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976B1 -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976B1
KR101515976B1 KR1020130104483A KR20130104483A KR101515976B1 KR 101515976 B1 KR101515976 B1 KR 101515976B1 KR 1020130104483 A KR1020130104483 A KR 1020130104483A KR 20130104483 A KR20130104483 A KR 20130104483A KR 101515976 B1 KR101515976 B1 KR 101515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water
pumping unit
ship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100A (ko
Inventor
유이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솔
Priority to KR102013010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9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가 유입된 선박 블록으로부터 잔수를 배출하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의 일방에 설치되며, 선박 블록에 유입된 소정수위 이상의 상층수를 펌핑하여 배출하는 제1 펌핑부와, 이 제1 펌핑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선박 블록에 유입된 소정수위 미만의 하층수를 펌핑하여 배출하는 제2 펌핑부와, 베이스의 타방에 설치되되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에 각각 접속되어, 선박 블록의 수위에 따라 제1 펌핑부 및 제2 펌핑부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펌핑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잔수의 수위에 따라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펌핑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잔수의 배출시간 및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잔수의 잔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Apparatus for draining remain water of ship block}
본 발명은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가 유입된 선박 블록으로부터 잔수를 배출하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중공업의 공장이나 특히 조선소에서 대형의 선박을 건조할 시 옥내에서 블록을 제작한 후에 선행 의장작업이나 기타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옥외 작업장에 놓아두는 기간을 필요하게 된다.
특히 선박은 건조시 다수의 블록(block)으로 분할되어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된다. 그런데 선박 블록은 기타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옥외 작업장에 놓아두는 기간을 필요로 하는데, 우천 등의 이유로 블록 내부에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다.
블록의 경우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커서 크레인으로 턴오버 시키는 방식으로 잔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어려우며, 블록 내부 구조로 인해 쓸어내서 제거하는 것도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잔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잔수처리 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펌프를 사용하여 블록 바닥에서 잔수를 흡입하여 제거하였다.
한편, 작업장의 경우에도 바닥에 우수 및 곡직수가 잔류하는데, 작업장의 바닥에는 작업에 필요한 전선 및 각종 가스 호스 등이 바닥에 설치되어 있어서, 잔수에 의한 누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선이나 호스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에는 작업장 바닥에 잔수를 한쪽으로 수렴시킬 수 있도록 그루브형태로 배수로를 형성하고 펌프를 사용하여 수렴된 잔수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기존의 잔수 제거용 펌프는 일정 이하로 잔수의 양이 적어지면 흡입력이 저하되어 잔수를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여기서, 블록의 경우 선박 건조를 위한 용접이나 도장, 조립 작업과 같은 후속 공정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블록의 잔수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하므로 잔수 제거용 펌프로 제거하지 못한 잔수 및 이물질은 사람이 직접 제거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록이나 작업장의 잔수에는 이물질이 섞여 있어서 펌프의 오작동 및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작업장 바닥면을 파서 배수로를 형성하고 잔수 제거용 펌프를 작업장 바닥에 고정 설치하므로 한정된 위치에서만 잔수를 제거할 수 있어서 잔수 제거 효율이 낮다. 또한, 잔수 제거용 펌프를 설치하기가 어렵고 설치된 펌프를 제거하거나 위치를 이동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8427호 (2009년 01월 13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495호 (2012년 05월 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잔수의 배출시간 및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잔수의 잔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관의 합류부위에서 배수량의 변화에 의한 불규칙한 유동이나 기포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층수에 대한 배출시간 및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잔수의 수위에 따라 펌핑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에 에어펌프의 사용이 가능하여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수가 유입된 선박 블록으로부터 잔수를 배출하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로서, 베이스의 일방에 설치되며, 선박 블록에 유입된 소정수위 이상의 상층수를 펌핑하여 배출하는 제1 펌핑부(10); 상기 제1 펌핑부(1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선박 블록에 유입된 소정수위 미만의 하층수를 펌핑하여 배출하는 제2 펌핑부(20); 및 베이스의 타방에 설치되되 상기 제1 펌핑부(10)와 상기 제2 펌핑부(20)에 각각 접속되어, 선박 블록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 펌핑부(10) 및 상기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펌핑조절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펌핑부(10)의 제1 배수관은, 하류부위에 상기 제2 펌핑부(20)의 제2 배수관이 접속되어 배출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의 직경은, 상기 제1 배수관의 직경 사이즈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펌핑부(10)의 토출력이 상기 제2 펌핑부(20)의 토출력 보다 크다.
본 발명의 상기 펌핑조절부(30)는, 베이스에 입설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승강봉; 상기 승강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구; 및 상기 승강봉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부유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펌핑부(10) 및 상기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제1 펌핑부(10) 및 상기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을 조절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잔수의 수위에 따라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펌핑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잔수의 배출시간 및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잔수의 잔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배수관의 하류에 내경이 확관된 배출관을 연결함으로써, 배수관의 합류부위에서 배수량의 변화에 의한 불규칙한 유동이나 기포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잔수의 상층수에 대한 토출량을 하층수에 대한 토출량 보다 크게 조절함으로써, 상층수에 대한 배출시간 및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펌핑조절부로서 잔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구에 의해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조절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잔수의 수위에 따라 펌핑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절밸브에 의해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에 에어펌프의 사용이 가능하여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는, 제1 펌핑부(10), 제2 펌핑부(20), 펌핑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우수가 유입된 선박 블록으로부터 잔수를 배출하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이다.
