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737B1 - 청소노즐 조립체 - Google Patents
청소노즐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9737B1 KR101509737B1 KR20140145706A KR20140145706A KR101509737B1 KR 101509737 B1 KR101509737 B1 KR 101509737B1 KR 20140145706 A KR20140145706 A KR 20140145706A KR 20140145706 A KR20140145706 A KR 20140145706A KR 101509737 B1 KR101509737 B1 KR 1015097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lower case
- case
- upper case
- foreign mat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과 공기가 유입 안내되도록 메인유입구와 하부서브유입구를 형성하고 메인유입구와 하부서브유입구를 구획하는 격벽에 연결홀을 통공하며 상측으로 개방되는 하부케이스, 이 하부케이스의 개방된 상측을 막도록 하부케이스에 조립되고 하부서브유입구와 일치되도록 상부서브유입구를 통공하는 상부케이스, 및 이 연결홀을 개폐시키며 이물질과 공기가 하부서브유입구와 상부서브유입구를 통해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설정하는 유입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청소노즐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구를 가변시킴으로써 넓은 부위의 먼지 흡입과 집중적 먼지 흡입이 가능할 수 있고, 청소노즐의 바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며, 청소 중 청소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청소노즐에 구비되는 이송관을 들어 올릴 때 청소노즐이 바닥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청소노즐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구를 가변시킴으로써 넓은 부위의 먼지 흡입과 집중적 먼지 흡입이 가능할 수 있고, 청소노즐의 바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며, 청소 중 청소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청소노즐에 구비되는 이송관을 들어 올릴 때 청소노즐이 바닥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노즐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구를 가변시킴으로써 넓은 부위의 먼지 흡입과 집중적 먼지 흡입이 가능할 수 있고, 청소노즐의 바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며, 청소 중 청소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청소노즐에 구비되는 이송관을 들어 올릴 때 청소노즐이 바닥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청소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에 진공발생용 모터와 봉투형의 필터를 설치하고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공력에 의하여 오니가 청소기의 본체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 유입되는 오니를 필터로 필터링하여 오물은 청소기 본체에 있도록 하고 필터를 통과한 오니와 공기만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통상 바닥을 청소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정소기는 크게 바닥의 먼지가 흡입하는 흡입노즐이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처에 따라 용도에 맞는 흡입노즐로 교체할 수 있는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과 흡입노즐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타입(Upright type)으로 구분된다.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수거된 먼지가 집진되는 본체와, 바닥에 접촉되어 이동되면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과, 이 흡입노즐을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물건이나 바닥의 형태, 재질 등에 따라 흡입노즐을 교체할 수 있고 흡입력이 강하여 업라이트 타입보다 그 사용범위가 넓다.
또한,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흡입노즐과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이동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비교적 간단한 청소를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진공청소기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114132호(발명의 명칭: 진공청소기 흡입관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의 바퀴가 사출물로 제작되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사출물끼리인 바디와 바퀴의 마찰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진공청소기는 카페트나 침구류 등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전브러쉬 타입 흡입노즐을 이용하여 청소할 때, 피청소면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흡입노즐이 피청소면과 지나치게 밀착됨으로써, 청소노즐을 이동시키는데 지나치게 힘이 들고, 피청소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청소노즐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구를 가변시킴으로써 넓은 부위의 먼지 흡입과 집중적 먼지 흡입이 선택 가능할 뿐만 아니라 흡입력을 조절하여 피청소면의 손상을 방지한 채 공기와 이물질만을 충분히 흡입하도록 하기 위한 청소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소노즐의 바퀴에 베어링을 구비함으로써 바퀴의 회전시 청소노즐의 케이스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바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청소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청소 중 청소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청소노즐에 구비되는 이송관을 사용 상태와 세워 놓은 상태에서 청소노즐에 구속되도록 하여 사용 중에 들어 올릴 때 청소노즐이 바닥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송관이 세워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는: 이물질과 공기가 유입 안내되도록 메인유입구와 하부서브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유입구와 상기 하부서브유입구를 구획하는 격벽에 연결홀을 통공하며, 상측으로 개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방된 상측을 막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하부서브유입구와 일치되도록 상부서브유입구를 통공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연결홀을 개폐시키며 이물질과 공기가 상기 하부서브유입구와 상기 상부서브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설정하는 유입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측부위를 일측에서 지지하여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가이드벽부의 타측면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도록 이송지지편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유입구는 브러쉬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는 열변형을 방지 또는 줄이기 위해 나무 재질의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모부재는 이물질을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의 설정 부위로 모을 수 있도록 상기 회전봉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서 설정 부위측으로 갈수록 나선 