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952B1 - 악취 흡착재, 악취 검지 키트,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악취 흡착재, 악취 검지 키트,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952B1
KR101512952B1 KR1020147023434A KR20147023434A KR101512952B1 KR 101512952 B1 KR101512952 B1 KR 101512952B1 KR 1020147023434 A KR1020147023434 A KR 1020147023434A KR 20147023434 A KR20147023434 A KR 20147023434A KR 101512952 B1 KR101512952 B1 KR 10151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odor
odor
detection kit
absorben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708A (ko
Inventor
다끼꼬 나까다
료이찌 다지마
마사노부 요시나가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by organolep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01J20/28035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with more than one layer, e.g. laminates, separat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2Polymeric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6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ckag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악취 흡착재, 악취 검지 키트,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고, 물품의 유통 경로에 있어서 사용된 설비 중, 악취 성분이 부착된 설비를 보다 신속하게 특정한다. 적어도 2부(two pieces)의 악취 흡착재와, 적어도 2부의 수납부를 포함하고, 악취 흡착재를 수납하는 포장부와, 시트부를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를 설비 내에 설치하고, 악취 흡착재 중 적어도 1부를 설비 내의 공간에 노출시키고, 회수 후, 밀봉하여 보관한 것이다. 검사 시에는, 악취 흡착재 각각에 흡착된 악취 성분을 비교하여, 설비에서의 악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악취 흡착재, 악취 검지 키트, 그 사용 방법{ODOR ADSORBENT MATERIAL, ODOR DETECTION KIT, AND METHOD FOR USING SAME}
본 발명은 이취 성분을 흡착하는 악취 흡착재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를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와 악취 검지 키트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 등의 물품은 생산, 수송, 보관 등의 유통 과정에서 다양한 악취 성분이 부착됨으로써, 품질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 위험의 해소를 목적으로 하여, 악취 성분의 투과를 저감시키는 포장재나 컨테이너용 탈취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022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21195호 공보
개량한 포장재나 악취 흡착재에 의하더라도 악취 성분의, 물품에의 부착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며, 극히 소량의 악취 성분이 포장재를 투과하여 일부 물품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생산, 수송, 보관 등의 유통의 각 과정에서 사용되는 공장, 컨테이너, 창고 등의 생산 및 유통 설비의 악취 검사나, 물품의 표본 검사 등을 행하여, 악취 성분이 부착될 우려가 있는 물품은 가능한 한 발견되어 제거되는 한편, 만일 품질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부착이 발생한 과정이 특정되고, 재발 방지의 대책이 행해진다. 신속하게 대책을 행하기 위해서는, 악취 성분의 부착이 발생한 설비를 보다 신속하게 특정할 것이 기대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은, 식품 등의 물품의 유통 경로에 있어서 사용된 설비 중, 악취 성분이 부착된 설비를 보다 신속하게 특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적어도 2부의 악취 흡착재와, 적어도 2부의 수납부를 포함하고, 악취 흡착재를 수납하는 포장부와, 시트부를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이다.
악취 흡착재 각각은, 사용 전에는 수납부 중 어느 1부에 밀봉되어 있고, 사용 시에 적어도 1부는 외부 공간에 노출된다.
