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687B1 -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 Google Patents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687B1
KR101508687B1 KR20140084382A KR20140084382A KR101508687B1 KR 101508687 B1 KR101508687 B1 KR 101508687B1 KR 20140084382 A KR20140084382 A KR 20140084382A KR 20140084382 A KR20140084382 A KR 20140084382A KR 101508687 B1 KR101508687 B1 KR 101508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tank
fish
seawater
overflow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제천
신윤경
명정인
박정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14008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랑어류나 고등어와 같은 고도회유성 어류를 활어상태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활어운반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덮개가 장착되는 수조본체를 원통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수조덮개에는 기포의 수집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수조덮개 자체를 상부로 돌출시킨 오버플로우챔버를 형성시키며, 해수의 공급을 위한 해수주입관은 수조본체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상기 오버플로우챔버를 관통하여 수조본체의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까지 수직 하방으로 연장 설치하고, 오버플로우챔버의 양측에는 활어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개구부와 해수의 배출을 위한 오버플로우관을 각각 설치함으로서, 해수주입관을 통하여 수조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해수가 수조본체에 저장된 해수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기포의 생성량을 극소화시키는 동시에, 일부 생성된 미량의 기포는 어류의 유영경로를 벗어난 수조본체의 벽체부 내측면을 거쳐 오버플로우챔버의 내부공간으로 신속히 유도된 다음 오버플로우관을 통하여 해수와 함께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수조본체에 저장된 해수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조건하에서 질소성분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기포형태로 조성되어 고도회유성 어류의 아가미로 흡수됨에 따른 어류의 질식과 폐사를 방지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다랑어류나 고등어와 같은 고도회유성 어류를 보다 더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 활어운반수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Live-fish tank for transporting high degree migrative fish}
본 발명은 다랑어류나 고등어와 같은 고도회유성 어류의 운반을 위하여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활어운반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조의 내부에 저장되는 해수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조건하에서 질소성분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기포형태로 조성되어 고도회유성 어류의 아가미로 흡수됨에 따른 어류의 질식과 폐사를 방지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다랑어류나 고등어와 같은 고도회유성 어류를 보다 더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 활어운반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도회유성(高度回遊性) 어류는 비교적 먼 거리를 회유하는 활동성이 강한 어종으로서, 다랑어류와 새치류 등을 포함하는 17개 어종이 고도회유성 어류로 분류되어 있으며, 현재 국내의 연안해역에서 대규모로 양식이 이루어지는 어종은 고등어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고, 참다랑어 또한 고부가가치 어종으로서 양식에 대한 연구와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참다랑어나 고등어 등의 고도회유성 어류를 양식하기 위해서는 자연적으로 어획한 치어 또는 육상의 양식수조에서 해당 어류의 산란을 유도한 후 산란된 알을 부화시켜 소정의 기간동안 5~10cm 정도의 크기로 육성시킨 치어를 선박의 활어수조에 담아 연안해역의 수상가두리로 운반 및 투입시키게 되며, 수상가두리에서 성어까지 성장된 어류 또한 선박의 활어수조에 담아 육상으로 운반 및 출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도회유성 어류의 운반을 위한 활어수조는 크게 원을 그리면서 비교적 빠른 속도로 유영하는 고도회유성 어류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원형수조가 사용되는 바, 만일 사각형 수조를 사용하게 되면 고도회유성 어류의 습성과 수조의 구조가 서로 부합되지 못하여 운반기간중에 수조의 내부에서 어류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폐사하게 되며, 고도회유성 어류의 양식을 위한 가두리그물을 원통형 그물로 제작하는 것 역시 이러한 내용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그러나, 원형수조를 이용하여 고도회유성 어류의 치어 또는 성어를 운반하는 과정에서도 몇몇 개체수의 어류가 운반도중 폐사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다른 어종에 비하여 부패속도가 매우 빠른 고도회유성 어류의 특성상 몇몇 개체수의 어류가 폐사하는 것만으로도 수조 내부에 투입된 어류 전체의 건강상태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형수조를 이용한 운반과정에서 고도회유성 어류가 폐사하는 원인을 오랜 기간에 걸쳐 연구한 결과, 공기중에는 질소(N2)가 약 78%의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데, 고도회유성 어류, 특히 참다랑어의 경우는 질소가스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적은 량의 질소가스가 