궤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 또는 상기 상부케이스는 양측으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 각각은 바퀴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퀴부재는, 상기 리브 각각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 상기 베어링부재에 구비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의 둘레면을 감싸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는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이송 안내하고, 이송관을 연결하는 이송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관은 제 1구속부에 의해 들려지는 상기 하부케이스가 회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속부는, 상기 이송덕트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 1요입홈부; 및 상기 이송관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해당되는 상기 제 1요입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이송관에 대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1수용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는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이송 안내하고, 이송관을 연결하는 이송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덕트는 상기 이송관을 연결하여 세울 수 있도록 커넥터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이송관은 제 2구속부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상기 상부케이스에 대해 회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속부는, 상기 이송관이 세워진 상태로 접하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함몰 형성되는 제 2요입홈부; 및 상기 이송관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해당되는 상기 제 2요입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스에 대해 상기 이송관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2수용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스는 손잡이를 회동되며 돌출 방지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서브유입구와 일치되는 상부서브유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는 종래 기술과 달리 청소노즐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구를 가변시킴으로써 넓은 부위의 먼지 흡입과 집중적 먼지 흡입이 선택 가능할 뿐만 아니라 흡입력을 조절하여 피청소면의 손상을 방지한 채 공기와 이물질만을 충분히 흡입하도록 하기 위한 청소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카패트나 이불 등 푹신한 바닥면의 청소시 흡입력을 조절함으로써 노즐이 지나치게 바닥면에 밀착되어 노즐이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소노즐의 바퀴에 베어링을 구비함으로써 바퀴의 회전시 청소노즐의 케이스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바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청소 중 청소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청소노즐에 구비되는 이송관을 사용 상태와 세워 놓은 상태에서 청소노즐에 구속되도록 하여 사용 중에 들어 올릴 때 청소노즐이 바닥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이송관이 세워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하부케이스에 장착된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유입설정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의 바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에 이송관이 구속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에 이송관이 구속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에 이송관이 구속된 상태를 보인 청소노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하부케이스에 장착된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유입설정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의 바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에 이송관이 구속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에 이송관이 구속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에 이송관이 구속된 상태를 보인 청소노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하부케이스에 장착된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의 유입설정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의 바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에 이송관이 구속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에 이송관이 구속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저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에 이송관이 구속된 상태를 보인 청소노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는 더스트컨테이너(200), 작동부(300), 청소노즐 조립체(400) 및 청소호스(500)를 포함한다.
더스트컨테이너(200)는 일측에 흡입구(210)를 구비하여 강제 흐름이 발생되며 유입되는 공기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더스트컨테이너(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더스트컨테이너(200)는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캐리어(220)에 장착된다. 캐리어(220)는 복수 개의 롤러(222)를 구비한다. 캐리어(22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더스트컨테이너(200)는 타측에 작동부(300)를 구비한다. 작동부(300)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발생시킴에 따라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구(210)를 통해 더스트컨테이너(200)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배기되도록 한다.
아울러, 청소노즐 조립체(400)는 작동부(300)의 작동으로 바닥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청소호스(500)는 더스트컨테이너(200)와 청소노즐 조립체(400)를 연결하여 청소노즐 조립체(400)로 흡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더스트컨테이너(200)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2, 도 3 및 도 4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청소노즐 조립체(400)는 하부케이스(410), 상부케이스(420) 및 유입설정부(43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410)는 바닥에 접하거나 바닥에 근접된 상태로 이물질과 공기를 유입 안내하기 위해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를 형성한다. 즉, 이물질과 공기는 메인유입구(412)로도 유입되고, 하부서브유입구(414)로도 유입된다. 다시 말해서, 바닥의 먼지 뿐만 아니라, 청소노즐 조립체(400)의 상부에 부유하고 있는 확대된 영역의 이물질과 공기가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를 통해 동시에 하부케이스(41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이물질 제거 속도가 향상된다.
