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547B1 - 다면 달력 - Google Patents

다면 달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547B1
KR101512547B1 KR1020120136908A KR20120136908A KR101512547B1 KR 101512547 B1 KR101512547 B1 KR 101512547B1 KR 1020120136908 A KR1020120136908 A KR 1020120136908A KR 20120136908 A KR20120136908 A KR 20120136908A KR 101512547 B1 KR101512547 B1 KR 101512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late
calendar
plate
engag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545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2013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5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6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formation carrying means, e.g.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면 달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판(10)이 다각형의 판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몸체판(10)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다면 달력(1)의 각각의 외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몸체판(10)의 내측 영역에는 표시부(12)가 형성되어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표시부(12)에 표시되는 정보중 가장 중요한 것은 날짜표시이다. 상기 표시부(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돌편(14)과 결합홈(16)이 번갈아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다면 달력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다수개의 몸체판(10)을 적층하므로 하나의 다면 달력(1)에 수많은 정보를 두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달력은 몸체판(10)들로만 그 골격을 형성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원가가 절감되면서도 다양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면 달력{Multi-faced calendar}
본 발명은 다면 달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외면이 분리가능한 여러 겹의 다면체로 만들어져 각각의 외면에 날짜표시와 사진 등의 각종 정보를 두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 다면 달력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책상에는 탁상용 달력이나 액자 등을 놓게 된다. 탁상용 달력의 경우 사진이나 그림과 함께 날짜표시가 되어 있거나 날짜표시만 되어 있어 사용자가 쉽게 날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식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액자의 경우 내부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그림이나 사진 등을 두어 볼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탁상용 달력의 경우, 책상 위에 안정되게 세워두기 위해서는 받침대가 있어야 하고, 상기 받침대에 각각의 달의 날짜와 그림 등이 있는 다수의 종이가 스프링에 의해 넘길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탁상용 달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부품이 필요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탁상용 달력의 경우, 제조사에서 만들어진 그대로를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꾸밀 수 없어 사용자가 스스로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제조사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기 위해서 소량 다품종 생산을 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높아지게 되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취향에 따른 탁상용 달력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액자의 경우 내부에 위치되는 전시물은 사용자가 쉽게 바꿀 수 있지만, 액자의 외관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바꾸는 것은 어려웠다. 따라서, 액자의 제조에 있어서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을 맞추기 위해서는 소량 다품종 생산을 해야 하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취향에 맞춰 또는 계절 등의 변화에 따라 자주 액자를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출원 제20-1999-260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가지 또는 몇 가지 종류의 다각형 판형상의 몸체판을 서로 결합하여 별도의 받침대 없이도 세워지는 다면체로 된 다면 달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판을 다수개 적층하여 서로 결합함에 의해 다면체로 만들어 보다 많고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판에 윈도우를 형성하여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는 다면 달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측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돌편과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판형상인 몸체판이 다수개 적층되어 각각의 외면을 구성하고, 각각의 외면을 구성하는 상기 적층된 몸체판들에서 상기 결합돌편과 결합홈이 서로 결합되어 다면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편과 결합홈은 상기 몸체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번갈아 형성되고, 일측 외면을 구성하는 몸체판 대신에 둘레틀윈도우가 구비된 둘레틀이 사용되어 상기 둘레틀윈도우를 통해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둘레틀은 외면의 색상이나 무늬 등이 다른 다수개의 여분이 더 구비되며 상기 몸체판의 결합돌편과 결합홈의 구성이 상기 둘레틀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측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돌편과 결합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판형상인 몸체판이 다수개 적층되어 각각의 외면을 구성하고, 각각의 외면을 구성하는 상기 적층된 몸체판들에서 상기 결합돌편과 결합슬릿이 서로 결합되어 다면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슬릿은 상기 몸체판의 표시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돌편은 상기 결합슬릿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서 분리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표시부와 연결된 체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슬릿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게 절취선이 더 구비되며, 일측 외면을 구성하는 몸체판 대신에 둘레틀윈도우가 구비된 둘레틀이 사용되어 상기 둘레틀윈도우를 통해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둘레틀은 외면의 색상이나 무늬 등이 다른 다수개의 여분이 더 구비되며 상기 몸체판의 결합돌편과 결합슬릿의 구성이 상기 둘레틀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 몸체판이 굴곡이나 요철을 가진다.
상기 몸체판이 2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되고 서로 겹쳐지게 접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판중 일부 면의 몸체판 전부에 윈도우를 두어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판중 일부 면을 구성하는 몸체판을 관통하여서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내측을 따라서는 결합돌편과 결합홈이 더 형성된다.
삭제
상기 몸체판의 전면이나 상기 둘레틀의 전면에는 투명판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몸체판의 결합돌편과 결합부의 구성은 상기 투명판에도 동일하게 구비된다.
상기 몸체판으로 형성된 각각의 외면을 둘러싸고 상기 몸체판의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윈도우가 형성되는 장식몸체가 더 구비된다.