아가미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질식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활어수조의 내부로 해수를 공급할 시, 수조로 펌핑되는 해수가 수조 내부에 저장된 해수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기포(공기방울)를 최대한으로 억제시켜야만이 수조의 내부에 투입된 고도회유성 어류가 기포와 함께 해수중으로 유입된 질소가스를 마시지 않게 되며, 어류의 배설물 등으로 수조에 저장된 해수중에 암모니아와 질소가스가 누적될 경우에도 질식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깨끗한 해수를 다량으로 신속하게 교환시켜 주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858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조덮개를 포함하는 수조본체를 원통 형상으로 제작하되, 해수주입관을 통하여 수조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해수가 수조본체에 저장된 해수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기포의 생성량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일부 생성된 미량의 기포는 어류의 유영경로를 벗어난 수조본체의 벽체부 내측면을 거쳐 수조덮개상에 제공된 오버플로우공간으로 신속히 유도된 다음 해수와 함께 수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수조본체에 저장된 해수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조건하에서 질소성분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기포형태로 조성되어 고도회유성 어류의 아가미로 흡수됨에 따른 어류의 질식과 폐사를 방지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다랑어류나 고등어와 같은 고도회유성 어류를 보다 더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 활어운반수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는 수조덮개와,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주입관과, 상기 수조본체의 하단측에 연결 설치되는 드레인배관과, 상기 드레인배관에 설치되는 드레인밸브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활어운반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덮개에는 오버플로우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챔버는 수조본체의 내부공간 상측에 기포의 수집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조덮개 자체를 소정의 높이만큼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시킨 것이며, 상기 오버플로우챔버의 일측 상부면에는 활어의 투입과 배출을 위하여 덮개판으로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챔버의 타측 벽체부상에는 해수배출용 오버플로우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해수주입관은 수조본체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오버플로우챔버를 관통하여 수조본체의 바닥면과 5~20mm의 간격을 두고 근접하는 위치까지 수직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해수주입관의 하단측에 5~20mm의 유동간격을 두고 수조본체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원판 형태의 기포차단판이 설치되고, 상기 기포차단판의 외주연부는 해수의 공급을 위하여 수조본체의 벽체부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수조본체의 바닥면에는 기포차단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수조본체의 바닥면을 따라 일정한 배치각도를 두고 최소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기포차단판의 가장자리에는 5~20mm의 유동간격을 두고 수조본체의 벽체부 내측면과 이격되는 기포차단벽이 설치되고, 상기 기포차단벽은 수조본체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통 형상으로 하여 수조본체 높이의 1/4 내지 1/2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상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포차단벽의 하단측에는 수조본체의 벽체부를 관통하여 수조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드레인배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배관에는 드레인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오버플로우챔버의 일측부는 반원 형태의 챔버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오버플로우챔버의 타측부는 반원 형태의 챔버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지게 연장되는 사각 형태의 챔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오버플로우챔버의 내측에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반원 형태의 챔버와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사각 형태의 챔버를 구획하는 칸막이판이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판에는 해수의 통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는 오버플로우챔버의 벽체 부분 또는 사각 챔버를 이루는 오버플로우챔버의 벽체 부분은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벽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조본체의 상단측 주연부에는 수조덮개의 조립을 위한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서는 운반로프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활어운반수조의 중심부를 따라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해수주입관의 하단측 출구 부분이 수조본체의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최소 5mm에서 최대 20mm의 간격을 두고 근접하도록 배치시키는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수조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해수가 