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738B1 -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1738B1 KR101511738B1 KR1020130143186A KR20130143186A KR101511738B1 KR 101511738 B1 KR101511738 B1 KR 101511738B1 KR 1020130143186 A KR1020130143186 A KR 1020130143186A KR 20130143186 A KR20130143186 A KR 20130143186A KR 101511738 B1 KR101511738 B1 KR 101511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ig
- fixing
- weight
- fixed
- fixed dis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6—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with means to cause the buoy to surface in response to a transmitted sign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부력 추; 상기 부이 센서에 고정되고, 상기 부력 추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추 고정부; 및 상기 부이 센서의 전원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추 고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를 개시한다.
일례로, 부력 추; 상기 부이 센서에 고정되고, 상기 부력 추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추 고정부; 및 상기 부이 센서의 전원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추 고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에 관한 것이다.
호수, 강 또는 바다에서 등대 또는 부표(또는 부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수단 중 부표는 암초, 수중 장애물과 같은 위험지역의 알림, 수중케이블, 수중 시설물과 같은 시설 위치 확인, 양식장, 그물과 같은 어업기구의 경계표시와 같은 다양한 목적 및 형태의 알림수단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부표는 바다, 호수 또는 강의 바닥에 설치되는 계류 구조물과, 이 구조물과 사슬 또는 밧줄로 연결되는 부유체로 구성되며, 부유체는 단독 또는 군집형태 또는 깃발과 같은 보조체와 결합되어 필요한 용도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표는 센서 내부에 장착된 전원이 완전히 소진될 경우 부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이 위치가 파악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면을 따라 계속적으로 유동하게 되어 결국 부표가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이 센서의 전원이 소진되더라도 센서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는, 부력 추; 상기 부이 센서에 고정되고, 상기 부력 추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추 고정부; 및 상기 부이 센서의 전원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추 고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력 추는, 상기 추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추 고정부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 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된 고정 지그; 상기 부이 센서가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부이 센서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의 이탈을 위한 다수의 추 분리홈 및 상기 고정 지그가 삽입되는 지그 홈을 구비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고정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부이 센서와 상기 고정 디스크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동축이 형성된 지그 몸체; 상기 지그 몸체의 상단이 절곡되어 상기 지그 홈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지그 몸체의 하단부에 상기 전자석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지그 홈에 결합 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상기 고정 디스크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부이 센서와 연결된 제 1 연결부; 상기 고정 디스크에 연결된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2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추는,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 디스크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 디스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의 미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전진된 상태로 상기 지그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자석의 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후퇴하여 상기 고정 디스크와 분리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고정 디스크가 회전하며, 상기 고정핀이 추 분리홈에 위치하여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 시스템은, 전원부를 구비한 부이 센서부; 부력 추; 상기 부이 센서부에 고정되고, 상기 부력 추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추 고정부; 및 상기 부이 센서부의 전원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추 고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력 추는, 상기 추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추 고정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 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된 고정 지그; 상기 부이 센서부가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부이 센서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의 이탈을 위한 다수의 추 분리홈 및 상기 고정 지그가 삽입되는 지그 홈을 구비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고정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부이 센서와 상기 고정 디스크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동축이 형성된 지그 몸체; 상기 지그 몸체의 상단이 절곡되어 상기 지그 홈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지그 몸체의 하단부에 상기 전자석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지그 홈에 결합 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상기 고정 디스크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부이 센서부와 연결된 제 1 연결부; 상기 고정 디스크에 연결된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2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추는,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 디스크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 디스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의 미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전진된 상태로 상기 지그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자석의 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후퇴하여 상기 고정 디스크와 분리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고정 디스크가 회전하며, 상기 고정핀이 추 분리홈에 위치하여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이 센서의 전원이 소진되더라도 부이 센서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부력 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정상상태에서 부이 센서 시스템의 부력 추 고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진상태에서 