악취 흡착재는, 2,4,6-트리클로로아니솔, 2,4,6-트리브로모아니솔 등의 할로아니솔을 포함하는 곰팡이 냄새 성분, 또는 나프탈렌을 포함하는 방충제, 농약, 향료를 포함하는, 악취 또는 방향을 갖는 물질을 흡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악취 흡착재가, 수지를 포함하는 시트재를 포함하고, 특히 엘라스토머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을 적층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악취 흡착재 중 적어도 1부는, 노출에 의하여 악취 성분이 흡착되고, 수납부 중 어느 1부에 밀봉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물품의 생산 또는 유통을 위한 설비 내에 악취 검지 키트를 설치하고, 악취 흡착재 중 적어도 1부를 설비 내의 공간에 노출시키는 공정과, 적어도 악취 검지 키트를 설치한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시트부에 기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의 설치 방법이다. 또한, 이 방법은 설비에 물품을 반입할 때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설비를 특정하는 정보를 시트부에 기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물품의 생산 또는 유통을 위한 설비 내에 설치된 악취 검지 키트를 제거하는 공정과, 설비 내의 공간에 노출된 악취 흡착재의 일부를, 수납부 중 다른 악취 흡착재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수납부에 수납하고 밀봉하는 공정과, 적어도 악취 검지 키트를 회수한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시트부에 기재하는 공정과, 밀봉하는 공정 및 기재하는 공정 후, 악취 검지 키트를 배리어성 및 무취성을 갖는 파우치재에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의 회수 방법이다. 또한, 이 방법은 설비로부터 물품을 반출할 때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설비를 특정하는 정보를 시트부에 기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악취 검지 키트으로부터 악취 흡착재를 취출하고, 악취 흡착재 각각에 흡착된 악취 성분을 검사하고 비교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의 검사 방법이다. 또한, 물품에 부여된 식별 번호에 기초하여, 물품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사용된 설비 및 사용 시기를 특정하는 공정과, 특정된 설비 및 사용 시기와, 악취 검지 키트의 시트부에 기재된, 설비 및 사용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으로 되는 악취 검지 키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악취의 흡착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포장된, 적어도 1부의 악취 흡착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물품의 생산 또는 유통을 위한 설비 내에, 악취 흡착재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설치하는 공정과, 설비 내에 설치된 악취 흡착재를 회수하는 공정과, 적어도, 회수한 악취 흡착재에 흡착된 악취 성분을 검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악취 검사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 등의 물품의 유통 경로에 있어서 사용된 설비 중, 악취 성분이 부착된 설비를 보다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악취 흡착재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악취 검지 키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악취 검지 키트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악취 검지 키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악취 검지 키트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악취 흡착재)
악취 흡착재로서는 수지, 종이 등의 단체(單體) 또는 적층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종이 등의 단체 또는 적층체를 기재(基材)로 하고,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의 악취 흡착 물질을 혼련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나일론계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악취 흡착재(1)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악취 흡착재(1)는 폴리에틸렌 단체의 필름이다. 폴리에틸렌 필름은 악취 성분의 흡착능력이 높아, 공간 내의 악취가 옮기 쉽다. 그 때문에, 악취 성분의 흡착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b)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악취 흡착재(1)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악취 흡착재(1)는 엘라스토머 필름(2)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3)을 적층한 적층체이다. 또는, 악취 흡착재(1)로서 엘라스토머 필름(2)만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악취 흡착재(1)는, 악취 흡착능이 높아 소정 기간 흡착 상태를 유지하고, 수지 냄새 등 그 자체의 악취 성분이 적은 성질의 소재이면, 다른 소재를 사용해도 된다. 악취 흡착재(1)는 악취 성분을 충분히 흡착시키기 위하여 면적이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악취 성분이란, 2,4,6-트리클로로아니솔, 2,4,6-트리브로모아니솔 등의 할로아니솔을 포함하는 곰팡이 냄새 성분이나, 나프탈렌 등의 방충제, 농약, 향료 등을 포함하는, 악취 또는 방향을 갖는 물질 전반을 의미한다.
(악취 검지 키트)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악취 검지 키트(11)의 평면도이다. 악취 검지 키트(11)는 2부(two pieces)의 악취 흡착재(1)와, 포장부(12)와, 시트부(13)를 포함한다. 포장부(12)는 2개의 수납부(14, 15)를 포함하고, 배리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산소 투과율이 1㏄/㎡/day 이하, 특히 0.1㏄/㎡/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투과율은, JIS K 7126B법(등압법) 및 ASTM D3985-81의 각 규격에 나타난 측정 방법에 준하여, MOCON사 제조의 산소 투과도 측정 장치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투과율이 1g/㎡/day 이하, 특히 0.1g/㎡/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투과율은, JIS K 7129B법(적외 센서법) 및 ASTM F1249-90의 각 규격에 나타난 측정 방법에 준하여, MOCON사 제조의 수증기 투과도 측정 장치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포장부(12)는, 악취가 있으면 악취 흡착재(1)에 흡착되기 때문에, 악취 흡착재(1)를 사용하여 관능 검사를 하는 경우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저취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부(12)의 일례로서, 파우치재를 들 수 있다. 파우치재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층을 포함한 적층체의 주연부를 히트 시일하여 형성한 것이다. 재봉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개구부에 파스너를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을 채용할 수 있다. 2부의 악취 흡착재(1) 중 1부는, 공간에 노출시켜 실제로 악취를 흡착시키는 노출용 흡착재(16)이며, 다른 일부는, 공간에 노출시키지 않는 비교용 흡착재(17)이다. 노출용 흡착재(16)와 비교용 흡착재(17)는 각각, 수납부(14, 15)에 밀봉 수납되어 있다. 또한, 노출용 흡착재(16)와 비교용 흡착재(17)는, 동일한 로트로 제조되어 동시에 포장부(12)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수납된 시점에 있어서 노출용 흡착재(16)와 비교용 흡착재(17)는, 동일한 물질이 동일한 정도 흡착된 상태로 되므로, 후술하는 비교를 행하기 쉬워진다. 비교를 할 수 있는 범위이면, 동일한 로트, 동시 수납이 아니어도 된다. 악취 검지 키트는, 악취 흡착재(1)와, 포장부(12)와, 시트부(13)가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가리키며, 조립된 후에도 악취 검지 키트라고 한다.