수조본체에 저장된 해수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기포의 생성량을 극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해수주입관을 통한 해수의 공급 과정에서 일부 생성될 수 있는 미량의 기포는 수조본체의 바닥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퍼져 나가는 해수의 흐름에 편승한 상태로 어류의 실질적인 유영경로를 벗어난 수조본체의 벽체부 내측면을 거쳐 오버플로우챔버의 내부공간으로 신속히 유도된 다음 오버플로우관을 통하여 해수와 함께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고도회유성 어류가 기포성분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더 확실하게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해수주입관의 하단측에 원판 형태의 기포차단판을 설치하거나, 상기 기포차단판의 외주연부에 원통 형상의 기포차단벽을 추가로 설치한 경우는, 해수주입관을 통한 해수의 주입압력이 수조본체의 바닥부 전체 면적에 걸쳐 보다 더 골고루 분산되도록 함에 따라, 해수의 충돌에 따른 기포의 발생량을 거의 제로(Zero)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극소량의 기포성분 역시 수조본체의 벽체부 내측면과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오버플로우챔버의 내부공간으로 매우 빠르게 유도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기포성분이 어류의 유영경로를 보다 더 확실하게 벗어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도회유성 어류가 기포성분과 접촉할 기회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오버플로우챔버의 나머지 부분을 고도회유성 어류가 기피하는 사각 형태의 챔버로 형성시키고, 이에 해수의 통로구멍이 형성된 칸막이판을 추가로 적용시킴으로서, 기포와 이물질의 배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기포와 이물질이 존재하는 오버플로우챔버의 내부공간으로 고도회유성 어류가 근접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궁극적으로는, 수조본체에 저장된 해수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조건하에서 질소성분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기포형태로 조성되어 고도회유성 어류의 아가미로 흡수됨에 따른 어류의 질식과 폐사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로 인하여 다랑어류나 고등어와 같은 고도회유성 어류를 보다 더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활어운반수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10)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수조본체(1)와, 상기 수조본체(1)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는 수조덮개(2)와, 상기 수조본체(1)의 내부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주입관(3)과, 상기 수조본체(1)의 하단측에 연결 설치되는 드레인배관(6)과, 상기 드레인배관(6)에 설치되는 드레인밸브(6a)를 그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게 된다.
상기 수조본체(1)와 수조덮개(2) 및 해수주입관(3)과 드레인배관(6)은 PVC나 PE 등과 같이 가볍고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시 FRP와 같은 고강도 소재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드레인밸브(6a)는 플라스틱 재질의 볼밸브가 바람직하고,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소재의 밸브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조본체(1)의 상단측 주연부에는 수조덮개(2)의 장착을 위한 플랜지부(1a)를 돌출 형성시킴으로서, 해당 플랜지부(1a)를 따라 수조덮개(2)를 안착시켜 놓은 상태에서 조립볼트(2a) 등을 이용하여 수조덮개(2)를 수조본체(1)와 견고하게 조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조덮개(2)의 조립부위에는 방수처리가 적용되어야 하며, 수조본체(1)의 내부에 해수가 저장되지 아니한 빈통 상태의 수조를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1a)를 따라 운반로프(7)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면상 상기 운반로프(7)는 수조본체(1)의 플랜지부(1a)와 수조덮개(2)의 외주연부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응 형성된 결속구멍(2b)을 따라 연이어지는 형태로 연결 설치되는 한편, 플랜지부(1a)의 하측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하부 방향으로 처지도록 설치됨으로서, 작업자가 운반로프(7)를 손으로 잡고 활어운반수조(10)를 당기는 식으로 이동시키거나, 선박의 크레인 등에 운반로프(7)를 매달아 활어운반수조(10)를 적재 또는 하역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운반로프(7)의 설치방식 이외에도 수조본체(1)의 플랜지부(1a) 하측면이나 수조본체(1)의 상단 외주면에 로프결속용 브라켓을 설치하거나, 해당 위치에 연결로프(7)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로프결속용 보강대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연결로프(7)를 대신하여 동일한 위치에 운반손잡이 등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되는 구성요소는, 상기 해수주입관(3)이 수조본체(1)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수조덮개(2)를 관통하여 수조본체(1)의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까지 수직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해수주입관(3)의 설치방식에 의하여 수조본체(1)의 내부로 펌핑되는 해수와 수조본체(1)의 내부에 저장된 해수와의 충돌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기존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대부분의 활어운반수조는 해수주입관(3)의 하단측 출구 부분이 수조덮개(2)의 바로 아래에 해당하는 높이에 위치되거나, 수조본체(1)의 벽체부상에 해수주입관(3)의 출구가 연결됨에 따라, 해수주입관(3)으로부터 