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014B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014B1
KR101451014B1 KR1020130059059A KR20130059059A KR101451014B1 KR 101451014 B1 KR101451014 B1 KR 101451014B1 KR 1020130059059 A KR1020130059059 A KR 1020130059059A KR 20130059059 A KR20130059059 A KR 20130059059A KR 101451014 B1 KR101451014 B1 KR 10145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opening
agitator
nozzle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엽
박군동
김지환
현기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9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제1흡입구와 제2흡입구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노즐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흡입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한 아지테이터; 및 상기 노즐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아지테이터를 구동시키는 아지테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제1흡입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관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2흡입구는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를 하기 위한 기기이다. 청소기는 노즐을 이동시키면서 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종래의 청소기의 노즐은, 한국공개특허 제2006-0064769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터빈과, 상기 하부 커버의 흡입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먼지제거장치와, 상기 회전터비의 회전력을 상기 먼지제거장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노즐을 청소면에서 이격시키는 경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 양이 증가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회전터빈 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회전터빈이 회전된다. 따라서, 많은 양에 공기에 의해서 상기 회전터빈이 회전되므로, 상기 회전터빈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어 상기 회전터빈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 시 노즐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제1흡입구와 제2흡입구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노즐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흡입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한 아지테이터; 및 상기 노즐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아지테이터를 구동시키는 아지테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제1흡입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관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2흡입구는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흡입구는 열릴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에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노즐 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접촉부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촉면이 이격됨으로써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촉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노즐 본체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이 최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촉면이 접촉되어,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제2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결관에 의해서 가압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흡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개폐바디와, 상기 개폐바디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개폐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관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관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바디에는 상기 개폐바디가 상기 제2흡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흡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개폐부재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노즐 본체 내에서 상기 아지테이터가 위치하는 제1공간과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가 위치하는 제2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는, 제1방향으로 절곡되는 다수의 제1블레이드와, 제2방향으로 절곡되는 다수의 제2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하여 제1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를 다수의 제1블레이드 측으로 안내하는 제1통공과,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하여 제1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를 다수의 제2블레이드 측으로 안내하는 제2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통공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일 방향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블레이드는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2블레이드는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회전 중심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회전 중심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청소 과정에서 노즐이 청소면에서 이격되는 경우,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회전 속도 증가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회전에 따른 소음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노즐의 후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바디가 제거된 상태의 노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후 구획벽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8은 연결관이 최상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노즐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노즐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관이 최상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노즐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노즐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노즐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1)와, 상기 청소기 본체(1)와 연통되며, 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면의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는 노즐(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즐(5)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5)은, 외형을 형성하는 노즐 본체(10)와, 상기 노즐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은 