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417B1 -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 Google Patents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417B1
KR101507417B1 KR1020130034739A KR20130034739A KR101507417B1 KR 101507417 B1 KR101507417 B1 KR 101507417B1 KR 1020130034739 A KR1020130034739 A KR 1020130034739A KR 20130034739 A KR20130034739 A KR 20130034739A KR 101507417 B1 KR101507417 B1 KR 101507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pipe
line
gas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8572A (ko
Inventor
송용석
이종철
김승혁
최성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41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4Floats;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16L11/133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buoy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는,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화물이 수송되는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1 쉘과,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쉘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2 쉘과, 제1 쉘과 제2 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DEVICE FOR PIPE FLOATING AND FLOATING NATURAL GAS BUNKERING STA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화가스 공급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부유하게 하는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석유류의 가격 상승과 더불어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를 연료로 하여 추진하는 선박이 유럽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들은 LNG를 충전할 수 있는 곳이 일부 해상과 인접한 항구 주변의 육상 충전소에 국한되어 있어 한정된 지역에서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항 중에 연료 충전이 불가능하며, LNG 충전을 위해서는 항구로 이동해야만 하는 시간적인 제한과 공간적인 제한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서와 같이 해상에서 LNG를 공급받고자 하는 선박(14)이 직접 LNG 공급선박(12)에 접근하여 LNG를 공급받는 쉽 투 쉽(ship to ship)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쉽 투 쉽 방식은 한정된 선박에만 LNG를 공급할 수 있으며, 시간 및 공간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해상에서 쉽 투 쉽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체 운동(two body motion)의 요동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소형 LNG 이송용 선박(18)을 이용하여 해상의 충전소(16)에서 LNG를 공급받고자 하는 선박(14)으로 LNG를 공급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형 LNG 이송용 선박(18)을 이용하는 방식은, 선박에서 LNG 이송시 발생하는 증발가스(Boil Off Gas, BOG)를 처리할 수 있는 장비 및 LNG 공급 장비 등이 소형 LNG 이송용 선박(18)에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해상에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등에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와,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에 사용되는 파이프 부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는,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화물이 수송되는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1 쉘과,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쉘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2 쉘과, 제1 쉘과 제2 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쉘 및 제2 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부유성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이고, 제1 쉘 및 제2 쉘의 내부에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쉘 및 제2 쉘의 내부에는 베이스가 구비되고, 베이스 상에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는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과 제1 쉘 및 제2 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이고, 제1 쉘 및 제2 쉘의 내부에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쉘 및 제2 쉘의 내부에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제1베이스와,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제2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쉘 및 제2 쉘 중 적어도 하나는 유선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폐부재는 벨로우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쉘과 제2 쉘의 사이에는 부유체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쉘 및 제2 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는 진공 상태일 수 있다.
제1 쉘 및 제2 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불활성 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파이프의 둘레에는 단열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는 상기의 파이프 부유장치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는, 해상에 위치하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부와, 가스저장부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충전대상에 공급하는 부유식의 가스공급부와, 가스저장부와 가스공급부를 연결하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포함하고, 파이프 부유장치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가스공급부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에 의해 가스저장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가스공급부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공급부는 계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상에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등에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가스의 발생량을 줄이고 해상 조건 변화에 대처가 용이한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쉽 투 쉽 방식의 LNG 충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소형 LNG 이송용 선박을 이용하여 LNG 충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에서, 충전라인과 증발가스 회수라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10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100)에서, 충전라인(150)과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200)가 구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100)는, 가스저장부(120), 충전라인(150, 점선 표시), 증발가스 회수라인(155, 점선 표시), 가스공급부(160) 및 파이프 부유장치(200)를 포함한다.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100)는, 해상에 위치하면서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부(120)와, 가스저장부(120)에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등과 같은 공급대상(180)에 공급하는 가스공급부(160)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100)는 쉽 투 쉽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이체 운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가스저장부(120)에서 연장된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공급대상(18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공급부(160)는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 및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단부는 가스공급부(160)에 의해서 해상에서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대상(180)에 해당하는 선박은, 가스저장부(120)에서 멀리 떨어져서 해상에 부유하는 가스공급부(160)로부터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액화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가스저장부(120)는 해상에 위치하고 액화가스(예를 들면, LNG 등)를 저장한다. 가스저장부(12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충전라인(150)을 통해서 공급대상(180)에 공급된다. 그리고 액화가스 공급과정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을 통해서 다시 가스저장부(120)로 회수된다.