상기 몸체판으로 구성되는 외면중 일면이 안착되는 받침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적층되어 다단 달력의 외면을 형성하는 몸체판중 하면의 것에는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서는 상기 받침대 상에 있는 광원이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몸체판은 서로 다른 다각형인 제1몸체판과 제2몸체판으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다면 달력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다면 달력을 구성하는 몸체판은 서로 결합됨에 의해 다면체의 형상을 만들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부품으로 다면 달력이 만들어질 수 있어 원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몸체판을 종이로 구성하게 되면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다면 달력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면달력의 각 면을 구성하고 있는 적층된 여러 겹의 몸체판을 나누면 또 다른 다면단력을 만들 수 있어 하나의 달력으로 다수의 전시물을 동시에 보고 활용할 수 있게 되고, 필요 없을 경우 다시 합쳐 하나의 다면달력으로 만들면 되므로 전시공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면달력은 별도의 장치없이 탁상용 스탠드 달력으로 사용하다 끈을 사용하여 벽이나 천정에 걸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면 달력에서 골격을 형성하면서 외면을 형성하는 몸체판은 다수개를 적층하여 인접하여 위치되는 역시 적층된 몸체판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산자가 만들어 놓은 하나의 색상과 모양에 국한되게 사용하는 기존 달력과는 달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정보가 있는 몸체판을 다면 달력의 외면에 위치되게 하면 다면 달력의 외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면 달력에서는 적층된 몸체판중 일부에 윈도우를 형성하면 하나의 액자 역할을 적층된 몸체판들이 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면달력의 몸체판중 일측면을 구성하는 몸체판들에 모두 윈도우를 두면 다면 달력의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예를 들면, 연필꽂이나 티슈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면달력은 다수개를 적층하여 둘 수도 있고, 적층된 것들을 서로 인접하게 두면 서로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면 달력을 지지하는 받침대나 장식몸체를 두면 다면 달력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둘 수 있고, 받침대에 광원을 두어 상기 다면 달력의 몸체판을 관통하여 다면 달력의 내부에 두게 되면, 광원에서 나오는 빛으로 다면 달력의 외관이 보다 화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면 달력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중요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부분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판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면 달력을 다수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면 달력을 받침대 상에 안착시킨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받침대와 장식몸체와 함께 사용되는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판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측 외면을 구성하는 몸체판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몸체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몸체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몸체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달력에서 외면의 면적을 달리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몸체판이 다수개 연결되어 구성된 변형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판을 보인 평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몸체판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다면달력이 연결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면 달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다면 달력(1)은 다면체의 통형상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의 통형상으로 다면 달력(1)이 만들어진다. 상기 다면 달력(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면이 다수개가 적층된 몸체판(10)이 서로 결합되어 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가지 종류의 몸체판(10)을 사용해서 다면 달력(1)을 만들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판상인 몸체판(10)을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 몸체판(10)은 반드시 평면의 판상일 필요는 없고 약간의 굴곡과 요철을 가진 모양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몸체판(10)의 일측 표면의 내측 영역은 표시부(12)로서, 예를 들면 특정 월의 날짜들을 표시하였다. 참고로 상기 몸체판(10)의 양측 표면의 내측 영역이 모두 표시부(12)로 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2)의 면적이 넓다면 몇달치의 날짜를 표시하거나 1년치의 날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결합돌편(14)과 결합홈(16)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편(14)은 상기 몸체판(10)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판(10)의 표시부(12)와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몸체판(1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변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6)도 상기 몸체판(10)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편(14)의 갯수는 본 실시예에서 서로 마주보는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2개이고, 서로 마주보는 나머지 가장자리들을 따라서는 3개이다. 상기 결합돌편(14)이 돌출되어 있고, 2개가 나란히 위치됨에 의해 그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결합홈(16)이 만들어진다. 물론, 결합돌편(14)이 2개가 있는 가장자리의 모서리 측에는 결합홈(16)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편(14)의 갯수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편(14)의 선단 모서리들은 곡선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상대측의 결합돌편(14)이 상기 결합홈(16)으로 끼워지기에 좋다. 또한 결합돌편(14)의 자유단부가 기저부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6)은 그 반대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돌편(14)과 상기 결합홈(16)이 끼워지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 결합돌편(14)이 돌출되는 정도는 상기 몸체판(10)이 적층되었을 때에 그 적층된 높이보다는 더 돌출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몸체판(10)을 2개이상 서로 일체가 되게 연결하면 다면달력(1)을 상하, 좌우 다단으로 서로 연결되게 쌓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2개 이상이 일체로 연결된 몸체판(10)은 서로 겹쳐지게 적층되어 하나의 다면달력(1)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판(10)은 도 1에 확대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면 달력(1)을 형성함에 있어 다수 개가 적층된 것이 다면달력(1)의 일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몸체판(10)은 상기 다면 달력(10)의 일측면을 형성함에 있어 적어도 2개 이상이 적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몸체판(10)을 적층하여 하나의 측면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적층된 몸체판(10)의 표시부(12)가 많아질 수록 보다 많은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고, 접촉면적이 넓어져 결합이 견고해지고 전면에서 쉽게 필요한 면을 늘리거나, 싫증이 나거나 필요없게 되는 몸체판(10)은 바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다면 달력(1)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몸체판(10)이 6장이 적층된다면, 각각의 몸체판(10)의 양면에 표시부(12)를 두어 이들 표시부에 한 달치의 날짜를 표시하면, 일년치의 달력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달 상기 몸체판(10)을 분리하여 해당되는 월의 날짜들이 표시된 표시부(12)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면 된다.
