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789Y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789Y1
KR200366789Y1 KR20-2004-0024258U KR20040024258U KR200366789Y1 KR 200366789 Y1 KR200366789 Y1 KR 200366789Y1 KR 20040024258 U KR20040024258 U KR 20040024258U KR 200366789 Y1 KR200366789 Y1 KR 200366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cleaner
suction membe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한
Original Assignee
김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한 filed Critical 김규한
Priority to KR20-2004-0024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47L9/104Means for intercepting small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밀착되어 먼지 및 이물질의 흡입하는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며 길이 조정되는 흡입부재 연결관과, 상기 흡입부재 연결관이 내부에서 입출되게 결합되는 몸체 연결관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 연결관의 상측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팬을 내장하고 위치 조정을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시킨 청소기몸체를 상기 흡입부재측과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청소기몸체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몸체 연결관측 연계되는 흡입유도관 및 먼지가 제거된 흡입공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관을 형성되게 하고; 상기 청소기몸체의 하측에 이물질수거통 및 먼지필터로 구성된 흡입물 제거수단을 결합하여 모터측으로부터 강한 흡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되 흡입공기 중에서 먼지는 상기 먼지필터에 걸러지게 하고 이에 걸러지지 않는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수거통으로 낙하되어 수거되게 하며; 상기 청소기를 일정장소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안정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고정스탠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사용시 청소기 내에 흡입되는 흡입물의 거름효율을 향상되게 함으로써 흡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사용상의 편의성 및 이동시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먼지 등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모터의 구동으로 팬을 돌려 진공을 만들고 먼지를 필터로 분리시켜 공기만을 배기공으로 내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 도시됨)가 내장된 청소기본체(10)와, 상기 청소기본체(10)의 모터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재(20)와, 상기 흡입부재(20)를 하단부에 결합하는 흡입부재 연결관(30)과, 상기 흡입부재 연결관(30)측 결합되며 손잡이(41)를 포함하는 조정부(40)와, 상기 조정부(40)와 청소기본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50)와, 상기 조정부(4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재(20)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에서 큰 먼지를 상기 청소기본체(10) 내에 유입되기 전에 걸러주는 작용으로 청소기의 흡입효율을 좋게 하기 위한 먼지거름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먼지거름수단(60)은 단순한 먼지통(61)의 구성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청소기본체(10) 내부에는 집진용 주머니 및 배기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케이스와 모터·팬 및 배기공 등이 설치 및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1)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본체(10) 내의 모터의 구동으로 팬이 동작하고 진공의 형성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며 바닥에 밀착됨을 갖는 흡입부재(20)측에 영향이 미치게 된다. 이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재(20)의 내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는데, 이때 흡입되는 공기에 편승되어 입자가 아주 작은 미세 먼지나 입자가 큰 먼지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된다.
흡입부재(20) 내로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을 포함하는 흡입공기는 흡입부재 연결관(30)을 통해 조정부(40)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먼지거름수단(60)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먼지거름수단(60)의 먼지통(61)으로 큰 입자의 먼지나 이물질이 떨어지게 된다.
먼지거름수단(60)을 통과한 미세 먼지를 포함하는 흡입공기는 조정부(40)의 상측 및 이에 연결된 연결호스(6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청소기본체(10) 내로 유입된다.