연결장치(흡입관, 흡입 호스, 핸들 등을 포함함)에 의해서 청소기 본체(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5)은, 청소면의 상태에 따른 노즐(5)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절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10)는, 하부 바디(11)와, 상기 하부 바디(11)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1)의 저면에는 청소면의 공기 및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입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흡입구(111)는 일 예로 상기 하부 바디(11)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1)의 저면에는 내부 유로의 청소를 위하여 내부 유로를 개방할 수 있는 커버(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1)에는, 상기 노즐 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메인 바퀴(140: "제1바퀴"라고도 할 수 있음)와, 보조 바퀴(150: "제2바퀴"라고도 할 수 있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퀴(140)와 상기 보조 바퀴(150)는 상기 제1흡입구(1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흡입구(111)의 후방은 상기 노즐 본체(10)에서 상기 연결관(20)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1흡입구(111)와 상기 메인 바퀴(140) 사이에 상기 보조 바퀴(150)가 위치된다. 즉, 상기 메인 바퀴(140)는 상기 보조 바퀴(150)의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바퀴(150)는 상기 제1흡입구(111)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바퀴(150)의 직경은 상기 메인 바퀴(140)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노즐 본체(10)의 후측에는 상기 연결관(20)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160)의 일부는 상기 하부 바디(11)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바디(13)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즐 본체(10)에 상기 연결관(20)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2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기 위하여 상기 개구(160)는 상기 연결관(160)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10)에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제2흡입구(161, 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161, 162)는 상기 하부 바디(11)와 상부 바디(13)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161, 162)는 상기 노블 본체(10)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노즐 본체(10)는, 청소면의 먼지를 청소하기 위한 아지테이터(120: agit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바디가 제거된 상태의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후 구획벽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 본체(10)는, 상기 노즐 본체(10)의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일 예로 제1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기 아지테이터(120)를 구동시키는 아지테이터 구동부(40)와,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동력을 상기 아지테이터(12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120)는 상기 노즐 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흡입구(111)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지테이터(120)의 일부는 상기 제1흡입구(111)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10)는 상기 아지테이터(120)가 회전될 수 있는 제1공간(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바디(11) 및 상기 상부 바디(13) 각각에는 상기 노즐 본체(10) 내부를 전후로 구획하기 위한 전후 구획벽(113, 13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바디(13)가 상기 하부 바디(11)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 바디(13)의 구획벽(133: 이하 "제2전후 구획벽"이라 할 수 있음)은 하부 바디(11)의 구획벽(113: 이하 "제1전후 구획벽"이라 함)의 상측에 놓인다.
따라서, 상기 각 구획벽(113, 133)에 의해서 상기 노즐 본체(10)의 내부 앞쪽에 상기 제1공간(112)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및 먼지는 상기 제1공간(112)으로 유입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전후 구획벽(113)에 의해서 상기 제1공간(112)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상부 바디(13)가 상기 하부 바디(11)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후 구획벽(113)의 상단이 상기 상부 바디(13)의 저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전후 구획벽(133)에 의해서 상기 제1공간(112)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상부 바디(13)가 상기 하부 바디(11)에 결합되면, 상기 제2전후 구획벽(133)의 하단이 상기 하부 바디(11)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본체(10)는, 상기 연결관(20) 및 아지테이터 구동부(40)가 위치할 수 있는 제2공간(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바디(11)에는 상기 제2공간(117)의 일부(일 예로 상기 제2공간의 하측부)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좌우 구획벽(115, 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좌우 구획벽(115, 116)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좌우 구획벽(115, 116) 사이에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3)에는 상기 제2공간(117)의 다른 일부(일 예로 상기 제2공간의 상측부)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제2좌우 구획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좌우 구획벽(115, 116)은 상기 전후 구획벽(113, 13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3)가 상기 하부 바디(11)에 결합되면, 상기 한 쌍의 제2좌우 구획벽(미도시)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1좌우 구획벽(115, 116)의 상측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좌우 구획벽(115, 116) 및 상기 제2좌우 구획벽(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제1공간(112)과 구획된 상기 제2공간(117)이 정의된다. 상기 제2공간(117)은 일 예로 상기 노즐 본체(10)의 내부 뒷쪽에 위치된다. 상기 제2공간(117)은 일 예로 상기 노즐 본체(10)의 뒤쪽 중앙부에 정의될 수 있으나, 상기 제2공간(117)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전후 구획벽(113, 133)에는 상기 제1공간(112)의 공기를 상기 제2공간(117)으로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114, 115, 135)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통공은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1통공(114)과,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시 저항으로 작용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2통공(135)과,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를 미회전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3통공(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는 일 예로 상기 제1통공(114)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는 터빈이다.