이 경우 다면 달력(1)의 나머지 외면들에는 각종 사진이나 그림이 표시부(12)에 있는 몸체판(10)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사진이나 그림 외에도 상기 표시부(12)에는 생활상식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다년 달력이나 교육용자료, 기업 홍보 및 광고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판(10)중에서 가장 외면에 있는 것의 전면에는 투명판(20)을 둘 수 있다. 상기 투명판(20)은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져 그 배면에 있는 몸체판(10)의 표시부(12)를 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명판(20)은 그 구성이 상기 몸체판(10)과 동일하게 된다. 즉,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기 몸체판(10)의 결합돌편(14)과 대응되게 결합돌편(24)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0)의 결합홈(16)과 대응되게 결합홈(2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판(10) 대신에 몸체판(10)과 외관 구성이 동일한 둘레틀(30), 매트판(40) 및 받침판(50)을 두게 되면 해당되는 외면은 마치 하나의 액자와 같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둘레틀(30)의 외면에는 상기 투명판(2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투명판(20)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둘레틀(30)은 그 내측 영역을 관통하여 둘레틀윈도우(32)가 형성된다. 상기 둘레틀윈도우(32)는 상기 몸체판(10)의 표시부(12)와 대응되는 영역이다. 상기 둘레틀윈도우(3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몸체판(10)의 결합돌편(14)과 대응되게 결합돌편(34)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0)의 결합홈(16)과 대응되게 결합홈(36)이 구비된다.
상기 둘레틀(30)은 액자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액자의 가장자리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둘레틀(30)을 여분으로 다수개 구비한다. 즉, 아래에서 설명될 받침판(50)의 후방에 여분의 둘레틀(30)을 다수개 적층하여 둔다.
상기 둘레틀(30)의 배면에는 매트판(40)을 둔다. 상기 매트판(40)은 사진과 같은 전시물의 가장자리 일부를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매트판(40)에도 매트판윈도우(42)가 형성된다. 상기 매트판윈도우(42)는 상기 둘레틀윈도우(3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진다. 상기 매트판(40)에도 각각 결합돌편(44)과 결합홈(46)이 상기 몸체판(10)의 그것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매트판(40)의 배면에는 받침판(50)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판(50)은 상기 전시물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판(50)에도 그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돌편(54)과 결합홈(56)이 상기 몸체판(10)의 그것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매트판(40)과 받침판(50)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둘레틀(30)이 직접 전시물의 가장자리를 가려주는 역할을 하면 상기 매트판(40)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시물 자체가 어느 정도 강성이 있다면 상기 받침판(50)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면달력(1)의 각 면을 구성하는 적층된 몸체판(10)을 나눠 또 다른 다면달력(1)으로 만들어 여러개가 적층되고, 여러개가 적층된 것이 서로 인접하게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각 면이 8겹의 몸체판(10)으로 형성된 다면달력(1)을 2겹의 몸체판(10)으로 나누면 4개의 다면달력(1)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다면달력(1)으로 4개의 면을 동시에 볼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없을 경우 다시 1개의 다면달력(1)으로 합치면 된다.
이때, 상하로 적층되는 다면 달력(1)의 결합돌편(14)과 결합홈(16)은 서로 결합되어 적층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하고, 옆으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면 달력(1)의 경우에도 그들의 결합돌편(14)과 결합홈(16)이 서로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살펴보면, 다면 달력(1)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6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60)는 본 실시예의 다면 달력(1)의 형상과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받침대(60)의 구성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대(60) 상에는 광원(6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62)은 상기 다면 달력(1)의 바닥을 형성하는 몸체판(10)을 관통하게 윈도우(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면 다면 달력(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62)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받침대(60)의 내부에 배터리를 두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몸체(7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식몸체(70)는 상기 몸체판(10)으로 결합된 다면달력(1)을 보호하고 장식을 보다 다양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식몸체(70)가 육면체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장식몸체(70)는 다면 달력(1)의 모양에 따라 달리되거나 또는 다면달력(1)의 외부를 둘러쌀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장식몸체(70)의 내부에는 몸체내부공간(7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내부공간(72)에는 상기 몸체판(10)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다면달력(1)이 수납된다. 따라서 상기 다면달력(1)보다 상기 장식몸체(70)가 약간 크게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내부공간(72)은 그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하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받침대(60)의 외측안착단(61)에 안착되거나, 상기 장식몸체(70)의 외측 하단부가 상기 받침대(60)에 구비된 내측안착단(61')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식몸체(7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판(10)으로 결합된 다면달력(1)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면을 전부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데, 일부만을 둘러싸도록 할수도 있다.
상기 장식몸체(70)의 외측면의 일부 또는 각각에 전시윈도우(74)가 형성된다. 상기 전시윈도우(74)는 상기 장식몸체(70)를 관통해서 형성되거나 투명재질로 구성될 경우 윈도우를 제외한 부분을 불투명재질로 가려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시윈도우(74)를 통해 상기 다면달력(1)의 각 면의 전시물을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장식몸체(70)에는 상기 전시윈도우(74)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관통하여 몸체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관통공은 장식적 효과도 가지고 내부에 광원(62)이 있는 경우에는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장식몸체(70)는 전체가 일체로 성형되거나, 다수개의 부품을 결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장식몸체(70)의 각 면을 서로 다른 형상이나 재질, 색상으로 장식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시윈도우(74)가 있어서 전시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태, 재질 등으로 만들어지더라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다면 달력(101)은 5각형 판상의 몸체판(110)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판(110)이 5각형 판상이므로, 상기 다면 달력(101)은 12면체로 되고, 각 면을 3겹으로 적층하면 36면이 된다.
