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488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직물 커버층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직물 커버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488B1
KR101511488B1 KR1020097022523A KR20097022523A KR101511488B1 KR 101511488 B1 KR101511488 B1 KR 101511488B1 KR 1020097022523 A KR1020097022523 A KR 1020097022523A KR 20097022523 A KR20097022523 A KR 20097022523A KR 101511488 B1 KR101511488 B1 KR 10151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yer
light emitting
substrate
fabric
elect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991A (ko
Inventor
리스베스 반 피터슨
시마 아스바디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0001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3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fixed on cloth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기판(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에 의한 발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도록 상기 기판(100) 상에 배열된 직물층(10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직물층의 배면(103)은 적어도 하나의 자체 지지 오목부(104)를 구비하고, 상기 직물층(10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04)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의 정면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갭(108)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04) 내에서 직물층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를 분리한다.
전자 섬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발광 다이오드, 직물층, 조명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직물 커버층{FABRIC COVER LAYER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light emitting electro-optical device)를 수용하는 기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에 의한 발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된 직물층(fabric layer)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용도는 현재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통합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의류 및 가구와 같은 직물 조명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직물 내로 통합되었다.
직물 제품에서의 통합에 적절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전형적으로 이용하였다. LED는 본질적으로 점형 광원(point source)을 구성하고 때때로 반구형 패턴으로 발광한다.
커튼, 벽 현수물 등으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직물에 통합된 조명 디바이스의 하나의 예는 US2006/0082987 Al(Dorsey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직물 시트를 개시하여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발광은 적어도 하나의 직물 시트를 통해 빛날 수 있다.
US2006/0082987 Al의 디바이스에서, 직물의 제 1 층은, LED로부터의 발광을 확산시키고 디바이스의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 상에 직접 배열된다. 그러나, 이러한 디바이스의 광 출력은 압력, 결합 및 장력과 같은 기계적 영향을 받을 때 철저하게 변하게 된다. 확산하는 직물층은 예를 들어 확산 작용이 감소되도록 용이하게 압축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조명 디바이스는 기계적인 힘을 규칙적으로 받게 되는 착용할 수 있는 용도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양호한 확산을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특정 거리에서 확산 물질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광특성이 기계적인 힘에 의해 덜 영향을 받는 착용할 수 있는 용도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 기술에서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된 문제를 극복하고 확산된 조명을 제공하는 직물 제품에서의 통합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목적은 본원에 기술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므로,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기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에 의한 발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도록 상기 기판에 배열되는 직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직물층은 상기 기판을 마주하는 배면(backside)을 포함하며, 배면은 적어도 하나의 자체 지지 오목부를 구비한다. 또한, 직물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의 정면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 내에 있는 직물 재료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를 갭이 분리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구형 또는 반구형 패턴으로 발광하는 점형 광원이다. 이러한 단일 전자광학 디바이스에 의해 조명된 영역은 전자광학 디바이스까지의 거리와 더불어 증가한다. 많은 적용에 있어서, 물체의 본질적으로 균질한 조명을 얻는 것이 필요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직물 외관(textile appearance)을 더욱 가져야 하는 이러한 적용에서, 직물은 발광 직물의 환영(illusion)을 생성하도록 조명되기 위하여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의 정면에 배열될 수 있다.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들)와 조명된 직물 사이의 특정 거리, 즉 갭을 보장하는 것에 의하여, 조명되는 영역은 광원의 크기보다 상당히 크다. 이러한 것은 특히 다수의 이산(discrete) 및 이격된 광원이 직물층을 조명하도록 이용되는 경우에 직물 조명의 균질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직물층은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에 의한 발광을 확산시켜서, 확산광(diffuse light)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빠져나간다.
자체 지지 오목부를 구비한 기판 상에 배열된 직물층을 제공하고, 오목부가 대응하는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의 정면에 직접 배열되도록 기판 상에 직물을 정렬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된 필요한 거리, 즉 갭이 얻어진다.