수납부(14, 1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된 2개의 수납 주머니이어도 되며, 1개의 포장부에 형성된 2개의 수납부이어도 된다. 또한, 노출용 흡착재(16)와 비교용 흡착재(17)는, 2개의 수납부(14, 15) 중 어느 한쪽에 함께 수납되어도 된다.
시트부(13)는 설치 영역과 기입 영역을 포함한다. 설치 영역에는 포장부(12)와, 포장부(12)로부터 취출한 노출용 흡착재(16)가 설치된다. 설치를 위하여 시트부(13)에 절입(칼집)을 형성해도 되고, 악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점착 테이프 등을 사용해도 된다. 시트부(13)는, 예를 들어 종이제이며, 기입 영역에는 연필이나, 용제 등의 악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볼펜 등의 잉크에 의한 기입을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잉크로 기입 영역에 기입되어 악취 성분이 노출용 흡착재(16)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시트부(13)는, 세로 19㎝, 가로 26㎝의 직사각형 형상이고 두께 5㎜ 이하인 시트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악취 검지 키트(11)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악취 검지 키트(11)는, 물품의 생산 설비나 물품의 수송이나 보관을 행하는 컨테이너나 창고 등의 유통 설비에서 사용되며, 품질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악취의 검출에 이용된다. 도 3은 일례로서, 수송용 컨테이너에 있어서의 악취 검지 키트(11)의 설치, 회수, 검사의 일 형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설치 방법)
이하, 일례에 따른 악취 검지 키트(11)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물품을 컨테이너에 반입한다(스텝 S101).
이어서, 컨테이너 내에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한다(스텝 S102). 악취 검지 키트(11)는, 예를 들어 시트부(13)에 형성된 구멍을, 컨테이너 도어의 내벽 등에 걺으로써 설치된다. 또한, 수납부(14)로부터 노출용 흡착재(16)를 취출하고, 포장부(12) 및 노출용 흡착재(16)를 시트부(13)에 설치한다. 이때, 노출용 흡착재(16)는, 최표면에 설치하여 컨테이너 내의 공간에 노출시킨다. 비교용 흡착재(17)는 수납부(15)로부터 취출되지 않고, 밀봉 수납된 상태가 유지된 채 시트부(13)에 설치된다. 또한, 노출용 흡착재(16) 및 비교용 흡착재(17)가, 2개의 수납부(14, 15) 중 어느 한쪽에 함께 수납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노출용 흡착재(16)의 취출 후, 당해 수납부는 비교용 흡착재(17)를 수납한 상태에서 다시 밀봉된다.
이어서, 시트부(13)에 연필이나, 악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잉크를 사용하여, 적어도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한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기입한다(스텝 S103). 도 4의 (a)에, 이 단계에서의 악취 검지 키트(1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부(13)에 적재물명, 적재 일시, 운수 회사명, 확인자 사인이 기입된다.
악취 검지 키트(11)는 물품과 함께 수송된다(스텝 S104).