상기 몸체판(110)은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2장 이상이 적층되어 상기 다면 달력(101)의 일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판(110)의 표면 내측 영역에는 표시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12)에는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몸체판(110)의 가장자리,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표시부(11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각각 결합돌편(114)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판(110)의 하나의 변에 하나의 결합돌편(114)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편(114)은 본 실시예에서는 활꼴이다. 상기 결합돌편(114)은 상기 몸체판(110)의 하나의 변을 따라 상기 몸체판(110)과 연결되어 있는 체결부(115)와 상기 몸체판(110)과 분리되어 있는 탄성변형부(115')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115)는 인접하는 몸체판(110)의 결합돌편(114)에 형성된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슬릿(116)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체결부(115)는 인접하는 몸체판(11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변형부(115')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슬릿(116)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몸체판(110)과는 분리되는 부분으로, 상기 체결부(115)에서 상기 몸체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115')는 인접하는 몸체판(110)의 체결부(115)가 결합슬릿(116)에 걸어질 때 약간의 탄성변형이 일어나서 결합돌편(114) 사이의 체결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판(110)의 가장자리, 즉 5각형을 형성하는 일측 변을 따라서 상기 결합돌편(114)과의 사이에 결합슬릿(11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116)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결합홈(16)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결합돌편(114)이 걸어지는 걸이부라고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슬릿(116)의 연장방향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몸체판(11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변의 연장방향이다. 상기 결합슬릿(116)의 입구는 상기 몸체판(110)에서 오각형의 모서리 근처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슬릿(116)이 몸체판(110)의 표시부(112)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모서리 근처에 입구가 있게 되면 인접하는 몸체판(110)과의 결합이 도 1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견고하게 된다. 물론, 몸체판(110) 사이의 결합은 상대적으로 어려운 점은 있다.
상기 각각의 결합돌편(114)과 표시부(1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슬릿(116)의 입구는 5개의 결합슬릿(116)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되어 인접하는 결합슬릿(116)끼리는 그 입구가 마주보지 않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9와 도 10에서 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115)와 표시부(11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슬릿(116)을 연장하여 절취선(114')이 구비된다. 상기 절취선(114')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되도록 하여 힘이 가해졌을 때 상대적으로 쉽게 체결부(115)가 표시부(112)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절취선(114')은 다수 겹으로 적층된 몸체판(110)을 전면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때 결합돌편(114)을 쉽게 제거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결합돌편(11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달력(101)의 외면에 돌출되고 각각의 외면을 둘러싸는 역할을 하고 있어 필요한 면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면에서 상기 결합돌편(114)이 접혀진 몸체판(도시되지 않음)이나 결합돌편이 제거된 몸체판(도시되지 않음)을 끼워 넣으면 된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도 13에는 몸체판의 다양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1에는 표시부(212)가 사각형이고 결합돌편(214)이 활꼴로 된 몸체판(21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표시부(212)가 사각형이고 각각의 변에 하나씩의 결합돌편(214)이 있어 총 4개의 결합돌편(214)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편(214)은 상기 표시부(212)와 연결된 체결부(215)와 상기 표시부(212)와 분리된 탄성변형부(215')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215')는 결합슬릿(216)에 의해 상기 표시부(212)와 분리된다.
도 12에 도시된 몸체판(310)은 표시부(312)가 사각형이고 결합돌편(314)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결합돌편(314)들이 일정영역에서 서로 인접하여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들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대응되는 구성들에 300단위의 것이 부여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몸체판(410)은 표시부(312)가 사각형이고 결합돌편(414)이 중간부에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이 있어 몸체판(410) 전체적으로 별모양으로 된다. 여기서도 인접하는 결합돌편(414)들이 일정영역에서 서로 인접하여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들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대응되는 구성들에 400단위의 것이 부여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다면 달력(501)에서는 2종류의 몸체판(510,520)을 사용한다. 즉, 제1몸체판(510)은 8각형이고, 제2몸체판(520)은 삼각형이다. 상기 제1몸체판(5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에서 모서리 부분을 삼각형으로 잘라내어 8각형으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다면 달력(501)을 전체적으로 볼 때 육면체에서 모서리들이 삼각뿔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형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판(510)과 제2몸체판(520)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결합돌편(514,524))과 결합홈(516,526)이 있어서 가능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다면 달력(601)으로서 역시 2종류의 몸체판(610,620)을 사용한다. 즉, 5각형의 제1몸체판(610)과 6각형의 제2몸체판(620)이 사용되어 전체적으로 축구공 형태로 다면 달력(601)이 만들어진다. 여기서도 결합돌편(614,624)과 결합홈(616,626)이 있어서 몸체판(610,620) 사이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통형상으로 되는 다면 달력(701)의 각각의 외면의 면적이 다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과 배면의 면적이 측면과 상면 및 하면보다는 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기존의 탁상용 달력과 같은 크기로 만들어 책상에서 차지하는 공간에서 차이가 없으면서도 날짜표시나 그림 등을 위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의 상대적으로 넓은 외면을 제1몸체판(710)이 구성한다. 상기 제1몸체판(710)은 사각판 형상으로 되는데, 그 내측 영역은 표시부(712)이다. 