청소기본체(10) 내로 유입된 미세 먼지를 포함하는 흡입공기는 집진용 주머니 및 배기필터에 의해 미세 먼지의 포집됨이 이루어지게 되며, 미세 먼지가 제거된 흡입공기는 모터의 후측에 형성된 배기공을 통해 청소기본체(10)의 밖으로 배기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 내 집진케이스측 공기 통과저항을 좋게 하여 청소기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구조의 조정부 상에 설치되는 먼지거름수단이 조정부와 연결호스 등의 연결구조에 의해 모터측과 상당한 이격거리를 형성하도록 된 구조로 모터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이 먼지거름수단 측에 크게 형성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먼지거름수단이 단순한 먼지통의 구성으로 본연의 목적성 달성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먼지를 효율적으로 거르기 위한 거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고 공기를 외부 배기토록 한 청소기본체가 흡입부재측과 별도 형성되는 구성이되 연결호스에 의한 연결 결합구조를 이루므로 청소기의 사용 및 이동시 상당한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나아가, 청소기의 전반적인 흡입력 향상을 위해서는 대용량의 모터를 사용하면 되나, 이는 생산단가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고 소음을 크게 발생되게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모터가 내장되는 청소기본체를 일체로 결합하여 청소기 사용 및 이동시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하되 전반적인 흡입력 향상을 도모할 수있도록 하여 흡입물의 거름효율과 청소기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흡입효율은 향상되게 하고 생산단가는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소음발생을 최소화되게 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고정스탠드측 결합 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청소기 110: 청소기몸체
111: 손잡이부 112: 흡입유도관
113: 공기배출관 120: 몸체 연결관
130: 흡입부재 연결관 140: 흡입부재
150: 흡입물 제거수단 151: 이물질수거통
152: 먼지필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에 밀착되어 먼지 및 이물질의 흡입하는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며 길이 조정되는 흡입부재 연결관과, 상기 흡입부재 연결관이 내부에서 입출되게 결합되는 몸체 연결관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 연결관의 상측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팬을 내장하고 위치 조정을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시킨 청소기몸체를 상기 흡입부재측과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청소기몸체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몸체 연결관측 연계되는 흡입유도관 및 먼지가 제거된 흡입공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관을 형성되게 하고; 상기 청소기몸체의 하측에 이물질수거통 및 먼지필터로 구성된 흡입물 제거수단을 결합하여 모터측으로부터 강한 흡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되 흡입공기 중에서 먼지는 상기 먼지필터에 걸러지게 하고 이에 걸러지지 않는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수거통으로 낙하되어 수거되게 하며; 상기 청소기를 일정장소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안정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고정스탠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고정스탠드측 결합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 도시됨)를 내장하되 위치 조정을 위한 손잡이부(111)를 갖는 청소기몸체(110)와, 상기 청소기몸체(110)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몸체 연결관(120)과, 상기 몸체 연결관(120)의 하측에 삽입 결합되어 길이 조정되는 흡입부재 연결관(130)과, 상기 흡입부재 연결관(130)의 하단부에 체결되며 먼지 및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41)를 하면에 형성한 흡입부재(140)와, 상기 청소기몸체(110)의 하측에 결합하되 청소기몸체에 내장된 모터측에 근접 설치되게 하여 강한 흡입력을 제공받도록 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부재(14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부피가 큰 이물질은 이물질수거통(151)으로 낙하되어 수거되게 하고 큰 먼지나 미세 먼지는 먼지필터(152)에 의해 걸러지게 하여 청소기의 흡입효율을 향상되게 하는 흡입물 제거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청소기몸체(110)의 하부 내에는 일단이 상기 몸체 연결관(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흡입물 제거수단(150)측과 연계되는 흡입유도관(112)이 형성되며, 먼지가 제거된 흡입공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관(113)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청소기몸체(110)의 상부 내에는 모터와 팬 및 배기공 등이 설치되거나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흡입물 제거수단(150)의 먼지필터(152)는 이물질수거통(151)에 끼움 결합되어 이물질수거통(151) 내에 배치되며, 이물질수거통(151)은 청소기몸체(110)의 하측단에 끼운 후 회전 결합되게 한다.
한편, 상기 청소기몸체(110)의 손잡이부(111)측 끝단에 대응하도록 고정홈(161)을 형성한 고정스탠드(160)를 더 구비하여 청소기(100)를 일정장소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동작관계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100)의 흡입부재(140)측과 일체 형성되도록 한 청소기몸체(110) 내의 모터의 구동으로 팬이 동작하고 진공 형성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며 바닥에 밀착됨을 갖는 흡입부재(140)측에 그 영향이 미치게 된다. 이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41)를 통해 흡입부재(140)의 내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되는 공기에 편승되어 입자가 작은 미세 먼지나 입자가 큰 먼지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된다. 이때, 흡입부재(140)측과 모터를 내장한 청소기몸체(110)가 기존의 별도 구비되는 구성과는 달리 청소기(100)의 상/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흡입부재(140)측에 빠르면서도 강한 흡입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흡입부재(140)의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포함하는 흡입공기는 흡입부재 연결관(130) 및 몸체 연결관(1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청소기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청소기몸체(110)로 유입되는 흡입공기는 흡입유도관(112)을 통해 청소기몸체(110)에 결합된 흡입물 제거수단(150)으로 유도되는데, 흡입공기 중에서 미세 먼지는 먼지필터(152)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먼지필터(152)를 통과하지 못한 입자가 큰 먼지나 부피가 있는 이물질은 이물질수거통(151)으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이때, 흡입물 제거수단(150)에 형성되는 흡입력은 청소기몸체(110)에 내장된 모터와 팬에 가장 근접되게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아주 강한 흡입력이 제공되어 먼지나 이물질을 쉽게 흡입되게 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게 되며, 또한 흡입물 제거수단(150)은 먼지필터(152)와 이물질수거통(151)의 이중적인 구조로 먼지와 이물질을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흡입물 제거수단(150)측 거름효율을 향상되게 한다.