배출되는 해수가 수조본체(1)에 저장된 해수와 강하게 충돌하여 수조본체(1)의 내부에 길고 폭넓은 수말(水沫: 물보라)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해수주입관(3)의 하단측 출구 부분이 수조본체(1)의 바닥면과 근접한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서, 해수주입관(3)의 출구를 통하여 해수가 배출되는 즉시 수조본체(1)의 바닥부 전체 면적을 따라 방사상으로 퍼져 나가게 되므로, 해수끼리의 충돌에 의한 수말, 다시 말해서 고도회유성 어류의 운반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기포성분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해수주입관(3)의 하단측 출구 부분이 수조본체(1)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간격은 최소 5mm에서 최대 20mm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며, 5mm 미만의 좁은 간격에서는 해수의 주입에 따른 저항이 크게 되어 해수펌프의 원활하고 안전한 가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20mm를 초과한 간격에서는 해수끼리의 충돌에 의한 기포발생량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억제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는 활어운반수조(10)의 용량과 해수의 펌핑압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해수주입관(3)의 하단측 출구 부분이 수조본체(1)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수주입관(3)을 수조덮개(2)와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해수주입관(3)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나 지지턱 등을 수조덮개(2)상에 형성시킨 상태에서, 해수주입관(3)을 수조덮개(2)와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해수주입관(3)의 관통부위에도 수밀(水密) 처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수조덮개(2)상에 오버플로우챔버(Overflow chamber)(4)를 형성시키되, 상기 오버플로우챔버(4)가 수조본체(1)의 내부공간 상측에서 기포와 이물질 등의 수집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수조덮개(2) 자체를 소정의 높이만큼 상부 방향으로 단지게 돌출시켜 오버플로우챔버(4)를 형성토록 하며, 상기 해수주입관(3)은 수조덮개(2)에 형성된 오버플로우챔버(4)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버플로우챔버(4)를 추가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해수주입관(3)의 하단 출구를 수조본체(1)의 바닥면과 근접시켜 기포의 생성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키더라도 각종 요인에 의하여 미량의 기포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미량의 기포성분이 고도회유성 어류의 활동영역에 해당하는 수조본체(1)의 내부공간에서 체류되지 않고, 수조본체(1)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내부공간으로 유도되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해수주입관(3)을 통한 해수의 공급 과정에서 일부 생성될 수 있는 미량의 기포는 수조본체(1)의 바닥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퍼져 나가는 해수의 흐름에 편승한 상태로 어류의 실질적인 유영경로를 벗어난 수조본체(1)의 벽체부 내측면을 거쳐 오버플로우챔버(4)의 내부공간으로 신속히 유도된 다음 해수와 함께 수조 외부로 배출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고도회유성 어류가 기포성분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더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수조본체(1)를 통한 어류의 실질적인 유동경로는 수조본체(1)의 벽체부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내부측 경로가 되는 바, 그 이유는 고도회유성 어류가 비교적 큰 원을 그리면서 선회식으로 유동하는 본능이 있지만, 수조본체(1)의 벽체부와 충돌할 정도로 가까운 거리에서 선회하는 것은 아니므로, 수조본체(1)의 벽체부와 어류의 실질적인 유동경로 사이에 어느 정도의 여유공간이 발생한다는 것이며, 상기 기포성분은 이러한 여유공간을 따라 오버플로우챔버(4)의 내부로 유도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일측(도면상 좌측) 상부면에는 활어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개구부(4a)가 형성되고, 오버플로우챔버(4)의 타측(도면상 우측) 벽체부상에는 해수배출용 오버플로우관(5)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4a)에는 어류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9a)를 구비하는 덮개판(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판(9)은 경첩 등에 의하여 개구부(4a)의 외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힌지식 개폐도어가 될 수도 있고, 개구부(4a)를 따라 측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식 개폐도어가 될 수도 있고, 덮개판(9) 자체를 개구부(4a)상에 끼움식으로 조립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는 덮개판(9)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판(9)의 하측면에 개구부(4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패드형 마개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수주입관(3)의 상단측에는 미도시된 해수펌프로부터 연장되는 해수공급용 배관을 해수주입관(3)과 연결시키기 위한 엘보커넥터(3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버플로우관(5)에도 해수배출용 배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파이프커넥터(5a)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해수배출용 배관은 수조본체(1)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를 최종 방류영역, 예를 들어 선박의 외부 등지로 배수시키기 위한 파이프 라인이 된다.
