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153B1 - 유체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153B1
KR101513153B1 KR1020130038574A KR20130038574A KR101513153B1 KR 101513153 B1 KR101513153 B1 KR 101513153B1 KR 1020130038574 A KR1020130038574 A KR 1020130038574A KR 20130038574 A KR20130038574 A KR 20130038574A KR 101513153 B1 KR101513153 B1 KR 10151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uction
level
dispos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325A (ko
Inventor
최진천
곽명화
Original Assignee
(주)포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웰 filed Critical (주)포웰
Priority to KR102013003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1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유체층이 형성된 저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유체층 중에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수단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레벨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까지 삽입되며, 흡입대상 유체를 흡입토록 제공되는 유체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불순물, 물 등을 포함하는 여러 유체가 적층된 혼합층에서 오일 등의 특정유체가 적층된 부분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특정유체만을 선별 흡입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흡입장치{Apparatus for suction fluid}
본 발명은 유체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여러 유체가 적층된 혼합층에서 특정유체의 레벨을 측정하고 선별 흡입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의 생산라인에 사용된 폐수는 최종적으로 공장에 설치된 정화시설로 보내지고 정수되게 되는데, 이러한 물에 불순물(부유물)이나 오일 등이 혼합되는 경우에는 비중에 따라 여러 층으로 적층된 상태로 정화시설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물에 함유된 불순물이나 오일 등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오일스키머를 물 위에 띄운 다음 불순물이나 오일을 흡입하며 제거하도록 하였다. 종래 오일스키머로는 공개번호 제10-2010-0082431호가 있으며, 이 또한 물 위에 띄워진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에 낮아 물층 위에 형성되는 불순물이나 오일을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물에 함유되어 정화시설에서 제거되는 오일의 양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며, 이러한 오일은 그대로 제거되어 버려짐에 따라 자원회수율이나 공장의 생산비용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물층 상단에 비중차로 형성된 오일층으로부터 오일을 적절히 회수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오일스키머는 불순물과 오일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별도로 오일만을 회수할 수는 없으므로 이러한 요구를 만족할 수 없다. 이에 복수의 혼합층, 예를 들어 불순물, 물, 오일, 다른 비중을 가지는 제3의 유체들이 혼합된 복합층에서도, 회수하고자 하는 오일 등의 특정유체의 레벨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특정유체층까지 삽입되어 이를 흡입 가능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불순물, 물 등을 포함하는 여러 유체가 적층된 혼합층에서 오일 등의 특정유체가 적층된 부분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특정유체만을 선별 흡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유체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유체층이 형성된 저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유체층 중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까지 삽입되며, 흡입대상 유체를 흡입토록 제공되는 유체 흡입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체 흡입수단은, 일측은 상기 장치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펌핑부재와 하부관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흡입대상 유체층에 삽입되는 흡입노즐과 연결되는 유로몸체와 상기 유로몸체상에 장착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에 소정 간격을 두고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부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체 흡입수단은, 상기 유로몸체를 승강토록,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유로몸체의 일측 단부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1 호이스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관은 상기 유로몸체의 승강에 따라 신축되게 제공되는 주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체 흡입수단은, 흡입대상 유체층으로 상기 흡입노즐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토록 하는 삽입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삽입깊이 조절부는, 상기 유로몸체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유로몸체에 관통되며 배치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승강블록간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연결대와 상기 승강블록간에 배치되는 회전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유체층 중에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체층 레벨 측정수단은, 복수의 유체층 중에 흡입대상 유체층의 하부 경계선까지 침강토록 제공되는 플롯부재와 일측에는 상기 플롯부재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플롯부재를 승강시키는 제2 호이스트가 연결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상에 장착되며,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을 측정토록 제공되는 눈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벨 측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유체층간의 비중 차이에 따라 상기 플롯부재의 침강깊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중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량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며, 상기 플롯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는 웨이트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벨 측정수단이 흡입대상 유체층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레벨 측정수단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벨 측정수단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더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더의 상부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가이더를 승강시키는 제3 호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프레임은 상기 저장공간으로 이동토록 하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안착되는 복수의 바퀴부재 및 상기 장치프레임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바퀴부재와 구동축으로 연결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유체 흡입장치의 일 실시예는 불순물, 물 등이 포함된 여러 유체가 적층된 혼합층에서 오일 등의 특정유체가 적층된 부분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눈금부의 혼합층 내부로의 승강이 수직하게 안내되므로 특정유체층의 레벨은 더욱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흡입노즐의 삽입깊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특정유체의 