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225B1 -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225B1
KR101512225B1 KR1020130031848A KR20130031848A KR101512225B1 KR 101512225 B1 KR101512225 B1 KR 101512225B1 KR 1020130031848 A KR1020130031848 A KR 1020130031848A KR 20130031848 A KR20130031848 A KR 20130031848A KR 101512225 B1 KR101512225 B1 KR 101512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haft
torque
shaft angle
angl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039A (ko
Inventor
장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3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2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50Control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ystem failures, e.g. for fault diagnosis, failsafe operation or limp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4Other means for 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without directly measuring it, e.g. deriving from wheel speeds on different sides of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motor f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크 출력 소자에서 출력된 입력축 각도에 대한 에러 여부를 판단하고, 에러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축 각도 대신에 조향각 정보를 이용하여 토크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METHOD FOR PROVIDING RELIABILITY OF TORQUE AND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향 제어(Steering Control)는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해주기 위한 보조 조향력을 발생시키는 제어로서, 정확한 조향 제어를 위해서는 운전자의 토크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운전자의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의 고장 등으로 인해 토크 센서에서 출력되는 토크 신호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잘못된 조향 제어가 이루어지거나 조향 제어 자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심각한 주행 사고를 초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음에도, 종래의 조향 제어 시스템에서는 토크 신호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주기 위한 방법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크 신호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받고, 조향각 출력소자로부터 조향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입력된 제1신호에 근거하여 입력축 각도 에러(Error)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에러 판단부 및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출력축 각도와 입력된 제2신호를 통해 확인된 조향각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는 토크 계산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조향각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조향각 출력소자 및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거나, 조향각 및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고, 계산된 토크에 따라 조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어장치가 제공하는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받고, 조향각 출력소자로부터 조향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 단계, 입력된 제1신호를 기초로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출력축 각도와 입력된 제2신호를 통해 확인된 조향각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신호 신뢰성을 확인하여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조향각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토크 신뢰성을 보증해줄 수 있는 토크 신호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대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신뢰성 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신뢰성 제공방법에서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에러 판단 단계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토크 신뢰성 제공을 위한 제어 장치 및 토크 신뢰성 제공방법을 개시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신뢰성 제공방법과 제어장치 에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0)는,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받고, 조향각 출력소자로부터 조향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110)와 입력된 제1신호에 근거하여 입력축 각도 에러(Error)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에러 판단부(120) 및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출력축 각도와 입력된 제2신호를 통해 확인된 조향각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는 토크 계산부(130) 등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에러 판단부(120)는,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서 확인된 입력축 각도 간의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중 하나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입력축 각도가 에러가 있는,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1 에러 판단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러판단부(121)는,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입력축 각도와 제2입력축 각도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입력축 각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1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의 입력축 각도가 에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에러 판단부(120)는,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상황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거나 일정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1 에러 판단부(121)에서 입력축 각도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여, 그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값을 벗어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에러 카운트값이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카운트 값이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입력축 각도 간의 차이값과 제1기준값을 다시 비교하여 에러 상황이 반복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에러 카운트 값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라면,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에러 