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753Y1 -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753Y1
KR200451753Y1 KR2020100005244U KR20100005244U KR200451753Y1 KR 200451753 Y1 KR200451753 Y1 KR 200451753Y1 KR 2020100005244 U KR2020100005244 U KR 2020100005244U KR 20100005244 U KR20100005244 U KR 20100005244U KR 200451753 Y1 KR200451753 Y1 KR 200451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plate member
hol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식
Original Assignee
한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식 filed Critical 한만식
Priority to KR2020100005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7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한 지점에 머물면서 수조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 이동되어 수면상에 떠다니는 거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조(1)내의 수조수(W)를 정화시키기 위한 이물질제거수단(2,2')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유통공(11)을 가진 수직가이드부재(12)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12) 하부 일측에 유통공(11)과 연통되는 배수구(13)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12)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판부재(16)를 갖는 흡입가이드수단(10)과; 상기 수직가이드부재(12)가 삽입되어 유통공(11)과 연통되는 가이드공(22)을 가진 승하강부재(21)와, 상기 가이드공(22) 상부를 밀폐되게 하고 거품과 수면수(Wa)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공(24)을 가진 상판부재(23)와, 상기 상판부재(23) 하부에 부착되고 밀봉캡(25a)으로 개폐되는 공기주입구(25)를 통해 공기(A)가 주입되는 공기실(27)을 갖는 부력관체(26)와, 상기 가이드공(22)으로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하기 위해 상판부재(23) 상부로 기립되게 고정되는 통기관(28)을 갖는 승하강제거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Seafood aquarium water bubble removal device}
본 고안은 활어나 조개와 같은 어패류가 담기는 수조에서 수면에 떠다니는 거품을 제거하는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어나 조개와 같은 어패류는 유통과정에 먼저 커다란 수조에 있다가 활어회전문 음식점이나 시장 등으로 유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어패류가 수조에 머무는 동안 병이 들거나 폐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조에 있는 물이 항상 깨끗한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여야 하는데 어패류가 수중에서 배출하는 이물질이나 배설물 등에 의해서 항상 오염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내의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키머(걸름장치) 및 여과기 등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수조내의 물을 정화시킨 다음 다시 수조로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어패류가 수중에서 배출하는 이물질이나 배설물이 수중에 있는 다른 물질과의 화학반응에 의해서 발생 되는 거품 및 기포발생기에 의해 수중에 산소 공급을 위해 투입되는 기포에 의해서 발생 되는 거품 또는 스키머나 여과기에 구비하는 펌프에 의해서 다시 수조 내로 토출 되는 순환수에 의해서 발생 되는 거품이 수면상에 떠다니게 된다.
이러한 거품에는 수면으로 부상되는 부유물질이 달라붙어 있기 때문에 제거하지 않을 경우 축적이 되어 물을 다시 오염시키게 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수면과 대기중의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수중으로 공기 중의 산소가 녹아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게 됨으로써 유해한 거품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유해한 거품을 활어가 섭취하는 경우 병이 들거나 폐사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기 때문에 수면으로 떠다니는 거품을 도구를 이용하여 수시로 제거해야 함에 따라 매우 번잡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거품은 수면상에 부상되어 떠다니기 때문에 수조 바닥으로 침전되는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조 바닥에 주로 설치되는 스키머나 여과기의 유입관으로 빨려들어 가지 못함으로써 스키머나 여과기로는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090283호가 있으나 이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어패류용 수조에서 이용하기가 어렵고 제조비 상승 등이 야기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이고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22174호와 같은 거품제거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거품회수부가 회수관로와 연결되어 유동되기 때문에 수조에 있는 물이 출렁이면 전복될 수 있고 회수관로의 유동으로 연결부위가 빠져버리게 되는 등의 유지관리에 불편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고 구조가 조잡하고 복잡하여 고장 우려성이 높고 원가상승이 야기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KR 10-2007-0090283 A 2007.09.06 KR 10-0922174 B1 2009.10.19
