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739B1 -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 - Google Patents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739B1
KR101511739B1 KR1020130146322A KR20130146322A KR101511739B1 KR 101511739 B1 KR101511739 B1 KR 101511739B1 KR 1020130146322 A KR1020130146322 A KR 1020130146322A KR 20130146322 A KR20130146322 A KR 20130146322A KR 101511739 B1 KR101511739 B1 KR 10151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nsor
jig
unit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63B22/20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부이 센서가 전원 소진 후 수중으로 가라앉더라도 수면에 떠오르는 유실 방지 수단을 통해 위치 확인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가 개시된다.
일 예로, 전원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부, 상기 센서부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고정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부력추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유실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전원 잔류 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부력추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실 방지 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서 상기 센서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센서부가 수중으로 침몰될 경우 수면 위로 부상하는 볼을 포함하는 부이 센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 {buoy sensor including device for preventing to loss}
본 발명은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에 관한 것이다.
호수, 강 또는 바다에서 등대 또는 부표(부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수단 중 부표는 암초, 수중 장애물과 같은 위험지역의 알림, 수중케이블, 수중 시설물과 같은 시설 위치 확인, 양식장, 그물과 같은 어업 기구의 경계표시와 같은 다양한 목적 및 형태의 알림수단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부표는 바다, 호수 또는 강의 바닥에 설치되는 계류 구조물과, 이 구조물과 사슬 또는 밧줄로 연결되는 부유체로 구성되며, 부유체는 단독 또는 군집형태 또는 깃발과 같은 보조체와 결합되어 필요한 용도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표는 센서 내부에 장착된 전원이 완전히 소진될 경우 부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이 위치가 파악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부표가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6168호 ‘자동 평형유지 기능을 갖는 수질 측정 부이장치’ (2012.06.22.)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3170호 ‘수질의 실시간 비오디 측정용 부표형 센서’ (2004.03.18.)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990호 ‘태양광 발전 부표’ (2011.05.26)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6767호 ‘’수중로봇의 침몰 위치 표시장치’ (2010.09.02)
본 발명은 부이 센서의 전원이 소진되더라도 센서의 위치 확인 및 유실 방지가 가능한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부, 상기 센서부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고정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부력추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유실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전원 잔류 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부력추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실 방지 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서 상기 센서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센서부가 수중으로 침몰될 경우 수면 위로 부상하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은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은 수면 위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합성수지발포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실 방지 장치는, 상기 볼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수용되는 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는 그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는 상기 센서부가 수중으로 침몰될 경우 상기 볼과 함께 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는 수면 위에서 수면과 평행하게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및 네트는 로프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및 네트는 로프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상기 센서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추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상기 센서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추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추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된 고정 지그; 상기 부이 센서가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부이 센서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의 이탈을 위한 다수의 분리홈 및 상기 고정 지그가 삽입되는 지그 홈을 구비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고정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부이 센서와 상기 고정 디스크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동축이 형성된 지그 몸체; 상기 지그 몸체의 상단이 절곡되어 상기 지그 홈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지그 몸체의 하단부에 상기 전자석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추는,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 디스크의 외주연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 디스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의 미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전진된 상태로 상기 지그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자석의 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후퇴하여 상기 고정 디스크와 분리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고정 디스크가 회전하며, 상기 고정핀이 분리홈에 위치하여 상기 부력추가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는 부이 센서가 전원 소진 후 수중으로 가라앉더라도 수면에 떠오르는 유실 방지 수단을 통해 위치 확인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에서 부력추의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전원 정상 상태에서 고정부와 부력추의 고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전원 소진 상태에서 고정부와 부력추의 분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실 방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실 방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실 방지 장치에서 수면 위에 떠오른 볼 및 네트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에서 부력추의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전원 정상 상태에서 고정부와 부력추의 고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전원 소진 상태에서 고정부와 부력추의 분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실 방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100)는 센서부(110), 부력추(120), 고정부(130) 및 유실 방지 장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부이 센서의 실질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센서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호수, 강 또는 해수의 유동상태, 수온 및 염분 등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인공위성에 의해 위치 및 이동 상황을 추적 및 탐지할 수 있는 표시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부(110)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111)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전원부(111)의 전원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제어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3)는 전원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예를 들어 만충전 용량의 5% 이하)가 되면 후술할 전자석(131)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극성을 변화시킨다.
상기 부력추(120)는 상기 센서부(110)의 하부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부력추(12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력추(120)는 그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상기 센서부(110)가 결합된다.
