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867B1 -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867B1
KR101510867B1 KR20140119353A KR20140119353A KR101510867B1 KR 101510867 B1 KR101510867 B1 KR 101510867B1 KR 20140119353 A KR20140119353 A KR 20140119353A KR 20140119353 A KR20140119353 A KR 20140119353A KR 101510867 B1 KR101510867 B1 KR 10151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structor
learner
time
lectu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퀄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퀄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퀄슨
Priority to KR2014011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강생 단말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강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강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강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강사의 단말로 강습 요청을 발신하는 단계; 상기 강습 요청에 대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강사 단말과 상기 수강생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강생 단말의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foreign language study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화 영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전화 영어는 강사와 수강생이 직접 얼굴을 보지 않고 전화로 대화하는 영어 수업 방식이다. 전화 영어는 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강의실까지 이동하는 시간도 들지 않으므로 시간이 절약된다.
한편,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란 초고속인터넷과 같이 IP망을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를 통해 음성통화를 구현하는 통신기술이다. VoIP는 케이블을 통해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확장성도 뛰어나다. 무엇보다 기존 전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매우 저렴하여 국제전화와 시외전화에 주로 이용된다. 같은 인터넷전화 사용자 간의 통화는 시간에 상관없이 통화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7390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강생의 요청에 따라 강사를 선택하여 인터넷 전화를 연결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강생 단말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강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강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강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강사의 단말로 강습 요청을 발신하는 단계; 상기 강습 요청에 대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강사 단말과 상기 수강생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강생 단말의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강생 단말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강사 연결 요청 수신부; 강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강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강사를 선택하는 강사 선택부; 상기 선택된 강사의 단말로 강습 요청을 발신하는 강습 요청 발신부; 상기 강습 요청에 대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응답 수신부; 및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강사 단말과 상기 수강생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인터넷 전화 연결부;를 포함하는 수강생 단말의 요청을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는 강사와 수강생을 적절하게 매칭시켜 주며,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6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4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수강생 정보 DB에 저장된 수강생 정보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의 강사 정보 DB에 저장된 강사 정보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지원 시스템(1)은 학습을 도와주는 강사의 단말(20), 학습을 수행하는 수강생의 단말(30), 및 강사 단말(20)과 수강생 단말(30)에 외국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0)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지원 시스템(1)은 인터넷 전화(VoIP)를 이용하여 강사와 수강생이 대화를 하면서 외국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강사는 해당 외국어에 능통한 현지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지원 시스템(1)은 강사와 수강생 간의 정규 외국어 학습 뿐 아니라, 비정규 외국어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정규 외국어 학습이란 강사와 수강생이 서로 매칭되어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강사가 정해진 시간에 수강생에게 전화를 걸고, 수강생이 이에 응답하여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비정규 외국어 학습이란 강사와 수강생이 미리 매칭되지 않으며, 스케쥴도 미리 정해지지 않는 외국어 수업으로, 강사 또는 수강생이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실시간으로 학습을 신청하고, 적절한 상대방이 실시간으로 매칭됨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 서비스 기술이다.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인터넷 전화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는 전화 영어 학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터넷 전화는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강사 단말(20) 및 수강생 단말(3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강사 단말(20) 및 수강생 단말(3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사 단말(20) 및 수강생 단말(30)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접근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는 강사 단말(20)과 수강생 단말(30) 각각이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학습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학습 인터페이스는 강사 단말(20)과 수강생 단말(30) 간의 인터넷 전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그 외에 학습 인터페이스는 강사 단말(20)과 수강생 단말(30) 간의 화상채팅, 이미지 공유, 메시지 전송, 실시간 화면 공유, 학습 교재 인터페이스 공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강사 단말(20) 및 사용자 단말(3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강사 단말(20) 및 사용자 단말(30)은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고,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은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강사 단말(20)과 수강상 단말(30)에 외국어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강사 단말(20)과 수강생 단말(30) 간의 비정규 외국어 학습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강사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수강생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적절한 수강생을 매칭하고, 수강생 단말(30)로부터 수신된 강사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적절한 강사를 매칭한다. 