본 고안은 한 지점에 머물면서 수조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 이동되어 수면상에 떠다니는 거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조수가 요동치더라도 전복되지 않고 수면상에 항시 머물러 있으면서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고장이 거의 없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신뢰성이 높고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수조내의 수조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이물질제거수단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유통공을 가진 수직가이드부재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 하부 일측에 유통공과 연통되는 배수구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판부재를 갖는 흡입가이드수단과; 상기 수직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유통공과 연통되는 가이드공을 가진 승하강부재와, 상기 가이드공 상부를 밀폐되게 하고 거품과 수면수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공을 가진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 하부에 부착되고 밀봉캡으로 개폐되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실을 갖는 부력관체와, 상기 가이드공으로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하기 위해 상판부재 상부로 기립되게 고정되는 통기관을 갖는 승하강제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가이드수단의 수직가이드부재가 승하강제거수단의 가이드공으로 삽입되어 승하강제거수단이 승하강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가이드부재 하측 외주면에 승하강부재가 걸림되는 걸림턱부를 구비하고 유통공 하측에는 다수의 소공을 가진 여과판부재가 더 고정되게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은 수조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제거수단이 승하강 이동되어 수면상에 떠다니는 거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조수가 요동치더라도 전복되지 않고 수면상으로 승하강제거수단이 자동으로 복귀되어 수면상에 머물러 있으면서 거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고장이 거의 없고 제품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면거품제거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면거품제거장치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면거품제거장치의 전체 조립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면거품제거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면거품제거장치의 작용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수면거품제거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승하강제거수단의 작용설명도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크게 구분하여 흡입가이드수단(10)과 승하강제거수단(20)을 구비한다.
상기 흡입가이드수단(10)은 상부가 개구된 유통공(11)을 가진 길다란 형태의 수직가이드부재(12)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12) 하부 일측에는 유통공(11)과 연통되는 배수구(1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가이드부재(12) 하측 외주면에는 걸림턱부(14)를 구비하고, 유통공(11) 하측에는 다수의 소공(15a)을 가진 여과판부재(15)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가이드부재(12) 하단부에는 받침판부재(16)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승하강제거수단(20)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12)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공(22)을 가진 승하강부재(21)를 구비한다.
상기 승하강부재(21) 상부에는 가이드공(22) 상부를 밀폐되게 하는 상판부재(2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재(23)에는 거품(P)과 수면수(Wa)가 흡입 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흡입공(24)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재(23) 하부에는 공기실(27)를 가진 부력관체(26)가 부착되어 고정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력관체(26)의 공기실(27)에는 상판부재(23)에 구비하는 공기주입구(25)를 통해 외부공기 또는 압축공기가 주입된 후 공기주입구(25)가 밀봉캡(25a)으로 밀폐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재(21) 내부의 가이드공(22)으로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하기 위해 상판부재(23) 상부로 통기관(28)이 길게 기립 되도록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22) 하측의 승하강부재(21) 내주면에는 나사산 형태의 다수의 급하강저지돌기(29)가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흡입가이드수단(10)의 수직가이드부재(12)가 승하강제거수단(20)의 가이드공(22)으로 삽입되어 승하강제거수단(20)이 승하강 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장치가 수조(1)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 준다.
상기 수조(1)에 수용되는 수조수(W)는 이물질제거수단인 스키머(2)로 유입되어 유해물질이 제거되게 한 후 이물질을 걸러 주는 여과기(2')를 통해 다시 수조(1)로 공급되도록 하는 순환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스키머(2)나 또는 여과기(2')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스키머(2) 또는 여과기(2')에는 수조수(W)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미도시됨)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조수(W)를 순환시키기 위한 환수관(3)과 흡입가이드수단(10)의 배수구(13)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흡입가이드수단(10) 내부에 있는 수조수(W)는 이물질제거수단인 스키머(2) 및 여과기(2')를 통해 다시 수조(1) 내로 급수되게 되는데, 이때 급수관(4)은 수조수(W)가 물흐름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수조수(W)의 수면에서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급수관(4)에서 토출 되는 토출수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토출 되기 때문에 수조수(W)는 수조(1) 내에서 물흐름이 되는 상태를 갖게 되고 수면수(Wa)는 미약하나마 물결이 생기면서 출렁이는 상태를 가지게 됨으로써 수조(1)에 있는 어폐류에게 최대한 바다와 같은 환경을 조성해 주게 된다.
