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175B1 -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175B1
KR101509175B1 KR20140150935A KR20140150935A KR101509175B1 KR 101509175 B1 KR101509175 B1 KR 101509175B1 KR 20140150935 A KR20140150935 A KR 20140150935A KR 20140150935 A KR20140150935 A KR 20140150935A KR 101509175 B1 KR101509175 B1 KR 10150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ing bar
steel
deck plat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Priority to KR2014015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175B1/ko
Priority to PCT/KR2015/010074 priority patent/WO20160726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와 강재보가 일체적 거동을 하는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강재보는,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부부재와 슬래브 콘크리트의 하부에 노출되는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연결하는 중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부재는, 상단철근과, 상기 상단철근의 하면에 설치되어 중간부재와 연결되는 복부철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부재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중간부재와 연결되는 복부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Steel Reinforcement Integrated Composite Bean System}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와 강재보가 일체적 거동을 하는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재보의 구조적 형상을 최적화시켜 콘크리트와의 합성작용을 극대화시키고 구조적인 효율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층고를 절감시킬 수 있는 합성보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강재와 철근콘크리트의 장점을 합성시킴으로써 재료를 절약하면서도 휨하중, 내진동, 내충격 등에 유리한 합성보에 관한 다양한 구조의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의 합성보는 일반적으로 강재보를 완전히 콘크리트로 둘러싸는 매립형 합성보와, 보를 합성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강재보를 전단연결재로 슬래브 콘크리트에 연결하는 노출형 합성보로 나뉘어 지며, 본 발명은 후자의 노출형 합성보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노출형 합성보의 구조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합성보는 H형강보(1)의 상부플랜지(1a)에 전단연결재인 스터드 볼트(2)를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하여 설치하고, 상부플랜지에 데크플레이트 또는 거푸집을 설치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H형강보(1)와 슬래브 콘크리트(3)가 T자형의 합성보로써의 기능을 하게 한다.
이러한 합성보의 거동은 강재와 철근콘크리트 간에 설치되는 전단연결재의 영향을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스터드 볼트(2)는 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충분하게 설치되어야 하나, 이는 다른 한편으로 시공의 번잡성을 불러 일으킨다. 이와 함께 상기 스터드 볼트(2)는 전단연결재로서의 기능만을 할 뿐이므로 슬래브 콘크리트에는 휨내력, 특히 압축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큰 두께와 별도의 주철근이 배근되어야 한다.
또한, 최근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경향은 층고를 절감할 수 있는 보구조를 요구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성보에 대한 고려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노출형 합성보의 구조를 가지면서 층고를 절감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바, 그 예로 도 2에서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3)를 철골보(11)의 상부플랜지(11a)에 걸쳐지도록 하는 구조의 합성보 시스템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49600호로 제안된 바 있다.
등록번호 10-1249600호의 합성보 시스템은 철골보(11)의 상부플랜지(11a)에 폭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부재(12)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12)에 데크플레이트(13)가 걸쳐지도록 하며, 이와 별도로 슬래브 콘크리트와(15)의 합성을 위한 스터드 볼트(14)를 상기 철골보(11)의 상부플랜지(11a)에 용접 설치하고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등록번호 10-1249600호의 합성보 시스템은 데크플레이트(13)를 상부플랜지(11a)의 하부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부플랜지(11a)의 상부에 위치하게 하는 것보다는 층고를 절감시킬 수 있다고는 하나, 데크플레이트(13)가 철골보(11)와 슬래브 콘크리트(15)의 합성과는 아무런 관련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철골보(11)와의 합성을 위한 슬래브 콘크리트(15)의 두께까지 줄이지는 못할 뿐 아니라, 골의 방향이 철골보(11)에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13)는 그 골의 길이가 4~8M 정도이고, 이에 상응하는 간격을 가지게 되는 철골보(11)는 그 춤이 커질 수 밖에 없으므로, 층고의 절감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며, 철골보(11)의 상부플랜지(11a)로부터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데크플레이트(13)의 골부분 최하단과 스터브 볼트(14)에 의해 전단연결되는 슬래브 콘크리트(15)의 최상단까지의 큰 높이의 차이(△)로 인해 타설되는 콘크리트량이 대폭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보의 각 구조적 형상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시공성이 향상되면서 강재보와 슬래브 콘크리트 간의 합성력이 크게 증가되고, 층고가 절감되며, 강재의 사용량이 대폭 감소되는 경제적인 합성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슬래브 콘크리트와 강재보가 일체적 거동을 하는 합성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재보는,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부부재와 