부이 센서 시스템의 부력 추 분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 시스템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부력 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정상상태에서 부이 센서 시스템의 부력 추 고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진상태에서 부이 센서 시스템의 부력 추 분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 시스템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부이 센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 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부력 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정상상태에서 부이 센서 시스템의 부력 추 고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진상태에서 부이 센서 시스템의 부력 추 분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 시스템의 위치 고정을 위한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 센서 시스템(100)은, 부이 센서부(110), 부력 추(120), 추 고정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부이 센서부(110)는, 호수, 강 또는 해수의 유동상태, 수온 및 염분 등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인공위성에 의해 위치 및 이동 상황을 추적 및 탐지할 수 있는 표시수단으로, 이를 위해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111)가 탑재될 수 있다. 부이 센서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부이 센서부(1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부력 추(120)는, 부이 센서부(110) 하단의 외주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원부(111)의 전원정상상태에서 추 고정부(130)를 통해 부이 센서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추(120)는 도 2a, 도 2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 몸체(121), 다수의 고정핀(122) 및 와이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추 몸체(121)는 중심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고정핀(122)은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그 측부에는 부이 센서부(110) 측을 향해 고정홈(122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122)의 상부는 추 고정부(130) 방향을 의미한다. 즉, 추 몸체부(121)는 추 고정부(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고정핀(122)은 추 고정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추 고정부(130)는 부이 센서부(110)에 탑재된 전원부(111)의 전원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추 고정부(130)에서 부력 추(120)를 분리시켜 부력 추(120)가 수중 아래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강하는 부력추(120)는 와이어(123)에 의해 부이 센서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추 고정부(13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31), 고정 지그(132), 고정 디스크(133) 및 탄성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131)은, 부이 센서부(110)의 몸체(1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131)은 제어부(140)에 의해 전원부(111)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작동할 수 있다.
고정 지그(132)는 부이 센서부(110)와 후술하는 고정 디스크(133)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석(131)의 작동 여부에 따라 기구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지그(132)는 지그 몸체(132a), 절곡부(132c), 자석부(132d)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 몸체(132a)는 대략 스틱(stick)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회동축(132b)이 설치될 수 있다.
회동축(132b)은, 부이 센서부(110)의 몸체(112)와 연결되며, 스틱 형상의 지그 몸체(132a)를 회동축(132b)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절곡부(132c)는, 지극 몸체(132a)의 상단이 고정 디스크(133)를 향해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시소 운동을 통해 지그 몸체(132a)가 전진 또는 후퇴함에 따라 고정 디스크(133)의 지그 홈(133a)에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132c)가 지그 홈(133a)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고정 지그(132)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134)에 의한 고정 디스크(133)의 회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자석부(132d)는, 지그 몸체(132a)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자석(131)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전원부(111)의 전원정상상태에서 전자석(131)과 자석부(132d) 간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전원부(111)의 전원소진상태에서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 디스크(133)는 부이 센서부(110)의 외주부에 설치되며, 부력 추(1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디스크(133)는 추 몸체(121)와 유사하게 대략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부에는 부력 추(120)의 고정핀(122)과 대응되는 다수의 추 분리홈(133b)이 형성되며, 그 내주부에는 고정 지그(132)의 절곡부(132c)가 삽입되는 지그 홈(133a)이 형성될 수 있다. 추 분리홈(133b)은 고정 디스크(133)의 회전 시 부력 추(120)의 고정핀(122)과 대응하여 고정핀(122)이 추 분리홈(133b)을 통해 고정 디스크(133)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탄성 부재(134)는 고정 디스크(13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134)는 상기 부이 센서부(110)와 연결된 제 1 연결부(134a), 고정 디스크(133)에 연결된 제 2 연결부(134b) 및 제 1 연결부(134a)와 제 2 연결부(134b)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34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지그(133)의 절곡부(132c)가 고정 디스크(133)의 지그 홈(133a)에 삽입될 경우, 고정 디스크(133)는 일정 위치에 고정되고, 제 1 연결부(134a)와 제 2 연결부(134b) 간의 거리는 스프링(134c)에 의해 최소가 되며, 스프링(134c)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고정 디스크(133)의 지그 홈(133a)으로부터 고정 지그(133)의 절곡부(132c)가 분리될 경우, 압축된 스프링(134c)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연결부(134a)와 제 2 연결부(134b) 간의 거리가 증가하면서, 고정 디스크(133)는 스프링(134c)의 복원력일 작용하는 방향 예를 들어, 부이 센서부(110)이 이루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디스크(133)가 회전하면, 고정 디스크(133)의 추 분리홈(133b)과 고정핀(122)이 대응하게 되고, 고정핀(122)은 분리홈(133b)을 따라 고정 디스크(13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 추(120)는 추 고정부(1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원부(111)의 전원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전원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예를 들어 만충전 용량의 5% 이하)가 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전원부(111)를 통해 전자석(131)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전자석(131)은 동작하게 되며, 이전의 극성이 바뀌게 된다.
