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090B1 - 도로블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도로블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090B1
KR101509090B1 KR20130142671A KR20130142671A KR101509090B1 KR 101509090 B1 KR101509090 B1 KR 101509090B1 KR 20130142671 A KR20130142671 A KR 20130142671A KR 20130142671 A KR20130142671 A KR 20130142671A KR 101509090 B1 KR101509090 B1 KR 10150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lock
glass beads
module
upper portion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찬
Original Assignee
고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성찬 filed Critical 고성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53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tiles, bri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2Apparatus for washing concrete for decorative purposes or similar surface treatments for exposing the te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63Control arrangements
    • B28B17/0081Process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성형된 도로블록의 상부에 글라스비즈를 공급하는 글라스비즈공급모듈 및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공급된 글라스비즈를 가압하여 상기 도로블록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프레스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은 글라스비즈가 일측으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글라스비즈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크류의 외부를 덮어 감싸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회전 시 일측 위치에서 자중에 의하여 글라스비즈가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슬릿이 구비된 회전공급부를 포함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블록 제조장치{Road block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도로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글라즈비즈가 구비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로블록들은 대부분 인도, 광장, 주차장, 건물의 바닥벽돌용 또는 내외벽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도로블록에 색상 또는 무늬를 주어 심미감을 제공함으로써 도로블록의 기본 기능에 더한 효과를 주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에 더하여, 도로블록 외부 면이나 내측에 별도의 발광체를 삽입하여 어두운 장소 또는 야간에 도로블록이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길 안내 기능과 함께 조명기능에 따른 주위 분위기 연출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발광기능을 갖는 도로블록에 관한 기술로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10-0466500호의 '발광도로블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48146호의 '발광봉이 구비된 경계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033761호의 '형광성 또는 야광성 물질을 함유하는 석재'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05029호의 '야광점토벽돌', 등이 있다.
상술한 기술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발광체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조된 도로블록의 면에 별도의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홈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홈에 발광체를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로블록의 면에 절단기를 이용하여 홈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로블록의 강도가 약한 경우 도로블록의 파손 또는 크랙(crack) 발생으로 이어져, 도로블록으로서 제품의 가치를 잃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정교하게 홈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또한, 발광체를 도로블록에 삽입한 후에는 결합장치를 별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커버를 씌워줌으로써 발광체와 도로블록의 결합 및 보호의 기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품의 이송 및 작업과정에서 발광체의 파손 또는 커버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송 및 작업간의 주의를 요하게 되어 도로블록 시공을 함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출원번호 10-2011-0003014와 같은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 상기 기술의 경우에는 발광체인 글라스비즈를 도로블록 몸체 재질과 동시에 혼합하여 도로블록을 제조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글라스비즈가 제일 많이 분포되어야 할 상부에는 배치가 안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외관상 필요 없는 부분에까지 글라스비즈가 들어감으로써 전체 도로블록 가격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술의 경우 표면세척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하고는 있으나, 도로블록 몸체 제조를 위하여 혼합된 글라스비즈의 경우 별도의 워셔 등을 이용한 세척작업이 수행되더라도 블록에 이미 깊숙히 삽입된 글라스비즈나 또는 표면에 존재하는 글라스비즈의 경우에도 블록 제조를 위한 혼합물이 완전히 제거될 수는 없어 반사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발광 효과를 좋게 하면서도 도로블록의 제조단가는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 식별력을 가지도록 하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비즈가 상부에 효율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면서도, 제조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된 도로블록의 상부에 글라스비즈를 공급하는 글라스비즈공급모듈 및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공급된 글라스비즈를 가압하여 상기 도로블록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프레스모듈을 포함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성형된 도로블록을 이송시키는 이송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그리고,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은 글라스비즈가 일측으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글라스비즈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크류의 외부를 덮어 감싸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회전 시 일측 위치에서 자중에 의하여 글라스비즈가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슬릿이 구비된 회전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공급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공급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인터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에 글라스비즈가 고정된 도로블록 상부를 세정하는 세정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모듈은 글라스비즈의 표면 및 도로블록 상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워셔액이 분사되는 워셔액분사모듈 및 상기 분사된 워셔액이 제거되도록 소정 압력으로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분사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모듈에 의하여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고정된 글라스비즈가 도로블록과 일체화되도록 본딩재를 공급하는 본딩재주입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모듈과 상기 본딩재주입모듈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로블록 성형 단계와, 상기 성형된 도로블록의 상부면에 글라스비즈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글라스비즈를 가압하여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글라스비즈를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고정시킨 후,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세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단계는 워셔액을 분사하는 워셔액 분사단계와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워셔액 분사단계 후 분사된 워셔액이 제거되도록 에어분사단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본딩재를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도로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빛반사가 가능한 글라스비즈가 도로블록에 구비되도록 하되, 상대적으로 다른 재료들에 비하여 가격이 비싼 글라스비즈가 도로블록 상부면에만 구비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전체 도로블록의 제조비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되어 단가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전체 제조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과정이 간편하여지며, 불량률 또한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또한, 글라스비즈의 배치 및 세정과정을 위한 구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전체 제조장치가 콤팩트하여지는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글라스비즈공급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에 있어서, 회전모터와 회전공급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 상부에 글라스비즈가 구비된 도로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부에 글라스비즈가 구비된 도로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는 도로블록성형모듈(100),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 및 프레스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도로블록성형모듈(100)은 도로블록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의 틀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인 종래 도로블록의 성형을 위한 구성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은 상기 도로블록성형모듈(100)로부터 성형된 도로블록(10)의 상부에 글라스비즈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글라스비즈공급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은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210), 수용부(220), 스크류(260), 스크류구동모터(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21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220)는 글라스비즈가 수용되는 소정 부피를 지니는 저장조를 이루며, 일측으로 글라스비즈(1)가 배출되도록 배출부(230)가 구비된다.