슬래브 콘크리트의 하부에 노출되는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연결하는 중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부재는, 강재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단철근과, 상기 상단철근의 하면에 설치되어 중간부재와 연결되는 복부철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부재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중간부재와 연결되는 복부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중간부재는 평철의 판상부재로 구성되거나 철근 등의 봉상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부재에는 데크플레이트 거치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부재의 복부 철근과 하부부재의 복부판재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부판재의 형상에 따라 중간부재에 구비되는 데크플레이트 거치면을 생략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강재보에 거치되는 데크플레이트는 단일 평판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단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된 측판 및, 상기 측판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시 절곡된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각 강재보의 상단철근들 사이에는 단부에 걸고리가 형성된 격자철선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단연결재의 기능을 하는 상부부재를 주근용 철근과 함께 트러스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강재보와 슬래브 콘크리트 간에 강력한 합성력을 가질 수 있게 하며, 상기 트러스 형상의 상부부재로 하여금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와 함께 휨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력에 저항하고, 하부부재의 플랜지로 하여금 인장력에 저항하게 하며 상부플랜지를 생략시켜 구조적인 안정성과 강재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합성보 시스템을 구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부재 또는 복부판재에 데크플레이트를 거치시킬 수 있게 하면서 데크플레이트의 측판에 의해 상부부재의 삽입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데크플레이트 상부의 콘크리트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강재보의 간격과 춤을 줄여주어 층고절감의 효과와 더불어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합성보 시스템을 구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보의 구성을 강판을 절단하여 조립시키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각 구조에 적합한 형상의 합성보 시스템을 구현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노출형 합성보의 구조에 관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의 합성보의 구조에 관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상보 시스템에 적용되는 강제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강재보의 상부부재에 관한 각 실시예이다.
도 5는 상기 강재보의 하부부재 중 복부판재에 관한 각 실시예이다.
도 6은 상기 강재보의 중간부재에 관한 각 실시예이다.
도 7은 상기 중간부재에 데크플레이트를 거치시키는 각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합성보 시스템에서 파형 단면의 복부판재 상단에 데크플레이트를 거치시킨 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합성보 시스템에 적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판에 휨 보강수단을 더 부가한 예를 나타낸 각 실시예이다.
도 11은 상기 강재보의 상단철근들 사이에 변형 방지용 격자철선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축된 합성보 및 슬래브 콘크리트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보 시스템에 강재보(100)는, 트러스 형상의 상부부재(110)와, 하부플랜지(122)와 이에 수직한 복부판재(121)에 의해 ㅗ형 단면을 형성하는 하부부재(120) 및,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를 연결시켜주는 중간부재(13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보 시스템에 적용되는 강재보(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사시도로써 나타내고 있다.
강재보(100)의 상부부재(110)는, 강재보(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단철근(111)과, 상단철근(111)의 하면에 설치되면서 콘크리트가 유통할 수 있는 큰 공간을 형성시키는 복부철근(112)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트러스의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주근용 상단철근(111)과 복부철근(112)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부재(110)는, 슬래브 콘크리트(400)에 매립되어 강재보(100)와 슬래브 콘크리트(400) 사이의 강력한 합성작용을 하는 전단연결재로써의 기능을 하게 될 뿐 아니라, 슬래브 콘크리트(400)와 함께 압축력에 저항하는 구조체로써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의 상부부재(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는 바, 도 4는 상부부재(110)의 각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복부철근(112)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되는 요철형상으로 절곡 구성시킬 수도 있고, (b)에서와 같이 직각의 요철형상으로 절곡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c)에서와 같이 곡선 파형의 요철형상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제작의 용이성 도모 및 슬래브 콘크리트(400)의 사인장균열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도 4의 (a)에서와 같이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외에도 철근 사용량의 절감을 위하여 도 4의 (d)에서와 같이 철근토막이나 이와 유사한 토막으로 된 길이부재 다수 개를 수직으로 단순 용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강재보(100)의 하부부재(120)는, 슬래브 콘크리트(400)의 하부에 노출되는 것으로서, 수평면상으로 평탄한 하부플랜지(122)와, 상기 하부플랜지(122)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부판재(121)로 이루어진다.