이하, 부이 센서 시스템의 위치고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이 센서 시스템(100)의 전원정상태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31)으로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자석(131)과 고정 지그(132)의 자석부(132d) 간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고정 지그(132)의 하부는 회동축(132b)을 기준으로 부이 센서부(110) 쪽으로 향해 있으며, 고정 지그(132)의 상부 즉 절곡부(132c)는 고정 디스크(133)의 내측면을 향해 전진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그(132)의 절곡부(132c)는 고정 디스크(133)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그 홈(133a)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지그(132)가 지그 홈(133a)에 결합됨에 따라 탄성 부재(134)의 스프링(134c)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 디스크(133)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디스크(133)의 외주부는 고정핀(122)에 형성된 고정홈(122a)에 삽입됨으로써, 부력 추(120)가 추 고정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부이 센서 시스템(100)의 전원소진상태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에 의해 전원부(111)에서 전자석(131)으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전자석(131)은 인가된 전류에 의해 극성이 바뀌게 되고 고정 지그(132)의 자석부(132d) 간에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 지그(132)의 하부는 회동축(132b)을 중심으로 고정 디스크(133)를 향해 이동하고, 고정 지그(132)의 절곡부(132c)는 부이 센서부(110)를 향해 후퇴하여 고정 디스크(133)의 지그홈(133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지그(132)는 전자석(131)의 작동 여부에 따라 회동축(132b)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함으로써, 고정 지그(132)의 절곡부(132c)는 전진 및 후진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그(132)의 절곡부(132c)가 고정 디스크(133)의 지그홈(133a)으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134c)에는 제 1 및 제 2 연결부(134a, 134b)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고정 디스크(133)가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디스크(133)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 분리홈(133b)과 고정핀(122)이 만나게 되면, 고정핀(122)은 추 분리홈(133b)을 통해 고정 디스크(133)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부력 추(120)가 추 고정부(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 추(120)는 수중 바닥까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부력 추(120)는 와이어(123)에 의해 추 고정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이 센서의 전원상태를 파악하여 전원이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부이 센서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부력 추를 하강시켜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센서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부이 센서 시스템
110: 부이 센서부
120: 부력 추
130: 추 고정부
140: 제어부
110: 부이 센서부
120: 부력 추
130: 추 고정부
140: 제어부
Claims (18)
- 부이 센서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력 추;
상기 부이 센서에 고정되고, 상기 부력 추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추 고정부; 및
상기 부이 센서의 전원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추 고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 추는 상기 추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 및 상기 추 고정부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추 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된 고정 지그; 상기 부이 센서부가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부이 센서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의 이탈을 위한 다수의 추 분리홈 및 상기 고정 지그가 삽입되는 지그 홈을 구비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고정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부이 센서와 상기 고정 디스크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동축이 형성된 지그 몸체;
상기 지그 몸체의 상단이 절곡되어 상기 지그 홈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지그 몸체의 하단부에 상기 전자석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지그 홈에 결합 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상기 고정 디스크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부이 센서와 연결된 제 1 연결부;
상기 고정 디스크에 연결된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2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추는,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 디스크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 디스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미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전진된 상태로 상기 지그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자석의 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후퇴하여 상기 고정 디스크와 분리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고정 디스크가 회전하며, 상기 고정핀이 추 분리홈에 위치하여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 전원부를 구비한 부이 센서부;
부력 추;
상기 부이 센서부에 고정되고, 상기 부력 추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추 고정부; 및