카운트 값은 횟수 또는 일정 시간으로 설정하여 에러의 지속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에러 판단부(120)는, 제1 에러 판단부(121)에 의해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제1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서 확인된 입력축 각도의 평균 각도 및 조향각 간의 차이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차이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입력축 각도가 모두 에러가 있는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2 에러 판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예를들면, 제2 에러 판단부(122)는, 제1 에러 판단부(121)의 판단결과 복수의 토크 출력소자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의 입력축 각도 차이가 제1기준값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토크 출력소자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 중 둘 이상의 입력축 각도를 평균하고, 그 평균값과 조향각 출력소자로부터 입력된 제2신호의 조향각 차이를 계산하여, 계산된 값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입력축 각도의 평균값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제2에러 판단부(122)에서 확인되면, 제1신호의 입력축 각도 모두에 에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러 판단부(120)가 제1 에러 판단부(121) 및 제2 에러 판단부(122)를 구비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토크 계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자동차 분야의 국제 표준(예: ISO 26262) 등에서 요구하는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토크 계산부(130)는,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미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토크 계산부(130)는, 제1 에러 판단(121)부의 판단결과 복수의 입력축 각도간의 차이값이 제1기준값 미만이고, 제2 에러 판단부(122)의 판단결과 입력축 각도의 평균값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 상황이 미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를 근거로 토크를 계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 예를 들면, 전술한 토크 계산부(130)는, 에러 상황이 미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둘 이상의 입력축 각도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출력축 각도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입력축 및 출력축 각도의 평균값 차이를 근거로 토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전술한 토크 계산부(130)는, 위에서 언급한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신호의 조향각과 제1신호의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여 토크 계산의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예시된 제어장치(100)는 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 포함되거나, ECU (Electronic Control Unit) 자체이거나, ECU (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0)를 포함하는 조향장치(2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조향장치(200)는,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210), 조향각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조향각 출력소자(220) 및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의 발생여부에 따라,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거나, 조향각 및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고, 계산된 토크에 따라 조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하나 이상의 토크 출력 소자(210) 및 조향각 출력 소자(220)는, 하나의 토크 각도 센서(Torque Angle Sensor)로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토크 출력 소자(210)는 토크 센서(Torque Sensor)로 구현되고 조향각 출력 소자(220)는 조향각 센서(Steering Angle Sens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토크 출력소자(210)와 조향각 출력소자(220)는, 하나의 토크 각도 센서(Torque Angle Sensor)로 구현되어 위에서 언급한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신호 입력부(110)로 인가할 수도 있고, 각 소자가 별도의 토크 센서(Torque Sensor) 및 조향각 센서(Steering Angle Sensor)로 구현되어 신호 입력부(110)로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0)를 포함하는 조향장치(200)에 대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조향장치(200)는, 토크 출력소자(210), 조향각 출력소자(220) 및 제어장치(100) 이외에도, 스티어링 휠(310), 입력축(312), 센싱기어(314), 입력축 로터 앵글(Input Rotor Angle, 316), 토션바(Rorsion bar, 318), 출력축 로터 앵글(Output Rotor Angle, 320), 출력축(322) 등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적인 개념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0)가 ECU(300) 내부에 포함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이 경우, ECU(300) 내부에는 각도 계산부(30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 계산부(301)는 제어장치(100)와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IC 및 제2 IC는 위에서 언급한 토크 출력소자(210)일 수 있으며, 제3 IC는 조향각 출력소자(220)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크 출력소자(210)와 조향각 출력소자(220)는 하나의 토크 각도 센서(Torque Angle Sensor)로 구현되거나 각기 다른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각 IC들은 입력축 각도, 출력축 각도 및 조향각 정보 등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ECU(300) 내 제어장치(100) 및 각도 계산부(301)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신뢰성 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00)가 제공하는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210) 각각으로부터 입력받고, 조향각 출력소자(220)로부터 조향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 단계(S400)와 입력된 제1신호를 기초로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2) 및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출력축 각도와 입력된 제2신호를 통해 확인된 조향각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는 단계(S4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신뢰성 제공방법에서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에러 여부 판단 단계(S402)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에러 여부 판단단계(S402)는, 제1신호의 입력축 각도 각각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S500)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에러 상황의 반복여부를 판단하며, 미리 설정된 카운트 값 이상 에러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인 경우로 최종 판단(S504)하여 토크 계산 단계(S404)에서 제1신호의 출력축 각도와 제2신호의 조향각을 근거로 토크를 계산(S506)할 수 있다.