강재보(100)가 슬래브 콘크리트(400)와 합성되어 T형 합성보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T형 합성보의 도심축은 슬래브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부부재(120)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부재(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400)와 함께 압축응력에 저항하고, 하부부재(120), 특히 하부플랜지(122)가 인장력에 저항하는 구조시스템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플랜지(122)와 복부판재(121)에 의해 ㅗ형 단면을 가지면서 인장력에 저항하는 본 발명의 하부부재(120)는 강판을 재단하여 용접함으로써 구성되는 조립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플랜지(122)와 복부판재(121)가 강판의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는 하부부재(120)는, 규격품인 구조용 압연강재와는 달리 인장응력의 크기에 따라 하부플랜지(122)의 두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복부판재(121)의 구성을 다양하게 형성시켜 하부부재(120)의 전단강성을 증가시켜 더욱 얇은 두께의 복부판재(121)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복부판재(121)로 이루어지는 하부부재(12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의 복부판재(121)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민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b)에서와 같이 상하 양단을 제외한 중간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엠보싱(121a)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c) (d)에서와 같이 수평단면상으로 직각 또는 곡선의 파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부판재(121)를 도 5의 (a)에서와 같이 민판으로 구성시킨 경우에는 하부플랜지(122)등 과의 용접성은 우수해지나 다른 한편으로 충분한 전단강성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는 복부판재(121)를 구성하는 강판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반하여 복부판재(121)를 도 5의 (b) 내지 (d)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부분 또는 상하 전체에 대하여 엠보싱(121a)이나 파형 단면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이들이 전단강성을 증가시키는 스티프너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복부판재(121)의 두께를 보다 작게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도 5의 (b)에서와 같이 복부판재(121)의 중간부분에만 엠보싱(121a)을 형성시키게 되면 상하 양단부에서는 민판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하부플랜지(122)나 중간부재(130)와의 결합을 위한 용접성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한다.
또 도 5의 (c) (d)와 같은 파형 단면의 복부판재(1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200)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중간부재(130)에 데크플레이트 거치면(131)을 구비시킬 필요를 없게 하여 사용부재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한다.
상기한 강재보(100)의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는 중간부재(130)에 의해 일체화된다. 즉 중간부재(130)의 상부는 상부부재(110)의 복부철근(112) 하단부와 용접 결합되고 하부는 하부부재(120)의 복부판재(121)의 상단부와 용접 결합된다.
이와 같이 중간부재(130)는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족하는 것이므로, H형강을 합성보로 사용하는 경우의 상부플랜지를 생략시킴으로써 강재의 사용량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중간부재(130)는 예컨대, 도 6의 (a) (b)에 각 도시된 것 처럼 평철(130a)이나 철근(130b)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강재보(100)에 합성되는 슬래브 콘크리트(400)는 하부에 거푸집과 동바리를 설치하여 타설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영구거푸집의 기능을 하면서 자립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200)에 의해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데크플레이트(20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강재보(100)에 데크플레이트(200)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재보(100)의 중간부재(130)에 데크플레이트 거치면(131)이 더 구비된다.
상기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면(131)은 도 6의 (a)에서와 같이 중간부재(130)의 형상 자체가 데크플레이트 거치면(131)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평철(130a)의 판상부재인 띠형으로 중간부재(130)를 구성시킬 수도 있고, 도 6의 (b)에서와 같이 중간부재(130)를 철근(130b) 등의 봉상부재로 구성시키되 그 양측에 데크플레이트(200)가 거치되는 판상조각 다수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 부착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상기의 중간부재(130)에 데크플레이트(200)가 거치되는 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간부재(130)는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를 일체화시킬 뿐 아니라 데크플레이트(200)의 거치수단으로 사용되게 함으로써 합성보 시스템에 대한 시공성을 향상시키게 한다.