제1 펌핑부(10)는, 베이스(100)의 일방에 설치되며, 선박 블록에 유입된 소정수위 이상의 상층수를 펌핑하여 배출하는 펌핑수단으로서, 제1 펌프(11), 제1 배수관(12), 배출관(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펌프(11)는, 선박 블록의 바닥에 재치되는 베이스(100)의 일방에 설치되어 선박 블록의 내부에 유입된 우수 중 상층수를 배출하는 배수수단으로서, 이러한 제1 펌프(11)로는 상층수를 대량으로 신속하게 배수하도록 대용량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펌프(11)로는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대용량의 에어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 펌프(11)의 상부에는 지속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수관(12)은, 제1 펌프(11)에 연결되어 선박 블록의 내부에 유입된 우수를 펌핑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로서, 제1 펌프(11)에서 상방으로 입설되어 측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배출관(13)은, 제1 배수관(12)의 하류에 연결되며 제1 배수관(12)의 직경 사이즈 보다 크게 확관된 배출통로로서, 배출관(13)의 직경(d2)이 제1 배수관(12)의 직경(d1) 보다 크게 설치되어 배수량의 변화에 의한 불규칙한 유동이나 기포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펌핑부(20)는, 제1 펌핑부(1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선박 블록에 유입된 소정수위 미만의 하층수를 펌핑하여 배출하는 펌핑수단으로서, 제2 펌프(21) 및 제2 배수관(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펌프(21)는, 선박 블록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100)의 일방에 설치된 제1 펌프(1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선박 블록의 내부에 유입된 우수 중 하층수를 배출하는 배수수단으로서, 이러한 제2 펌프(21)로는 하층수를 서서히 배수하도록 저용량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펌프(21)로는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저용량의 에어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2 펌프(21)의 상부에는 지속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배수관(22)은, 제2 펌프(21)에 연결되어 선박 블록의 내부에 유입된 우수를 펌핑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로서, 제2 펌프(21)에서 상방으로 입설되어 측방으로 절곡형성되며 제2 배수관(22)의 하류가 제1 배수관(12)의 하류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수관(12)의 하류에 제2 배수관(22)이 연결되어 합류되며, 제1 배수관(12)과 제2 배수관(22)의 합류부위의 하류에는 확관된 배출관에 연결되므로, 제1 배수관(12)을 통해서 배출되는 상층수와 제2 배출관(22)을 통해서 배출되는 하층수의 합류시 배수량의 변화에 의한 불규칙한 유동이나 기포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박 블록의 배수시 상층수를 먼저 배수하고 그 다음으로 하층수를 배수하므로, 상층수와 하층수의 배수시 합류부위의 불규칙한 유동이나 기포의 발생을 더욱 감소시키도록 제1 펌핑부(10)의 토출력을 제2 펌핑부(20)의 토출력 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층수와 하층수의 배수시 합류부위의 불규칙한 유동이나 기포의 발생을 더욱 감소시키도록 제1 배수관(12)의 직경을 제2 배수관(22)의 직경 보다 크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펌핑조절부(30)는, 베이스(100)의 타방에 설치되되 제1 펌핑부(10)와 제2 펌핑부(20)에 각각 접속되어, 선박 블록의 수위에 따라 제1 펌핑부(10) 및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펌핑조절수단으로서, 지지대(31), 승강봉(32), 부유구(33), 조절밸브(34), 유입관(35), 제1 공급관(36), 제2 공급관(37)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대(31)는, 베이스(100)에 입설된 지주부재로서, 베이스(100)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다. 승강봉(32)은, 지지대(31)의 상단에 힌지핀을 개재해서 힌지결합되며 수평면을 기준해서 양단이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부재로서, 지지대(31)를 기준해서 상하로 승강하는 지렛대와 같은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부유구(33)는, 승강봉(32)의 일단에 결합되어 선박 블록의 내부에 유입된 우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부재로서, 선박 블록의 내부에 유입된 우수의 수위를 소정수위를 기준해서 상층수와 하층수로 구분할 수 있는 감지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조절밸브(34)는, 지지대(31)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받침판(1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승강봉(32)의 타단에 결합되어 부유구(33)의 승강에 따라 제1 펌핑부(10) 및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이러한 조절밸브(34)로는, 선박 블록의 내부에 유입된 우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구(33)의 승강위치에 따라 제1 펌핑부(10) 및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메카니컬 밸브(mechanical valv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펌핑부(10) 및 제2 펌핑부(20)에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에어펌프를 적용한 경우에 조절밸브(34)는, 제1 펌핑부(10) 및 상기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유입관(35)은, 조절밸브(34)의 일방에 연결되어 외부의 에어설비로부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이다. 제1 공급관(36)은, 조절밸브(34)와 제1 펌프(11)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펌프(1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통로이다. 제2 공급관(37)은, 조절밸브(34)와 제2 펌프(21) 사이에 연결되어 제2 펌프(2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통로이다.