이때,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는 하부케이스(410)의 내측에서 격벽(416)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격벽(416)은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를 연결하는 연결홀(418)을 통공한다. 이때, 연결홀(418)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하부케이스(410)의 하부 전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그래서, 하부케이스(410)가 전진하면서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하부케이스(410)는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유입설정부(430)와 회전모터(455) 및 브러쉬(450) 등을 용이하게 조립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하부케이스(410)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부케이스(420)는 하부케이스(410)의 개방된 상측을 막아 하부케이스(410)에 조립된 유입설정부(430)와 회전모터(455) 및 브러쉬(45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부케이스(420)는 하부서브유입구(414)와 일치되도록 상부서브유입구(421)를 통공할 수 있다. 그래서, 이물질과 외기는 하부서브유입구(414)와 상부서브유입구(421)를 통해 상부케이스(420)와 하부케이스(410) 내부로 단시간에 많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부서브유입구(421)는 하부케이스(410) 주변에 부유하는 이물질의 흡입과 이불, 카패트 등 푹신한 바닥면 청소시 피청소면이 흡입되거나, 지나치게 하부케이스(410) 바닥면과 밀착됨으로써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가 막혀 공기의 흐름이 차단됨에 따른 이물질의 유입이 어려운 것을 예방하기 위해,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의 흡입력을 분산시켜 이물질만을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부케이스(420)와 하부케이스(410)는 볼팅이나 후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상부케이스(420)는 회전모터(455)의 작동을 표시하고, 하부케이스(410)의 전방측 바닥면에 빛을 조사하여 어두운 조건에서도 이물질을 발견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엘이디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청소노즐 조립체(400)를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420)는 손잡이(4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422)는 상부케이스(4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케이스(420)에 매립된 채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420)는 상측면에 함몰된 매립홈(424)을 형성한다. 그리고, 손잡이(422)는 양측이 매립홈(424)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손잡이(422)는 미사용시 매립홈(424)에 매립되어 노출 방지되고, 회동되어 세워짐으로써 사용 상태가 된다. 물론, 손잡이(42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유입설정부(430)는 연결홀(418)을 개폐시키면서 이물질과 공기가 하부서브유입구(414)와 상부서브유입구(421)를 통해 하부케이스(4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물질이 상부케이스(420) 하부에서 국부적으로 집중 흡입이 필요할 경우, 이물질과 공기는 메인유입구(412)로만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이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흡입이 필요할 경우, 이물질과 공기는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 및 상부서브유입구(421)로 동시에 흡입될 수 있다. 여기서, 집중 흡입이 필요한 경우는 털이 있는 매트리스나 융단, 카페트 등에서 이물질을 흡입할 때이다.
이에 따라, 유입설정부(430)는 연결홀(418)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유입설정부(430)는 플레이트부재(432), 조작노브(434) 및 스위치노브(436)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서처럼, 플레이트부재(432)는 격벽(416)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부재(432)는 연결홀(418)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된다. 그래서, 플레이트부재(432)가 격벽(416)을 따라 왕복 이동됨에 따라, 연결홀(418)이 개방홀(433)과 일치시 연결홀(418)이 개방하거나, 또는 플레이트부재(432)가 연결홀(418)을 막는다. 물론, 플레이트부재(43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조작노브(434)는 플레이트부재(432)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스위치노브(436)는 상부케이스(420)에 조립되어 조작노브(434)를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스위치노브(436)는 상부케이스(420)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조작노브(434)를 연결한다. 따라서, 스위치노브(436)가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이동시, 연결홀(418)은 플레이트부재(432)에 의해 막히거나 또는 개방홀(433)과 일치되어 개방된다. 물론, 조작노브(434)와 스위치노브(436)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플레이트부재(432)는 스위치노브(436)의 조작시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즉, 하부케이스(410)의 격벽(416) 상측에 해당되는 상부케이스(420)의 내측에는 가이드벽부(442)가 형성된다. 가이드벽부(442)는 플레이트부재(432)의 측부위를 일측에서 지지한 채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한다.