(회수 방법)
이하, 일례에 따른 악취 검지 키트(11)의 회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테이너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악취 검지 키트(11)를 제거한다(스텝 S201). 노출용 흡착재(16)를 포장부(12)에 수납한다. 이때, 노출용 흡착재(16)는, 비교용 흡착재(17)가 수납된 수납부(15)가 아니라, 수납부(14)에 수납하고 밀봉한다. 노출용 흡착재(16)를 밀봉함으로써, 노출용 흡착재(16)에 흡착된 악취 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노출용 흡착재(16)를 비교용 흡착재(17)로부터 격리함으로써, 악취 성분이 비교용 흡착재(17)에 옮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시트부(13)에 연필이나, 악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잉크를 사용하여, 적어도 악취 검지 키트(11)를 회수한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기입한다(스텝 S202). 도 4의 (b)에, 이 단계에서의 악취 검지 키트(1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부(13)에 출하 일시, 운수 회사명, 관능 시험에 의한 이취의 유무, 특기 사항, 확인자 사인, 컨테이너의 식별 번호가 기입된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의 식별 번호와 같이 설비를 특정하는 정보가, 악취 검지 키트(11)의 회수 시 또는 설치 시에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한 컨테이너를 후일, 직접적으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악취 검지 키트(11) 전체를 배리어성 및 저취성을 갖는 파우치재로 밀봉한다(스텝 S203). 파우치재는, 예를 들어 포장부(12)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층을 포함한 시일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노출용 흡착재(16)에 흡착된 악취 성분이 휘발되거나, 새로이 악취 성분이 흡착되거나 할 우려를 보다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물품을 컨테이너로부터 반출한다(스텝 S204).
이어서, 악취 검지 키트(11)를 파우치재에 밀봉한 상태에서 반출한다. 악취 검지 키트(11)는 소정의 보관 장소로 수송되어 보관된다(스텝 S205).
또한, 컨테이너의 도착 시에 물품 및 컨테이너 내의 악취 검사를 행해도 된다. 악취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물품의 반출을 중지해도 된다. 검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화학적 검사, 관능 검사 등, 소정의 임의의 방법으로 실행되면 된다. 검사에 있어서, 노출용 흡착재(16)의 일부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의 설치 방법 및 회수 방법에 의하여, 컨테이너 내에서 악취가 발생했을 경우, 노출용 흡착재(16)에 악취를 흡착시킬 수 있으며, 악취를 흡착한 노출용 흡착재(16)와, 설비 및 사용 시기 등의 각종 정보가 기재된 시트부(13)를 일체적으로 장기 보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101 내지 S103의 순서는 바뀌어도 된다. 또한, 스텝 S203이 스텝 S201, S202 후에 실행되는 한, 스텝 S201 내지 S204의 순서는 바뀌어도 된다.
(검사 방법)
이하, 일례에 따른 악취 검지 키트(11)의 검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물품에는 제조 번호 등의 식별 번호가 부여되어 유통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생산자 또는 유통 업자는, 식별 번호와, 유통 경로에 있어서의 각 과정을 특정하는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고 있다. 그 때문에, 물품의 식별 번호에 기초하여, 그 물품의 유통 경로에 있어서의 각 과정에서 사용된 설비 및 그 사용 시기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품으로부터 이취가 난다는 품질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스텝 S301에서 "예"), 우선 그 물품의 식별 번호에 기초하여 그 물품을 수송한 컨테이너와 수송 시기를 특정한다(스텝 S302).
이어서, 특정된 컨테이너와 수송 시기의 정보와, 보존되어 있는 악취 검지 키트(11)의 시트부(13)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하여, 그 물품과 함께 수송된 악취 검지 키트(11)를 특정한다(스텝 S303). 악취 검지 키트(11)의 시트부(13)에 기재된 내용이란, 컨테이너의 식별 번호, 적재 일시, 출하 일시 등, 악취 검지 키트(11)가 설치되어 있었던 컨테이너와 수송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특정된 악취 검지 키트(11)의 노출용 흡착재(16) 및 비교용 흡착재(17)에 흡착된 악취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그 컨테이너에서 악취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4). 악취 검사의 검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화학적 검사, 관능 검사 등, 임의의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비교용 흡착재(17)의 검사 결과는, 판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출용 흡착재(16)의 검사 결과와 비교된다. 비교용 흡착재(17)는, 컨테이너로 수송되고 있는 동안에도 밀봉되어 있었던 것을 제외하면 노출용 흡착재(16)와 쭉 동일한 환경 하에 있었기 때문에, 노출용 흡착재(16)로부터 비교용 흡착재(17)보다 많은 악취 성분이 검출되었을 경우, 그 악취 성분은 컨테이너 내의 공기에서 유래하는 것이라고 높은 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노출용 흡착재(16)로부터 악취 성분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도, 비교용 흡착재(17)로부터 동일하고 또한 거의 동일한 양의 악취 성분이 검출되었을 경우, 그 악취 성분은 컨테이너 내의 공기에서 유래하는 것이 아니라고 높은 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다.