또한, 상기 해수주입관(3)을 통하여 수조본체(1)의 내부로 펌핑되는 해수의 수량(水量) 만큼이 오버플로우관(5)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해수주입관(3)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량과 오버플로우관(5)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오버플로우챔버(4)에 총 2개의 오버플로우관(5)을 설치함으로서, 해수의 자연적인 배출유량을 충분히 확보토록 하였으며, 필요시 상기 오버플로우관(5)에 배출펌프를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가장 바람직한 설치형태로서는 도 1에서와 같이, 개구부(4a)를 포함하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일측부(도면상 좌측부)를 반원 형태의 챔버로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4a)를 제외한 오버플로우챔버(4)의 타측부(도면상 우측부)는 반원 형태의 챔버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지게 연장되는 사각 형태의 챔버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 2에서와 같이 오버플로우챔버(4)의 내측에는 개구부(4a)를 포함하는 반원 형태의 챔버와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사각 형태의 챔버를 구획하는 칸막이판(8)을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판(8)에는 해수의 통로구멍(8a)을 형성시키는 것이며, 상기 통로구멍(8a)은 원형의 구멍으로 하여 칸막이판(8)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개구부(4a)를 제외한 오버플로우챔버(4)의 나머지 부분을 고도회유성 어류가 기피하는 사각 형태의 챔버로 형성시키고, 이에 해수의 통로구멍(8a)이 형성된 칸막이판(8)을 추가로 적용시킴으로서, 기포와 이물질의 배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기포와 이물질이 존재하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내부공간으로 고도회유성 어류가 근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활어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개구부(4a)의 면적은 상대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오버플로우챔버(4)는 해수의 주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량의 기포와 각종 이물질 성분이 유입되는 공간이므로, 기포와 이물질 성분이 보다 더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5)이 연결되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벽체 부분 또는 사각 챔버를 이루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모든 벽체 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벽면(4b)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1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해수주입관(3)의 하단측에는 소정의 유동간격(12)을 두고 수조본체(1)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원판 형태의 기포차단판(11)이 설치되고, 상기 수조본체(1)의 바닥면에는 기포차단판(11)을 지지하는 스페이서(11a)가 설치된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되어진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기포차단판(11)이 수조본체(1)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유동간격(12) 역시 최소 5mm에서 최대 20mm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포차단판(11)을 해수주입관(3)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서, 활어운반수조(10)의 청소나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해수주입관(3)을 수조덮개(2)와 함께 수조본체(1)로부터 분리할 경우, 상기 기포차단판(11)이 해수주입관(3)과 함께 수조본체(1)의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포차단판(11)의 두께는 해수주입관(3)을 통한 해수의 주입압력으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에서 활어운반수조(10)의 경량화를 위하여 최대한 얇게(1~2mm 내외)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수주입관(3)과 기포차단판(11)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대(3b)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포차단판(11)의 외주연부는 해수의 공급을 위하여 수조본체(1)의 벽체부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기포차단판(11)의 외주연부가 수조본체(1)의 벽체부와 이격되는 간격은 유동간격(12)에 해당하는 5~20mm 정도의 간격이 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이보다 넓은 간격을 두더라도 무방하고, 상기 스페이서(11a)는 해수의 유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기포차단판(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수조본체(1)의 바닥면을 따라 일정한 배치각도를 두고 최소 2개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동간격(12)은 각 스페이서(11a)의 돌출 두께가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1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기포차단판(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포차단벽(13)을 추가로 설치한 것이며, 상기 기포차단벽(13)은 소정의 유동간격(12)을 두고 수조본체(1)의 벽체부 내측면과 이격되는 한편, 수조본체(1)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통 형상의 벽체가 되며, 기포차단벽(13)이 기포차단판(11)과 연결되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도 보강대(11b)가 적용되어 있고, 기포차단판(11)의 스페이서(11a)는 90도의 배치간격을 두고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포차단벽(13)이 수조본체(1)의 벽체부 내측면과 이격되는 유동간격(12)은 기포차단판(11)이 수조본체(1)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유동간격(12)에 