아울러, 조작노브(434)는 격벽(416)에 지지된 채 격벽(416)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조작노브(434)는 가이드벽부(442)의 타측면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도록 이송지지편부재(44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송지지편부재(444)는 격벽(416)의 타측면과 가이드벽부(442)의 타측면에 접한 채 이동된다. 그래서, 플레이트부재(432)는 격벽(416)의 일측면과 가이드벽부(442)의 일측면에 접한 채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인유입구(412)에는 브러쉬(45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브러쉬(450)가 회전되며 바닥의 이물질을 쓸어서 하부케이스(410)와 상부케이스(420)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팬모터부재(320)의 가동으로 인해, 공기가 메인유입구(412)를 통해 하부케이스(410)와 상부케이스(420) 내부로 강제 유입됨으로써, 브러쉬(450)에 의해 쓸려진 이물질은 강제로 하부케이스(410)와 상부케이스(420) 내부로 흡입된다.
특히, 하부케이스(410)는 메인유입구(412)와 하부서브유입구(414) 및 상부서브유입구(421)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을 설정된 부위로 이송 안내하기 위해 하부구획벽(419)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420)는 하부구획벽(419)과 일치되게 상부구획벽(429)을 구비한다. 편의상, 하부케이스(410)는 후측에 하부개방구(413)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상부케이스(420)는 후측에 상부개방구(423)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래서, 공기와 이물질은 상부구획벽(429)과 하부구획벽(419)을 따라 하부개방구(413)와 상부개방구(423)로 이송된다. 이때, 하부구획벽(419)과 상부구획벽(429)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상부개방구(423)와 하부개방구(41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브러쉬(450)는 회전모터(45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메인유입구(412)의 내측 양측에 연결된다.
특히, 회전모터(455)의 구동력은 동력전달부재(456)에 의해 브러쉬(450)에 전달된다. 편의상, 동력전달부재(456)는 벨트로 도시한다.
여기서, 브러쉬(450)는 회전봉(452) 및 모부재(454)를 포함한다.
회전봉(452)은 열변형을 방지 또는 줄이기 위해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모부재(454)는 회전봉(452)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하부케이스(410)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에서처럼, 모부재(454)는 이물질을 하부케이스(410) 내부의 설정 부위 즉, 하부개방구(413)와 상부개방구(423) 측으로 모을 수 있도록 회전봉(452)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부개방구(413)와 상부개방구(423) 측으로 갈수록 나선 궤적을 형성한다. 즉, 모부재(454)가 회전봉(452)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축 방향을 따라 하부개방구(413) 측까지 시계방향 궤적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봉(452)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축 방향을 따라 하부개방구(413) 측까지 반시계방향 궤적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하부개방구(413) 측'은 하부개방구(413)에서 회전봉(452)에 수직되는 임의의 직선이 회전봉(452)에 접하는 부위를 말한다.
또한, 하부케이스(410) 또는 상부케이스(420)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퀴부재(464)를 구비한다. 편의상, 바퀴부재(464)는 하부케이스(410)의 양쪽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구름 접촉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하부케이스(410)는 양측으로 리브(462)를 구비하고, 리브(462) 각각은 바퀴부재(464)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리브(46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하부케이스(41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도 8에서처럼, 바퀴부재(464)는 베어링부재(465), 롤러부재(467) 및 완충부재(469)를 포함한다.
베어링부재(465)는 리브(462) 각각을 축 삽입한다. 편의상, 베어링부재(465)는 볼베어링으로 한다.
그리고, 롤러부재(467)는 베어링부재(465) 각각을 축 삽입한다. 이때, 롤러부재(467)는 바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롤러부재(467)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469)는 롤러부재(467) 각각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완충부재(469)는 완충력을 갖는 고무 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부재(465)가 리브(462)에 조립되고, 롤러부재(467)가 베어링부재(465)에 조립됨으로써, 롤러부재(467)가 직접적으로 리브(462)에 조립되는 방식 대비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롤러부재(467)가 완충부재(469)를 구비함으로써, 롤러부재(467)가 직접 바닥에 접할 때보다 소음이 현저하게 저감된다.
특히, 하부케이스(410)와 상부케이스(420)는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이송 안내하기 위해 하부구획벽(419)과 상부구획벽(429)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개방구(413)에 인접한 하부케이스(410)의 내부, 또는 상부개방구(423)에 인접한 상부케이스(420)의 내부에는 이송덕트(472)가 구비된다. 물론, 이송덕트(472)는 하부구획벽(419) 또는 상부구획벽(429)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편의상, 이송덕트(472)는 하부개방구(413)와 하부구획벽(419)을 잇도록 하부케이스(410)에 고정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래서, 이송덕트(472)는 공기와 이물질의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송덕트(472)는 커넥터(474)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때, 커넥터(474)는 양측으로 개방되어 공기와 이물질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하부케이스(4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은 커넥터(474)의 타측으로 유입된 후 일측으로 토출된다.