전형적으로, 상기 배면의 반대쪽인, 직물층의 정면(front side)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며, 돌기의 위치는 상기 배면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직물층의 오목부 형성 구역에서의 섬유 밀도는 상기 오목부 형성 구역에 인접한 상기 직물층의 구역에서의 섬유 밀도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직물층은 편직된 직물층이며, 상기 직물층의 오목부 형성 구역에서의 바늘 경로, 루프 길이 및 땀 밀도(stitching density)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오목부 형성 구역에 인접한 상기 직물층의 구역에서의 것들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반투명 물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에 있는 상기 직물층 사이의 상기 갭에 배열될 수 있다.
반투명 물질은 특히 기계적인 힘이 직물층 상에 인가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광원들과 직물층 사이의 필요한 거리를 더욱 보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투명 물질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광분산(light scattering) 성분을 포함한다.
반투명 물질이 광분산 성분을 포함할 때, 광은 직물층에 도달하기 전에 더욱 분산되며, 이에 의해, 광의 균질성을 더욱 개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굽어지는데 적합한 가요성 기판일 수 있다.
자체 지지 오목부를 구비한 직물층은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와 직물층 사이의 거리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굽힘 동안 또한 유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에 훨씬 유익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은 반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판은 직물층을 향하여 기판 상에 입사하는 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반사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기판 상에서 일정 패턴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격된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직물층의 배면은 각각의 상기 오목부가 상기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들 각각의 정면에 배열되도록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들의 상기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배열된 다수의 오목부들을 포함한다.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직물 제품에 매립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직물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제 3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자체 지지 오목부 구역이 배열되는 직물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체 지지 오목부 구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의 정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직물층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것과 다른 양태들이 지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
본 발명은 직물 제품에 통합되거나 또는 직물 제품을 구성하는데 적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01, 101', 이후에는 LED로 약어로서 표현함)를 수용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기판 상에는 기판(100)을 마주하는 배면(103)을 가지는 직물층(102)이 배열된다.
다수의 자체 지지 오목부(104, 104')들이 직물층(102)의 배면(103)에 배열된다. 직물층(102)과 기판(100)은 각각의 다수의 자체 지지 오목부(104, 104')들이 각각의 다수의 LED(101, 101')의 정면에 위치되도록(즉, 전형적으로 기판 표면의 법선을 따라서, LED로부터의 발광의 주 방향으로 포함되는(counted)) 서로 정렬된다.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101)의 정면에 배열된 오목부(104)의 면적이 전형적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면적보다 커서,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오목부에 수용된다. LED들에 의하여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즉 기판(100)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의 발광의 주요 부분은 그 정면에 배열된 오목부의 내벽을 향하여 발광된다.
때때로, 직물층은 아주 얇으며, 그러므로 직물층(102)의 배면(103)에 있는 자체 지지 오목부(104, 104')들은 직물층(102)의 정면(105)상의 대응하는 돌기(106, 106')들에 귀착할 수 있다.
LED(101, 101')를 수용하는 기판(1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판으로서 적절한 임의의 기판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기판은 LED를 구동하기 위한 도체 라인(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 유전체 물질을 포함한다.
LED들은 전형적으로 도체 라인을 통하여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거나 또는 접속 가능하며, 구동 유닛은 기판(100) 상에 배열되거나 또는 기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의도될 때, 기판(100)은 전형적으로 파손없이 적어도 한 방향으로 굽어지는데 적합한 가요성 기판이다.
이러한 가요성 기판에 적합한 물질의 예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며, 직물 기반 기판(예를 들어, 도체 라인이 자수(embroidery) 또는 인쇄로서 직물 상에, 또는 직물에서 실로 짜는 것과 같이 직물 재료 내에 배열될 수 있는) 및 중합 물질에 기초한 기판을 포함한다.
LED(101, 101')에 의한 발광의 일부는 예를 들어 직물층(102)을 분산하는 것에 의해 또는 LED들과 직물층 사이에 위치된 임의의 물질에 의해 분산되거나 또는 기판(100)을 향하여 다시 반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광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판 표면의 적어도 부분들이 반사성이어서, 기판 표면에 입사하는 광이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다시 반사되는 것 이 이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 물질의 선택에 따라서, 반사 특성은 상이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질적으로 반사성인 기판 물질이 선택될 수 있으며, 기판 물질은 반사 특성을 얻도록 처리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반사 물질은 기판 표면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기판이 선택될 때, 고광택 섬유(비단, 비스코스(viscos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섬유 길이, 평활도, 단면 형상(예를 들어, 원형 보다는 평탄형)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직물 가공(fabric finishing)이 실시될 수 있다.