상기 표시부(712)에는 날짜표시, 그림, 사진 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제1몸체판(710)은 다각형 뿐 아니라 불규칙적인 모양, 사물의 형상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판(712)이 2장이상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면, 서로 겹쳐지게 접어 사용하다 필요시 펼쳐 세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몸체판(7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결합돌편(7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돌편(714)이 제1몸체판(710)의 모서리쪽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중의 어느 하나와 같이 제1결합돌편(714)은 갯수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홈(716)이 몸체판(710)의 각 변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몸체판(710)의 각 변의 중간부분을 포함하도록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몸체판(710)은 다수개가 하나의 면을 형성하도록 적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몸체판(710)과 결합되어 다면 달력(701)의 측면과 상하면을 형성하는 제2몸체판(720)이 구비된다. 상기 제2몸체판(720)은 제1몸체판(7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데,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판(720)은 반드시 2개 이상이 적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다면 달력(701)의 전체적인 강도를 고려하면 2개 이상을 적층하거나 상기 제1몸체판(710)에 비해 단단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2몸체판(720)을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하면 4개의 제2결합돌편(724)이 지면에 닿게 되어 책상등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판(720)의 길이는 상기 제1몸체판(710)의 일측 변의 길이와 같도록 형성되고 제2몸체판(720)의 폭은 상기 제2몸체판(720)의 길이에 비해 훨씬 짧게 형성되어 정면을 형성하는 제1몸체판(710)과 배면을 형성하는 제1몸체판(710)이 서로 인접하게 하여 다면 달력(701)이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2몸체판(720)의 모양은 상기 제1몸체판(710)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판(720)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변에는 제2결합돌편(7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돌편(724)은 상기 제1몸체판(710)의 제1결합홈(716)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홈(716)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된다. 상기 제2결합돌편(724)의 자유단부가 기저부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홈(716)은 그 반대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결합돌편(724)과 상기 제1결합홈(716)이 끼워지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돌편(724)은 상기 제1몸체판(710)의 가장자리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상기 제2결합돌편(724)과 상기 제1결합홈(716)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되고 또한 제2결합돌편(724)에 의해 다면달력(701)의 제1결합돌편(714) 배면에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공간이 발생하여 다면달력(701)을 들기가 쉬워진다. 상기 제2몸체판(720)에는 상기 제1결합돌편(714)이 안착되는 제2결합홈(726)이 상기 제2결합돌편(724)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판(720)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변에는 제3결합돌편(724')과 제3결합홈(7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몸체판(720)의 일측 변에는 2개의 제3결합돌편(724')과 하나의 제3결합홈(726')이 형성되고, 타측 변에는 하나의 제3결합돌편(724')과 2개의 제3결합홈(726')이 형성된다. 이들 제3결합돌편(724')과 제3결합홈(726')은 인접하는 제2몸체판(720)의 것들이 서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판(710)의 전면에 윈도우판(730)이 설치된다. 상기 윈도우판(730)의 내측 영역을 관통하여서는 윈도우(7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732)는 상기 제1몸체판(710)의 표시부(712)와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상기 윈도우(732)를 통해서 상기 표시부(712)에 표시된 정보가 외부로 보이게 된다.
상기 윈도우판(73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윈도우결합돌편(734)과 윈도우결합홈(736)이 상기 제1몸체판(710)의 제1결합돌편(714) 및 제1결합홈(716)의 형상 및 갯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윈도우판(730)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윈도우판(730)은 예를 들면 투명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윈도우(732)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불투명재질로 가려서 만들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몸체판(710)과 동일한 형상이고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윈도우판(730)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투명판(20)에 해당된다.
도 18에는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몸체판(720)들을 대신할 수 있는 연결몸체판(7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몸체판(720')은 4개의 제2몸체판(720)이 일체로 차례로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을 형성한다. 즉, 제3결합돌편(724')과 제3결합홈(726')이 없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변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다면 달력(701)이 보다 견고하게 만들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판(720')의 일측에는 꽂이공(728)이 형성된다. 상기 꽂이공(728)은 상기 연결몸체판(72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다면 달력(701)의 내부공간을 활용해서 필기구를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면달력(701)의 측면에 상기 꽂이공(728)과 같은 통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 이를 통과하여 벽에 걸 수 있는 끈을 설치하여 다면달력(701)을 천정이나 벽 등에 매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과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배면과 측면을 아래에서 설명될 제2몸체판(820)이 형성하고 정면을 제1몸체판(810)이 형성하도록 된 다면달력(801)이다. 상기 제2몸체판(820)을 관통하여 윈도우(도시되지 않음)를 만들어 주면 본 실시예의 다면달력(801)은 양면달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 제1몸체판(810)의 다양한 그림이나 사진을 보이도록 할 수 있고,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다면달력(801)의 외면중에서는 전면만이 달력의 날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나 제2몸체판(820)의 외면에 그림이나 사진을 인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정면을 제1몸체판(810)이 구성한다. 상기 제1몸체판(810)은 사각판 형상으로 되는데, 그 내측 영역은 표시부(812)이다. 