특히, 커넥터(474)의 일측에는 이송관(476)이 연결된다. 이송관(476)에는 청소호스(500)가 접속된다.
한편, 하부케이스(410)는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회전모터(455)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송관(476)이나 청소호스(500)를 들고 이동시, 하부케이스(410)는 이송관(476)의 원주 방향으로 편심 회전되려고 한다. 이에 따라, 이송관(476)은 제 1구속부(480)에 의해 들려지는 하부케이스(41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처럼, 제 1구속부(480)는 제 1요입홈부(482) 및 제 1수용돌부(484)를 포함한다.
제 1요입홈부(482)는 이송덕트(472)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 1요입홈부(482)는 이송덕트(472)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수용돌부(484)는 이송관(476)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해당되는 제 1요입홈부(482)에 수용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이송관(476)을 들고 이동시, 하부케이스(410)는 중심이 편심되더라도 이송관(476)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된다. 즉, 하부케이스(410)는 들려지더라도 바닥에 대해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하부케이스(410)가 편심 회전됨에 따른 사용상 불편함이 방지된다.
또한, 청소노즐 조립체(400)가 미사용시, 이송관(476)은 하부케이스(410)에 대해 세워서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관(476)은 커넥터(474)와 함께 회동되어 세워진다. 특히, 이송관(476)은 세워진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청소호스(500)의 핸들(530) 방향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이송관(476)은 제 2구속부(490)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11에서처럼, 제 2구속부(490)는 제 2요입홈부(492) 및 제 2수용돌부(494)를 포함한다.
제 2요입홈부(492)는 이송관(476)이 세워진 상태로 접하는 상부케이스(420)의 상부개방구(423) 내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 2요입홈부(492)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제 2수용돌부(494)는 이송관(476)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해당되는 제 2요입홈부(492)에 수용된다. 그래서, 이송관(476)은 상부케이스(420)에 결속되어 원주 방향으로 임의 회전 방지된다.
특히, 제 2수용돌부(494)가 제 2요입홈부(492)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별도의 위치설정유지부(495)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설정유지부(495)는 브라켓(496), 탄성편(497), 위치설정돌부(498) 및 스토퍼(499)를 포함한다.
브라켓(496)은 이송덕트(472)에 장착된 커넥터(474)의 양측 중심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중심에 대응되게 하부케이스(410)에 고정 설치된다. 브라켓(49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편(497)은 브라켓(496)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브라켓(496)에 대해 벌어지도록 구비된다. 물론, 탄성편(497)은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아울러, 위치설정돌부(498)는 탄성편(497)의 하측, 즉 탄성편(497)의 브라켓(496)을 향하는 부위에 유격된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위치설정돌부(498)는 호 궤적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설정돌부(498)에 인접되는 커넥터(474)의 중심축 둘레면에는 스토퍼(499)가 돌출 형성된다. 즉, 커넥터(474)와 스토퍼(499)가 회전되며 위치설정돌부(498)를 밀어 올리게 되면, 탄성편(497)은 탄성적으로 벌어진다. 이 후, 스토퍼(499)가 한 쌍의 위치설정돌부(498)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편(497)은 탄성 복원된다. 즉, 스토퍼(499)가 한 쌍의 위치설정돌부(498) 사이에 위치되어 임의 회전 방지됨에 따라, 커넥터(474)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강제로 커넥터(47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토퍼(499)는 탄성편(497)을 들어 올리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진공청소기 200: 더스트컨테이너
210: 흡입구 220: 캐리어
400: 청소노즐 조립체 410: 하부케이스
420: 상부케이스 430: 유입설정부
432: 플레이트부재 433: 개방홀
434: 조작노브 436: 스위치노브
450: 브러쉬 455: 회전모터
464: 바퀴부재 465: 베어링부재
472: 이송덕트 474: 커넥터
476: 이송관 480: 제 1구속부
490: 제 2구속부 500: 청소호스
210: 흡입구 220: 캐리어
400: 청소노즐 조립체 410: 하부케이스
420: 상부케이스 430: 유입설정부
432: 플레이트부재 433: 개방홀
434: 조작노브 436: 스위치노브
450: 브러쉬 455: 회전모터
464: 바퀴부재 465: 베어링부재
472: 이송덕트 474: 커넥터
476: 이송관 480: 제 1구속부
490: 제 2구속부 500: 청소호스
Claims (11)
- 이물질과 공기가 유입 안내되도록 메인유입구와 하부서브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유입구와 상기 하부서브유입구를 구획하는 격벽에 연결홀을 통공하며, 상측으로 개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방된 상측을 막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하부서브유입구와 일치되도록 상부서브유입구를 통공하는 상부케이스; 및
이물질의 흡입 영역에 따라, 상기 연결홀을 개폐시키며 이물질과 공기가 상기 하부서브유입구와 상기 상부서브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설정하는 유입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서브유입구는 상기 메인유입구와 상기 하부서브유입구의 흡입력을 분산시켜 이물질의 흡입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설정부는,