반사 특성을 초래하는 광택 개선 가공은 유약을 바르거나, 시레 가공되거나(또는 고온 유약 바름, Cire), 또는 슈라이너 가공된(Schreiner finish) 전체 직물에 걸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가공은 또한 모이어(Moire) 및 엠보싱 가공에서와 같이 국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들은 캘린더링(calendaring)에 의해 적용된다. 상이한 캘린더는 표면 상에 상이한 효과를 만든다. 수지 가공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이러한 효과는 영구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젤라틴이 자연 광택을 개선하는 투명 물질임에 따라서 젤라틴 가공(레이온(Rayon) 직물 상에서)의 사용이다.
현재 기술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101, 101')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배경에서, 용어 "발광 다이오드"는 무기재 기반 LED, 유기재 기반 LED(OLED), 및 중합재 기반 LED(polyLED)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현재 및 미래에 공지된 형태의 발광의 모든 종류를 내포하도록 의도된다. 레이저 다이오드들이 또한 총체적인 용어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내포된다. 일반적으로,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는 전류가 디바이스를 통과할 때 광을 발광하는 디바이스이다.
현재 기술된 실시예에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01, 101')들은 기판(100) 상에서 사전 결정된 패턴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단지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가 단일 기판 상에 배열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LED(101, 101')들에 의한 발광은 전형적으로 반구형 패턴으로 발광된다. 기판-LED 위에 배치된 직물층(102)은 응집한다. 직물층(102)이 LED들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될 때, LED로부터의 광의 직물층 상에서의 투사는 확대된다.
직물층은 LED 수용층과 사용자 사이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시야의 시점으로부터 또는 상부층이 사용자와, 예를 들어 사용자 피부와 접촉하는 용도인지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공간은, 자체 지지 오목부(104, 104')들이 직물층의 배면(103)에 배열되는 직물층(102)을 기판 상에 배열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직물층은 예를 들어 직조 또는 비직조 직물, 단층 또는 다층 씨실 및/또는 날실 편직된 직물,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 직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데 적절한 직물 재료는 천연 또는 합성 섬유, 및 천연 및 합성 섬유들의 혼합물에 기초한 직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직물층(102)에 있는 표면 구조(104, 104', 즉, 배면에 있는 자체 지지 오목부 및 정면에 있는 선택적인 대응 돌기들)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 다.
예를 들어, 편직된 직물에 있는 돔(dome)들은 직물층에 삽입/직물층의 부분일 수 있다. 바늘 경로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루프 길이와 땀 밀도, 돔들과 같은 다양한 3D 표면이 편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표면 구조는 가공(텍스처링(texturing))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텍스처링의 다양한 방법들은 상부층으로서 기능하게 되는 직물층 상의 국부적으로 융기된 부분들을 만들 수 있다. 다양한 엠보싱 방법(예를 들어, 주름 유도 국부화된 가성 소다가 주름지지 않는 영역에서의 상기 구조의 융기를 유발하는 주름화(puckering) 또는 플리세(plisse))이 그 예이다.