이때, 글라스비즈가 하측으로 자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크류(260)는 상기 배출부(230)로 배출된 글라스비즈가 상기 스크류(260)가 회전 시 스크류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260)는 중심 회전축에 스크류구동모터(250)가 축연결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은 상기 스크류(260)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크류(260)의 외부를 덮어 감싸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회전 시 일측 위치에서 자중에 의하여 글라스비즈가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슬릿(288)이 구비된 회전공급부(28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공급부(280)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회전모터(27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27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2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인버터(240)를 이용 상기 스크류(26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스크류(260)를 통하여 공급되는 글라스비즈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스모듈(300)은 상기 도로블록(10) 상부에 공급된 글라스비즈(1)를 가압하여 상기 도로블록(10)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시멘트나 모래 등 다수의 혼합재로 성형된 도로블록이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로 이동시켜, 도로블록(10)의 상부에 글라스비즈(1)를 공급한 후, 상기 프레스모듈(300)을 이용 도로블록(10) 상측으로 글라스비즈(1)를 가압하여 삽입되어 고정된 형태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상기 프레스모듈(300)은 도로블록(10) 상측으로 글라스비즈를 가압하는 가압부(310), 피스톤부(320) 및 실린더부(330)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유압실린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모듈(300) 등 주위로는 센싱부(1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센싱부(180)는 도로블록(10)의 위치 등을 파악하여, 상기 각 구성들이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위치로 설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프레스모듈(300)이 상기 도로블록(10)을 가압 시 가압 정도가 보조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가입되는 도로블록(10)의 하부로 탄성부재(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프레스모듈의 가압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도로블록의 형상의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또는 글라스비즈가 도로블록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프레스모듈(300)에 의하여 상기 도로블록(10) 상부에 고정된 글라스비즈(1)가 도로블록(10)과 보다 일체화된 상태를 이루도록 본딩재(3)를 공급하는 본딩재주입모듈(4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본딩재주입모듈(400)은 투명한 재질의 본딩재를 글라스비즈가 공급된 도로블록(10) 상측에 소정 두께로 공급함으로써, 도로블록의 상측 두께가 평평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일부 재이탈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글라스비즈(1)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성형된 도로블록(10)이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 상기 프레스모듈(300) 및 상기 본딩재주입모듈(400)로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콘베이어(110) 및 상기 콘베이어(110)를 구동시키는 콘베이어구동모터(150)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콘베이어(1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별도의 풀리(120)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는 마이콤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500)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콘베이어구동모터(150), 스크류구동모터(250), 인버터(240), 회전모터(270), 프레스모듈(300) 및 본딩재주입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이루도록 하여, 각각의 모듈에 있어서 도로블록이 위치 시 정해진 작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이용 상부에 글라스비즈가 구비되는 도로블록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 상부에 글라스비즈가 구비된 도로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로블록을 성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도로블록의 성형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성형된 도로블록(10)은 상기 콘베이어(110)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외부에서 성형된 도로블록을 작업자가 직접 콘베이어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난 후, 상기 콘베이어(110)를 따라 이동된 도로블록(10)이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을 통과하면서, 도로블록(10)의 상부면에 글라스비즈(1)를 공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
이는 상기 스크류구동모터(250)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스크류(26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공급부(280) 내측에 미리 소정의 글라스비즈가 저장되게 하되, 상기 회전모터(270)의 작동에 따른 상기 회전공급부(280)의 회전 시 상기 공급슬릿(288)을 통하여 이동하는 도로블록(10)의 상부면 전체적으로 적절량의 글라스비즈(1)가 공급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공급부(280)의 회전 속도와 상기 도로블록(10)의 이송속도는 상기 공급슬릿(288)을 통한 글라스비즈가 도로블록 상부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미리 기 설정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인버터(240)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류(26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에 따라서 글라스비즈(1)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는 상부에 글라스비즈(1)가 공급된 도로블록(10)을 프레스모듈(300)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310)를 하향 이동시켜 상기 도로블록(10) 상부를 가압시킨다(S30).