적절한 수강생, 또는 적절한 강사를 선택하기 위하여 강사 정보와 수강생 정보가 저장된 데이버테이스(40)를 참조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자세한 구성과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40)는 강사 정보와 수강생 정보를 저장한다. 강사 정보와 수강생 정보는 별도의 테이블로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데이터베이스(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내부에 저장 장치로써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수강생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수강생을 선택하고, 선택된 수강생의 단말과 강사 단말을 매칭하여 두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수강생 연결 요청 수신부(210), 수강생 선택부(220), 학습 요청 발신부(230), 응답 수신부(240) 및 인터넷 전화 연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고,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연결 요청 수신부(210)는 일 강사 단말로부터 수강생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선택부(220)는 수강생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학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수강생을 선택한다. 상기 예측을 위하여 수강생 선택부(22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 정보를 참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강생 선택부(22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의 선호 학습 시각을 참고하여, 수강생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과 각 수강생의 선호 학습 시간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수강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강생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이 오후 3시인 경우, 오후 3시가 선호 학습 시간에 포함된 수강생, 예컨대 오후 2-4시 또는 오후 2-5시의 선호 학습 시간을 갖는 수강생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요청 발신부(230)는 상기 선택된 수강생의 단말로 학습 요청을 발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답 수신부(240)는 상기 학습 요청에 대하여 상기 수강생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 응답 수신부(240)의 처리 결과는 요청 수락, 요청 거부, 또는 무응답일 수 있다. 수강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은 요청 수락의 응답이거나, 요청 거부의 응답일 수 있으며, 응답 수신부(240)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아무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무응답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연결부(250)는 상기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강사 단말과 상기 수강생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연결부(250)는 수강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요청 수락의 응답인 경우, 강사 단말과 수강생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강사 단말로부터 수강생 연결 요청을 수신할 때 강사의 희망 학습 시간(예를 들어, 10분, 20분 등)을 함께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의 평균 학습 시간을 참고하여 강사의 희망 학습 시간과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평균 학습 시간을 갖는 수강생의 단말을 상기 강사 단말에 연결한다. 예를 들어, 수강생 연결 요청 수신부(210)는 강사 단말로부터 희망 학습 시간을 더 수신하고, 수강생 선택부(220)는 수강생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희망 학습 시간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의 평균 학습 시간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수강생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희망 학습 시간만큼 평균적으로 학습하였던 수강생을 선택한다. 평균 학습 시간은 수강생의 과거 학습 이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수강생의 입력에 의해 고정된 값으로 미리 저장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수강생을 선택할 때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의 응답률을 더 참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의 응답률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강생 단말에 발신되는 비정규 외국어 학습 요청에 대한 수강생의 수락 비율을 의미한다.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응답률이 높은 수강생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수강생을 선택할 때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의 과거 학습 이력을 참고하여, 강사 연결 요청을 전송한 강사와 과거에 함께 수업을 한 적이 있는 수강생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한 명의 수강생 만을 선택하여 학습 요청을 발신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수강생을 선택하여 복수의 학습 요청을 발신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단말과 강사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강생 선택부(220)는 수강생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학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복수의 수강생을 선택하고, 학습 요청 발신부(230)는 선택된 복수의 수강생의 단말로 학습 요청을 발신하고, 응답 수신부(240)는 학습 요청에 대하여 복수의 수강생 중 적어도 일 수강생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인터넷 전화 연결부(250)는 복수의 수강생 단말 중 가장 먼저 연결 수락의 응답을 전송한 수강생 단말과 강사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현재 학습 중인 수강생을 선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강생 선택부(220)는 수강생을 선택함에 있어서 현재 학습 중인 수강생은 선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수강생이 학습 중인가의 여부는, 수강생의 학습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데이터베이스(40)의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또는, 수강생이 학습 중인가의 여부는, 수강생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수강생 단말로 학습 요청을 발신하였을 때, 수강생 단말은 현재 학습 중임을 이유로 학습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는 수강생 정보 중 선호 학습 시각에서 정규 학습 시간을 제외함으로써, 학습 중인 수강생을 결과적으로 비정규 학습 선택 대상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강사 단말로부터 수강생 연결 요청을 수신할 때 희망하는 수강생의 수(예를 들어, 2명, 3명 등)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수강생 선택부(220)는 상기 