추가의 대안적으로, 표면 구조는, 탄성 얀(elastic yarn) 상에서의 인장이 해제될 때 얀들이 수축하여 필요한 표면 구조를 초래하도록 직물 내로 인장 하에 있는 탄성 얀을 통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자체 지지 오목부"는 오목부가 직물의 고유한, 본질적으로 영구적인 특성인 것을 지칭한다. 오목부는 직물 자체의 제조 동안, 또는 후제작(post-fabrication) 처리 단계로서 기판 상에 배열되기 전에 직물에 형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직물층에서 자체 지지 오목부를 얻는 많은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들 중 일부에 의해, 섬유 밀도는 직물층의 오목부 형성 구역과 오목부 형성 구역에 인접한 구역 사이에서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섬유 밀도는 필요한 광 출력 특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직 구조에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 밀도는 높은 광 확산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목부 형성 구역에서 보다 높을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높은 광 처리량을 제공하도록 오목부 형성 구역에서 보다 낮을 수 있다. 오목부 형성 구역에서의 낮은 섬유 밀도와 그 사이의 구역들에서의 보다 높은 섬유 밀도는 인접한 오목부들 밑에 위치된 인접한 광원들로부터의 광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섬유 밀도, 바늘 경로, 루프 길이 및/또는 땀 밀도는 하나의 오목부로부터 다른 오목부에 대하여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광 출력 특성은 직물층의 다른 부분들에서 다를 수 있다.
수용 가능한 광 이용 효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직물층의 섬유는 바람직하게 비흡광성 이거나, 또는 단지 관심 파장 구역, 전형적으로 가시광의 범위 내에서만 단지 작은 정도로 흡광한다.
구조된 표면(들)을 구비한 직물층이 기판 상에 배열될 때,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광 다이오드의 정면에 직접 위치된 오목부 형성 구역에 있는 직물 재료까지 거리, 갭이 있다.
발광 다이오드와 확산 물질(즉, 직물층) 사이의 이러한 거리, 즉 갭으로 인하여, LED로부터의 광원뿔(light cone)은 확장하여, 본질적으로 LED의 영역보다 큰 직물의 영역을 조명한다. 디바이스의 외측(직물층의 전방 표면을 볼 때)으로부터, 이러한 것은 실제 크기보다 상당히 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의 환영을 생성한다.
직물층에 있는 오목부들이 자체 지지이기 때문에, LED와 직물 사이의 이러한 갭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갭과 관련된 효과들이 잘 한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갭은 광원이 굽어지거나 펼쳐진 후 뿐만 아니라 굽힘 또는 펼침 작용 동안 유지된다. 이 러한 것은 이것이 직물 제품, 특히 정상적인 동작 동안 굽어지고 펼쳐지는 착용 가능한 제품에 공급될 때 훨씬 필요하게 된다. 기판(100)과 직물층(102) 사이에는 발광 다이오드(101, 101')들을 덮는 반투명 물질(107)이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반투명 물질(107)은 기계적인 충돌로부터 LED(101, 101')를 보호하는 목적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계적인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반투명 물질(107)은 또한 특히 기계적인 충돌, 굽힘, 펼침 등의 동안 LED와 직물층 사이의 상기된 갭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반투명 물질(107)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의도될 때의 경우에 특히 이롭게 되는 탄성 중합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중합 물질의 적절한 예는 PDMS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다른 실리콘 기반 탄성 중합체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반투명 물질은 반투명인 섬유 물질일 수 있다. 다른 적절한 반투명 물질들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다.
반투명 물질(107)은 광 분산 성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자체가 LED로부터의 광이 직물층과 만나기 전에 LED로부터의 광을 미리 분산시키기 위하여 분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분산 물질은 전형적으로 반사성인 물질의 작은 입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반투명 물질(107)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가진다. 이러한 분산 특성의 예들은 발광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티타늄 산화물의 작은 입자 및 인광체 입자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적절한 분산 성분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상기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대조하여, 많은 변경 및 변형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는 다수의 그룹으로 서로 그룹화되고, 각각의 그룹은 하나의 이러한 그룹보다 많이 수용한다. 직물층에 있는 각각의 오목부는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의 이러한 그룹들중 별개의 것의 정면에 위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LED들의 직선 어레이와 같이 일렬로 배열될 때, 직물층에 있는 오목부는 상기 열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직물층에서 연장된 그루브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조명 시스템으로서 또는 조명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가정 또는 영화관(예를 들어, 가구 실내 장식품, 커튼, 카펫)에서 동적인 내부 조명 시스템, 착용 가능한 통신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가방, 자켓), 광자 치료 디바이스(photonic therapy device, 영아 황달 수면백(baby jaundice sleeping bag), 여드름 치료 T-셔츠, 악세서리, 창상치유 회반죽 등)과 같은 직물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를 수용하는 기판(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에 의한 발광의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도록 상기 기판(100) 상에 배열되는 직물층(10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 상기 직물층(102)은 상기 기판(100)을 마주하는 배면(103)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103)은 적어도 하나의 자체 지지 오목부(recess; 104)를 구비하고, 상기 자체 지지 오목부는 상기 직물층(102)의 고유하고(intrinsic), 본질적으로(essentially) 영구적인 특징부이며, 상기 자체 지지 오목부는 상기 직물층(102)이 상기 기판(100) 상에 배열되기 전에 상기 직물층(102) 내에 형성되며,