이상의 사용 방법에 의하여,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한 설비에서 악취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사후적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품질 문제 발생 시에, 그 설비가 악취의 원인인지의 여부를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다. 악취 검지 키트(11)는 수송용 컨테이너뿐만 아니라, 제조 공장의 각 공정, 창고, 트럭의 짐받이 등, 물품의 유통의 각 과정에 있어서의 다양한 설비에 설치 가능하다. 이들 설비에 각각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하면, 어느 설비에서 악취가 발생했는지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변형예 1)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의 반입, 반출 시에,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 회수하는 형태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물품의 반입, 반출의 타이밍과는 관계 없이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 회수해도 된다. 예를 들어, 공장이나 창고에 있어서, 악취 검지 키트(11)를 임의의 시기에 설치하고, 소정 기간 후 회수해도 된다. 또한, 품질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악취 성분의 검사를 해도 된다.
악취 검지 키트(11)의 설치, 회수, 검사를 정기적으로 행하여, 공장이나 창고 등의 설비에서 악취가 발생했는지의 여부, 발생한 시기는 언제인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도 5에, 이 경우의 설치, 회수, 검사의 일 형태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설비 내에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한다(스텝 S501). 본 스텝은 상술한 스텝 S102와 마찬가지이다. 노출용 흡착재(16)는, 악취 검지 키트(11)의 최표면에 설치되어 설비 내의 공간에 노출된다.
이어서, 시트부(13)에 연필이나, 악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잉크를 사용하여, 적어도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한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기입한다(스텝 S502). 본 스텝은 상술한 스텝 S103과 마찬가지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시트부(13)에 설비명, 설치 일시, 확인자 사인이 기입된다.
악취 검지 키트(11)를 설치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 악취 검지 키트(11)를 제거한다(스텝 S601). 본 스텝은 상술한 스텝 S201과 마찬가지이다. 노출용 흡착재(16)는, 비교용 흡착재(17)로부터 격리되어 포장부(12)에 밀봉 수납된다.
이어서, 시트부(13)에 연필이나, 악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잉크를 사용하여, 적어도 악취 검지 키트(11)를 회수한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기입한다(스텝 S602). 본 스텝은 상술한 스텝 S202와 마찬가지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시트부(13)에 회수 일시, 확인자 사인이 기입된다. 또한, 악취 검지 키트(11)의 회수 시에 설비 내의 악취의 검사를 행하여, 결과를 시트부(13)에 기입해도 된다.
이어서, 악취 검지 키트(11) 전체를 배리어성 및 무취성을 갖는 파우치재에 밀봉한다(스텝 S603). 본 스텝은 상술한 스텝 S203과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악취 검지 키트(11)를 파우치재에 밀봉한 상태에서 검사 장소로 수송하여 검사를 행한다(스텝 S701). 악취 검지 키트(11)의 노출용 흡착재(16) 및 비교용 흡착재(17)에 흡착된 악취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그 설비에서 소정 기간 내에 악취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방법은 상술한 스텝 S304에서의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설비에서의 소정 기간 중의 악취의 발생을, 설비 내에 사람을 항상 배치하지 않고도 조사할 수 있다. 소정 기간은 임의로 정해진 기간이며, 예를 들어 1주일이어도 되고 1개월이어도 된다. 악취 검지 키트(11)의 설치부터 회수까지의 소정 기간을 짧게 하면, 악취 발생 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변형예를, 예를 들어 물품 저장 전의 창고에 적용하면, 그 창고에서 품질 문제가 발생할 우려의 유무를 사전에 판정할 수 있어, 품질 문제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변형예 2)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악취 검지 키트(11)가 2부의 악취 흡착재(1)를 구비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변형예로서 악취 검지 키트(11)가 3부 이상의 복수의 악취 흡착재(1)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악취 흡착재(1)를 노출용 흡착재(16)로서 사용함으로써, 설비 내의 복수의 개소에 노출용 흡착재(16)를 설치하여, 악취 검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악취 흡착재(1)를 비교용 흡착재(17)로 해도 된다.