수강생 수 만큼의 수강생을 선택하고, 학습 요청 발신부(230)는 각 수강생의 단말에 학습 요청을 발신하고, 응답 수신부(240)는 각 수강생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인터넷 전화 연결부(250)는 학습 요청을 수락한 수강생 단말을 강사 단말에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수강생으로부터 학습 거부의 응답이 수신되거나 일부 수강생이 무응답하는 경우,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희망 수강생의 수 만큼의 수강생이 연결될 때까지 다시 수강생을 선택하고 수강생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의 거주 지역 및/또는 시차 정보를 참고하여 수강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강사 단말로부터 수강생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과 수강생의 선호 학습 시각을 비교함에 있어서 수강생의 거주 지역 또는 시차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40)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 단말의 선호 학습 시각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수강생 단말(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강생 단말(30)의 단말 사용 패턴을 획득하고, 단말 사용 패턴으로부터 수강생의 자투리 시간을 인식하고, 자투리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의 선호 학습 시각을 갱신한다. 다른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수강생 단말(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강상 단말(30)의 위치 이동 패턴을 획득하고, 위치 이동 패턴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중인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을 추출하고, 상기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수강생의 자투리 시간으로 인식한다. 인식된 자투리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의 선호 학습 시각을 갱신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베이스(40)에는 복수의 수강생에 대한 수강생 식별 번호, 평균 학습 시간, 선호 학습 시각, 강사의 학습 요청에 대한 응답률, 과거 학습 이력(상대 강사 정보, 학습 날짜 등), 실력, 선호하는 학습 주제 중 하나 이상이 더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요청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지원 시스템(1) 및 도 2의 강사 단말 요청 처리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1에서 강사 단말(21)은 서비스 제공 서버(11)로 수강생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302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1)는 단계 301에서 수신된 수강생 연결 요청과 데이터베이스(40)를 참고하여, 현재 학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수강생을 선택한다. 단계 303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1)는, 단계 302에서 선택된 수강생 단말(31)로 학습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304에서 수강생 단말(31)은 학습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 응답의 내용은 학습 요청 수락, 또는 학습 요청 거절일 수 있다. 응답이 학습 요청 수락인 경우 단계 305로 진행하며, 단계 30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1)는 수강생 단말과 강사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인터넷 전화는 수강생 단말(31)과 강사 단말(21) 각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단계 304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단계 304에서 수신된 응답의 내용이 학습 거부의 내용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1)는 단계 302로 되돌아가서 수강생을 다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302 내지 304는 수강생 단말으로부터 학습 요청 수락의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단계 302 내지 304는 복수의 수강생 단말에 대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먼저 학습 요청 수락의 응답을 전송한 수강생 단말(31)에 대하여 강사 단말(21)과의 인터넷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수강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강사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강사를 선택하고, 선택된 강사의 단말과 수강생 단말을 매칭하여 두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강사 연결 요청 수신부(410), 강사 선택부(420), 강습 요청 발신부(430), 응답 수신부(440), 및 인터넷 전화 연결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고,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연결 요청 수신부(410)는 일 수강생 단말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선택부(420)는 상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강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강사를 선택한다. 상기 예측을 위하여 강사 선택부(42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 정보를 참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선택부(42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선호 강습 시각을 참고하여, 강사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과 각 강사의 선호 강습 시간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강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이 오후 3시인 경우, 오후 3시가 선호 학습 시간에 포함된 강사, 예컨대 오후 2-4시 또는 오후 2-5시의 선호 강습 시간을 갖는 강사를 선택할 수 있다. 선호 강습 시각은 강사의 근무 시간 중 정규 강습 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습 요청 발신부(430)는 상기 선택된 강사의 단말로 강습 요청을 발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답 수신부(440)는 상기 강습 요청에 대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 응답 수신부(440)의 처리 결과는 요청 수락, 요청 거부, 또는 무응답일 수 있다.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은 요청 수락의 응답이거나, 요청 거부의 응답일 수 있으며, 응답 수신부(440)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아무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무응답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연결부(450)는 상기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강생 단말과 상기 강사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연결부(450)는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요청 수락의 응답인 경우, 강사 단말과 수강생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거주 지역 및/또는 시차 정보를 참고하여 강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수강생 단말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과 강사의 선호 강습 시각을 비교함에 있어서 강사의 거주 지역 또는 시차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 거주하는 수강생 단말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이 오후 6시 30분인 경우, 강사 선택부(420)는 거주 지역이 필리핀(한국과의 시차 = -1시간)이고 선호 강습 시간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인 강사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수강생 단말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을 수신할 때 수강생의 희망 학습 시간(예를 들어, 10분, 20분 등)을 함께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평균 강습 시간을 참고하여 수강생의 희망 학습 시간과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평균 강습 시간을 갖는 강사의 단말을 상기 수강생 단말에 연결한다. 