상기 부력추(120)는 추 몸체(121) 및 다수의 고정핀(122)을 포함한다. 상기 추 몸체(121)는 중심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부에 상기 센서부(11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122)은 상기 부력추(120)의 일면으로부터 상부, 즉, 상기 고정부(130)를 향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22)은 상기 센서부(110)와 마주보는 영역에 고정 홈(122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 홈(122a)에는 후술할 고정 디스크(133)가 결합되어 상기 부력추(120)와 고정부(130)를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의 하부에서 상기 센서부(11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부력추(120)의 상부에서 상기 부력추(120)와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부력추(120)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부(130)도 그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상기 센서부(1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30)의 일면에는 상기 유실 방지 장치(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부이 센서(100)의 부력을 유지시켜준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센서부(110)의 하부에 상기 고정부(130)가 결합되므로, 상기 센서부(1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면과 수직으로 세워져 수면 위에서 부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센서부(110)의 전원의 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정부(130)와 부력추(120)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전자석(131), 고정 지그(132), 고정 디스크(133) 및 탄성 부재(134)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부력추(120)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부력추(120)가 상기 고정부(130)와 분리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130)와 부력추(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자석(131)은 센서부(110)의 몸체(1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131)은 상기 제어부(113)에 의해 전원부(111)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그(132)는 센서부(110)와 후술하는 고정 디스크(133)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석(131)의 작동 여부에 따라 기구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지그(132)는 지그 몸체(132a), 회동축(132b), 절곡부(132c), 자석부(13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몸체(132a)는 대략 스틱(stick)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회동축(132b)이 설치된다.
상기 회동축(132b)은 센서부(110)의 몸체(112)와 연결되며, 스틱 형상의 지그 몸체(132a)를 상기 회동축(132b)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절곡부(132c)는 지그 몸체(132a)로부터 상단이 상기 고정 디스크(133)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32c)는 상기 지그 몸체(132a)가 시소 운동을 통해 전진 또는 후퇴함에 따라 후술할 고정 디스크(133)의 지그 홈(133a)에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132c)가 지그 홈(133a)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고정 지그(132)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134)에 의한 고정 디스크(133)의 회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석부(132d)는 상기 지그 몸체(132a)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131)과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상기 자석부(132d)와 전자석(131) 사이에는 전원의 정상 상태에서는 인력이 작용하며, 전원의 소진 상태에서는 척력이 작용한다.
상기 고정 디스크(133)는 상기 고정부(130)의 내측에서, 상기 센서부(11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디스크(133)는 상기 추 몸체(121)와 유사하게 대략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디스크(133)는 상기 부력추(120)의 고정 홈(122a)에 결합되어 상기 부력추(120)와 고정부(130)를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고정 디스크(133)는 그 내면에 상기 절곡부(132c)가 삽입되는 지그 홈(13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디스크(133)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핀(122)과 대응되는 다수의 분리홈(133b)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홈(133b)은 상기 고정 디스크(133)가 회전할 경우, 상기 고정핀(122)과 대응되어 상기 고정핀(122)이 상기 분리홈(133b)을 통해 고정 디스크(133)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 부재(134)는 고정 디스크(13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 부재(134)는 상기 센서부(110)와 연결된 제 1 연결부(134a), 고정 디스크(133)에 연결된 제 2 연결부(134b) 및 제 1 연결부(134a)와 제 2 연결부(134b)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34c)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134a) 및 제 2 연결부(134b)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때, 즉 상기 스프링(134c)이 압축된 상태일 때 상기 고정 디스크(133)는 일정 위치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 지그(132)의 절곡부(132c)가 상기 고정 디스크(133)의 지그 홈(133a)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디스크(133)가 일정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 홈(133a)으로부터 상기 절곡부(132c)가 분리될 경우, 압축되어있던 상기 스프링(134c)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1, 2 연결부(134a, 134b)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서 상기 고정 디스크(133)는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이 때, 상기 고정 디스크(133)는 상기 스프링(134c)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10)가 이루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 디스크(133)가 회전하면, 상기 분리홈(133b)이 상기 고정핀(122)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22)은 상기 분리홈(133b)을 통해 상기 고정 디스크(133)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추(120)는 고정부(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기 부력추(120)와 고정부(130)의 작동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상기 부이 센서(100)의 전원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전자석(131)과 자석부(132d)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지그(132)의 하부는 상기 회동축(132b)을 기준으로 상기 센서부(110)를 향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132c)는 상기 고정 디스크(133)의 지그 홈(133a)에 삽입된다. 