맞추어 5~20mm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포차단벽(13)의 높이는 수조본체(1) 높이의 1/4 내지 1/2 정도로 하여 기포차단벽(13)이 제공하는 공간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서 해수가 과도하게 정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드레인배관(6)을 통한 해수의 배출시 기포차단판(11)과 기포차단벽(13)으로 구획된 공간의 내부에 잔여해수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기포차단벽(13)의 하단측에는 수조본체(1)의 벽체부를 관통하여 수조본체(1)의 외부로 연장되는 드레인배관(14)이 추가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배관(14)에는 드레인밸브(14a)가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배관(14)은 방수용 팩킹이나 밀폐링 등과 같은 방수수단을 개재시킨 상태로 수조본체(1)의 벽체부 및 기포차단벽(13)과 착탈식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토록 설치함으로서, 기포차단판(11)과 일체로 형성된 기포차단벽(13)을 해수주입관(3)과 함께 수조본체(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드레인배관(14)을 추가로 설치하는 대신에 기포차단벽(13)의 하단측이나 기포차단판(11)의 주연부상에 드레인홀(Drain hole)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해수주입관(3)의 하단측에 원판 형태의 기포차단판(11)을 설치하거나, 상기 기포차단판(11)의 외주연부에 원통 형상의 기포차단벽(13)을 추가로 설치한 경우는, 해수주입관(3)을 통한 해수의 주입압력이 수조본체(1)의 바닥부 전체 면적에 걸쳐 보다 더 골고루 분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수의 충돌에 따른 기포의 발생량을 거의 제로(Zero)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극소량의 기포성분 역시 수조본체(1)의 벽체부 내측면과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오버플로우챔버(4)의 내부공간으로 매우 빠르게 유도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기포성분이 어류의 유영경로를 보다 더 확실하게 벗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도회유성 어류가 기포성분과 접촉할 기회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수조본체(1)에 저장된 해수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조건하에서 질소성분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기포형태로 조성되어 고도회유성 어류의 아가미로 흡수됨에 따른 어류의 질식과 폐사를 방지토록 함으로서, 다랑어류나 고등어와 같은 고도회유성 어류를 보다 더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활어운반수조(1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10)는 선박을 이용하여 해당 어류를 운반하는 도중에 해상의 깨끗한 해수를 활어운반수조(10)로 펌핑시키고, 활어운반수조(10)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는 정화처리를 거쳐 해상으로 최종 방류되도록 하는 용도에 맞추어 제공되는 것이지만, 차량 등을 이용한 육상에서의 활어운반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 경우는 활어운반수조(10)를 해수정화장치와 함께 차량 등에 탑재시킴으로서, 해수의 순환여과식 공급이 수행되도록 하여야 한다.
1 : 수조본체 1a : 플랜지부 2 : 수조덮개
2a : 조립볼트 2b : 결속구멍 3 : 해수주입관
3a : 엘보커넥터 3b,11b : 보강대 4 : 오버플로우챔버
4a : 개구부 4b : 경사벽면 5 : 오버플로우관
5a : 파이프커넥터 6,14 : 드레인배관 6a,14a : 드레인밸브
7 : 운반로프 8 : 칸막이판 8a : 통로구멍
9 : 덮개판 9a : 손잡이 10 : 활어운반수조
11 : 기포차단판 11a : 스페이서 12 : 유동간격
13 : 기포차단벽

Claims (8)

  1. 삭제
  2.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수조본체(1)와, 상기 수조본체(1)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는 수조덮개(2)와, 상기 수조본체(1)의 내부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주입관(3)과, 상기 수조본체(1)의 하단측에 연결 설치되는 드레인배관(6)과, 상기 드레인배관(6)에 설치되는 드레인밸브(6a)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활어운반수조(10)에 있어서,
    상기 수조덮개(2)에는 오버플로우챔버(4)가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챔버(4)는 수조본체(1)의 내부공간 상측에 기포의 수집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조덮개(2) 자체를 소정의 높이만큼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시킨 것이며,
    상기 오버플로우챔버(4)의 일측 상부면에는 활어의 투입과 배출을 위하여 덮개판(9)으로 개폐되는 개구부(4a)가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챔버(4)의 타측 벽체부상에는 해수배출용 오버플로우관(5)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해수주입관(3)은 수조본체(1)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오버플로우챔버(4)를 관통하여 수조본체(1)의 바닥면으로부터 5~20mm의 간격을 두고 근접하는 위치까지 수직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해수주입관(3)의 하단측에는 5~20mm의 유동간격(12)을 두고 수조본체(1)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원판 형태의 기포차단판(11)이 설치되고, 상기 기포차단판(11)의 외주연부는 해수의 공급을 위하여 수조본체(1)의 벽체부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수조본체(1)의 바닥면에는 기포차단판(11)을 지지하는 스페이서(11a)가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11a)는 수조본체(1)의 바닥면을 따라 일정한 배치각도를 두고 최소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차단판(11)의 가장자리에는 5~20mm의 유동간격(12)을 두고 수조본체(1)의 벽체부 내측면과 이격되는 기포차단벽(13)이 설치되며,