상기 부이 센서부의 전원잔류용량이 일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추 고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 추는 상기 추 고정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 및 상기 추 고정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추 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된 고정 지그; 상기 부이 센서부가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부이 센서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의 이탈을 위한 다수의 추 분리홈 및 상기 고정 지그가 삽입되는 지그 홈을 구비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고정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부이 센서와 상기 고정 디스크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회동축이 형성된 지그 몸체;
상기 지그 몸체의 상단이 절곡되어 상기 지그 홈에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지그 몸체의 하단부에 상기 전자석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시스템.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전자석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는 상기 지그 홈에 결합 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상기 고정 디스크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부이 센서부와 연결된 제 1 연결부;
상기 고정 디스크에 연결된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2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추는,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 디스크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 디스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미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전진된 상태로 상기 지그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자석의 작동 시 상기 고정 지그가 후퇴하여 상기 고정 디스크와 분리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고정 디스크가 회전하며, 상기 고정핀이 추 분리홈에 위치하여 상기 부력 추가 상기 추 고정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센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3186A KR101511738B1 (ko) | 2013-11-22 | 2013-11-22 |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3186A KR101511738B1 (ko) | 2013-11-22 | 2013-11-22 |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1738B1 true KR101511738B1 (ko) | 2015-04-16 |
Family
ID=5305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3186A KR101511738B1 (ko) | 2013-11-22 | 2013-11-22 |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173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7685A (en) * | 1980-05-09 | 1981-12-04 | Fujitsu Ltd | Self-sinking apparatus for buoy |
JPH05139370A (ja) * | 1991-11-18 | 1993-06-08 | Mitsubishi Heavy Ind Ltd | 自動深度設定式水中ブイ装置 |
JPH0840366A (ja) * | 1994-08-03 | 1996-02-13 | Zeniraito V:Kk | 沈没灯浮標探索支援装置 |
JP2002145177A (ja) * | 2000-08-09 | 2002-05-22 | Tsurumi Seiki:Kk | 海洋データ測定用フロート装置 |
-
2013
- 2013-11-22 KR KR1020130143186A patent/KR1015117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7685A (en) * | 1980-05-09 | 1981-12-04 | Fujitsu Ltd | Self-sinking apparatus for buoy |
JPH05139370A (ja) * | 1991-11-18 | 1993-06-08 | Mitsubishi Heavy Ind Ltd | 自動深度設定式水中ブイ装置 |
JPH0840366A (ja) * | 1994-08-03 | 1996-02-13 | Zeniraito V:Kk | 沈没灯浮標探索支援装置 |
JP2002145177A (ja) * | 2000-08-09 | 2002-05-22 | Tsurumi Seiki:Kk | 海洋データ測定用フロート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820173B (zh) | 基于浮力驱动与无轴矢量推进的变形潜水器及其工作方法 | |
KR101609838B1 (ko) | 진자운동을 이용한 파력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역표시부표 | |
KR101639205B1 (ko) | 자가발전식 수상 조명장치 | |
US7559288B2 (en) | Recoverable optical fiber tethered buoy assembly | |
AU2014279255B2 (en) | Underwater mobile body | |
US10322782B1 (en) | Combin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nd buoy device | |
CN113665738A (zh) | 一种海上防撞锚浮标 | |
JP2021034229A (ja) | 浮力体付き海中ケーブルおよび浮体式洋上風力発電システム | |
KR101511738B1 (ko) | 부이 센서의 위치고정장치 및 부이 센서 시스템 | |
US3037217A (en) | Buo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KR101748285B1 (ko) | 수력 터빈용 지지대 | |
JP2001180574A (ja) | 多目的ブイ | |
AU2019257033A1 (en) |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support system | |
CN109733539A (zh) | 一种海洋环境监测用辅助机构及其使用方法 | |
US20140259863A1 (en) | Mechanized Trolling Device | |
CN105069978A (zh) | 一种新型景区涨潮预警装置 | |
KR101511739B1 (ko) | 유실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부이 센서 | |
CN112566703B (zh) | 潜水员的水下潜水推行器 | |
KR101529511B1 (ko) | 절단하중 조절이 가능한 dc 전원 제어형 수중 분리장치 | |
GB2435494A (en) | Floating marine current mill | |
KR20120105723A (ko) | 자동지향성 해양관측장비 | |
KR20130046038A (ko) | 잠수식 부표 | |
KR102379117B1 (ko) | 대기전력 소모량이 저감된 iot 스마트 부표 | |
EP3182822A1 (en) | Trap line fishing float | |
KR102282597B1 (ko) | 부이형 충전용 로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