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390A -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390A
KR20070109390A KR1020060042272A KR20060042272A KR20070109390A KR 20070109390 A KR20070109390 A KR 20070109390A KR 1020060042272 A KR1020060042272 A KR 1020060042272A KR 20060042272 A KR20060042272 A KR 20060042272A KR 20070109390 A KR20070109390 A KR 20070109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suction nozzle
vacuum cleaner
rota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황만태
정회길
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9390A/ko
Publication of KR2007010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침구류 등에 붙어 있는 먼지를 털어내어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은 저면에 먼지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변환된 직선 운동에 의해서 상하 요동되는 요동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하면,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이 연결 부재에 의해서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요동 부재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요동 부재에 의해서 침구류 등에 부착된 먼지가 상기 침구류 등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침구류 등의 청소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흡입 노즐, 요동 부재, 회전 부재, 침구류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흡입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 1 회전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 2 회전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I-I'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상기 흡입 노즐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입 노즐 100 : 노즐 바디
120 : 회전 부재 150 : 회전봉
160 : 연결 부재 180 : 요동 부재
200 : 상부 커버 300 : 하부 커버
400 : 흡입 파이프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침구류 등 에 붙어 있는 먼지를 털어내어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진공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크게 피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노즐부가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노즐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캐니스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이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피청소면의 먼지 등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본체와 흡입 노즐을 흡입하는 연결 호스 및 연장관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되는 구성을 이루는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청소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연결 호스 및 연장관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이물질이 분리되어, 분리된 이물은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저장되고, 이물이 분리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의하면, 단순히 방바닥과 같은 평면적인 부분에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불 등의 침구류를 청소하기에는 불충분한 면이 있었다.
즉, 이불 등의 침구에서는 먼지 등이 침구의 표면에 붙어 있는 상태이고, 흡입 노즐의 흡입력에 의하여 침구류가 흡입 노즐의 흡입구 측에 흡착되기 때문에 침구류의 청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 위치에서 청소 작업을 수회 반복하거나, 침구류를 일일이 흔들거나 바닥면에 털어낸 다음 흡입 노즐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여야 함으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침구류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을 털어냄과 동시에 이들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침구류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침구류가 흡입구 측에 흡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은 저면에 먼지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변환된 직선 운동에 의해서 상하 요동되는 요동 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은 저면에 먼지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있어서, 상기 먼지 흡입구 측에는 상하 직선 운동되는 요동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 직선 운동은 외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부재의 회전력이 연결 부재에 의해서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요동 부재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요동 부재에 의해서 침구류 등에 부착된 먼지가 상기 침구류 등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침구류 등의 청소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흡입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흡입 노즐(10)은 노즐 바디(100)와, 상기 노즐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200)와, 상기 노즐 바디(100)의 하측에 결합되어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300)에 의해서 전체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바디(100)에는 청소기 본체(미도시)의 연결 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가 청소기 본체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 파이프(400)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 노즐(10)은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부재(120)와, 상기 회전 부재(120)의 중앙부에 관통 결합되는 회전봉(150)과, 상기 회전 부재(120)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 운동을 상하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연결 부재(160)와, 상기 연결 부재(160)와 결합되며, 하측에 침구류 등에 부착된 이물을 털어내는 먼지털이용 돌기(182 : 도 6 참조)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요동 부재(180)와, 상기 회전 부재(120)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70)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노즐 바디(100)에는 상측에 상기 회전 부재(120)가 안착되는 안착부(110)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0)는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112)과, 상기 지지 부재(170)가 수용되는 지지 부재 수용부(11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120)는 중앙에 상기 회전봉(150)이 결합되고, 양측에 상기 지지 부재(1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다. 이 때, 상기 지지 부재(170)에는 상기 회전봉(150)이 관통되는 회전봉 관통홀(17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120)에 결합된 회전봉(15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120)는 상기 회전봉(150)에 의해서 상기 지지 부 재(170)와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 사이에는 상기 연결 부재(160)의 소정 부분이 관통되는 연결 부재 관통공(116 : 도 6 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60)의 소정 부분이 상기 연결 부재 관통공(116 : 도 6 참조)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요동 부재(180)가 상기 노즐 바디(100)의 하측에서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160)의 하단부에는 상기 요동 부재(180)와 결합되는 결합단(164)이 형성되고, 상기 요동 부재(18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단(164)이 결합되는 결합공(18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 바디(110)의 상측 전단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118)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리브(118)는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119)가 다수 개로 나뉘도록 하여 상기 유로(119)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요동 부재(180)의 요동 속도 즉, 상하 운동 속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요동 부재(180)의 상하 이동 속도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침구류 등에 부착된 이물이 효과적으로 털어지게 되고, 이물의 흡입과정 에서 상기 침구류가 상기 흡입 노즐(10)에 흡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노즐 바디(100)의 후측에는 상기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킨 공기와 상기 노즐 바디(100)의 하측에서 흡입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모이는 공간부(101)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즐 바디(100)에는 상기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킨 공기가 상기 공간부(101)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통공(104)과, 상기 노즐 바디(100)의 저면에서 흡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1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01)로 모인 공기와 이물은 상기 흡입 파이프(400)로 흡입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다.