레벨까지 흡입노즐을 삽입하여 특정유체만을 선별하여 흡입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불순물, 물, 오일 등의 혼합층 내부에서 재사용하고자 하는 특정유체만을 선별 회수함에 따라 자원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유체 흡입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인 유체 흡입수단에서 혼합층 삽입깊이 조절에 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유체 레벨측정수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가이드수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인 유체 흡입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유체 흡입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불순물, 물 등을 포함하는 여러 유체가 적층된 혼합층에서 오일 등의 특정유체가 적층된 부분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특정유체만을 선별 흡입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유체 흡입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인 유체 흡입수단에서 혼합층 삽입깊이 조절에 관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유체 레벨측정수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가이드수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유체 흡입장치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유체층이 형성된 저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10)과 상기 장치프레임(10)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유체층 중에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수단(50) 및 상기 장치프레임(10)에 장착되며,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에 의해 측정된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까지 삽입되며, 흡입대상 유체를 흡입토록 제공되는 유체 흡입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프레임(10)은 상기 저장공간 설비의 상부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하기 검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수단(80)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 설비의 상부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은 상기 장치프레임(1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유체층 방향으로 하강하고 상기 복수의 유체층 내부로 삽입되어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을 측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은 플롯부재(53), 지지대(51), 눈금부(52), 제2 호이스트(54) 및 중량조절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플롯부재(53)는 상기 복수의 유체층 중에 흡입대상 유체층의 하부 경계선까지 침강토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롯부재(53)에는 상기 지지대(51)에 나사선으로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구형으로 구현됨에 따라 내부에는 일정공간이 형성되며 흡입대상 유체의 하부 경계선까지 침강되도록 공기 또는 흡입대상 유체가 적정량이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채워지는 흡입대상 유체의 량은 작업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물론 흡입대상 유체와 비슷한 비중을 가지는 유체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1)는 일측에 상기 플롯부재(53)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플롯부재(53)를 승강시키는 상기 제2 호이스트(54)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51)는 긴 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플롯부재(53)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이고, 타측은 상기 제2 호이스트(54)의 와이어가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호이스트(54)에 의해 상기 지지대(51)는 승강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플롯부재(53)가 흡입대상 유체층까지 침강되게 된다.
상기 눈금부(52)는 상기 지지대(51)상에 장착되며,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을 측정토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눈금부(52)는 상기 지지대(51)상에 상기 플롯부재(53)의 상단에서 곧바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는 흡입대상 유체층의 하부 경계선까지 상기 플롯부재(53)가 삽입되게 되면, 흡입대상 유체의 하부 경계선으로부터 정확하게 레벨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눈금부(52)의 확인은 작업자가 상기 제2 호이스트로 상기 지지대(51)를 들어올려 확인하거나 또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센서를 장착하여 센서 신호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량조절부(60)는 상기 복수의 유체층간의 비중 차이에 따라 상기 플롯부재(53)의 침강깊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중량조절부(60)는 삽입홈(63) 및 웨이트바(6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홈(63)은 상기 지지대(51)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때 상기 삽입홈(63)의 내부는 연결빔(65)에 의해 상단 지지대(51)와 하부 지지대(51)가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바(61)는 상기 삽입홈(63)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대(51)를 따라 하강하며, 상기 플롯부재(53)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62)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웨이트바(61)는 원판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삽입홈(6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부과 중앙부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롯부재(53)에 공기 또는 흡입대상 유체가 소량만이 채워지더라도, 상기 웨이트바(61)가 투입됨에 의해 침강 무게가 증가하며, 상기 플롯부재(53)는 흡입대상 유체층의 하부 경계선까지 침강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장착되는 상기 웨이트바(61)의 무게는 작업환경 및 흡입대상 유체의 성질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체 흡입수단(20)은 상기 장치프레임(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에 의해 측정된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까지 삽입되며, 흡입대상 유체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유체 흡입수단(20)은 유로몸체(21), 지지블록(21a), 복수의 부력부재(28), 제1 호이스트(29) 및 삽입깊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유로몸체(21)는 일측은 상기 장치프레임(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압펌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펌핑부재(23)와 하부관(22)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흡입대상 유체층(F)에 삽입되는 흡입노즐(26)과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26)은 상기 유로몸체(21)의 타측에 나사체결되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작업환경에 따라 다른 길이를 가지는 타 형태의 노즐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관(22)은 상기 유로몸체(21)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23)와 상기 유로몸체(21)간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연결을 유지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21a)은 상기 유로몸체(21)의 일부에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블록(21a)에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힌지에 의해 복수의 연결대(27)의 일측이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력부재(28)는 상기 복수의 연결대(27)의 타측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연결대(27)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하는 높이가 변경되게 된다. 