상기 표시부(812)에는 날짜표시, 그림, 사진 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제1몸체판(810)은 다각형 뿐 아니라 불규칙적인 모양, 사물의 형상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판(812)이 2장이상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면, 서로 겹쳐지게 접어 사용하다 필요시 펼쳐 세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몸체판(8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결합돌편(8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돌편(814)이 제1몸체판(810)의 일측 변을 따라 3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중의 어느 하나와 같이 제1결합돌편(814)은 갯수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홈(816)이 몸체판(810)의 각 변에 두 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몸체판(810)은 다수개가 하나의 면을 형성하도록 적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몸체판(810)과 결합되어 다면 달력(801)의 배면, 측면과 상하면을 형성하는 제2몸체판(820)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2몸체판(820)이 형성하는 측면과 상하면은 상기 제1몸체판(810)들이 적층된 두께 영역과 겹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몸체판(820)은 제1몸체판(810)과 같은 형상과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2몸체판(820)은 반드시 2개 이상이 적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몸체판(820)은 상기 제1몸체판(810)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제2몸체판(820)은 다수개를 적층하지 않고 하나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몸체판(820)의 중앙부에 윈도우(도시하지 않음)를 만들어 주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제1몸체판(810)의 다양한 그림이나 사진을 볼 수 있고 메모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몸체판(820)에는 상기 제1몸체판(810)의 제1결합홈(8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돌편(8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돌편(824)의 갯수는 상기 제1결합홈(816)의 갯수와 대응되며, 상기 제1몸체판(810)의 4변 가장자리 모두에 구비되지 않고 일부 변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돌편(824)은 제2몸체판(820)의 표면에 대해서 직교하게 연장되도록 되는데, 상기 제2몸체판(820)의 표면과 같은 평면에 있도록 되었을 때, 상기 제2몸체판(820)의 가장자리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제2결합돌편(824)과 상기 제1결합홈(816)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되고 또한 제2결합돌편(824)에 의해 다면달력(801)의 윈도우판(830)의 윈도우결합돌편(834)과 지면과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발생하여 다면달력(801)을 들기가 쉬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돌편(824)의 선단 양측에는 걸이돌기(825)가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판(810)이 제2몸체판(820)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돌편(824)의 사이나 제2결합돌편(824)의 옆에는 제2안착부(826)가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부(826)에는 상기 제1몸체판(810)의 제1결합돌편(814)이 위치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몸체판(820) 2개를 연결하여 다면달력을 책을 펼친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즉, 제2몸체판(820)을 2개 연결하여 세워거나 접을 수 있도록 다면달력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연결된 좌우 모양이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다면달력이 쉽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몸체판(810)의 일측에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다른 측에는 이에 대응되게 금속판을 구비하여 자석의 힘으로 접혀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몸체판(810)의 전면에 윈도우판(830)이 설치된다. 상기 윈도우판(830)의 내측 영역을 관통하여서는 윈도우(8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832)는 상기 제1몸체판(810)의 표시부(812)와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상기 윈도우(832)를 통해서 상기 표시부(812)에 표시된 정보가 외부로 보이게 되고, 전면에서 메모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판(820)을 고무나 실리콘 재질 등으로 구성하거나, 표면에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코팅을 하게 되면 책상 등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판(83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윈도우결합돌편(834)과 윈도우결합홈(836)이 상기 제1몸체판(810)의 제1결합돌편(814) 및 제1결합홈(816)의 형상 및 갯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윈도우판(830)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윈도우판(830)은 예를 들면 투명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윈도우(832)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불투명재질로 가려서 만들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몸체판(810)과 동일한 형상이고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윈도우판(830)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투명판(20)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에는 연결몸체판(9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몸체판(910)은 예를 들면 다면달력(1)의 일측면을 구성하는데, 사용되어 인접하는 다른 다면달력(1)과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물론, 상기 연결몸체판(910)에 직접 연결되는 다면달력(1)은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연결몸체판(910)의 내측 영역을 관통하여서는 관통부(912')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부(912')는 대응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몸체판(10)의 표시부(12)에 해당된다. 상기 연결몸체판(910)은 일종의 윈도우가 형성된 몸체판이라고 보면 된다.
상기 연결몸체판(9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결합돌편(914)과 결합홈(916)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91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내측 결합돌편(914')과 내측결합홈(916')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몸체판(910)에는 상기 연결몸체판(910)이 형성하는 다면달력(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다면달력(1')이 연결된다. 상기 다면달력(1')의 각 면을 구성하는 변의 길이는 상기 연결몸체판(910)의 관통부(912')의 변의 길이와 같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다면달력(1')의 육면 모두가 몸체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크기가 큰 다면달력(1)의 연결몸체판(910)과 밀착되는 몸체판은 없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몸체판(910)이 다면달력(1)의 일면을 형성하게 하여 다수개의 다면달력(1)을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다면달력(1')을 사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면 달력이 조립되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다면 달력(1)의 각 면을 구성하는 몸체판(10)을 각각 다수 장씩 적층하여 육면체를 형성한다. 이때, 각각의 인접하는 면을 구성하는 몸체판(10)의 결합돌편(14)이 대응되는 결합홈(16)에 안착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만들어진 다면달력(1)은 각각의 몸체판(10)의 표시부(12)에 표시되어 있는 날짜를 해당되는 년도의 달의 것이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날짜들이 표시되어 있는 표시부(12)들이 모두 하나의 면을 구성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몸체판(10)들만 있을 수도 있다.