(변형예 3)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악취 검지 키트(1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변형예로서 악취 흡착재(1) 자체를 단체로 사용해도 된다. 즉, 악취 흡착재(1)를 포장부로부터 취출한 후, 시트부(13)에 설치하지 않고 직접 설비 내에 노출용 흡착재(16)로서 설치해도 된다. 또한, 포장부는 일정한 배리어성, 저취성을 가지며, 악취가 악취 흡착재(1)에 흡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 파우치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우치재 대신 알루미늄박에 의하여 악취 흡착재(1)를 포장해도 된다. 또한, 비교용 흡착재(17)의 설비 내에의 설치를 하지 않고, 미노출의 악취 흡착재(1)를 소정의 장소에서 보관하고, 이를 비교용 흡착재(17)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비교용 흡착재(17)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설비 내에의 설치 시와 회수 후에 있어서의 노출용 흡착재(16)의 관능 검사 등에 의한 악취 검사 결과를 비교하는 것만에 의해서 설비 내의 악취의 발생 유무를 판정해도 된다.
본 발명은 식품 등의 물품의 생산 및 유통 설비의 악취 검사 등에 유용하다.
1: 악취 흡착재
2: 엘라스토머 필름
3: 폴리에틸렌 필름
11: 악취 검지 키트
12: 포장부
13: 시트부
14, 15: 수납부
16: 노출용 흡착재
17: 비교용 흡착재

Claims (25)

  1. 적어도 2부의 악취 흡착재와,
    적어도 2부의 수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악취 흡착재를 수납하는 포장부와,
    시트부를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 각각은, 상기 수납부 중 어느 1부에 밀봉되어 있는 악취 검지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 중 적어도 1부는 외부의 공간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악취 흡착재 중 다른 악취 흡착재 각각은, 상기 수납부 중 어느 1부에 밀봉되어 있는 악취 검지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가, 할로아니솔로 이루어지는 곰팡이 냄새 성분, 또는 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지는 방충제, 농약, 향료를 포함하는, 악취 또는 방향을 갖는 물질을 흡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검지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가, 수지를 포함하는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악취 검지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는, 엘라스토머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악취 검지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 중 적어도 1부에 악취 성분이 흡착되고, 상기 악취 흡착재가 상기 수납부 중 어느 1부에 밀봉된 악취 검지 키트.
  8. 물품의 생산 또는 유통을 위한 설비 내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악취 검지 키트를 설치하고, 상기 악취 흡착재 중 적어도 1부를 상기 설비 내의 공간에 노출시키는 공정과,
    적어도 상기 악취 검지 키트를 설치한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시트부에 기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의 설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에 물품을 반입할 때 실시되는, 악취 검지 키트의 설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를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시트부에 기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의 설치 방법.
  11. 물품의 생산 또는 유통을 위한 설비 내에 설치된, 제3항에 기재된 악취 검지 키트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설비 내의 공간에 노출된 상기 악취 흡착재 중 적어도 1부를, 상기 수납부 중 다른 악취 흡착재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수납부에 수납하고 밀봉하는 공정과,
    적어도 상기 악취 검지 키트를 회수한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시트부에 기재하는 공정과,
    상기 밀봉하는 공정 및 상기 기재하는 공정 후, 상기 악취 검지 키트를 배리어성 및 무취성을 갖는 파우치재에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의 회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로부터 물품을 반출할 때 실시되는, 악취 검지 키트의 회수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를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시트부에 기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의 회수 방법.
  14. 제7항에 기재된 악취 검지 키트으로부터 상기 악취 흡착재를 취출하고, 상기 악취 흡착재 각각에 흡착된 악취 성분을 검사하고 비교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의 검사 방법.
  15. 제13항에 기재된 악취 검지 키트의 회수 방법에 의해 회수된 악취 검지 키트의 검사 방법으로서,
    물품에 부여된 식별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사용된 설비 및 사용 시기를 특정하는 공정과,
    특정된 상기 설비 및 사용 시기와, 상기 악취 검지 키트의 상기 시트부에 기재된, 상기 설비 및 사용 시기를 특정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으로 되는 상기 악취 검지 키트를 선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악취 검지 키트의 검사 방법.