상기 복수의 부력부재(28)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혼합층의 상부에 표류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부력부재(28)는 상기 흡입노즐(26)이 혼합층(S,E,F,G;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미설명부호(S),(G),(F),(E)는 각각 불순물, 물, 오일, 오일보다 비중이 낮은 유체일 수 있음)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에 혼합층(S,E,F,G)의 상부에서 표류하면서 상기 흡입노즐(26)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호이스트(29)는 상기 유로몸체(21)를 승강토록, 상기 장치프레임(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유로몸체(21)의 일측 단부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관(22)은 상기 유로몸체(21)의 승강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23)와 상기 유로몸체(21)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하도록 주름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깊이 조절부(30)는 흡입대상 유체층(F)으로 상기 흡입노즐(26)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상기 삽입깊이 조절부(30)는 유압실린더(33), 승강블록(31), 탄성체(35) 및 회전대(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유압실린더(33)의 몸체(33a)는 상기 유로몸체(21)에 벤더(34)에 의해 장착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33)의 로드(33b)에는 상기 승강블록(31)이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블록(31)은 상기 유로몸체(21)에 관통되도록 원통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35)는 상기 지지블록(21a)과 상기 승강블록(31)간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대(37)의 일측은 상기 연결대(27)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거리가 이격되며 힌지에 의해 회전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대(37)의 타측은 상기 승강블록(31)상에 힌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깊이 조절부(30)에 의해 상기 흡입노즐(26)이 흡입대상 유체층(F)으로 삽입되는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33)가 작동되면, 상기 유압실린더(33)의 로드(33b)에 연결된 상기 승강블록(31)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31)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승강블록(31)에 연결된 회전대(37)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연결대(27)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28)가 위치하는 높이가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흡입노즐(26)이 위치하는 높이가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되어 혼합층 내부로 더욱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유압실린더(33)의 유압값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흡입노즐(26)의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이 흡입대상 유체층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며, 보다 정밀하게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을 측정토록 하는 가이드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수단(70)은 가이더(71) 및 제3 호이스트(75)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이더(71)는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의 승강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더(71)는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의 플롯부재(53)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고리 형태의 복수의 수평판(71a)과 상기 복수의 수평판(71a)을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빔(7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판(71a)의 내직경은 상기 플롯부재(53)의 외직경보다 약간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플롯부재(53)의 외부에 불순물이 침착되더라도 상기 수평판(71a)을 원활히 통과하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가이더(71) 내부에서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이 최대한 수직상태에 가깝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더(71)의 하단은 상기 플롯부재(53)가 안착되는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상기 플롯부재(53)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형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관통홀(73)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71)의 하단에 불순물이나 유체가 남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호이스트(75)는 상기 장치프레임(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3 호이스트(75)의 와이어는 상기 가이더(71)의 상단에 배치되는 연결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더(71)를 승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장치프레임(10)을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로 이동토록 하는 이동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수단(80)은 이동레일(82), 복수의 바퀴부재(83) 및 이동부재(85)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이동레일(82)은 상기 저장공간 설비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릿지부재(81)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바퀴부재(83)는 상기 이동부재(85)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레일(82)상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85)의 내부에는 구동엔진, 구동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부(8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바퀴부재(83)는 상기 구동부(84)의 구동축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85)의 하단에는 상기 장치프레임(10)이 연결블록(12)에 의해 볼트체결되어 연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84)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85)가 이동하면, 상기 장치프레임(10)이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인 유체 흡입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적층된 복수의 유체층(E,F,G) 중에서 흡입대상 유체층(F)의 레벨을 측정하고 선택 흡입하도록 상기 이동수단(80)을 가동하여 상기 장치프레임(10)을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즉 작업자는 제어부(C)를 통해 상기 구동부(84)를 작동시키면 상기 복수의 바퀴부재(83)가 상기 이동레일(8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부재(85)를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85)에 볼트체결되어 연결된 상기 장치프레임(10)도 함께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로 이동된다.