물론, 각각의 외면들에 나누어서 두어 예를 들면 현재가 5월이라면 4월과 6월의 표시가 되어 있는 표시부(12)들이 인접하는 외면에 있도록 몸체판(10)을 구성할 수도 있고, 다면달력(1)의 적층된 몸체판(10)을 나누어 3개의 다면달력(1)으로 만들어 연결하면, 4,5,6월 3면을 동시에 나란히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외면을 구성하는 몸체판(10)들 중에서 사용한 것은 해당 외면에서 제일 뒷쪽에 위치시키거나 버리면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면을 형성하는 몸체판(10)에 윈도우(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면 다면 달력(1)의 내부공간이 윈도우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다면 달력(1)의 내부공간을 연필꽂이나 메모보관함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형태로 된 부분에서는 상기 둘레틀(30)을 교체할 수도 있다. 여분의 둘레틀(30)중에서 원하는 것을 전면에 두는 것이다. 물론, 상기 투명판(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판(20) 뒤에 원하는 툴레틀(30)을 두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둘레틀(30)의 둘레틀윈도우(32)를 통해 사진과 같은 전시물이 노출되어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 달력(1)을 다수개 적층하고, 또한 적층된 것을 인접하게 위치시키면 다양한 형태로 다면 달력(1)을 활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정면에서 보이는 6개의 다면 달력(1)에 각각 1월에서 6월까지의 달력을 표시부(12)에 각각 인쇄하게 되면 총 6개월치의 달력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된다. 물론, 일부는 표시부에 날짜가 표시되고 나머지는 그림이나 사진 등을 둘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달력(1)을 다수개 적층함에 있어서, 원래 하나의 다면달력(1)의 각 면에서 일부의 몸체판(10)들을 가져와서 별도의 다면달력(1)을 만들 수 있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다면달력(1)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받침대(60)를 사용하여 다면 달력(1)이 소정의 높이에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받침대(60)에는 광원(6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광원(62)에서 나온 빛이 상기 다면 달력(1)의 전체나 일부를 통해서 외부로 나오도록 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기 몸체판(10)의 일부나 전부가 투명이나 반투명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도 7에는 받침대(60)와 장식몸체(70)를 사용하여 다면달력(1)을 보다 다양하게 장식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면 달력(1)은 상기 장식몸체(70)의 전시윈도우(74)를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장식몸체(70)는 보다 다양한 형상과 모양 그리고 색채를 가져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몸체판(110)이 오각형이고 각각의 변에 결합돌편(114)이 활꼴로 만들어져 있는데, 이 결합돌편(11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 달력(101)의 외면에 돌출되고 각각의 외면을 둘러싸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결합돌편(114)에서 체결부(115)는 상기 결합슬릿(116)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115')는 인접하는 몸체판(110)의 상기 체결부(115)가 상기 결합슬릿(116)에 들어가는 것이 원활하도록 약간의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변형부(115')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해서 몸체판(110) 사이의 결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슬릿(116)이 상기 몸체판(110)의 표시부(112)의 가장자리에 있는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체결부(115)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다면 달력(101)의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12,13에 도시되어 있는 몸체판(210,310,410)들은 그 구성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들의 결합돌편(214,314,414)은 그 모양이 달리되면서 다면 달력의 외관을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다면 달력이 보다 다양한 형상들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다면달력(501)의 경우에는 제1몸체판(510)과 제2몸체판(520)이 다른 형상을 가져, 전체적으로 육면체와 유사하지만 각각의 모서리가 잘려 별도의 면을 형성하여 총 14면체로 만들어지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는 책상에 세워서 사용할 수 있는데, 전후방향으로의 길이가 짧아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면서 정면과 배면의 표면적이 넓어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를 하나의 표시부(71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일종의 탁상달력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몸체판(710)의 양면에 표시부(712)를 두어 날짜 표시를 하면 정면쪽에는 6장의 몸체판(710)을 적층하면 된다. 배면쪽의 몸체판(710)의 표시부(712)에는 그림이나 사진을 넣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면에 제2몸체판(720)의 면적에 해당되는 여유면적이 있으면 다면 달력(701)을 책상에 세울 수 있고, 상기 제1몸체판(710)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부(712)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제1몸체판(710)의 표시부(712)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다면달력(801)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면달력(801)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면 보다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2에는 다수개의 다면달력(1,1')을 서로 연결하여 배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다면달력(1)의 일측면을 연결몸체판(910)이 형성하고, 상기 연결몸체판(910)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다면달력(1')이 직접 연결된다. 상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다면달력(1')들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다면달력(1)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몸체판(910)과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다면달력(1')을 사용하게 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갯수의 다면달력(1)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된 하나의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는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가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액자와 관련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는데, 이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판(20)은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투명판(20)이 각각의 실시예에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윈도우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몸체판을 사용한 다면달력을 설명하였으나, 투명 또는 반투명과 불투명소재로 된 몸체판을 혼합하여 각 면을 구성하면 배면에 위치하는 몸체판의 색상이나 무늬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게 될 뿐 아니라 여러 겹을 겹쳐서 하나의 그림을 만들 수도 있게 되므로 하나의 다면달력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또한 내부에 광원이 구비될 경우 투명 또는 반투명한 몸체판으로 빛이 비치도록 하여 일부 면만 강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와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면달력(501,601)을 구성함에 있어 2개의 서로 다른 몸체판을 사용했지만, 3개 이상의 다른 몸체판의 결합으로 다면달력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1: 다면 달력 10: 몸체판
12: 표시부 14: 결합돌편
16: 결합홈 20: 투명판
24: 결합돌편 26: 결합홈
30: 둘레틀 32: 둘레틀윈도우
34: 결합돌편 36: 결합홈
101: 다면 달력 110: 몸체판
112: 표시부 114: 결합돌편
114': 절취선 115: 체결부
115': 탄성변형부 116: 결합슬릿
210: 몸체판 212: 표시부
214: 결합돌편 214': 절취선
215: 체결부 215': 탄성변형부
216: 결합슬릿 310: 몸체판
312: 표시부 314: 결합돌편
314': 절취선 315: 체결부
315': 탄성변형부 316: 결합슬릿
410: 몸체판 412: 표시부
414: 결합돌편 414': 절취선
415: 체결부 415': 탄성변형부
416: 결합슬릿 501: 다면달력
510: 제1몸체판 514: 결합돌편
516: 결합홈 520: 제2몸체판
601: 다면 달력 610: 제1몸체판
620: 제2몸체판 701: 다면 달력
710: 제1몸체판 712: 표시부
714: 제1결합돌편 716: 제1결합홈
720: 제2몸체판 724: 제2결합돌편
726: 제2결합돌편 724': 제3결합돌편
726': 제3결합홈 730: 윈도우판
732: 윈도우 734: 윈도우결합돌편
736: 윈도우결합홈

Claims (30)

  1. 삭제
  2. 내측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돌편과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판형상인 몸체판이 다수개 적층되어 각각의 외면을 구성하고,
    각각의 외면을 구성하는 상기 적층된 몸체판들에서 상기 결합돌편과 결합홈이 서로 결합되어 다면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편과 결합홈은 상기 몸체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번갈아 형성되고,
    일측 외면을 구성하는 몸체판 대신에 둘레틀윈도우가 구비된 둘레틀이 사용되어 상기 둘레틀윈도우를 통해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둘레틀은 외면의 색상이나 무늬 등이 다른 다수개의 여분이 더 구비되며 상기 몸체판의 결합돌편과 결합홈의 구성이 상기 둘레틀에도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면 달력.