따라서, 조절밸브(34)는 선박 블록의 내부에 유입된 우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구(33)의 승강위치에 따라 제1 공급관(36) 및 제2 공급관(37)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1 펌프(11) 및 제2 펌프(21)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조절밸브(34)에 의해 압축공기 공급량 조절되어 우선 제1 펌프(11)가 동작되고, 점차 수위가 하강하여 제1 펌프(11)와 제2 펌프(21)가 함께 동작되고, 더욱 수위가 하강하여 제2 펌프(21)만 동작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량이 조절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잔수의 수위에 따라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펌핑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잔수의 배출시간 및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잔수의 잔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수관의 하류에 내경이 확관된 배출관을 연결함으로써, 배수관의 합류부위에서 배수량의 변화에 의한 불규칙한 유동이나 기포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잔수의 상층수에 대한 토출량을 하층수에 대한 토출량 보다 크게 조절함으로써, 상층수에 대한 배출시간 및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펌핑조절부로서 잔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구에 의해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조절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잔수의 수위에 따라 펌핑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밸브에 의해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1 펌핑부와 제2 펌핑부에 에어펌프의 사용이 가능하여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제1 펌핑부
20: 제2 펌핑부
30: 펌핑조절부

Claims (5)

  1. 우수가 유입된 선박 블록으로부터 잔수를 배출하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로서,
    베이스의 일방에 설치되며, 선박 블록에 유입된 소정수위 이상의 상층수를 펌핑하여 배출하는 제1 펌핑부(10);
    상기 제1 펌핑부(1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선박 블록에 유입된 소정수위 미만의 하층수를 펌핑하여 배출하는 제2 펌핑부(20); 및
    베이스의 타방에 설치되되 상기 제1 펌핑부(10)와 상기 제2 펌핑부(20)에 각각 접속되어, 선박 블록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 펌핑부(10) 및 상기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펌핑조절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조절부(30)는,
    베이스에 입설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승강봉;
    상기 승강봉의 일단에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구; 및
    상기 승강봉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부유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펌핑부(10) 및 상기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핑부(10)의 제1 배수관은, 하류부위에 상기 제2 펌핑부(20)의 제2 배수관이 접속되어 배출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의 직경은, 상기 제1 배수관의 직경 사이즈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핑부(10)의 토출력이 상기 제2 펌핑부(20)의 토출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제1 펌핑부(10) 및 상기 제2 펌핑부(20)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KR1020130104483A 2013-08-30 2013-08-30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KR101515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483A KR101515976B1 (ko) 2013-08-30 2013-08-30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483A KR101515976B1 (ko) 2013-08-30 2013-08-30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100A KR20150026100A (ko) 2015-03-11
KR101515976B1 true KR101515976B1 (ko) 2015-05-04

Family

ID=5302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483A KR101515976B1 (ko) 2013-08-30 2013-08-30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9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95Y1 (ko) 2009-09-30 2012-05-2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잔수 제거 장치
JP2012127360A (ja) * 2012-03-30 2012-07-05 Ebara Corp ポンプ設備
JP2013002330A (ja) 2011-06-15 2013-01-07 Aktio Corp 残水処理ポ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95Y1 (ko) 2009-09-30 2012-05-2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잔수 제거 장치
JP2013002330A (ja) 2011-06-15 2013-01-07 Aktio Corp 残水処理ポンプ
JP2012127360A (ja) * 2012-03-30 2012-07-05 Ebara Corp ポンプ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100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249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Pumping
KR101603285B1 (ko) 해상 오일 방제선
KR101566915B1 (ko) 싸이펀작동유발부를 가지는 싸이펀장치
JP5944721B2 (ja) 沈砂処理設備
CN103114620A (zh) 大功率潜水射流前后喷冲气举海底管线挖沟机及挖沟工艺
KR101515976B1 (ko) 선박 블록의 잔수 배출장치
KR200479366Y1 (ko)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CN107043176A (zh) 中继型餐饮废水排放设备
CN105523502A (zh) 自动调节水平及高度的工作台
CN206722059U (zh) 一种防回流的整体式污水提升装置
CN102537492A (zh) 油罐排水的储液自力驱动阻油装置
CN104492123B (zh) 一种室外自动扶梯及其油水分离装置
CN211445552U (zh) 一种墙体保湿保温养护装置
CN203639998U (zh) 水箱控制装置
JP2018520294A (ja) 高圧吐出が可能な水移送装置
CN206829340U (zh) 一种整体式污水提升装置
US20070235090A1 (en) Fluid processing system
CN112878294A (zh) 自浮沉式检修门和船闸
RU2447326C2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4677519U (zh) 液压平衡装置
CN106345720B (zh) 一种喷涂用喷嘴自动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
CN204352594U (zh) 一种室外自动扶梯及其油水分离装置
JP2013124890A5 (ko)
CN203269472U (zh) 一种煤矿综采工作面液压升降平台液压控制系统
CN219527915U (zh) 一体式偏置斜锥底型预制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