예를 들어, 강사 연결 요청 수신부(410)는 수강생 단말로부터 희망 학습 시간을 더 수신하고, 강사 선택부(420)는 강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수강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희망 학습 시간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평균 강습 시간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강사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희망 학습 시간만큼 평균적으로 강습하였던 강사를 선택한다. 평균 강습 시간은 강사의 과거 강습 이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강사의 입력에 의해 고정된 값으로 미리 저장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강사를 선택할 때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응답률을 더 참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응답률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강사 단말에 발신되는 비정규 학습 요청에 대한 강사의 수락 비율을 의미한다.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응답률이 높은 강사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강사를 선택할 때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과거 강습 이력을 참고하여, 과거에 함께 수업을 한 적이 있는 강사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한 명의 강사 만을 선택하여 강습 요청을 발신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강사를 선택하여 복수의 강습 요청을 발신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단말과 수강생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강사 선택부(420)는 강사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강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복수의 강사를 선택하고, 강습 요청 발신부(430)는 선택된 복수의 강사의 단말로 강습 요청을 발신하고, 응답 수신부(440)는 강습 요청에 대하여 복수의 강사 중 적어도 일 강사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인터넷 전화 연결부(450)는 복수의 강사 단말 중 가장 먼저 연결 수락의 응답을 전송한 강사 단말과 수강생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현재 강습 중인 강사를 선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강사 선택부(420)는 강사를 선택함에 있어서, 현재 강습 중인 강사는 선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강사가 강습 중인가의 여부는, 강사의 강습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또는, 강사가 강습 중인가의 여부는, 강사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강사 단말로 강습 요청을 발신하였을 때, 강사 단말은 현재 강습 중임을 이유로 강습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는 강사의 선호 학습 시각은 강사의 근무 시간 중 정규 강습 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선호 학습 시각을 참고하여 강사를 선택함에 따라, 강습 중인 강사는 비정규 학습 선택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선택된 강사로부터 강습 거부의 응답이 수신되거나 선택된 강사가 무응답하는 경우, 강사가 연결될 때까지 다시 강사를 선택하고 강사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는 데이터베이스(40)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 단말의 선호 강습 시각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강사 단말(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강사 단말(20)의 단말 사용 패턴을 획득하고, 단말 사용 패턴으로부터 강사의 자투리 시간을 인식하고, 자투리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선호 강습 시각을 갱신한다. 다른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강사 단말(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강사 단말(20)의 위치 이동 패턴을 획득하고, 위치 이동 패턴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중인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을 추출하고, 상기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강사의 자투리 시간으로 인식한다. 인식된 자투리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의 선호 강습 시각을 갱신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베이스(40)에는 복수의 강사에 대한 강사 식별 번호, 강사의 거주 지역(또는 시차 정보), 평균 강습 시간, 선호 강습 시각, 수강생의 학습 요청에 대한 응답률, 과거 학습 이력(상대 수강생 정보, 강습 날짜 등), 실력, 선호하는 강습 주제 중 하나 이상이 더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지원 시스템(1) 및 도 4의 수강생 단말 요청 처리 장치(4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1에서 수강생 단말(32)은 서비스 제공 서버(12)로 강사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502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단계 501에서 수신된 강사 연결 요청과 데이터베이스(40)를 참고하여, 현재 강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강사를 선택한다. 단계 503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계 502에서 선택된 강사 단말(22)로 강습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504에서 강사 단말(22)은 강습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 응답의 내용은 강습 요청 수락, 또는 강습 요청 거절일 수 있다. 응답이 강습 요청 수락인 경우 단계 505로 진행하며, 단계 50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는 수강생 단말과 강사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인터넷 전화는 수강생 단말(32)과 강사 단말(22) 각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단계 504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응답의 내용이 학습 거부의 내용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2)는 단계 502로 되돌아가서 강사를 다시 선택한다. 