    - 상기 직물층(10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04)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의 정면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며,
    - 갭(108)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04) 내에 있는 직물 재료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를 분리하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체 지지 오목부(104)는 상기 직물층(102)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체 지지 오목부(104) 내의 상기 직물 재료 사이의 상기 갭(108)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와 상기 직물층(102)의 비접촉 상태로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상기 배면(103) 반대편의 정면(105)을 포함하며, 상기 정면(105)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protrusion; 106)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위치는 상기 배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04)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102)의 오목부 형성 구역에서의 섬유 밀도는 상기 오목부 형성 구역을 제외한 상기 직물층의 구역에서의 섬유 밀도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102)은 편직된(knitted) 직물층이며, 상기 직물층의 오목부 형성 구역에서의 바늘 경로, 루프 길이 및 땀 밀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오목부 형성 구역을 제외한 상기 직물층의 구역에서의 것과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투명 물질(107)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04)에서의 상기 직물층(102) 사이의 상기 갭(108)에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물질(107)은 광 분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0)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굽어지도록 구성된 가요성 기판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0)은 반사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정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이격된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 101')들을 포함하며, 상기 직물층(102)의 배면(103)은 상기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 101')들의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104, 104')들을 포함하여서, 각각의 상기 오목부(104, 104')는 분리된 각각의 상기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 101')의 정면에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직물 제품으로서, 상기 직물 제품 내에 끼워진(emb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직물 제품.
  11. 제 1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를 수용하는 기판(100)을 제공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자체 지지 오목부 구역(concave region)이 배열되는 직물층(102)을 제공하는 단계;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체 지지 오목부 구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전자광학 디바이스(101)의 정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직물층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1020097022523A 2007-03-30 2008-03-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직물 커버층 KR101511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5284 2007-03-30
EP07105284.9 2007-03-30
PCT/IB2008/051136 WO2008120142A1 (en) 2007-03-30 2008-03-27 Fabric cover layer for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991A KR20100015991A (ko) 2010-02-12
KR101511488B1 true KR101511488B1 (ko) 2015-04-13

Family

ID=3966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523A KR101511488B1 (ko) 2007-03-30 2008-03-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직물 커버층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66107B2 (ko)
EP (1) EP2130197B1 (ko)
JP (1) JP5871356B2 (ko)
KR (1) KR101511488B1 (ko)
CN (1) CN101652806B (ko)
TW (1) TW200907884A (ko)
WO (1) WO20081201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07A (ko) 2021-04-06 2022-10-13 장종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7271A1 (en) * 2008-12-09 2010-06-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system with fiber diffusing element
RU2564579C2 (ru) * 2009-09-03 2015-10-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ветоизлучающая электронная ткань с улучшенным светорассеиванием
CN102818227B (zh) * 2012-08-29 2014-01-22 苏州东山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灯条固定结构