상기 절곡부(132c)가 상기 지그 홈(133a)에 결합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134)의 스프링(134c)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 디스크(133)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상기 부이 센서(100)의 전원 소진 상태(예를 들어, 만충전 용량의 5%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113)에 의해 상기 전원부(111)에서 전자석(131)으로 전류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131)은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극성이 바뀌게 되고, 상기 전자석(131)과 자석부(132d)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지그(132)의 하부는 상기 회동축(132b)을 중심으로 고정 디스크(133)를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32c)는 상기 지그홈(133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프링(134c)에는 상기 제 1, 2 연결부(134a, 134b)의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고정 디스크(133)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상기 고정 디스크(1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리홈(133b)이 상기 고정핀(122)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고정핀(122)은 상기 분리홈(133b)을 통해 고정 디스크(133)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기 부력추(120)가 상기 고정부(130)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부력추(120)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고정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센서부(110)의 전원 잔류 용량이 일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기 부력추(120)가 상기 고정부(130)로부터 분리되어 수중 바닥까지 하강되므로, 상기 부이 센서(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부력추(120)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110)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므로, 이후 전원이 소진되어도 상기 부이 센서(100)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실 방지 장치(140)는 상기 부력추(120)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110)의 위치가 고정되더라도, 외부 요인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110)가 수중으로 침몰하였을 경우 센서부(1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상기 부력추(120)와 고정부(13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센서부(110)가 침몰되어 전원이 소진될 경우, 상기 유실 방지 장치(140)에 의해 상기 센서부(1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유실 방지 장치(140)는 케이스(141), 볼(142), 네트(143) 및 로프(144a, 144b)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41)는 상기 고정부(130)의 일면에서 상기 센서부(110)와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4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케이스(141)는 상부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며 평행을 이루는 타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볼(142)은 상기 케이스(141)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된다. 이 때, 상기 볼(142)이 상기 케이스(141)에 부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부(110)가 수중으로 침몰했을 때 물 위로 떠오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볼(142)은 부력을 갖는 원형의 구체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볼(142)은 상기 부이 센서(100)가 수중으로 가라앉을 경우 수면 위로 떠올라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가벼운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142)은 부력을 갖는 통상의 합성수지발포재, 예를 들면 스티로폼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볼(142)이 수면 위를 부유하게 되므로, 상기 부이 센서(100)가 전원이 소진된 상태로 수중으로 침몰하더라도 그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네트(143)는 그물망 형태로써 상기 케이스(141)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수용된다. 상기 네트(143)는 상기 볼(142)과 연결되어 상기 부이 센서(100)가 수중으로 가라앉을 때 상기 볼(142)과 함께 수면 위로 떠오른다. 상기 네트(143)는 수면 위에서 수면과 평행하게 펼쳐짐으로써, 상기 부이 센서(100)의 침몰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상기 네트(143)가 상기 볼(142)에 의하여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펼쳐짐으로써 상기 부이 센서(100)의 침몰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부이 센서(100)의 전원이 소진되어도 부이 센서(10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프(144a, 144b)는 제 1 로프(144a) 및 제 2 로프(14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로프(144a)는 상기 볼(142)과 상기 네트(143)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볼(142)이 수면 위로 부상할 때 상기 네트(143)도 함께 부상한다. 상기 제 2 로프(144b)는 상기 볼(142) 및 네트(143)를 상기 케이스(141)의 내면에 고정한다. 또는, 상기 케이스(141)가 그 타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고정부(130)에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제 2 로프(144b)는 상기 고정부(130)의 일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로프(144b)는 침몰된 상기 센서부(110)와 수면 위의 상기 볼(142) 및 네트(14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충분히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의 유실 방지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부이 센서(100)가 어떠한 외부 요인에 의하여 수중으로 침몰할 경우, 상기 케이스(141)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던 볼(142)은 수면 위를 향하여 부상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볼(142)은 상기 제 1 로프(144a)에 의하여 상기 네트(143)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네트(143) 역시 상기 볼(142)과 함께 케이스(141)의 외부로 빠져나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143)는 수면 위에서 수면과 평행하게 펼쳐지게 된다. 이 때, 상기 볼(142) 및 네트(143)는 상기 제 2 로프(144b)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41) 혹은 상기 고정부(13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면 위를 부유하는 볼(142)이나 상기 볼(142)보다 비교적 넓은 범위로 펼쳐진 네트(143)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110)의 침몰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130)에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고정부(130)로부터 분리된 부력추(120)가 연결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100)는 전원 잔류 용량이 일정치 이하(예를 들어, 만충전 용량의 5% 이하)가 되었을 때, 상기 부이 센서(1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부력추(120)를 하강시켜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부이 센서(10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소진 시 외부 요인에 의하여 상기 부이 센서(100)가 수중으로 침몰할 경우, 수면 위를 부유하는 볼(142) 및 네트(143)에 의해 센서부(11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이 센서(100)는 센서부(110)가 외부 요인에 의하여 수중으로 침몰되었을 경우,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는 볼(142)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볼(142)은 상기 센서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부이 센서(100)의 전원이 소진되더라도, 수면 위를 부유하는 볼(142)에 의하여 부이 센서(100)의 침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142)은 로프(144a)에 의하여 네트(143)와 연결된다. 상기 네트(143)가 상기 볼(142)과 함께 수면 위로 떠올라 비교적 넓은 범위로 펼쳐지므로, 부이 센서(100)의 침몰 위치 확인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부이 센서 110; 센서부