가스저장부(12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충전라인(150)을 통해서 공급대상(180)에 해당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공급된다. 충전라인(150)은 가스저장부(120)에서 가스공급부(160)까지 길게 연장된 유연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길게 형성된 충전라인(150)에 의해서 가스저장부(120)와 가스공급부(160)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급대상(180)에 해당하는 선박은 가스저장부(120)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이체 운동(two body motion)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액화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가스저장부(12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충전라인(150)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가스저장부(120)에서 여러 개의 공급대상(180)에 액화가스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나의 가스저장부(120)에 네 개의 가스공급부(16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가스공급부(160)의 개수 및 배치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라인(150)을 통해서 액화가스를 공급대상(180)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증발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에 의해서 공급대상(180)으로부터 가스저장부(120)로 회수된다. 증발가스 회수라인(155)도 가스저장부(120)에서 가스공급부(160)까지 길게 연장된 유연관에 해당할 수 있다.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충전라인(150)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가스공급부(160)에는 충전라인(150)과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이 연결된다.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유연관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파도나 바람과 같은 다양한 해상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유연관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스공급부(160)에 이동성을 부여하여 액화가스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에는 파이프 부유장치(200)가 결합된다. 파이프 부유장치(200)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을 부유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파이프 부유장치(200)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결합된 다수 개의 쉘(140)과, 다수 개의 쉘(140) 사이를 연결하는 커버(149)를 포함한다. 쉘(140)은 그 내부에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을 수용하여 외부의 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이 해수면 상에서 부유하게 한다.
쉘(140)과 쉘(140) 사이에는 부유체(124)가 구비될 수 있다. 부유체(124)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횡요동 및 이동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부유체(124)는 무어링 라인(mooring line)(126)에 의해 해저 부분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가스공급부(160)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단부를 해상에서 부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공급부(160)는 길이가 긴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단부에 결합되어, 액화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가스저장부(120)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게 한다. 이로 인해, 공급대상(180)에 해당하는 선박 등은 액화가스를 공급받기 위해서 가스저장부(120)로 위험하게 접근할 필요가 없이, 해상에 부유하는 가스공급부(160)에 접근하여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가스공급부(160)는 계류장치(162)에 의해서 해저면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200)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파이프 부유장치(200)에 대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예시된 파이프 부유장치(200)에 대한 단면도이다.
파이프 부유장치(200)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을 부유하게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200)는, 쉘(shell)(140), 연결부재(148) 및 커버(149)를 포함한다.
쉘(140)은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쉘(140)의 내부를 통과한다.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쉘(140)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결합된다. 그리고 쉘(140)은 부유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면, 특수 합금 또는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쉘(140)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길이 방향 전체를 부유하게 한다.
그리고 쉘(140)은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둘레를 감싸고 있다. 따라서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쉘(140)에 의해서 해수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액체와 열교환을 하는 것이 아니라, 쉘(140)의 내부에 주입된 기체와 열교환을 하기 때문에, 열교환량이 감소하여 액화가스 이송시 증발가스의 발생량이 줄어들고 결빙을 줄여서 이송 파이프(150, 155)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쉘(140)은 해수와 직접 접하기 때문에, 부유성을 가지면서도 부식에 강하고 해상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쉘(140)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바람 및 파도와 같은 해상 조건에 의한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쉘(140)은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되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tube)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쉘(140)의 내부에는 베이스(142)가 구비되어 있고, 베이스(142)에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재(144)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142)는 쉘(14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지지부재(144)가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42)는 쉘(140)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를 갖고 위치하는데, 이로 인해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쉘(140)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베이스(142) 상에 위치하는 지지부재(144)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회수라인(15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144)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둘레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144)의 구조로 인해서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과 파이프 부유장치(200) 사이에 유동성 및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특히,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44)가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을 상하 방향으로 고정하고, 좌우 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어서 좌우 방향으로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둘레에는 단열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커버할 수 있다. 단열재는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둘레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44)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에도 단열재와 지지부재(144)의 좌우 방향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44)에 의해 쉘(140)의 내부에서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은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쉘(144)의 내부는 진공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열전달 계수가 낮은 기체(예를 들면,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에 대한 열전달을 최소로 함으로써, 고가의 단열재 사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 부유장치(200)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의 길이 방향에는 다수 개의 쉘(140)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결합된다. 그리고 쉘(140)과 쉘(140)은 연결부재(148)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148)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148)은 쉘(140)이 받는 길이 방향 및 횡방향의 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쉘(140)과 쉘(14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는 커버(149)가 결합한다. 커버(149)는 상호 인접하는 쉘(14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쉘(140)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어 충전라인(150)과 증발가스 회수라인(155)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149)는 신축성 있는 재질 또는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주름을 갖는 벨로우즈(bellows) 구조의 커버(149)가 예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3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300)는 다수 개의 쉘(2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쉘(240)의 내부에는 제1베이스(242), 제2베이스(244) 및 지지부재(246)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300)는 쉘(240)의 내부에서 충전라인(150)과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이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으며, 쉘(240)과 쉘(240)의 사이에는 위에서 설명한 커버(149) 및 연결부재(148)가 구비되어 있음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베이스(242)는 쉘(240)의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지지부재(246)에 의해 지지된 충전라인(150)이 위치한다. 충전라인(150)은 지지부재(246)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은 어렵지만 횡방향으로는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제2베이스(244)는 제1베이스(242) 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그 내부에 고정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이 충전라인(150)의 상부에 위치하게 한다. 제2베이스(244)의 상부에도 지지부재(246)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부재(246)의 내부에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이 횡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유장치(300)는 쉘(240)의 내부에 충전라인(15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55)을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횡유동에 대한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제1베이스(242)의 상부에는 유압케이블(248) 및 전기케이블(252)이 배치될 수 있다. 유압케이블(248) 및 전기케이블(252)은 밸브(도시하지 않음) 제어를 위해 배치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120: 가스저장부
140: 쉘 142: 베이스
144: 지지부재 148: 연결부재 149: 커버 150: 충전라인 155: 증발가스 회수라인 160: 가스공급부 180: 공급대상 200, 300: 파이프 부유장치

Claims (19)

  1.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화물이 수송되는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1 쉘;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쉘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2 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유성을 갖는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이고,
    상기 제1 쉘 및 제2 쉘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부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및 제2 쉘의 내부에는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상에는 상기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파이프 부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파이프 부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상기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과 상기 제1 쉘 및 제2 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는 파이프 부유장치.