이에 따라서, 상기 글라스비즈(1)가 상기 도로블록(10) 상부에 삽입되면서 임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난 후에는 상기 도로블록(10)을 본딩재주입모듈(400)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도로블록(10) 상부에 본딩재(3)를 투입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50).
이때, 상기 본딩재(3)를 투입하기 전 도로블록(10) 상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물 또는 공기 등을 주입하는 별도의 세척과정 등이 더 수행될 수도 있다(S40). 여기서는, 물을 먼저 주입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선주입된 물이 제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부에 글라스비즈가 구비된 도로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로블록은 상부면에만 글라스비즈(1)가 구비되되 본딩재(3)에 의하여 완전히 고정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빛반사가 가능한 글라스비즈가 도로블록에 구비되도록 하되, 상대적으로 다른 재료들에 비하여 가격이 비싼 글라스비즈가 도로블록 상부면에만 구비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전체 도로블록의 제조비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되어 단가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전체 제조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과정이 간편하여지며, 불량률 또한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2)는 하나의 케이스(50) 내부에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 프레스모듈(300) 및 본딩재주입모듈(400)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되, 상기 도로블록(10)의 이송방향과 달리 상기 도로블록의 이송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이동부(450)가 구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부(450)에 상기 본딩재주입모듈(400)에 별도의 세정모듈(500)이 함께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와 비교하여 보다 콤팩트(compact)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50)가 이동하도록 하는 별도의 레일부(460)가 구비되며, 케이스(50) 내측에는 콘베이어(11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도로블록(10)의 위치 파악을 할 수 있도록 다수 위치로 소정의 위치센싱부(19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450)와 레일부(460) 구성은 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위하여는 랙 피니억 기어방식 또는 벨트 풀리 방식 등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과 프레스모듈(300)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 적용된다,
도 8은 상기 이동부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이동부(450)는 워셔액분사모듈(510), 에어분사모듈(520)을 포함하는 세정모듈(500)과 본딩재주입모듈(4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워셔액분사모듈(510), 에어분사모듈(520)과 본딩재주입모듈(400)은 상기 도로블록 상부 전체에 걸쳐 균일한 워셔액, 에어, 본딩재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각각 적어도 일렬 이상으로 구비되되, 각각의 열마다 복수 개의 주입부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로블록(10) 상부로 이동하면서 워셔액, 에어, 본딩재가 순차적으로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공급되도록 그 배치 순서가 정하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블록 제조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송모듈(100)을 작동시켜 도로블록(10)을 상기 케이스(50)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는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200) 하부로 상기 도로블록(10)이 이송되면서, 상기 회전공급부(28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공급슬릿(288)을 통하여 도로블록(10) 상측으로 글라스비즈가 고르게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프레스모듈(300)측으로 상기 도로블록(10)을 이송시켜, 공급된 글라스비즈가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난 후에는, 상기 이송모듈(100)을 역으로 작동 즉, 콘베이어가 역으로 진행하도록 하여 상기 도로블록(10)이 이동부(450) 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450) 측부에 상기 도로블록(10)이 이송된 후에는 상기 이동부(450)를 레일부(46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워셔액과 에어, 그리고 본딩재를 주입시키는 작용을 거치게 된다.