일 예로 상기 제1통공(114)과 상기 제3통공(115)은 상기 제1전후 구획벽(113)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135)은 상기 제2전후 구획벽(13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통공(114, 115)이 형성되는 구획벽(113, 133)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만, 상기 제1통공(114)과 상기 제2통공(135)의 형성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에 연결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에 연결되는 제1축 연결부(42) 및 제2축 연결부(43)와, 상기 제2축 연결부(43)의 제1풀리(44)와 상기 아지테이터(1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풀리(122)에 동시에 둘러지는 벨트(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 연결부(42) 및 제2축 연결부(43)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하부 바디(11)에 형성된 지지부(1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 동력 전달부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력을 상기 아지테이터(40)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지테이터 구동부(40)는,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판(410, 420)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410, 420)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1블레이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판(410)은 제1지지판(410)과 제2지지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블레이드(430)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축 결합부(412: 회전 중심이 위치함)에서 상기 각 지지판(410, 420)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판(410)의 우측에서 상기 제1지지판(410)을 바라볼 때 제1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방향으로 절곡되는 다수의 제1블레이드(430)에서 의해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중심 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판(410)을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제1블레이드(430)의 반대편에는 다수의 제2블레이드(4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지지판(410)의 제1면에 상기 다수의 제1블레이드(430)가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상기 제1지지판(410)의 제2면에 상기 다수의 제2블레이드(440)가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제2블레이드(440)는, 상기 제1지지판(410)의 우측에서 상기 제1지지판(410)을 바라볼 때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다수의 제1블레이드(430)의 절곡 방향과 상기 다수의 제2블레이드(440)의 절곡 방향은 반대이다.
따라서, 상기 제2방향으로 절곡되는 다수의 제2블레이드(440)에서 의해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중심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도 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1통공(114)은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 중심 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2통공(135)은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 중심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통공(115)의 크기는 상기 제2통공(135)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가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상기 다수의 제1블레이드(430)의 길이는 상기 다수의 제2블레이드(4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114)의 크기는 상기 제2통공(115)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간(112)의 공기가 상기 제1통공(114) 및 상기 제2통공(135)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117)으로 유동하여도, 상기 제1통공(114)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제2통공(135)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양보다 현저히 많으므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통공(135)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도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 측으로 유동하므로, 상기 제2통공(135)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방해한다.
본 실시 예와 달리,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가 시계 방향으로만 구동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통공(114)이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 중심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2통공(135)이 회전 중심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부재(30)는, 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30)는, 상기 제1통공(114)과 상기 제3통공(115)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고 다른 하나를 차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부재(30)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302)와, 상기 제1통공(114) 및 제3통공(115)의 선택적인 차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조절부(310)와, 상기 조작부(302)의 조작력이 상기 회전 조절부(310)로 전달되도록 하는 연결 부재(306)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302)는 사용자가 상기 노즐 본체(10)의 외측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바디(13)의 상측에는 상기 조작부(30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306)는 상기 좌우 구획벽(1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회전 조절부(310)는 상기 제2공간(117)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재(30)가 상기 노즐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302)가 상기 노즐 본체(10)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간단하게 상기 조작부(302)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2)의 상측에는 청소면의 상태에 맞추어 상기 조작부(302)를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는 일 례로 카펫(carpet) 및 일반 바닥면을 나타내는 플로어(floor)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2)의 하측에는 상기 조절부재(30)가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리브(30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바디(11)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304)의 회동 한계를 설정하는 한계 설정 리브(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304)는 상기 한계 설정 리브(미도시)의 범위 내에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재(30)는 상기 가이드 리브(304) 및 한계 설정 리브(미도시)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회동 범위가 소정 각도로 제한된다.
상기 회전 조절부(310)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전방에서 상기 아지테이구 구동부(40)의 소정 부분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 조절부(310)에는 상기 제1통공(114)과 상기 제2공간(117)의 연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개구(312)와, 상기 제3통공(115)과 상기 제2공간(117)의 연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개구(314)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개구(312)와 제2개구(314)는 상기 회전 조절부(310) 상에서 축의 연장 방향(도 7에서는 좌우 방향) 및 회전 조절부(310)의 둘레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제1개구(312)는 도 7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 조절부(310)의 좌측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314)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개구(312) 보다 우측 상방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개구(312)과 제2개구(314)를 배치하는 이유는 상기 조절 부재(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통공(114) 또는 제3통공(115)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제1개구(312) 및 제2개구(314)의 위치 관계에 의해서, 상기 제1개구(312)의 상측에는 상기 제1통공(114)을 선택적으로 차폐시키는 제1차폐면(3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314)의 하측에는 상기 제3통공(115)을 선택적으로 차폐시키는 제2차폐면(315)이 형성된다.