단계 502 내지 단계 504는 강사 단말로부터 학습 요청 수락의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단계 502 내지 단계 504는 복수의 강사 단말에 대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먼저 강습 요청 수락의 응답을 전송한 강사 단말(22)에 대하여 수강생 단말(32)과의 인터넷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600)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을 처리하는 장치(200), 수강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을 처리하는 장치(400)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과 수강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의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도 4의 서비스 제공 장치(400)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6의 서비스 제공 장치(600)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강사 단말(20)로부터 수강생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여 수강생을 연결해주고, 수강생 단말(30)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여 강사를 연결해준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연결 요청 수신부(610), 선택부(620), 요청 발신부(630), 응답 수신부(640), 인터넷 전화 연결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강사 단말(20)로부터 수강생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청을 처리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 요청 수신부(610)는 강사 단말(20)로부터 수강생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선택부(620)는 수강생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0)를 참고하여 상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학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수강생을 선택한다. 요청 발신부(630)는 선택된 수강생의 단말(30)로 학습 요청을 발신한다. 응답 수신부(640)는 학습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강생 단말(30)로부터 수신한다. 인터넷 전화 연결부(650)는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강사 단말(20)과 수강생 단말(30)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수강생 단말(30)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청을 처리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 요청 수신부(610)는 수강생 단말(30)로부터 강사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선택부(620)는 강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0)를 참고하여 상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강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강사를 선택한다. 요청 발신부(630)는 선택된 강사의 단말(20)로 강습 요청을 발신한다. 응답 수신부(640)는 강습 요청에 대하여 강사 단말(20)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 인터넷 전화 연결부(650)는 응답에 기초하여 강사 단말(20)과 수강생 단말(30) 간의 인터넷 전화 통화를 연결시킨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4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40)는 강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강사 정보 DB, 및 수강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수강생 정보 DB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7의 수강생 정보 DB에 저장된 수강생 정보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강생 정보는 각 수강생에 대한 수강생 식별번호, 평균 학습 시간, 선호 학습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강생 식별번호는 수강생의 계정 ID로 대체될 수 있다. 평균 학습 시간은 수강생의 학습 이력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강생의 학습이 종료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만, 평균 학습 시간은 전술한 것과 같이 수강생의 희망에 따라 고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선호 학습 시간은 수강생이 학습하고자 하는 시간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정된 값으로 기설정될 수도 있으나, 수강생의 단말 사용 패턴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강생 식별번호 001의 수강생의 경우, 단말 사용 패턴에 따라 출근 시간대(7:40-8:30) 및 퇴근 시간대(18:30-19:20)가 선호 학습 시간으로 설정되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호 학습 시간은 수강생의 정규 학습 시간과는 서로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항목이 수강생 정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강생 정보는 각 강사와의 기존 학습 이력, 예를 들어 학습을 수행한 상대 강사, 학습 시각, 총 학습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강생 정보는 강사로부터 비정규 학습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 이에 대한 응답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강생 정보는 수강생의 외국어 학습 레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강생 정보는 수강생의 선호 학습 주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호 학습 주제는 예컨대 일상, 학술, 토플, 취업 면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강생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강사 정보 DB에 저장된 강사 정보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강사 정보는 각 강사에 대한 강사 식별번호, 거주 지역, 연결 성공률, 평균 학습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강사 식별번호는 강사의 계정 ID로 대체될 수 있다. 강사의 거주 지역은 강사의 거주 지역의 시차 정보로 대체될 수 있다. 강사의 연결 성공률은 수강생으로부터 요청된 비정규 강습 요청에 대한 응답률을 의미한다. 평균 학습 시간은 강사의 강습 이력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의 강습이 종료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만, 평균 학습시간은 전술한 것과 같이 강사의 희망에 따라 고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항목이 강사 정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정보는 각 수강생과의 기존 학습 이력, 예를 들어 강습을 수행한 상대 수강생, 강습 시각, 총 강습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강사 정보는 강사의 강습 레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강사 정보는 강사의 선호 강습 주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호 강습 주제는 예컨대 일상, 학술, 토플, 취업 면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강사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외국어 학습 지원 시스템은 계정이 등록된 강사와 수강생 간에 정규 학습을 위한 인터넷 전화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정규 학습을 위해 강사와 수강생을 매칭하여 인터넷 전화를 제공할 수 있다. 비정규 학습은 강사 또는 수강생으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의해 개시될 수 있으며,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외국어 학습 지원 시스템은 상대 강사 또는 상대 수강생을 선택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강사와 수강생의 효율적인 시간 활용이 가능하며, 서로에게 잘 맞는 상대방을 적절히 선택해주므로 학습 성과의 증가도 기대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외국어 학습 지원 시스템
10, 11, 12, 200, 400, 600: 서비스 제공 서버
20, 21, 22: 강사 단말
30, 31, 32: 수강생 단말

Claims (11)