한편, 상기 상부 커버(200)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202)가 관통 성형되고, 상기 하부 커버(300)에는 피청소면에서 털어진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먼지 흡입구(302)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공기 흡입구(202)는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리브(118)와 동일한 원리로 상기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구(202)는 상기 각 가이드 리브(118)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119)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구(202)는 상기 회전 부재(12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부재(120)의 수평 중심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흡입구(202)는 상기 노즐 바디(100)의 상측 전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118)와 대응되게 상기 회전 부재(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 리브(118)는 상기 노즐 바디(100) 외에 상기 상부 커버(200)의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기 흡입구(202)는 상기 회전 부재(120)의 수평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 부재(120)는 제 1 회전 부재(130)와 제 2 회전 부재(14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 회전 부재(130)(140)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36)(146)가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회전 부재(130)와 제 2 회전 부재(140)가 결합되면, 상기 각 회전 부재(130)(140)에 형성되는 블레이드(136)(146)는 다른 회전 부재(130)(140)에 형성되는 블레이드(136)(146)와 서로 어긋나게 위치된다. 즉, 각 회전 부재(130)(140)에 형성되는 블레이드(136)(146)는 서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각 회전 부재(130)(140)에 형성되는 블레이드(136)(146)가 지그재그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 부재(1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160)는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 운동을 상하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60)의 하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요동 부재(180)와 결합되는 결합단(164)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회전 부재(120)가 결합되는 결합홀(16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120)가 상기 결합홀(16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시 상기 연결 부재(160)가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 부재(120)와 연결 부재(16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 1 회전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 2 회전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회전 부재(120)는 제 1 회전 부재(130)와 제 2 회전 부재(1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제 1 회전 부재(130)의 일측에는 결합 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 부재(14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1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132)와 결합되는 결합 리브(142)가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돌기(132) 및 결합 리브(142)는 편심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 돌기(132) 및 결합 리브(142)의 무게 중 심(C2)과 상기 결합 돌기(132) 및 결합 리브(142)의 회전 중심(C1)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결합 돌기(132) 및 결합 리브(142)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시 상기 연결 부재(160)가 상하 운동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리브(142) 및 결합 돌기(132)가 편심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시 상기 연결 부재(160)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결합 돌기(132)와 결합 리브(142)의 결합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120)의 회전축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은 무게 중심(C2)과 회전 중심(C1)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132)와 결합 리브(142)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36)(146)가 연장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132)와 결합 리브(142)가 결합되면 상기 블레이드(136)(1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회전 부재(120)의 결합 돌기(132)와 결합 리브(142)의 타측에는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회전 부재(120)가 효과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측벽(138)(148)이 각각 형성된다.
즉, 흡입된 공기가 상기 각 회전 부재(130)(140)의 측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회전 부재(130)(140)의 회전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측벽(138)(148)에는 상기 지지 부재(170)와 결합되는 지지부재 결합부(139)(149)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 부재(130)와 제 2 회전 부재(140)에는 상기 회전봉(150)이 관통되는 회전봉 관통공(134)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회전 부재(120)가 제 1 회전 부재(130)와 제 2 회전 부재(140)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160)가 상기 회전 부재(120)의 결합 부위(또는 회전 부재의 대략 중앙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연결 부재(160)는 상기 지지 부재 결합부(139)(149)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 부재 결합부(139)(149)의 단면은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과 다르게 형성될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120)는 단일의 물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160)는 상기 회전 부재(120)의 일측 즉, 상기 지지 부재 결합부(139)(149)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흡입 노즐(10)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회전 부재(130)의 결합 돌기(132)와 제 2 회전 부재(140)의 결합 리브(142) 및 상기 연결 부재(160)의 결합홀(162)이 정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162) 내에서 상기 결합 돌기(132) 및 결합 리브(142)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회전봉(150)을 상기 회전 부재(12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120)의 양측에 상기 지지 부재(170)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지지 부재(170)는 상기 회전 부재(120)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봉(15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120)에 상기 지지 부재(170) 및 연결 부재(1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120)를 상기 노즐 바디(100)의 안착부(110)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 부재(120)는 상기 안착홈(112)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 부재(170)는 상기 지지 부재 수용부(114)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 부재(160)의 결합단(164)은 상기 관통공(116 : 도 5 참조)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 바디(10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바디(100)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 부재(160)의 결합단(164)에 상기 요동 부재(180)를 상기 노즐 바디(100)의 하측 즉, 상기 먼지 흡입구(302) 측에서 결합시킨다.
그 다음 상기 흡입 파이프(400)를 상기 노즐 바디(100)에 안착시킨 후 상기 노즐 바디(100)의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상부 커버(200) 및 하부 커버(300)를 결합시키면, 상기 흡입 노즐(10)의 결합은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흡입 노즐(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흡입 노즐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6는 상기 요동 부재(180)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7은 요동 부재(180)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진공 청소기 내부에 구비된 흡입력 발생 수단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공기 흡입구(202)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 노즐(10) 내부로 흡입된다.