도 8은 연결관이 최상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노즐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노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의 노즐의 상태는 일 예로 노즐이 청소면에 접촉한 상태이고, 도 9의 노즐의 상태는 일 예로 노즐이 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카펫과 같은 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개구(312)와 상기 제1통공(114)이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개구(312)에 의해서 상기 제1통공(114)과 상기 제2공간(117)이 연통된다. 반면, 상기 제3통공(115)은 상기 제2차폐면(315)에 의해서 차폐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112)으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통공(114)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117)으로 유동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통공(135)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117)으로 유동한다.
이 때, 상기 노즐(5)을 이용하여 카펫 등과 같은 청소면을 청소하는 경우, 상기 카펫 등의 모가 상기 제1흡입구(111)의 일부를 커버하므로, 공기의 유동 저항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 제1흡입구(111)에 작용하는 흡입력은 상기 노즐(5)이 청소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의 흡입력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제2통공(135)에 작용하는 흡입력도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제2통공(135)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의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140)의 저항은 약하다.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는 상기 제1통공(114)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의해서 상기 아지테이터(120)로 전달되어 상기 아지테이터(12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간(117)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연결관(20)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5)로 유동한다.
한편, 상기 연결관(20)은, 반구 형상의 흡입관(210)과, 상기 흡입관(210)의 후측에 위치되는 유동관(2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210)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고(일 예로 제2공간(117)), 상기 유동관(212)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개구(160)를 관통하여 상기 노즐 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관(210)의 단부에는 접촉부(21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본체(10)의 내면에는 상기 접촉부(214)와 접촉하는 접촉면(16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면(164)의 후측 단부에는 상기 흡입관(21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214)가 걸리는 걸림부(165)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이 청소면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관(210)의 접촉부(210)가 상기 노즐 본체(10)의 접촉면(164)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흡입구(161, 162)가 닫히므로(제2흡입구(161, 162)와 상기 제2공간(117)의 연통이 차단됨), 상기 제2흡입구(161, 162)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지 못한다.
한편, 상기 노즐(5)을 이용하여 카펫 등과 같은 청소면을 청소하는 중에 상기 노즐(5)을 청소면에서 이격시키면, 상기 제1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이 사라지기 때문에 상기 제1흡입구(111) 측에 작용하는 흡입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상기 제1흡입구(111)에 작용하는 흡입력의 증가에 의해서 상기 제1통공(114) 및 제2통공(135)에 작용하는 흡입력이 증가된다.