  16. 악취의 흡착을 억제하는 상태에서 포장된 적어도 1부의 악취 흡착재를, 물품의 생산 또는 유통을 위한 설비 내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설비 내에 설치된 상기 악취 흡착재를 회수하는 공정과,
    적어도, 회수한 상기 악취 흡착재에 흡착된 악취 성분을 검사하는 공정과,
    상기 검사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검사 결과를 소정의 비교 대상과 비교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결과와 상기 소정의 비교 대상과의 차이로부터 악취를 검사하기 위한, 악취 검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를 노출한 상태에서 설치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에 흡착되어 있었던 악취 성분을 검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비교 대상은, 상기 악취 흡착재를 노출한 상태에서 설치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에 흡착되어 있었던 악취 성분을 검사한 결과를 포함하는, 악취 검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한 상기 악취 흡착재에 흡착된 악취 성분을 검사하는 공정 및 상기 악취 흡착재를 노출한 상태에서 설치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에 흡착되어 있었던 악취 성분을 검사하는 공정의 일방 또는 양방에 있어서, 적어도 관능(官能) 검사를 행하는, 악취 검사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를 노출한 상태에서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설비에 상기 물품을 반입할 때에 실시되는, 악취 검사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를 회수하는 공정은,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물품을 반출할 때에 실시되는, 악취 검사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는 시트 형상인, 악취 검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는, 엘라스토머 필름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을 적층해서 형성되는, 악취 검사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는, 100㎠ 이상의 면적을 갖는, 악취 검사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를 노출한 상태에서 설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의 적어도 일면은, 덮여지는 일없이 설치되는, 악취 검사 방법.
  25.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재가, 할로아니솔로 이루어지는 곰팡이 냄새 성분, 또는 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지는 방충제, 농약, 향료를 포함하는, 악취 또는 방향을 갖는 물질을 흡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검출 방법.
KR1020147023434A 2012-09-18 2013-03-26 악취 흡착재, 악취 검지 키트, 그 사용 방법 KR101512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04369A JP5507640B2 (ja) 2012-09-18 2012-09-18 臭気吸着材、臭気検知キット、その使用方法
JPJP-P-2012-204369 2012-09-18
PCT/JP2013/002038 WO2014045478A1 (ja) 2012-09-18 2013-03-26 臭気吸着材、臭気検知キット、そ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708A KR20140111708A (ko) 2014-09-19
KR101512952B1 true KR101512952B1 (ko) 2015-04-16

Family

ID=5034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434A KR101512952B1 (ko) 2012-09-18 2013-03-26 악취 흡착재, 악취 검지 키트,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371677B2 (ko)
EP (1) EP2806269B1 (ko)
JP (1) JP5507640B2 (ko)
KR (1) KR101512952B1 (ko)
CN (1) CN104136920B (ko)
IN (1) IN2014KN01745A (ko)
TW (1) TWI565947B (ko)
WO (1) WO2014045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6454B2 (ja) * 2014-09-30 2019-08-07 Ntn株式会社 玉軸受用保持器
JP6026628B1 (ja) * 2015-12-03 2016-11-16 株式会社東芝 鮮度マーカー及びこれを用いたセンシングシステム
JP7211696B2 (ja) 2016-10-06 2023-01-24 日東電工株式会社 伸縮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WO2018066334A1 (ja) * 2016-10-06 2018-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伸縮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JP7272872B2 (ja) * 2019-06-11 2023-05-12 イビデン株式会社 硫化水素ガス吸着構造体及び電池パック
EP4049025A4 (en) * 2019-10-21 2023-10-11 Veriteque USA, Inc. DETECTION OF NICOTINE, CANNABINOIDS AND DRUGS USED BY DRUGS ON VAPING DEVICE SURFACES AND VAPING LIQUID FORMULATION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0528B2 (ja) * 2005-04-15 2010-09-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材
JP2011169787A (ja) * 2010-02-19 2011-09-01 Yoshiaki Ishizu ニコチン、エテニルピリジン捕集用パッシブサンプラー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6550B2 (ja) * 1987-03-11 1998-10-27 相互薬工株式会社 苦味または匂い物質の検出方法
US4917867A (en) * 1987-08-26 1990-04-17 Forensic Applications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dual biological samples
DE102004009956A1 (de) * 2004-03-01 2005-09-29 Eurofilters N.V. Adsorbens für Staubsammelfilter, Staubsammelfilter und Verfahren zur Geruchsadsorption
US5186831A (en) * 1992-01-21 1993-02-16 Leucadia, Inc. Oil sorbent produc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17866A (en) * 1994-05-23 1996-05-21 Assay Technology, Inc. Enhanced rate monitor for fluid sampling