그러나, 도 5의 (c) (d)에서와 같이 하부부재(120)의 복부판재(121)를 수평단면상으로 파형의 단면을 이루게 하는 경우에는 복부판재(121)의 상단에 데크플레이트(200)를 직접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간부재(130)에 데크플레이트 거치면(131)을 형성시키는 구성을 생략시킬 수 있게 한다.
도 8은 상기와 같이 파형 단면을 가지는 복부판재(121)의 상단에 데크플레이트(200)를 직접 거치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단면의 복부판재(121)로 구성되는 하부부재(120)와 상부부재(110)를 중간부재(130)로 일체화시키되, 상기 중간부재(130)를 철근(130b) 등의 봉상부재로 구성시킴으로써 복부판재(121) 상단에서의 파형 단면의 일부가 중간부재(13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시키게 되면 상기 돌출부분의 상단은 데크플레이트(200)의 거치면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부재(120)의 복부판재(121)를 파형단면으로 구성시키는 경우에는 중간부재(130)를 저렴한 철근(130b) 등의 봉상부재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사용부재의 폭을 넓혀주어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켜 준다.
도 9는 상기의 중간부재(130) 또는 하부부재(120)의 복부판재(121)에 거치되는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20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의 데크플레이트(200)는 단일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상판(210)과, 상기 상판(210)의 양측단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된 측판(220) 및, 상기 측판(220)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시 절곡된 하판(2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230)이 중간부재(130)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면(131) 또는 파형 단면의 복부판재(121) 상면에 거치된다.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200)에서 상판(210)은 통상적인 평데크플레이트 처럼 단일 평판으로 이루어지나 그 폭은 대략 1M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강재보(100)의 간격을 줄여줌으로써 춤을 감소시켜 층고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상판(210)에는 휨강성을 증대시키면서 상부의 하중을 합성보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양 측판(220)의 방향으로 다수 개의 힘살(211)이 일정한 간격으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의 힘살(211)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의 오목한 형상이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엠보싱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판(210)의 양측단에서 하향 경사진 측판(220)은, 인접한 데크플레이트(200)의 측판(220)과 함께 골을 형성시키면서 강재보(100)의 상부부재(110)를 위치시켜, 슬래브 콘크리트(400)와 강재보(100) 사이의 충분한 전단연결공간을 가지게 하면서 철근콘크리트보의 구조를 가지게 하므로, 데크플레이트(200)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그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합성보 시스템에서는 도 7 또는 8에서와 같이 중간부재(130) 등에 대한 데크플레이트(200)의 거치가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강재보(100)에 구비된 상단철근(111)과 상단철근(111) 사이에는 상단철근(111)의 횡좌굴 등 변형 방지용 격자철선(300)이 더 설치된다.
콘크리트 타설방법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슬래브 및 합성보용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까지는 상단철근(111)에 횡좌굴 등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바, 상기 격자철선(300)은 각 상단철근(111)들의 사이에서 타이바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상단철근(11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격자철선(300)의 단부중 상단철근(111)과 만나는 단부에는 걸고리(311)가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311)에 상단철근(111)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격자철선(300)은 각 상단철근(111)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상단철근(111)이 휘어지는 등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격자철선(300)의 격자형상은 격자철선(300) 자체의 면내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켜 상단철근(111)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시키기 위한 것이나, 이는 슬래브 콘크리트(400)의 수축이나 온도변화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는 보강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하게 한다.