물론 차후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작업자는 상기 레벨 측정수단(50), 상기 유체 흡입수단(20) 및 상기 가이드수단(70)을 청소하기 위해 상기 이동수단(80)을 상기 저장공간 외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도면부호(S)는 불순물층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면부호(G),(F),(E)는 각각 물, 오일, 오일보다 비중이 낮은 유체일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치프레임(10)이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로 이동이 완료되면,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제3 호이스트(75)를 작동시켜 상기 가이더(71)를 하강시킨다. 상기 가이더(71)는 상기 복수의 유체층(E,F,G) 내부로 침강될 것이다.
상기 가이더(71)가 적정한 깊이까지 하강되고 나면, 도 6c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제2 호이스트(54)를 작동시켜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을 하강시킨다. 상기 제2 호이스트(54)가 작동되면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은 상기 가이더(71)으로 내부를 따라 안내되며 수직하게 상기 복수의 유체층(E,F,G)으로 침강되게 된다.
이때 사전에 작업자는 흡입대상 유체의 비중에 대응하여 상기 웨이트바(61)의 무게를 맞춰 놓을 수 있다. 즉 상기 레벨 측정수단(50)의 플롯부재(53)가 흡입대상 유체층(F)의 하부 경계선까지 침강되도록 상기 웨이트바(61)의 무게를 조절해 놓는 것이다. 이는 작업환경이나 흡입대상 유체의 특성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플롯부재(53)가 흡입대상 유체층(F)의 하부 경계선까지 침강되고 나면, 작업자는 눈금부(52)를 통해 흡입대상 유체층(F)의 레벨을 측정하게 된다.
이후 흡입대상 유체를 회수하기 위해 도 6d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제어부(C)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호이스트(29)를 작동시키면, 상기 유체 흡입수단(20)의 흡입노즐(26)이 상기 복수의 유체층(E,F,G)에 삽입될 것이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유체층(E)로 인해 상기 흡입노즐(26)이 흡입대상 유체층(F)까지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33)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블록(31)을 상승시킨다.
상기 승강블록(31)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회전대(37)와 연결대(27)가 상호 작용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28)가 상승하게 된다. 상대적으로는 상기 흡입노즐(26)은 더욱 하강한 상태가 되며, 도 6e에서와 같이 흡입대상 유체층(F)까지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작업자는 제어부(C)를 통해 상기 펌핑부재(23)를 작동시켜 흡입대상 유체를 회수하고 이는 상부관(24)을 통해 유체회수탱크(25)로 이동되게 된다. 흡입대상 유체가 모두 회수되고 나면, 작업자는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제1,2,3 호이스트를 작동시켜 상기 레벨 측정수단(50), 상기 가이드수단(70) 및 상기 유체 흡입수단(20)을 모두 끌어올리고 상기 이동수단(80)을 구동하여 상기 장치프레임(10)을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원리를 가지며, 불순물, 물 등을 포함하는 여러 유체가 적층된 혼합층에서 오일 등의 특정유체가 적층된 부분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특정유체만을 선별 흡입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유체 흡입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장치프레임 12...연결블록
20...유체 흡입수단 21...유로몸체
22...하부관 23...펌핑부재
24...상부관 25...유체저장탱크
26...흡입노즐 27...연결대
28...부력부재 29...제1 호이스트
30...삽입깊이 조절부 31...승강블록
33...유압실린더 35...탄성체
37...회전대 50...레벨 측정수단
51...지지대 52...눈금부
53...플롯부재 54...제2 호이스트
60...중량조절부 61...웨이트바
63...삽입홈 65...연결빔
70...가이드수단 71...가이더
75...제3 호이스트 80...이동수단
81...브릿지부재 82...이동레일
83...바퀴부재 84...구동부
85...이동부재

Claims (8)

  1. 복수의 유체층이 형성된 저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유체층 중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까지 삽입되며, 흡입대상 유체를 흡입토록 제공되는 유체 흡입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흡입수단은,
    일측은 상기 장치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펌핑부재와 하부관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흡입대상 유체층에 삽입되는 흡입노즐과 연결되는 유로몸체;
    상기 유로몸체상에 장착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에 소정 간격을 두고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부력부재;
    를 포함하는 유체 흡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수단은,
    상기 유로몸체를 승강토록,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유로몸체의 일측 단부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1 호이스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관은 상기 유로몸체의 승강에 따라 신축되게 제공되는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흡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수단은, 흡입대상 유체층으로 상기 흡입노즐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토록 하는 삽입깊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삽입깊이 조절부는,
    상기 유로몸체에 장착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유로몸체에 관통되며 배치되는 승강블록;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승강블록간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연결대와 상기 승강블록간에 배치되는 회전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흡입장치.