그리고, 노즐(5)이 청소면에서 이격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은 최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흡입관(210)의 접촉부(214)는 상기 노즐 본체(10)의 접촉면(164)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210)의 외주면과 상기 노즐 본체(10)의 접촉면(164)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는 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력이 상기 제1흡입구(111)와 제2흡입구(161, 162)로 나뉘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1흡입구(111)에 작용하는 흡입력의 증가량이 작아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면,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므로,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경우 제2흡입구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제2흡입구가 있는 경우가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속도가 늦으므로,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 증가가 일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흡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여도 상기 제1공간(112)의 공기가 상기 제1통공(114) 뿐만 아니라 제2통공(135)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117)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2통공(135)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117)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가 현재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저항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 속도 증가가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이 이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통공(114)을 통하여 유동한 공기에 의해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가 회전되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판(410)과 제2지지판(4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공간(117)의 좌우 길이의 1/2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통공(114)은 상기 제1블레이드(430)와 상기 노즐(5)의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통공(114)은 제1공간(112)의 공기를 상기 제1블레이드(430)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2블레이드(440)의 길이는 상기 제1블레이드(430) 길이의 1/2 이하이고, 1/6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통공(135)은 상기 제2블레이드(440)와 상기 노즐(50)의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통공(135)은 상기 제1공간(112)의 공기를 상기 제2블레이드(440)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2블레이드(440)의 길이가 상기 제1블레이드(430)의 길이의 1/2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통공(135)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와 접촉하는 제2블레이드(440) 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커져,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 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아지테이터(120)가 상기 청소면의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상기 제2블레이드(440)의 길이가 상기 제1블레이드(430)의 길이의 1/6 미만인 경우, 상기 제2블레이드(440)에 의한 회전 저항이 상당히 작게 되어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의 회전 속도의 감소가 거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소음의 감소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한편, 방바닥과 같은 일반 청소면을 청소하는 경우는,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2)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3통공(115)과 상기 제2개구(314)가 정렬되어, 상기 제3통공(115)이 상기 제2개구(314)에 의해서 상기 제2공간(117)과 연통되고, 상기 제1통공(114)은 제1차폐면(313)에 의해서 차폐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1공간(112)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통공(135) 및 상기 제3통공(115)을 통하여 상기 제2공간(117)으로 유동한다.
이 때, 상기 제3통공(115)은 상기 제2블레이드(440)와 상기 노즐(5)의 전후 방향으로 미오버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블레이드(440)의 일부는 상기 제3통공(115)과 오버랩되고 다른 일부는 미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오버랩되는 면적 보다 오버랩되지 않는 면적이 크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통공(115)의 크기가 상기 제2통공(135) 보다 크고, 상기 제3통공(115)이 상기 제2통공(135) 보다 상기 제1흡입구(111)에 가깝게 위치하게 때문에, 상기 제3통공(115)으로 유동하는 공기 양이 상기 제2통공(135)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 보다 많다.
따라서, 상기 제2통공(135)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40)는 회전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아지테이터(120)도 회전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방바닥과 같은 청소면의 청소시에는 상기 아지테이터(120)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상기 아지테이터(120)의 회전에 의해서 청소면의 먼지가 상기 노즐(5) 외부로 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청소면의 청소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노즐이 청소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아지테이터의 회전 속도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지테이터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위에서는 제2통공 및 제2블레이드에 의해서도 소음의 증가가 줄어들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2통공과 제2블레이드가 생략되고, 연결관의 접촉부와 노즐 본체의 접촉면이 이격되도록 하는 구조 만이 노즐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관이 최상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노즐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2흡입구의 위치 및 제2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살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본체(10)의 저면에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제2흡입구(1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흡입구(170)는 제1흡입구(111)와 이격되며 상기 제1흡입구(1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10)에는 상기 제2흡입구(170)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80)는 일 예로 상기 연결관(20)에 의해서 상기 제2흡입구(170)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80)는, 개폐바디(181)와, 상기 개폐바디(181)의 양측에 연결되는 회전축(182)과, 상기 연결관(2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가압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바디(181)에는 상기 개폐바디(181)가 상기 제2흡입구(17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노즐 본체(10)에 형성되는 안착홈(172)에 안착되는 안착부(183)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 본체(10)의 안착홈(172)에 상기 안착부(183)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180)가 상기 제2흡입구(170)를 닫은 상태에서 제2흡입구(17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재(180)가 회전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184)는 상기 연결관(20)이 회전될 때 상기 연결관(20)의 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80)는 탄성부재(19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축(182)이 상기 탄성부재(19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90)는 상기 개폐부재(180)가 상기 제2흡입구(170)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개폐부재(18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노즐이 청소면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관(20)이 상기 개폐부재(180)와 이격된다. 즉, 상기 연결관(20)이 상기 개폐부재(180)의 가압부(184)를 가압하지 않는다. 