그러므로 수조(1) 내에서 수조수(W)가 흐르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면수(Wa) 위에 떠 있게 되는 거품(P)은 자연스럽게 본 고안 장치의 승하강제거수단(20) 쪽으로 흘러서 이동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수조수(W)의 수중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력관체(26)가 부력을 받아서 승하강제거수단(20) 전체가 수면 방향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승하강부재(21)의 가이드공(22)에 수직가이드부재(12)가 끼워져 있으므로 승하강부재(21)는 수직방향으로 상승 되게 이동되어 상판부재(23)가 수면에 위치하게 부상된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수조(1)에 수용되는 수조수(W)는 통상적으로 60-100㎝ 정도의 수조수(W) 높이로 담기게 되는데, 그 수조수(W) 높이와 승하강제거수단(20)의 무게 등을 감안하여 상판부재(23)가 수면수(Wa)에 위치할 수 있는 부력을 갖도록 미리 부력관체(26)의 공기실(27) 체적이 계산되어 제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판부재(23)는 항시 수면수(Wa)에 위치하여 머물러 있게 된다.
따라서, 수조수(W)의 물흐름에 따라 수면수(Wa)가 출렁이므로 승하강부재(21)는 상하방향으로 약간씩 승하강 되게 이동되는 왕복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상판부재(23)가 수표면 밑으로 약간(약 2-5㎜정도) 내려가서 수면수(Wa) 수중에 위치하게 되어 수면수(Wa)가 흡입공(24)으로 흡입되게 되고 그로 인해 수면수(Wa) 위에 떠 있는 거품(P)이 수면수(Wa)와 함께 흡입공(24)으로 흡입 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공(24)은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다수개가 구비되므로 상판부재(23) 주변의 수면수(Wa)와 거품(P)을 흡입하게 되므로 다량의 거품(P)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고 본 고안은 수면수(Wa)의 물결이 약하여 출렁임이 미약하거나 또는 잔잔한 경우에도 거품(P) 제거가 가능하다.
즉, 본 고안 장치는 수중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수직가이드부재(12)의 유통공(11) 및 승하강부재(21)의 가이드공(22)에는 항시 수조수(Wa)가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배수구(13)를 통해 수조수(Wa)가 강제적으로 빨려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유통공(11) 및 가이드공(22)에 있는 수조수(W)는 배수구(13) 방향 쪽으로 항시 흐르게 되는 물흐름력을 가지게 되는 동시에 배수구(13)에서 빨아 들이는 물흡입력이 항시 작용 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물흐름력 및 물흡입력은 흡입공(24)으로 수면수(Wa)가 흡입되지 못할 경우이거나 또는 그 흡입량이 적을 경우에는 상판부재(23)를 하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승하강제거수단(20) 전체가 하측으로 하강 되게 약간 이동됨에 따라 도 7과 같이 상판부재(23)가 수면수(Wa) 수중으로 잠기게 되고 그로 인해 수면수(Wa)와 함께 거품(P)이 흡입공(24)으로 흡입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수면수(Wa)가 출렁일 때나 그러하지 않을 때나 관계없이 수면수(Wa) 위에 떠다니는 거품(P)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흡입공(24)으로 흡입된 거품(P)은 가이드공(22)과 유통공(11)을 통해 배수구(13)로 배출되는 과정에 저절로 소실되어 없어지거나 배수구(13)를 통해 배출되어 스키머(2)에서 소실된다.
이때, 흡입공(24)으로 흡입되는 수면수(Wa)와 거품(P)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큰 이물질이 있을 경우 여과판부재(15)를 통과하는 과정에 걸림 되고, 여과판부재(15)에 걸리게 되는 이물질들은 수직가이드부재(12)로부터 승하강부재(21)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승하강부재(21)를 수조수(W) 밖으로 완전히 들어낸 다음 여과판부재(15)에 걸려 있는 이물질을 인출하여 제거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부력관체(26)가 있기 때문에 수조수(W)에 어패류를 더 집어넣거나 또는 빼냄으로써 수조수(W)의 수위가 더 상승 되거나 내려갈 때마다 승하강제거수단(20)이 같이 상승 되게 이동하거나 또는 하강 되게 이동하여 상판부재(23)가 항시 수면수(Wa)에 위치하여 거품(P)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조수(W)에 어패류를 더 집어넣거나 또는 빼낼 때에는 활어의 경우 뜰채를 이용하여 다수의 활어를 대량으로 집어넣게 되고 조개일 경우에는 다수의 조개를 넣은 그물망 자체를 수조수(W)에 집어넣거나 빼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때마다 수조수(W)가 크게 요동치게 됨으로써 큰 물결에 의해서 승하강제거수단(20)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크게 승하강 되게 이동되고 순간적으로 급하게 이동된다.