흡입물 제거수단(150)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된 흡입공기는 모터와 팬의 가동에 의한 계속적인 흡입력으로 공기배출관(113)을 통해 청소기몸체(110)의 밖으로 배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바닥에서 먼지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부재와 모터 및 팬이 내장된 청소기몸체를 일체 형성시킴으로써 흡입력의 강화로 먼지나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해짐은 물론 흡입공정의 축약으로 청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청소기 자체에 청소기몸체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강한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청소기의 사용상 편의성 및 이동시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청소기몸체를 일체 형성하되 먼지필터 및 이물질수거통으로 된 흡입물 제거수단을 모터측 근접 설치되게 함으로써 강한 흡입력의 형성으로 흡입공기 중에서 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한 강한 흡입력을 제공하면서도 소음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바닥에 밀착되어 먼지 및 이물질의 흡입하는 흡입부재와, 상기 흡입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며 길이 조정되는 흡입부재 연결관과, 상기 흡입부재 연결관이 내부에서 입출되게 결합되는 몸체 연결관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 연결관의 상측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팬을 내장하고 위치 조정을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시킨 청소기몸체를 상기 흡입부재측과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청소기몸체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몸체 연결관측 연계되는 흡입유도관 및 먼지가 제거된 흡입공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관을 형성되게 하고;
    상기 청소기몸체의 하측에 이물질수거통 및 먼지필터로 구성된 흡입물 제거수단을 결합하여 모터측으로부터 강한 흡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되 흡입공기 중에서 먼지는 상기 먼지필터에 걸러지게 하고 이에 걸러지지 않는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수거통으로 낙하되어 수거되게 하며;
    상기 청소기를 일정장소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안정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고정스탠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20-2004-0024258U 2004-08-25 2004-08-25 진공청소기 KR200366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258U KR200366789Y1 (ko) 2004-08-25 2004-08-25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258U KR200366789Y1 (ko) 2004-08-25 2004-08-25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789Y1 true KR200366789Y1 (ko) 2004-11-08

Family

ID=4935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258U KR200366789Y1 (ko) 2004-08-25 2004-08-25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7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8388B2 (en) Vacuum cleaner with detachable cyclonic vacuum module
KR100837360B1 (ko) 배기환류를 이용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US7647672B2 (en) Vacuum cleaner
KR101193002B1 (ko) 청소 기구 및 제어 회로
US7634836B2 (en) Intake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GB2385514A (en)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filter and filter sweeper
CN105764396A (zh) 具有可拆卸的集尘组件的真空吸尘器
JP2004033746A (ja) 電気掃除機用エッジ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9504306A (ja)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の本体装着構造
EP1136028A3 (en) Electric vacuum cleaner
CA2450335A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2003310502A (ja) 電気掃除機
KR100539750B1 (ko) 불기기능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US7594297B2 (en) Angle control apparatus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2011188952A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KR100382468B1 (ko)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KR200366789Y1 (ko) 진공청소기
US20070039124A1 (en) Exhaust structure of vacuum cleaner
JP2003275150A (ja) 電気掃除機
KR20070021763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GB2398486A (en) Vacuum cleaner with a detachable cyclonic vacuum module
CN100358455C (zh) 真空吸尘器
JP2000333886A (ja) 電気塵取り機
KR100883198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KR20040050217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