120; 부력추 130; 고정부
140; 유실 방지 장치 141; 케이스
142; 볼 143; 네트
144a, 144b; 로프

Claims (17)

  1. 전원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부, 상기 센서부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고정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부력추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유실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전원 잔류 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부력추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실 방지 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서 상기 센서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센서부가 수중으로 침몰될 경우 수면 위로 부상하는 볼; 및
    상기 볼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수용되는 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수면 위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합성수지발포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그물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상기 센서부가 수중으로 침몰될 경우 상기 볼과 함께 수면 위로 부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수면 위에서 수면과 평행하게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및 네트는 로프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및 네트는 로프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상기 센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추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상기 센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추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추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된 고정 지그;
    상기 부이 센서가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부이 센서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의 이탈을 위한 다수의 분리홈 및 상기 고정 지그가 삽입되는 지그 홈을 구비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고정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부이 센서와 상기 고정 디스크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동축이 형성된 지그 몸체;
    상기 지그 몸체의 상단이 절곡되어 상기 지그 홈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지그 몸체의 하단부에 상기 전자석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추는,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 디스크의 외주연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 디스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미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전진된 상태로 상기 지그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자석의 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후퇴하여 상기 고정 디스크와 분리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고정 디스크가 회전하며, 상기 고정핀이 분리홈에 위치하여 상기 부력추가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KR1020130146322A 2013-11-28 2013-11-28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 KR101511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322A KR101511739B1 (ko) 2013-11-28 2013-11-28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322A KR101511739B1 (ko) 2013-11-28 2013-11-28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739B1 true KR101511739B1 (ko) 2015-04-16

Family

ID=5305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322A KR101511739B1 (ko) 2013-11-28 2013-11-28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7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7685A (en) * 1980-05-09 1981-12-04 Fujitsu Ltd Self-sinking apparatus for buoy
JPH05139370A (ja) * 1991-11-18 1993-06-08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深度設定式水中ブイ装置
JPH0840366A (ja) * 1994-08-03 1996-02-13 Zeniraito V:Kk 沈没灯浮標探索支援装置
KR20110137707A (ko) * 2010-06-17 2011-12-23 윤삼걸 환경변화의 대처력을 높인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7685A (en) * 1980-05-09 1981-12-04 Fujitsu Ltd Self-sinking apparatus for buoy
JPH05139370A (ja) * 1991-11-18 1993-06-08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深度設定式水中ブイ装置
JPH0840366A (ja) * 1994-08-03 1996-02-13 Zeniraito V:Kk 沈没灯浮標探索支援装置
KR20110137707A (ko) * 2010-06-17 2011-12-23 윤삼걸 환경변화의 대처력을 높인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6256A (en) Buoy and releasing system for ships in distress
US9809281B2 (en) Submersible buoy, inflation control system and kit
KR101639205B1 (ko) 자가발전식 수상 조명장치
KR101645240B1 (ko) 간접계류식 해양관측용 부이장치
CN102582794A (zh) 一种浮力装置及系统
AU2014279255B2 (en) Underwater mobile body
CN209739283U (zh) 一种深海浮标锚泊装置
EP3929071A1 (en) Marine wind power generation floating body
KR101140163B1 (ko)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CN106956750A (zh) 一种潜标的压载固定基座刚性锁定和快速脱离装置
CN108341037A (zh) 潜水式救生机器人
KR20220049924A (ko) 에어작동형 자가발전 조명 등부표
CN108332787B (zh) 一种座底式海洋环境数据监测平台
CN113665738A (zh) 一种海上防撞锚浮标
US3037217A (en) Buo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511739B1 (ko)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
JP2001180574A (ja) 多目的ブイ
JP5194203B2 (ja) 浮体の係留装置
CN202508263U (zh) 一种浮力装置及系统
KR10205079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101511738B1 (ko)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
KR102265536B1 (ko) 해빈류 관측장치
KR101722179B1 (ko) 앵커
KR101722176B1 (ko) 앵커링 장치
US2342363A (en) Buoy mar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