상기 격벽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상기 연결홀을 개폐시키도록 개방홀을 갖는 플레이트부재;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조작노브; 및
상기 연결홀의 개폐를 위해 상기 조작노브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장착되는 스위치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측부위를 일측에서 지지하여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가이드벽부의 타측면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도록 이송지지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입구는 브러쉬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브러쉬는 열변형을 방지 또는 줄이기 위해 나무 재질의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부재는 이물질을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의 설정 부위로 모을 수 있도록 상기 회전봉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서 설정 부위측으로 갈수록 나선 궤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또는 상기 상부케이스는 양측으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 각각은 바퀴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며,
상기 바퀴부재는, 상기 리브 각각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
상기 베어링부재에 구비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의 둘레면을 감싸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는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이송 안내하고, 이송관을 연결하는 이송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관은 제 1구속부에 의해 들려지는 상기 하부케이스가 회전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속부는,
상기 이송덕트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 1요입홈부; 및
상기 이송관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해당되는 상기 제 1요입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이송관에 대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1수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는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이송 안내하고, 이송관을 연결하는 이송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덕트는 상기 이송관을 연결하여 세울 수 있도록 커넥터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이송관은 제 2구속부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상기 상부케이스에 대해 회전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속부는,
상기 이송관이 세워진 상태로 접하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함몰 형성되는 제 2요입홈부; 및
상기 이송관의 둘레면에 돌출되어 해당되는 상기 제 2요입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스에 대해 상기 이송관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 2수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손잡이를 회동되며 돌출 방지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노즐 조립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45706A KR101509737B1 (ko) | 2014-10-27 | 2014-10-27 | 청소노즐 조립체 |
US14/924,443 US20160113458A1 (en) | 2014-10-27 | 2015-10-27 | Cleaning nozzl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45706A KR101509737B1 (ko) | 2014-10-27 | 2014-10-27 | 청소노즐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9737B1 true KR101509737B1 (ko) | 2015-04-07 |
Family
ID=5303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45706A KR101509737B1 (ko) | 2014-10-27 | 2014-10-27 | 청소노즐 조립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113458A1 (ko) |
KR (1) | KR10150973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52503A (zh) * | 2016-01-27 | 2019-01-04 | 中国制造和经纪有限公司 | 用于在地毯表面上操作的具有选择性引入的二次空气流的真空吸尘器动力管嘴 |
WO2021167361A1 (ko) * | 2020-02-18 | 2021-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및 청소기의 제어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781013S1 (en) * | 2015-05-18 | 2017-03-07 | Sharkninja Operating Llc | Vacuum cleaner head cover |
USD788393S1 (en) * | 2015-05-18 | 2017-05-30 | Sharkninja Operating Llc | Vacuum cleaner head |
KR20170123059A (ko) * | 2016-04-28 | 2017-1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진공청소기 |
WO2018032615A1 (zh) * | 2016-08-15 | 2018-02-22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吸尘器地刷和吸尘器 |
WO2018032616A1 (zh) | 2016-08-15 | 2018-02-22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吸尘器地刷和具有其的吸尘器 |
GB2562524B (en) | 2017-05-18 | 2019-10-02 | Dyson Technology Ltd | Suction nozzle |
JP7012480B2 (ja) * | 2017-08-01 | 2022-02-14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