도 11에서와 같이 격자철선(300)이 강재보(100)의 상단철근(111)들 사이에 대한 설치가 완료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보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가 완성시키게 된다(도 12 참조).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강재보 111; 상단철근
112; 복부철근 120; 하부부재
121; 복부판재 122; 하부플랜지
130; 중간부재 131; 데크플레이트 거치면
200; 데크플레이트 210; 상판
211; 힘살 220; 측판
230; 하판 400; 슬래브 콘크리트

Claims (9)

  1. 슬래브 콘크리트(400)와 강재보(100)가 일체적 거동을 하는 합성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재보(100)는, 슬래브 콘크리트(400)에 매립되는 상부부재(110)와 슬래브 콘크리트(400)의 하부에 노출되는 하부부재(120) 및,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를 연결하면서 데크플레이트 거치면(131)이 구비되는 중간부재(1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부재(110)는, 강재보(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단철근(111)과, 상기 상단철근(111)의 하면에 설치되어 중간부재(130)와 연결되는 복부철근(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부재(120)는, 하부플랜지(122)와, 상기 하부플랜지(122)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중간부재(130)와 연결되는 복부판재(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철근(111)과 상단철근(111)의 사이에는 격자철선(300)이 설치되되, 상기 격자철선(300)의 단부중 상단철근(111)과 만나는 단부에는 걸고리(311)가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311)에 상단철근(111)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130)는 평철(130a)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철근(112)은 산과 골을 교대로 형성하도록 요철형상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판재(121)는 상하 양단을 제외한 중간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엠보싱(121a)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보(100)에는 데크플레이트(200)가 설치되되, 상기 데크플레이트(200)는 단일 평판으로 이루어진 상판(210)과, 상기 상판(210)의 양측단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된 측판(220) 및, 상기 측판(220)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시 절곡된 하판(2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230)이 중간부재(130)의 상단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200)의 상판(210)에는 양 측판(220)의 방향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한 힘살(211)의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KR20140150935A 2014-11-03 2014-11-03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KR101509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0935A KR101509175B1 (ko) 2014-11-03 2014-11-03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PCT/KR2015/010074 WO2016072616A1 (ko) 2014-11-03 2015-09-24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0935A KR101509175B1 (ko) 2014-11-03 2014-11-03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175B1 true KR101509175B1 (ko) 2015-04-08

Family

ID=5303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0935A KR101509175B1 (ko) 2014-11-03 2014-11-03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9175B1 (ko)
WO (1) WO20160726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27B1 (ko) * 2017-09-28 2018-03-07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철근콘크리트 스틸 합성 박스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59B1 (ko) * 2010-02-25 2010-11-18 (주)스틸콘이엔씨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KR20100130441A (ko) * 2009-06-03 2010-12-13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조립건축구조물용 용접빔
KR20110004740U (ko) * 2009-11-06 2011-05-13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층간높이를 향상시킨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주름강판보
KR101223145B1 (ko) * 2012-08-02 2013-01-17 채일수 중간부 요철형 웨브를 가진 용접빔과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5447A1 (en) * 2007-05-29 2008-12-04 Frank Padilla Method of reinforcing a corrugated steel floor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441A (ko) * 2009-06-03 2010-12-13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조립건축구조물용 용접빔
KR20110004740U (ko) * 2009-11-06 2011-05-13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층간높이를 향상시킨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주름강판보
KR100995459B1 (ko) * 2010-02-25 2010-11-18 (주)스틸콘이엔씨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KR101223145B1 (ko) * 2012-08-02 2013-01-17 채일수 중간부 요철형 웨브를 가진 용접빔과 그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27B1 (ko) * 2017-09-28 2018-03-07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철근콘크리트 스틸 합성 박스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2616A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116B1 (ko) 파형강판 복부 피에스씨 거더의 파형강판 복부와 콘크리트의 결합구조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125546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KR101594974B1 (ko) 복합보
KR101125917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20100024768A (ko)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KR101222206B1 (ko)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499337B1 (ko) 광폭 pc 복합거더
KR101160763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0758994B1 (ko)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329434B1 (ko) 슬릿형 웨브를 갖는 프리스트레스 합성보
KR101347939B1 (ko) 횡방향 부재를 이용한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KR100963579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816767B1 (ko) 철근콘크리트 강합형 파형강판 보강 구조물
KR101509175B1 (ko)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JP4164511B2 (ja) 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
KR101191545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101740598B1 (ko) 강성 증대와 전단연결 기능을 구비한 할로우캡빔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거더
KR10110540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0650601B1 (ko) 강합성 거더교 바닥판 데크플레이트의 영구거푸집용헌치조립체
JP2013002032A (ja) 波形鋼板耐震壁、及びこれの初期弾性せん断剛性算出方法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JP6679261B2 (ja) スラブの鉄骨梁支持部補強構造
KR101204279B1 (ko) 프리스트레싱 강거더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