그러면, 상기 개폐부재(180)는 상기 제2흡입구(170)를 닫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흡입력은 상기 제1흡입구(111)에만 작용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노즐이 청소면에서 이격되면, 상기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연결관(20)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재(180)의 가압부(184)가 가압되어 상기 개폐부재(180)가 도 1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개폐부재(180)가 상기 제2흡입구(170)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흡입력은 상기 제1흡입구(111)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흡입구(180)에도 작용하게 되고, 공기가 제2흡입구(180)를 통하여도 노즐 본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노즐이 청소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제2흡입구(170)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므로, 제1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의 증가량이 줄어들 고, 이에 따라 아지테이터의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흡입구(161, 162, 170)가 닫힌다는 것은 제2흡입구(161, 162, 170)가 직접 닫히는 것 뿐만 아니라 제2흡입구(161, 162, 17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10: 노즐 본체 20: 연결관
30: 조절부재 40: 아지테이터 구동부
111: 제1흡입구 120: 아지테이터
161, 162, 170: 제2흡입구

Claims (15)

  1.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제1흡입구와 제2흡입구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관;
    상기 노즐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흡입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한 아지테이터; 및
    상기 노즐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아지테이터를 구동시키는 아지테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제1흡입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관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2흡입구는 열리거나 닫히는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흡입구는 열리는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에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노즐 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접촉부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촉면이 이격됨으로써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촉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노즐 본체 내부로 유동되는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이 최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촉면이 접촉되어,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청소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이 최하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연결관에 의해서 가압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흡입구를 개방시키는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개폐바디와,
    상기 개폐바디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개폐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관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관의 회전 경로 상에 위치되는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바디에는 상기 개폐바디가 상기 제2흡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흡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개폐부재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노즐 본체 내에서 상기 아지테이터가 위치하는 제1공간과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가 위치하는 제2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는, 제1방향으로 절곡되는 다수의 제1블레이드와, 제2방향으로 절곡되는 다수의 제2블레이드를 가지는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하여 제1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를 다수의 제1블레이드 측으로 안내하는 제1통공과,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하여 제1공간으로 흡입된 공기를 다수의 제2블레이드 측으로 안내하는 제2통공을 포함하는 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통공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일 방향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력을 제공하는 청소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블레이드는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2블레이드는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위치되는 청소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회전 중심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아지테이터 구동부의 회전 중심 보다 낮게 위치되는 청소기.
KR1020130059059A 2013-05-24 2013-05-24 청소기 KR10145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059A KR101451014B1 (ko) 2013-05-24 2013-05-24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059A KR101451014B1 (ko) 2013-05-24 2013-05-24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014B1 true KR101451014B1 (ko) 2014-10-15

Family

ID=5199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059A KR101451014B1 (ko) 2013-05-24 2013-05-24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0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390A (ko) * 2006-05-11 200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20100059551A (ko) * 2008-11-26 2010-06-0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1084122B1 (ko) 2004-07-30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1250078B1 (ko) 2006-05-30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122B1 (ko) 2004-07-30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70109390A (ko) * 2006-05-11 200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250078B1 (ko) 2006-05-30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20100059551A (ko) * 2008-11-26 2010-06-0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38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7125967B2 (ja) ロボット掃除機
US8434194B2 (e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20060288521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90050792A (ko) 진공청소기
KR20100088360A (ko) 아지테이터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4538676B2 (ja) ヘアカッター
KR101451014B1 (ko) 청소기
WO2012140825A1 (ja) 空気吸引噴射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1450996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140109617A (ko) 청소기
KR20050094060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200808654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150011405A (ko) 청소기 및 그의 노즐
EP3731715B1 (en) Vacuum cleaner
JP2017192410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KR101055961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250078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20090121813A (ko) 청소기의 노즐
KR101246483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282449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JP201117273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100088454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2009207644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10207467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