  1.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이, 수강생 단말의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강사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강사 단말의 위치 이동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이동 패턴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을 추출하고, 상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강사의 선호 강습 시각으로 실시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선호 강습 시각에서 상기 강사의 정규 강습 시간을 제외하는 단계;
    수강생 단말로부터 희망 학습 시간을 포함하는 강사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강사의 평균 강습 시간 및 상기 선호 강습 시각을 참고하여, 상기 희망 학습 시간과 각 강사의 상기 평균 강습 시간을 비교한 결과 및 상기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과 각 강사의 상기 선호 강습 시각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강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강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강사의 단말로 강습 요청을 발신하는 단계;
    상기 강습 요청에 대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강사 단말과 상기 수강생 단말 각각에 동시 접속 가능한 학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학습 인터페이스는 상기 강사 단말과 상기 수강생 단말 간의 인터넷 전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강사 단말과 상기 수강생 단말 간의 화상채팅, 이미지 공유, 메시지 전송, 화면 공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균 강습 시간은 상기 강사의 강습 이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강사 단말의 입력에 의해 고정된 값으로 미리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수강생의 강습 요청에 대한 강사의 응답률, 상기 강사의 거주 지역 및 시차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요청이 발송된 지역과 각 강사의 거주 지역 간의 시차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연결 요청이 수신된 시각에 강습 가능하다고 예측되는 강사를 선택하고, 상기 응답률이 높은 강사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수강생 단말의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140119353A 2014-09-05 2014-09-05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1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9353A KR101510867B1 (ko) 2014-09-05 2014-09-05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9353A KR101510867B1 (ko) 2014-09-05 2014-09-05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67B1 true KR101510867B1 (ko) 2015-04-10

Family

ID=5303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9353A KR101510867B1 (ko) 2014-09-05 2014-09-05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141B1 (ko) * 2016-01-13 2016-08-30 정용호 한자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포함된 학습 교재
KR102608303B1 (ko) * 2022-07-21 2023-11-29 한경훈 한국어 교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960A (ko) * 2000-07-06 2000-10-05 박일호 인터넷을 이용한 회화강습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120017390A (ko) * 2010-08-18 2012-02-28 병무 김 교육 제공 방법 및 교육 제공 서버
KR20130124799A (ko) * 2012-05-07 2013-11-15 고일권 스마트 단말에서의 진화형 가상 비서 서비스 시스템
JP2014106795A (ja) * 2012-11-28 2014-06-09 Alue Kk レッスン提供システム、レッスン提供方法およびレッスン提供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960A (ko) * 2000-07-06 2000-10-05 박일호 인터넷을 이용한 회화강습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120017390A (ko) * 2010-08-18 2012-02-28 병무 김 교육 제공 방법 및 교육 제공 서버
KR20130124799A (ko) * 2012-05-07 2013-11-15 고일권 스마트 단말에서의 진화형 가상 비서 서비스 시스템
JP2014106795A (ja) * 2012-11-28 2014-06-09 Alue Kk レッスン提供システム、レッスン提供方法およびレッスン提供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141B1 (ko) * 2016-01-13 2016-08-30 정용호 한자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포함된 학습 교재
KR102608303B1 (ko) * 2022-07-21 2023-11-29 한경훈 한국어 교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5757A1 (en) Web-based interactiv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20070298401A1 (en)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Using Remote Communication Devices
CN103473297A (zh) 一种基于智能移动终端的多媒体问答系统和方法
US200301862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utilizing peer-to-peer matching in an online virtual community
KR20190062169A (ko) 실시간 양방향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90578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设备和视频会议系统
KR101510867B1 (ko)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10866B1 (ko)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17473B1 (ko) 공지의 화상통화시스템의 기능을 활용하여 원격강의를 제공하는 원격교육 시스템
KR20190130792A (ko) 강사와 수강생 간의 외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KR20200117474A (ko) 지능형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190011540A (ko) 모바일 외국어 학습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서비스 운영 방법
KR101562012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군사 교육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738882A (zh) 一种在线教学显示控制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30042843A (ko)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에 따른 구성원 역량 관리 시스템
CN107025813B (zh) 基于即时通讯工具的在线教育方法和系统
KR20010108694A (ko)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
CN108831201A (zh) 安全科普咨询系统
KR20130012652A (ko) 온라인 원격 강의 제어 시스템 및 온라인 원격 강의 제어 방법
KR20140117170A (ko)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109510A (ko) 자동 생성 스케줄로 관리되는 복수의 멘토에 의한 전화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38145A (ko) 회의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3650A (ko) 사용자 맞춤형 강의 제공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70085787A (ko) 디바이스간 거리 기반 자동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Wang et al. Embedding virtual meeting technology in classrooms: Two case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