판 걸침면 13: 중공
14: 단부 격벽 15: 타이바
16: 내부 격벽 18: 솔리드 단부
20: 기둥 30: 슬래브
40: 상부판 50: 토핑콘크리트

Claims (9)

  1.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슬래브를 지지하며,
    하부판(11), 하부판(11) 폭방향 양단에서 일정 각도(θ)를 갖고 상향 연장되는 양측 측판(12,12)이 일체로 구성되어 하부판(11)과 양측 측판(12,12)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13)이 형성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하부판(11)의 양단에는 기둥 상부로 노출되는 주철근을 수용하는 수용홈(111)이 형성되며,
    기둥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2. 제1항에 있어서,
    양단 일정구간이 솔리드 단부(18)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판(11)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판(12)의 각도(θ)는 3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판(12)은,
    상면 내측에 하부판(11)과 평행하도록 상부판 걸침면(122)이 형성되고,
    상면 외측에는 상부판 걸침면(122)과 단차를 두고 하부판(11)과 평행하도록 슬래브 걸침턱(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단에서 중앙부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단부 격벽(14)이 형성되어 개방형 중공 단면 부재의 전단력과 비틀림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단부 격벽(14)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 측벽 상단에 양단이 접합되는 타이바(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8. 제5항에 있어서,
    단부 격벽(14)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내부 격벽(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공(13)을 폐합하도록 양측 측판(12,12) 상부를 덮는 상부판(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KR1020130153466A 2013-12-10 2013-12-10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KR101514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66A KR101514572B1 (ko) 2013-12-10 2013-12-10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66A KR101514572B1 (ko) 2013-12-10 2013-12-10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572B1 true KR101514572B1 (ko) 2015-04-23

Family

ID=5305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466A KR101514572B1 (ko) 2013-12-10 2013-12-10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5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405A (ko) 2020-03-13 2021-09-27 고려개발 주식회사 와이드보의 전도방지 구조를 갖는 기둥-보 접합부 구조
KR102489817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KR102489814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966B1 (ko) * 2004-04-01 2004-12-24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합성형 거더교의 단면형상을 개선한 p.s.c u-거더
KR20130117463A (ko) * 2012-04-18 2013-10-28 삼표건설 주식회사 구조물용 휨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966B1 (ko) * 2004-04-01 2004-12-24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합성형 거더교의 단면형상을 개선한 p.s.c u-거더
KR20130117463A (ko) * 2012-04-18 2013-10-28 삼표건설 주식회사 구조물용 휨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405A (ko) 2020-03-13 2021-09-27 고려개발 주식회사 와이드보의 전도방지 구조를 갖는 기둥-보 접합부 구조
KR102489817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KR102489814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305B1 (ko)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KR101301076B1 (ko)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US9422680B2 (en) Deck
CN104314213A (zh) 一种新型大跨度装配式空心井字楼盖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14572B1 (ko) 중공 단면을 갖는 와이드형 pc 보
KR20180112311A (ko) 장선슬래브용 철근 일체형 데크
KR101456391B1 (ko) 층고절감형 유공 강재 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바닥 구조
KR101586385B1 (ko) 고하중 장스팬 바닥구조를 위한 병렬 pc 복합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59180B1 (ko)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20080004835U (ko) 조립식 콘크리트 암거
KR101172522B1 (ko) 경량형 서까래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한옥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30059010A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0639153B1 (ko) 횡력 지지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 구조체
KR101315365B1 (ko) 복합보 구조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2222834B1 (ko) 역드롭 패널이 구비된 슬림형 전이매트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RU271382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опирающихся по контуру плит перекрытий с круглыми пустотами с применением неизвлекаемых картонно-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пустотообразователей
KR101308055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0612662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망 조립시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