만약, 제1신호의 입력축 각도 각각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전술한 제2에러판단부(122)에서 입력축 각도의 평균각도와 조향각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S502)하며,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인 경우로 판단하고, 에러 상황인 경우의 토크 계산(S506)을 토크 계산 단계(S404)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2에러판단부(122)에서 입력축 각도의 평균각도와 조향각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2기준값 미만인지 판단(S502)하고 미만인 경우,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아닌 경우로 판단하여 제1신호의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 계산(S508)을 토크 계산 단계(S404)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신호 신뢰성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조향각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토크 신뢰성을 보증해줄 수 있는 토크 신호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자동차 분야의 국제 표준(예: ISO 26262) 등에서 요구하는 토크 신호에 대한 신뢰성을 충족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중첩적인 토크 센서 구조에서, 하나뿐만 아니라 모든 토크 출력 소자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보다 정확한 토크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받고, 조향각 출력소자로부터 조향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입력된 제1신호에 근거하여 입력축 각도 에러(Error)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에러 판단부; 및
    상기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출력축 각도와 상기 입력된 제2신호를 통해 확인된 조향각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는 토크 계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에러 판단부는,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서 확인된 입력축 각도 간의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제1 에러 판단부; 및
    상기 제1 에러 판단부에 의해 상기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상기 제1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서 확인된 입력축 각도의 평균 각도 및 상기 조향각 간의 차이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입력축 각도가 모두 에러가 있는 상기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2 에러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러 판단부는,
    상기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중 하나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입력축 각도가 에러가 있는, 상기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판단부는,
    상기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상기 제1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상황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거나 일정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 상기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계산부는,
    상기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미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6.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조향각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조향각 출력소자; 및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축 각도 및 상기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거나, 상기 조향각 및 상기 출력축 각도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토크에 따라 조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축 각도 간의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상기 제1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축 각도의 평균 각도 및 상기 조향각 간의 차이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축 각도가 모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 소자 및 상기 조향각 출력 소자는, 하나의 토크 각도 센서(Torque Angle Sensor)로 구현되거나,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 소자는 토크 센서(Torque Sensor)로 구현되고 상기 조향각 출력 소자는 조향각 센서(Steering Angle Senso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8. 제어장치가 제공하는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입력축 각도 및 출력축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받고, 조향각 출력소자로부터 조향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제1신호를 기초로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출력축 각도와 상기 입력된 제2신호를 통해 확인된 조향각에 근거하여 토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에러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서 확인된 입력축 각도 간의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제1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제1 에러 판단단계; 및
    상기 제1 에러 판단단계에 의해 상기 입력축 각도 차이값이 상기 제1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서 확인된 입력축 각도의 평균 각도 및 상기 조향각 간의 차이값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둘 이상의 토크 출력소자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를 통해 확인된 입력축 각도가 모두 에러가 있는 상기 입력축 각도 에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2 에러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KR1020130031848A 2013-03-26 2013-03-26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 KR10151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848A KR101512225B1 (ko) 2013-03-26 2013-03-26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848A KR101512225B1 (ko) 2013-03-26 2013-03-26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039A KR20140117039A (ko) 2014-10-07
KR101512225B1 true KR101512225B1 (ko) 2015-04-17

Family

ID=5199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848A KR101512225B1 (ko) 2013-03-26 2013-03-26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856B1 (ko) * 2015-03-10 2016-10-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커플링의 손상 검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495A (ja) * 2000-10-12 2002-04-26 Koyo Seiko Co Ltd 回転角検出装置、トルク検出装置、及び舵取装置
KR100807179B1 (ko) * 2002-03-13 2008-02-27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회전각도 검출장치, 토크 검출장치 및 스티어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495A (ja) * 2000-10-12 2002-04-26 Koyo Seiko Co Ltd 回転角検出装置、トルク検出装置、及び舵取装置
KR100807179B1 (ko) * 2002-03-13 2008-02-27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회전각도 검출장치, 토크 검출장치 및 스티어링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ICS 2012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 논문집, 2012.10., 제403면 내지 제404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039A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495B1 (ko)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 장치
US10850769B2 (en) Det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9096256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steering angle outputting method thereof
US10620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teering information
JP6579006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47491B1 (ko) 조향각센서 오류검출 장치 및 방법
US8924075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steering angle thereof
JP2018527582A (ja) 機能的安全性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角度センサ
KR20200023807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59555B1 (ko) 후륜 조향각 판단방법
JP6383907B2 (ja) 車輌位置計測装置及び方法
JP2010145273A (ja) センサ装置
JP6589705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512225B1 (ko) 토크 신뢰성 제공 방법 및 제어장치
JP2008116339A (ja) センサ装置およびセンサ装置を備えた車両制御システム
EP32026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a steering angle sensor
JP5584634B2 (ja) 角速度検出装置及び角速度のエラー検出方法
US201400466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inclined position of a vehicle
KR102052871B1 (ko) 레졸버 출력신호 간 단락고장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10113758A (ko) 조향각 센서의 고장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586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조향각 출력 방법
KR20130135504A (ko) 자가 길이측정수단이 장착된 타이로드
KR10157688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
KR101489059B1 (ko)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의 토크 산출방법
JP2010096602A (ja) セン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