그러면, 상기 공기 흡입구(20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118)에 의해서 형성된 유로(119)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유로(119)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회전 부재(120)는 도 6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120)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 부재(160)는 상하 왕복 운동하게 되고, 상기 연결 부재(160)에 의해서 상기 요동 부재(180)가 상하로 요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요동 부재(180)는 침구류(5) 등에 타격을 가해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요동 부재(180)의 타격에 의해서 상기 침구류(5) 등의 먼지가 상기 침구류(5) 등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킨 공기는 상기 연통공(104)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101)로 유입되고, 상기 흡입 파이프(400)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요동 부재(180)의 요동에 의해서 상기 침구류(5) 등으로부터 분리된 이물 및 공기는 상기 먼지 흡입구(302)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흡입구(302)를 통하여 흡입된 이물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유입공(102)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101)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이물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킨 공기와 합쳐지고, 상기 흡입 파이프(400)를 통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하면, 흡입 노즐(10) 자체적으로 침구류(5) 등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을 털어냄과 동시에 이들을 흡입할 수 있게 되어 침구류(5) 등을 완전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회전 부재의 회전력이 연결 부재에 의해서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요동 부재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요동 부재에 의해서 침구류 등에 부착된 먼지가 상기 침구류 등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침구류 등의 청소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요동 부재에 의해서 침구류 등의 먼지를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침구류 등을 일일이 흔들거나 털지 않고도 간편하게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상기 흡입 노즐의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됨에 따라,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의 단면적이 감소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이 신속하고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넷째,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이 신속하고 원활히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요동 부재의 상하 요동 속도가 증가되어 상기 침구류 등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상기 회전 부재 및 요동 부재의 회전 및 요동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침구류가 상기 흡입 노즐에 흡착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Claims (8)

  1. 저면에 먼지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변환된 직선 운동에 의해서 상하 요동되는 요동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축 단면은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제 1 회전 부재와 제 2 회전 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부재와 제 2 회전 부재의 결합 부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측벽과,
    상기 연결 부재가 결합되는 연결 부재 결합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수평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의 내측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8. 저면에 먼지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있어서,
    상기 먼지 흡입구 측에는 상하 직선 운동되는 요동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 직선 운동은 외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20060042272A 2006-05-11 2006-05-11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20070109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272A KR20070109390A (ko) 2006-05-11 2006-05-11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272A KR20070109390A (ko) 2006-05-11 2006-05-11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390A true KR20070109390A (ko) 2007-11-15

Family

ID=3906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272A KR20070109390A (ko) 2006-05-11 2006-05-11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939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872A1 (ko) * 2009-11-09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노즐
WO2011111884A1 (ko) * 2010-03-10 201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WO2012074321A2 (ko) * 2010-12-02 2012-06-07 Chae Byong-Tae 침구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장치
KR101414658B1 (ko) * 2010-03-10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450996B1 (ko) * 2013-01-08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101451014B1 (ko) * 2013-05-24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872A1 (ko) * 2009-11-09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노즐
US8695160B2 (en) 2009-11-09 2014-04-15 Lg Electronics Inc. Nozzle of vacuum cleaner
EP2499952A4 (en) * 2009-11-09 2015-09-23 Lg Electronics Inc CLEANER OF HOUSEHOLD VACUUM CLEANER
WO2011111884A1 (ko) * 2010-03-10 201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CN102762139A (zh) * 2010-03-10 2012-10-31 Lg电子株式会社 真空吸尘器的吸嘴
KR101356530B1 (ko) * 2010-03-10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414658B1 (ko) * 2010-03-10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WO2012074321A2 (ko) * 2010-12-02 2012-06-07 Chae Byong-Tae 침구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장치
WO2012074321A3 (ko) * 2010-12-02 2012-10-18 Chae Byong-Tae 침구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장치
KR101450996B1 (ko) * 2013-01-08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101451014B1 (ko) * 2013-05-24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160B2 (en) Nozzle of vacuum cleaner
KR10055681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20070109390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JP2009066330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1414658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200448024Y1 (ko) 침구용 청소기
CN103479290A (zh) 具有拍打器的手持式吸尘器
KR10050905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20130059500A (ko) 공기분사수단이 구비된 진공 청소기
KR20070087357A (ko) 진공 청소기
JP2011147629A (ja) 空気噴射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4968047B2 (ja) 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5010855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1223324B1 (ko)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70021613A (ko) 진공 청소기의 바디 구조
KR10067676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461691Y1 (ko) 진공청소기
US20140250626A1 (en) Vibrating member for a brushless vacuum cleaner
KR100767061B1 (ko) 청소기
KR100495060B1 (ko) 청소기의 흡입기구
KR100617240B1 (ko) 진공청소기의 입체진동형 흡입구체
CN100531647C (zh) 吸尘器的吸入头
KR101246483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052158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0366789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