이때, 순서대로 워셔액을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글라스비즈의 표면을 세척하고, 다시 에어를 주입하여 워셔액을 제거한 후, 본딩재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본딩작업이 가능해지며, 상술한 세정 및 본딩재 주입 과정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본딩재 주입과정까지 완료된 후에는 다시 도로블록(10)을 프레스모듈(300) 측으로 이동시켜 상부에 글라스비즈가 도포된 도로블록의 제작이 모두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정모듈(500)과 본딩재주입모듈(400)이 설치된 이동부(400)의 이동방향을 상기 도로블록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이송모듈의 작동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상황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기 설정 함으로써, 전체 제조장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글라스비즈 3: 본딩재
10: 도로블록 110: 콘베이어
120: 풀리 150: 콘베이어구동모터
170: 탄성부재 180: 센싱부
200: 글라스비즈공급모듈 210: 케이싱
220: 수용부 230: 배출부
240: 인버터 250: 스크류구동모터
260: 스크류 280: 회전공급부
288: 공급슬릿 300: 프레스모듈
310: 가압부 320: 피스톤부
330: 실린더부 400: 본딩재주입모듈
450: 본딩재주입모듈 500: 세정모듈

Claims (13)

  1. 성형된 도로블록의 상부에 글라스비즈를 공급하는 글라스비즈공급모듈 및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공급된 글라스비즈를 가압하여 상기 도로블록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프레스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비즈공급모듈은 글라스비즈가 일측으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글라스비즈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크류의 외부를 덮어 감싸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회전 시 일측 위치에서 자중에 의하여 글라스비즈가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슬릿이 구비된 회전공급부를 포함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도로블록을 이송시키는 이송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급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공급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인터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에 글라스비즈가 고정된 도로블록 상부를 세정하는 세정모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모듈은,
    글라스비즈의 표면 및 도로블록 상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워셔액이 분사되는 워셔액분사모듈; 및
    상기 분사된 워셔액이 제거되도록 소정 압력으로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분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모듈에 의하여 상기 도로블록 상부에 고정된 글라스비즈가 도로블록과 일체화되도록 본딩재를 공급하는 본딩재주입모듈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블록 제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130142671A 2013-11-15 2013-11-22 도로블록 제조장치 KR101509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8719 2013-11-15
KR1020130138719 2013-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090B1 true KR101509090B1 (ko) 2015-04-07

Family

ID=5303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2671A KR101509090B1 (ko) 2013-11-15 2013-11-22 도로블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0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587A (ko) * 2000-11-21 2002-05-27 오태한 도로 중앙선 식별 블록
JP2003136512A (ja) 2001-10-30 2003-05-14 Taiyu Concrete Kogyo Kk ガラス粒貼着シート、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品
KR20100093183A (ko) * 2009-02-16 2010-08-25 안학현 폴리머 칼라 콘크리트 포장재 및 그 포장방법
KR20110020624A (ko) * 2009-08-24 2011-03-03 (주)봉황씨원 실내 장식용 황토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 타일, 실내 장식용 황토 타일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587A (ko) * 2000-11-21 2002-05-27 오태한 도로 중앙선 식별 블록
JP2003136512A (ja) 2001-10-30 2003-05-14 Taiyu Concrete Kogyo Kk ガラス粒貼着シート、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品
KR20100093183A (ko) * 2009-02-16 2010-08-25 안학현 폴리머 칼라 콘크리트 포장재 및 그 포장방법
KR20110020624A (ko) * 2009-08-24 2011-03-03 (주)봉황씨원 실내 장식용 황토 타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 타일, 실내 장식용 황토 타일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31856U (zh) 一种全自动点胶机
ES2893835T3 (es) Dispositivo de formación de patrones para superficies de cuarzo
CN208744517U (zh) 一种石英石板材抛光装置
CN1100024A (zh) 带有图案的成型制品的模制设备及生产该制品的方法
CN106736484A (zh) 一种电气端子排自动锁螺丝机
KR101509090B1 (ko) 도로블록 제조장치
CN114497327B (zh) 一种高亮度色域MiniLED封装结构
CN203125689U (zh) 一种轻质墙板全自动生产线
CN108465433A (zh) 一种建筑装饰涂料用转运装置
KR20030055043A (ko) 반습식 콘크리트블럭 성형장치
JP2005270740A (ja) 接着剤塗布装置及び接着剤塗布方法
CN103447967A (zh) 一种玻璃器皿外表面自动机械打砂雕刻方法及装置
CN102806744B (zh) 高温粘接成型聚氨酯夹心板自动生产线
KR101175598B1 (ko) 패턴드 시트의 마이크로 임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드 시트의 제조방법
CN103950083B (zh) 农作物秸秆碎料板铺装装置
KR101728304B1 (ko) 가구용 하이그로시 판넬 코팅방법 및 상기 코팅방법을 위한 코팅장치
CN110788696B (zh) 一种进出料一体化方形玻璃拐角打磨装置
KR101791818B1 (ko) 블록 제조장치
CN113909056A (zh) 一种医疗用纸表面加工系统
CN203945457U (zh) 农作物秸秆碎料板铺装装置
KR101205742B1 (ko) 포장 블록 제조방법 및 장치
CN107116008B (zh) 翻转机构
CN207126765U (zh) 翻转机构
KR100816516B1 (ko) 이동식 샌드위치패널 제조시스템
CN207272948U (zh) 一种瓷砖抛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