DE102018122352A1 (de) * | 2018-09-13 | 2020-03-19 | Miele & Cie. Kg | Bodendüse mit einer Radanordnung, Staubsauger mit einer Bodendü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odendüs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2939A (ja) | 2000-04-12 | 2001-10-23 | Tadayuki Sato | 吸い込み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
JP2004000546A (ja) | 2002-04-08 | 2004-01-08 | Royal Appliance Mfg Co | 内部駆動型攪拌機及びこれを備えた掃除機 |
KR20050022079A (ko) * | 2003-08-26 | 2005-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체 |
JP2011050515A (ja) | 2009-08-31 | 2011-03-17 | Toshiba Corp | 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67586B1 (en) * | 1995-11-06 | 2001-01-02 | Bissell Homecare, Inc. | Upright water extraction cleaning machine with improved tank structure |
ES2217085T3 (es) * | 2000-01-28 | 2004-11-01 | New Ermes Europe S.P.A. | Dispositivo para la eliminacion de polvo de suciedad. |
US20090056069A1 (en) * | 2005-07-12 | 2009-03-05 | Bissell Homecare, Inc. | Vacuum Cleaner Base with Nozzle Height Adjustment |
CA2674763A1 (en) * | 2009-07-30 | 2011-01-30 | G.B.D. Corp.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US20120017936A1 (en) * | 2010-07-22 | 2012-01-26 | Dant Ryan T | Agitator bristle tufting design |
GB2494446B (en) * | 2011-09-09 | 2013-12-18 | Dyson Technology Ltd | Autonomous cleaning appliance |
-
2014
- 2014-10-27 KR KR20140145706A patent/KR1015097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10-27 US US14/924,443 patent/US20160113458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2939A (ja) | 2000-04-12 | 2001-10-23 | Tadayuki Sato | 吸い込み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
JP2004000546A (ja) | 2002-04-08 | 2004-01-08 | Royal Appliance Mfg Co | 内部駆動型攪拌機及びこれを備えた掃除機 |
KR20050022079A (ko) * | 2003-08-26 | 2005-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체 |
JP2011050515A (ja) | 2009-08-31 | 2011-03-17 | Toshiba Corp | 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52503A (zh) * | 2016-01-27 | 2019-01-04 | 中国制造和经纪有限公司 | 用于在地毯表面上操作的具有选择性引入的二次空气流的真空吸尘器动力管嘴 |
WO2021167361A1 (ko) * | 2020-02-18 | 2021-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및 청소기의 제어방법 |
TWI820392B (zh) * | 2020-02-18 | 2023-11-01 |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 清掃機及其控制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113458A1 (en) | 2016-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9737B1 (ko) | 청소노즐 조립체 | |
US11291343B2 (en) |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 |
ES2819883T3 (es) | Cabezal limpiador | |
CN106455891B (zh) | 抽吸式清洁机 | |
KR100662642B1 (ko) |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 |
US7788765B2 (en) | Air recirculating surface cleaning device | |
US20130145577A1 (en) | Vacuum cleaner floor seal | |
BRPI0720239A2 (pt) | Dispositivo para limpeza de assoalho seco/úmido | |
KR101509738B1 (ko) |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 |
CN105916424A (zh) | 真空吸尘器头 | |
CN103188981A (zh) | 用于将抽吸式清洗机从地面清洗切换到软管清洗的转换机构 | |
CN105979842A (zh) | 抽取器清洗机 | |
KR101217366B1 (ko) | 로봇청소기 | |
US20060042041A1 (en) | Vacuum cleaner and suction nozzle structure thereof | |
KR102015320B1 (ko) | 청소기 | |
JP2022092039A (ja) |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 |
KR20070109390A (ko) |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 |
KR101253385B1 (ko)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
KR20140144879A (ko) | 진공 청소기 | |
KR200359525Y1 (ko) |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 | |
KR101223324B1 (ko) |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높이 조절 구조 | |
KR101055961B1 (ko) | 진공 청소기의 노즐 | |
JP2018199117A (ja) | 乾式マット清掃装置 | |
CN109091061B (zh) | 电动吸尘器 | |
RU2647234C2 (ru) | Насадочное всас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истящего аппарата и чистящий аппарат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