DE102015102407A1 (de) * 2015-02-20 2016-09-08 Deutsche Institute Für Textil- Und Faserforschung Denkendorf Flexible Flächenleucht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einem Bekleidungsstück
WO2017031153A1 (en) * 2015-08-20 2017-02-23 Oletquin Management Llc Fabric-based items with electrical component arrays
CN105508889A (zh) * 2016-02-01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组件及其制作方法
DE102017215369A1 (de) * 2017-09-01 2019-03-07 Benecke-Kaliko Ag Lichtdurchlässige Mehrschichtverbundfolie
EP3775672B1 (en) 2018-04-06 2022-02-09 Signify Holding B.V. Acoustically absorbent lighting module
US11668026B2 (en) * 2018-09-19 2023-06-06 Apple Inc. Fabric items with electrical components
DE102021114070A1 (de) * 2021-05-31 2022-12-01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Optoelektronische leucht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317A (ko) * 2005-05-31 2008-02-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직물 확산 층을 구비한 광 소스
KR20080105273A (ko) * 2007-05-30 2008-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연한 백라이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1726B1 (en) * 1996-05-30 2003-04-22 E. L. Specialists, Inc. Deployment of EL structures on porous or fibrous substrates
JPH11249608A (ja) * 1998-02-27 1999-09-17 Denso:Kk 発光表示装置および発光表示装置の制御方法
GB2396252A (en) 2002-10-01 2004-06-16 Steven Leftly Textile light system
US7431975B2 (en) * 2002-11-29 2008-10-07 Dzs, L.L.C. Textured composite material
FR2854480A1 (fr) * 2003-04-29 2004-11-05 France Telecom Afficheur souple
US20060007059A1 (en) * 2004-07-06 2006-01-12 Bell Jonathan A Flexible display screen arrangements and applications thereof
US7374315B2 (en) 2004-10-15 2008-05-20 Joshua Dorsey Lighting device
US7274844B2 (en) * 2005-05-11 2007-09-25 University Of Zurich Empa Light-emitting textile structure, in particular for medical purposes, and use thereof
CN100576291C (zh) * 2005-05-31 2009-12-3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织物漫射层的光源
US7267452B2 (en) * 2005-06-20 2007-09-11 E. S. Originals, Inc. Motion-responsive illuminated stocking
US20070053179A1 (en) * 2005-09-08 2007-03-08 Pang Slew I Low profile light source utilizing a flexible circuit carrier
US20070182666A1 (en) * 2006-02-01 2007-08-09 Element Labs, Inc. Curtain display unit for light emitting ele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317A (ko) * 2005-05-31 2008-02-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직물 확산 층을 구비한 광 소스
KR20080105273A (ko) * 2007-05-30 2008-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연한 백라이트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07A (ko) 2021-04-06 2022-10-13 장종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2806B (zh) 2013-02-06
EP2130197A1 (en) 2009-12-09
KR20100015991A (ko) 2010-02-12
WO2008120142A1 (en) 2008-10-09
TW200907884A (en) 2009-02-16
US9666107B2 (en) 2017-05-30
US20100085753A1 (en) 2010-04-08
JP2010524013A (ja) 2010-07-15
JP5871356B2 (ja) 2016-03-01
EP2130197B1 (en) 2015-09-23
CN101652806A (zh)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48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직물 커버층
EP1891620B1 (en) Light-source with fabric diffusing layer
US9335457B2 (en) Fabric with light emitting layer
US20060087832A1 (en) Illuminating textile device
EP2547952A2 (en) Light-emitting textile-based architectural element
US20120127704A1 (en) Arrangement for creating light effects
WO2006129244A2 (en) Light-source with fabric diffusing layer
US20180087765A1 (en) Flexible surface area light, in particular for use in a piece of clothing
WO2008152558A1 (en) Improved lighting device
RU26045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врового блока и ковровый блок
CN107719229B (zh) 包括可见接缝和照明设备的布置、其用途及用于生产该布置的方法
CN116157298A (zh) 用于车辆的内部的柔性织物、用于车辆座椅的座椅罩、车辆座椅以及车辆
CN102246219B (zh) 具有纤维漫射元件的照明系统
CN113755990B (zh) 标志发光的鞋帮及包括所述标志发光的鞋帮的鞋
CN107380089A (zh) 具有发光装饰的成型车顶
TWM584335U (zh) 可水洗可撓式發光織物模組
TWI751935B (zh) 光纖織物裝置
JP3125130U (ja) 能動照射及び反射性質を兼ねる織物
US20180163945A1 (en) Lighting means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6160966A (zh) 具有光导纤维的车辆内饰件及其制作方法
GB2563250A (en) Flexible illuminatable laminate
JP2018195534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