이때에는 승하강부재(21)의 하측 내주면에 있는 급하강저지돌기(29)가 수직가이드부재(12)와의 마찰력이 크게 발생 됨으로써 승하강제거수단(20)이 급하게 승하강되게 이동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킴에 따라 승하강제거수단(20)이 너무 깊게 수중으로 잠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승하강제거수단(20)이 전혀 수조수(W) 수중으로 안 잠기는 것은 아니고 도 8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시보다는 좀 더 깊게 수중으로 잠기는 상태가 발생 될 수 있다.
이때, 상판부재(23) 부분이 수면 위쪽으로 더 상승하였다가 수중으로 잠길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판부재(23) 하측의 가이드공(22)에 공기가 차여진 상태로 수중으로 내려가게 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이 경우 승하강제거수단(20)이 부력관체(26)의 부력에 의해서 수면까지 다시 상승하더라도 가이드공(22)에 공기가 차여져 있으면 상판부재(23)가 수면상에 위치하게 머물지 못하고 수면보다 상승 된 위치에 머물게 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가이드공(22)이 통기관(28)과 연통 되어 통기가 되기 때문에 가이드공(22)에 있는 공기가 수면 밖의 대기상으로 방출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판부재(23)가 수면상에 위치하여 머물러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장치를 수조수(w)가 담긴 수조(1)에 처음 설치할 때 흡입가이드수단(10)를 먼저 설치한 다음 수직가이드부재(12)가 가이드공(22)으로 삽입되게 승하강제거수단(20)를 조립되게 하는데 이때에도 통기관(28)이 가이드공(22)에 있는 공기가 수면 밖의 대기상으로 방출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판부재(23)가 수면상에 위치하여 머물러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수조수(W)가 요동치더라도 전복되지 않고 수면상에 항시 머물러 있으면서 거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이거나 또는 수조(1) 소제를 위해서 수조수(W)를 모두 배수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가이드부재(12) 하측 외주면에 있는 걸림턱부(14)에 승하강부재(21)가 걸림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내부에 있는 부력관체(26)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수조수(W) 수면으로 떠 다니지 않고 한 지점에 머물러 있으면서 거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중으로 전복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장이 거의 없는 제품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일실시예에 의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수조 10:흡입가이드수단
11:유통공 12:수직가이드부재
13:배수구 14:걸림턱부
15:여과판부재 16:받침판부재
20:승하강제거수단 21:승하강부재
22:가이드공 23:상판부재
24:흡입공 25:공기주입구
26:부력관체 27:공기실
28:통기관 29:급하강저지돌기

Claims (3)

  1. 받침판부재 상부에는 유통공이 있는 수직가이드부재가 기립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 하측에는 수조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지의 이물질제거수단의 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구를 가지는 흡입가이드수단; 및
    가이드공이 있는 승하강부재 상부에는 다수의 흡입공이 뚫린 상판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재 상부에는 밀봉캡으로 개폐되는 공기주입구 및 가이드공으로 외부공기가 통하도록 하기 위한 통기관이 기립 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실을 가진 부력관체가 상판부재 하측에 고정되어 있는 승하강제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가이드수단의 수직가이드부재가 승하강제거수단의 가이드공으로 삽입되어 승하강제거수단이 승하강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부재 하측 외주면에 승하강부재가 걸림되는 걸림턱부를 구비하고 유통공 하측에는 다수의 소공을 가진 여과판부재가 더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3. 삭제
KR2020100005244U 2010-05-19 2010-05-19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KR200451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244U KR200451753Y1 (ko) 2010-05-19 2010-05-19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244U KR200451753Y1 (ko) 2010-05-19 2010-05-19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753Y1 true KR200451753Y1 (ko) 2011-01-10

Family