    상기 기포차단벽(13)은 수조본체(1)와 동심원을 이루는 원통 형상으로 하여 수조본체(1) 높이의 1/4 내지 1/2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상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차단벽(13)의 하단측에는 수조본체(1)의 벽체부를 관통하여 수조본체(1)의 외부로 연장되는 드레인배관(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배관(14)에는 드레인밸브(14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본체(1)의 상단측 주연부에는 수조덮개(2)의 조립을 위한 플랜지부(1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a)를 따라서는 운반로프(7)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4a)를 포함하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일측부는 반원 형태의 챔버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a)를 제외한 오버플로우챔버(4)의 타측부는 반원 형태의 챔버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지게 연장되는 사각 형태의 챔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챔버(4)의 내측에는 개구부(4a)를 포함하는 반원 형태의 챔버와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사각 형태의 챔버를 구획하는 칸막이판(8)이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판(8)에는 해수의 통로구멍(8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5)이 연결되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벽체 부분 또는 사각 챔버를 이루는 오버플로우챔버(4)의 벽체 부분은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벽면(4b)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KR20140084382A 2014-07-07 2014-07-07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KR101508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4382A KR101508687B1 (ko) 2014-07-07 2014-07-07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4382A KR101508687B1 (ko) 2014-07-07 2014-07-07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687B1 true KR101508687B1 (ko) 2015-04-08

Family

ID=5303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4382A KR101508687B1 (ko) 2014-07-07 2014-07-07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6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4059A (zh) * 2018-12-03 2019-07-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金枪鱼幼鱼渔船暂养方法及装置
KR20210094221A (ko) 2020-01-21 2021-07-29 성재경 고도회유성 어류 양식을 위한 운반수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694Y1 (ko) * 1994-12-16 1997-07-02 김학문 활어운반용 수족관의 거품 집합장치
JPH11178475A (ja) * 1997-12-18 1999-07-06 Seike Kazunori 活魚等の輸送箱装置
KR19990036093U (ko) * 1998-02-13 1999-09-15 한기홍 활어운반통
KR101058839B1 (ko) * 2009-04-20 2011-08-23 이명규 활어차용 산소 발생 수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694Y1 (ko) * 1994-12-16 1997-07-02 김학문 활어운반용 수족관의 거품 집합장치
JPH11178475A (ja) * 1997-12-18 1999-07-06 Seike Kazunori 活魚等の輸送箱装置
KR19990036093U (ko) * 1998-02-13 1999-09-15 한기홍 활어운반통
KR101058839B1 (ko) * 2009-04-20 2011-08-23 이명규 활어차용 산소 발생 수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4059A (zh) * 2018-12-03 2019-07-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金枪鱼幼鱼渔船暂养方法及装置
KR20210094221A (ko) 2020-01-21 2021-07-29 성재경 고도회유성 어류 양식을 위한 운반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52568C (en) A floating plant
EP2760282B1 (en) Fish farming plant, module, method and use
KR102220048B1 (ko) 다층 생장 장치
JP2006223276A (ja) ボウフラ駆除容器
DK180233B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farming of fish
CA3067662A1 (en) Floating, closed, self-supporting fish-farming cage comprising a tubular membrane made of a polymer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low biofouling adhesion, and system of fish-farming cages
EP3634122B1 (en) Fish farm
KR101508687B1 (ko) 고도회유성 어류용 활어운반수조
WO2019245385A1 (en) An arrangement at floating net cage
KR200451753Y1 (ko)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KR102075634B1 (ko) 스마트 양식기
KR101288013B1 (ko) 역류형 인공부화장치
KR102347416B1 (ko) 고도회유성 어류 양식을 위한 운반수조
NO20161924A1 (no)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å hindre påslag av lus på fisk i en oppdrettsmerd
KR101953792B1 (ko) 어류 보호장치
JPH046544Y2 (ko)
CN213246417U (zh) 循环水养殖管道系统
JP2015116138A (ja) 水流型水槽
JP3237981U (ja) 陸上養殖用の水槽
KR102640631B1 (ko) 전복 양식용 쉘터
CN220458307U (zh) 一种新型养殖网箱
NO343071B1 (no) Nedsenkbart oppdrettshabitat med strekkstagsforankret luftromkonstruksjon
KR20150069638A (ko) 다층 어항
JP2019205396A (ja) 養殖装置
JP4163661B2 (ja) 水槽における濾過機器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