US5698774A (en) * 1996-08-30 1997-12-16 Safety-Kleen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centrations of oil or other non-volatile contaminants in cleaning solvents
US6019823A (en) * 1997-05-16 2000-02-01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Sorbent-based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vessel with replaceable sorbent cartridge members
US5922974A (en) * 1997-07-03 1999-07-13 Davison; J. Lynne Geochemical soil sampling for oil and gas exploration
DE19751363B4 (de) 1997-11-20 2004-07-22 Dräger Safety AG & Co. KGa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achweis von Substanzemissionen
FR2798997B1 (fr) * 1999-09-23 2001-11-30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echantillon de sol pollue-methode d'analyse par pyrolyse
JP2001121195A (ja) 1999-10-29 2001-05-08 Hitachi Kiden Kogyo Ltd コンテナの脱臭装置
US6565808B2 (en) * 2001-05-18 2003-05-20 Acon Laboratories Line test device and methods of use
CN2718561Y (zh) * 2003-07-11 2005-08-17 艾康生物技术(杭州)有限公司 用于取样签的保护套
US7325837B2 (en) * 2004-07-26 2008-02-05 Ward Kraft, Inc. Self laminating specimen capture and containment assembly and recordation form combination
CN101118231B (zh) * 2007-09-18 2010-06-30 立邦涂料(中国)有限公司 一种漆膜气味相对轻重程度的测定方法及其装置
EP2062978A1 (en) * 2007-11-23 2009-05-27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System for detecting microbial contamination
CN101672837B (zh) 2009-09-29 2012-11-14 清华大学 一种用于检测室内建材有机挥发物散发特性的双舱系统
CN201654013U (zh) * 2010-01-29 2010-11-24 深圳市汇益德环保材料有限公司 用于硅藻泥的检测装置
CN201607419U (zh) * 2010-02-03 2010-10-13 余海波 口腔口气检测仪
CN101852692A (zh) * 2010-04-30 2010-10-06 清华大学 空气挥发性污染物浓度检测被动式填充型吸附采样装置
CN101975840A (zh) * 2010-08-26 2011-02-16 天津市环境保护科学研究院 一种低浓度恶臭气体的测定方法
JP5510279B2 (ja) 2010-11-11 2014-06-0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炭化水素バリア性に優れた包装用材料
CN201897591U (zh) * 2010-11-18 2011-07-1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汽车内饰件气味检测装置
CN102288455A (zh) * 2011-05-04 2011-12-21 常州市建筑科学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中苯和总挥发性有机化合物一体吸附管及其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0528B2 (ja) * 2005-04-15 2010-09-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材
JP2011169787A (ja) * 2010-02-19 2011-09-01 Yoshiaki Ishizu ニコチン、エテニルピリジン捕集用パッシブサンプ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15025A (zh) 2014-04-16
JP5507640B2 (ja) 2014-05-28
US20150037906A1 (en) 2015-02-05
IN2014KN01745A (ko) 2015-10-23
JP2014059217A (ja) 2014-04-03
KR20140111708A (ko) 2014-09-19
EP2806269B1 (en) 2019-09-04
US10371677B2 (en) 2019-08-06
TWI565947B (zh) 2017-01-11
EP2806269A4 (en) 2015-03-25
US20160370331A1 (en) 2016-12-22
EP2806269A1 (en) 2014-11-26
CN104136920B (zh) 2017-11-10
WO2014045478A1 (ja) 2014-03-27
CN104136920A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952B1 (ko) 악취 흡착재, 악취 검지 키트, 그 사용 방법
WO2014203770A1 (ja) 吸収剤含有容器
JP7112756B2 (ja) 包装済み医療用具
Goss The physical chemistry of odors—Consequences for the work with detection dogs
US10183797B2 (en) Trace detection media cartridges and kits
GB2390645A (en) Drug delivery assembly
US202202994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of chemical and odor exposures
US20130193007A1 (en) Packaging and methods of packaging particulate solids
JP2006326838A (ja) 吸湿シート
US2021037815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ackaging electronic components using a tape having desiccant entrained polymer on a reel
BR112014021535B1 (pt) Método para teste de odor
Glenz et al. Preventing mercury vapor release from broken fluorescent lamps during shipping
JP2018008729A (ja) 包装材
US20230079615A1 (en) Package configured to preserve or inhibit pathogens on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at least portions of same
JP2023063126A (ja) 精密部品の保管容器
US20240101329A1 (en) Packaging for abrasive articl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Guazzotti et al. Contamination of polyvinyl chloride cling films from cardboard packaging
KR20230010629A (ko) 부착된 활성 부재를 은폐하거나 달리 시각적으로 가리도록 구성된 패키지
Powell In The Bag
JPS6322368A (ja) 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