ID=4424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244U KR200451753Y1 (ko) 2010-05-19 2010-05-19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75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952B1 (ko) * 2017-03-23 2017-10-17 김병우 하수처리장의 수위가변형 슬러지 처리장치
KR101815929B1 (ko) 2017-06-19 2018-01-08 김병우 하수처리장의 수위가변형 슬러지 처리장치
KR20180137284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지트이언 부유물 제거장치
KR102075634B1 (ko) * 2019-04-29 2020-02-10 양원택 스마트 양식기
KR20210076784A (ko) * 2019-12-16 2021-06-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탁도조절용 수족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32Y1 (ko) 2002-06-18 2002-09-11 강원 전복양식 영어조합법인 전복 양식용 거품 제거장치
KR20020088532A (ko) * 2001-05-18 2002-11-29 유재형 세면대의 높이 조절장치
KR100788947B1 (ko) 2006-11-21 2007-12-27 성준 활어수족관의 수면거품 수거장치
KR100864299B1 (ko) 2008-02-01 2008-10-20 주식회사 21세기 하이테크 수면거품 수거구를 구비한 배수장치
JP2010069362A (ja) 2008-09-16 2010-04-02 Masaru Okuno 泡沫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532A (ko) * 2001-05-18 2002-11-29 유재형 세면대의 높이 조절장치
KR200288532Y1 (ko) 2002-06-18 2002-09-11 강원 전복양식 영어조합법인 전복 양식용 거품 제거장치
KR100788947B1 (ko) 2006-11-21 2007-12-27 성준 활어수족관의 수면거품 수거장치
KR100864299B1 (ko) 2008-02-01 2008-10-20 주식회사 21세기 하이테크 수면거품 수거구를 구비한 배수장치
JP2010069362A (ja) 2008-09-16 2010-04-02 Masaru Okuno 泡沫分離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952B1 (ko) * 2017-03-23 2017-10-17 김병우 하수처리장의 수위가변형 슬러지 처리장치
KR20180137284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지트이언 부유물 제거장치
KR102024535B1 (ko) 2017-06-16 2019-09-24 주식회사 지트이언 부유물 제거장치
KR101815929B1 (ko) 2017-06-19 2018-01-08 김병우 하수처리장의 수위가변형 슬러지 처리장치
KR102075634B1 (ko) * 2019-04-29 2020-02-10 양원택 스마트 양식기
KR20210076784A (ko) * 2019-12-16 2021-06-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탁도조절용 수족관
KR102406332B1 (ko) * 2019-12-16 2022-06-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탁도조절용 수족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753Y1 (ko) 어패류 수조용 수면거품제거장치
US7089606B2 (en) Manually resettable hydraulic suction fuse for swimming pools
WO2010087722A1 (en) Device for removing louse from aquatic organisms
KR102024535B1 (ko) 부유물 제거장치
CA2821053A1 (en) Construction of a pumping system and uses thereof
JP2007319852A (ja) 泡沫排出レベル自動昇降制御装置
WO2017176125A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farming of fish
GB2476524A (en) Filter assembly for a pond or aquarium
US20190281796A1 (en) System for fish tank cleaning and method therefor
US6195812B1 (en) System for raising and lowering a liner of a fluid bearing receptacle
JP5726234B2 (ja) アオコ収集装置
US9303378B2 (en) Foreign-object offshore processing system
CN114134952B (zh) 一种水利工程清淤装置
KR100516809B1 (ko)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
KR100864299B1 (ko) 수면거품 수거구를 구비한 배수장치
KR200427700Y1 (ko) 부상식 여과 및 퇴적물 청소기
KR200460631Y1 (ko) 조류증식 억제장치
CN207619957U (zh) 一种核工程贮存水池用便携式水面漂浮物清除装置
KR101599224B1 (ko) 오일 방제선
KR101370423B1 (ko) 수족관
KR20130014153A (ko) 수족관
JP4773237B2 (ja)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KR10106143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JP4202226B2 (ja) 取水口への異物流入防止装置
CN210737655U (zh) 一种调节池用清淤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