  3. 내측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돌편과 결합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판형상인 몸체판이 다수개 적층되어 각각의 외면을 구성하고,
    각각의 외면을 구성하는 상기 적층된 몸체판들에서 상기 결합돌편과 결합슬릿이 서로 결합되어 다면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슬릿은 상기 몸체판의 표시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돌편은 상기 결합슬릿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서 분리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표시부와 연결된 체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결합슬릿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게 절취선이 더 구비되며,
    일측 외면을 구성하는 몸체판 대신에 둘레틀윈도우가 구비된 둘레틀이 사용되어 상기 둘레틀윈도우를 통해 전시물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둘레틀은 외면의 색상이나 무늬 등이 다른 다수개의 여분이 더 구비되며 상기 몸체판의 결합돌편과 결합슬릿의 구성이 상기 둘레틀에도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면 달력.
  4. 삭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이 굴곡이나 요철을 가지는 다면달력.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이 2개 이상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되고 서로 겹쳐지게 접어지는 것이 가능한 다면달력.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중 일부 면의 몸체판 전부에 윈도우를 두어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면달력.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중 일부 면을 구성하는 몸체판을 관통하여서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내측을 따라서는 결합돌편과 결합홈이 더 형성되는 다면달력.
  9. 삭제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의 전면이나 상기 둘레틀의 전면에는 투명판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몸체판의 결합돌편과 결합부의 구성은 상기 투명판에도 동일하게 구비되는 다면 달력.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으로 형성된 각각의 외면을 둘러싸고 상기 몸체판의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윈도우가 형성되는 장식몸체가 더 구비되는 다면 달력.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으로 구성되는 외면중 일면이 안착되는 받침대가 더 구비되는 다면 달력.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어 다단 달력의 외면을 형성하는 몸체판중 하면의 것에는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서는 상기 받침대 상에 있는 광원이 내부에 위치되는 다면 달력.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은 서로 다른 다각형인 제1몸체판과 제2몸체판으로 구성되는 다면 달력.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20136908A 2012-11-29 2012-11-29 다면 달력 KR10151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908A KR101512547B1 (ko) 2012-11-29 2012-11-29 다면 달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908A KR101512547B1 (ko) 2012-11-29 2012-11-29 다면 달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545A KR20140069545A (ko) 2014-06-10
KR101512547B1 true KR101512547B1 (ko) 2015-04-22

Family

ID=5112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908A KR101512547B1 (ko) 2012-11-29 2012-11-29 다면 달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5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05A (ko) 2017-11-08 2019-05-16 곽원정 자석내장형 접이식 정육면체 달력
KR20210092930A (ko) * 2020-01-17 2021-07-27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슬라이드형 엘이디 만년달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857A (ja) * 2003-07-07 2005-02-03 Venchireito & Design:Kk 組み立て式正12面体カレンダー
KR200396195Y1 (ko) * 2005-06-23 2005-09-20 안영제 다용도 다면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857A (ja) * 2003-07-07 2005-02-03 Venchireito & Design:Kk 組み立て式正12面体カレンダー
KR200396195Y1 (ko) * 2005-06-23 2005-09-20 안영제 다용도 다면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05A (ko) 2017-11-08 2019-05-16 곽원정 자석내장형 접이식 정육면체 달력
KR20210092930A (ko) * 2020-01-17 2021-07-27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슬라이드형 엘이디 만년달력
KR102352093B1 (ko) * 2020-01-17 2022-01-14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슬라이드형 엘이디 만년달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545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59160A1 (en) Modular display system
KR101512547B1 (ko) 다면 달력
US10150284B2 (en) Sheet assembly for three-dimensional informational card
KR200432524Y1 (ko) 탁상용 달력
EP3446598B1 (en) Picture frame assembly
US20090058070A1 (en) 3-d device that may be decorated and methods therefor
JP2006235361A (ja) 多年表示カレンダー
JP3228751U (ja) 装飾体および留め具
US20090001706A1 (en) Self-adhesive message panel
RU91271U1 (ru)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KR200296320Y1 (ko) 광고 장식 효과를 갖는 조립식 다용도 메모꽂이
KR200237897Y1 (ko) 입체광고달력
JP3121406U (ja) 卓上カレンダー
KR101330847B1 (ko) 모니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메모지 부착용 보드
KR200248720Y1 (ko) 탁상용 달력
JP4194018B2 (ja) 化粧用商品陳列台
KR20120009018A (ko) 탁상용 달력
KR20150131741A (ko) 달력
CN209720422U (zh) 可调式置物结构体
JP3210975U (ja) 自立型表示具
KR200439819Y1 (ko) 다용도 꽂이
KR200399398Y1 (ko) 탁상용 액자 겸용 달력
KR20140000625U (ko) 자력을 이용한 가변형 앨범
JP6622567B2 (ja) カレンダー
JP3110414U (ja) 陳列用告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