  5.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유체층 중에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레벨 측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유체층 중에 흡입대상 유체층의 하부 경계선까지 침강토록 제공되는 플롯부재;
    일측에는 상기 플롯부재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플롯부재를 승강시키는 제2 호이스트가 연결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상에 장착되며, 흡입대상 유체층의 레벨을 측정토록 제공되는 눈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흡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측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유체층간의 비중 차이에 따라 상기 플롯부재의 침강깊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중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량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며, 상기 플롯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는 웨이트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흡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측정수단이 흡입대상 유체층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레벨 측정수단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벨 측정수단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더;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더의 상부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가이더를 승강시키는 제3 호이스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흡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레임은 상기 저장공간으로 이동토록 하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안착되는 복수의 바퀴부재; 및
    상기 장치프레임과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바퀴부재와 구동축으로 연결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흡입장치.
KR1020130038574A 2013-04-09 2013-04-09 유체 흡입장치 KR10151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574A KR101513153B1 (ko) 2013-04-09 2013-04-09 유체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574A KR101513153B1 (ko) 2013-04-09 2013-04-09 유체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325A KR20140122325A (ko) 2014-10-20
KR101513153B1 true KR101513153B1 (ko) 2015-04-20

Family

ID=5199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574A KR101513153B1 (ko) 2013-04-09 2013-04-09 유체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1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325A (ko)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7440C2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подъемник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CN206052946U (zh) 一种新能源联合吸污车用全角度可举升卧式吸污臂
KR101513153B1 (ko) 유체 흡입장치
CN108078482A (zh) 外墙玻璃清洗装置
KR200442471Y1 (ko) 수위 감응형 제진기
KR101659500B1 (ko) 교량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N104532699B (zh) 钢轨铣磨车铣磨头升降装置及钢轨铣磨车
CN211565967U (zh) 一种钻台面机械手用侧移沉降台
CN205449611U (zh) 一种液基细胞制片机
JP4113504B2 (ja) スライムの処理方法と装置
CN110258689A (zh) 一种龙门式绞吸机
CN113074120A (zh) 一种钢厂节能改造用循环水泵
CN112684131B (zh) 养殖水体微塑料实时监测预警装置
CN210507579U (zh) 一种龙门式绞吸机
CN210066793U (zh) 一种深井点降水设备
US20160258261A1 (en) Pumping unit for oil drilling, with a movement control mechanism and a mobile body within a rotating head
KR20190001013A (ko) 직선 승강식 취수탑 내부 촬영 장치
CN110952789A (zh) 用于装配式吊装的墙体辅助安装机器人
CN115138872B (zh) 一种激光3d打印用平台稳定装置
CN214007100U (zh) 一种气动自升降脱气装置
CN219830448U (zh) 一种地表水检测用采样器
CN204021235U (zh) 载人潜水器压载重块移动装置
CN219733602U (zh) 一种扫地池的扫地泵自动启停装置
KR101515976B1 (ko)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