  7.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화물이 수송되는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1 쉘;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쉘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2 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유성을 갖는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이고,
    상기 제1 쉘 및 제2 쉘의 내부에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파이프 부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 및 제2 쉘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제1베이스와, 상기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제2베이스가 구비되는 파이프 부유장치.
  9.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화물이 수송되는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1 쉘;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쉘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2 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유성을 갖는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쉘 및 제2 쉘 중 적어도 하나는 유선형상을 갖는 파이프 부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벨로우즈 구조를 갖는 파이프 부유장치.
  11.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화물이 수송되는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1 쉘;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쉘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2 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유성을 갖는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의 사이에는 부유체가 구비되는 파이프 부유장치.
  12.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화물이 수송되는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1 쉘;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쉘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2 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유성을 갖는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쉘 및 제2 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는 진공 상태인 파이프 부유장치.
  13.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화물이 수송되는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1 쉘;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쉘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2 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유성을 갖는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쉘 및 제2 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불활성 가스가 주입되는 파이프 부유장치.
  14.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화물이 수송되는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1 쉘;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쉘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가 관통되는 제2 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유성을 갖는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의 둘레에는 단열부재가 결합되는 파이프 부유장치.
  15.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파이프 부유장치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는, 해상에 위치하고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부와, 상기 가스저장부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충전대상에 공급하는 부유식의 가스공급부와,
    상기 가스저장부와 가스공급부를 연결하는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부유장치는 상기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의 둘레에 결합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는 상기 충전라인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에 의해 상기 가스저장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는 다수 개가 구비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는 계류장치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KR1020130034739A 2013-03-29 2013-03-29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KR10150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739A KR101507417B1 (ko) 2013-03-29 2013-03-29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739A KR101507417B1 (ko) 2013-03-29 2013-03-29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572A KR20140118572A (ko) 2014-10-08
KR101507417B1 true KR101507417B1 (ko) 2015-03-31

Family

ID=5199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739A KR101507417B1 (ko) 2013-03-29 2013-03-29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0481B (zh) * 2018-05-17 2020-03-27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一种全方位浮式燃油补给系统及其作业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400A (ja) 2000-04-04 2001-10-10 Munakata Kaiun Co Ltd 船舶用荷役ホースおよび荷役方法
JP2002081047A (ja) 2000-09-08 2002-03-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浮遊物回収装置用複合移送ホース
JP2008121866A (ja) * 2006-11-15 2008-05-29 Bridgestone Corp マリンホースライン、可撓管付マリンホース、及びホース接続用可撓管
JP4174064B2 (ja) * 2007-03-02 2008-10-29 横浜ゴム株式会社 マリンホ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400A (ja) 2000-04-04 2001-10-10 Munakata Kaiun Co Ltd 船舶用荷役ホースおよび荷役方法
JP2002081047A (ja) 2000-09-08 2002-03-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浮遊物回収装置用複合移送ホース
JP2008121866A (ja) * 2006-11-15 2008-05-29 Bridgestone Corp マリンホースライン、可撓管付マリンホース、及びホース接続用可撓管
JP4174064B2 (ja) * 2007-03-02 2008-10-29 横浜ゴム株式会社 マリンホ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572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19258B (zh) 一种装有装卸塔的密封隔热储罐
WO2017166786A1 (zh) 一种用于液货舱的稳液装置
KR20120006933A (ko) 액상 화물 화물창의 슬로싱 임팩트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
KR10161869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CN104508347B (zh) 包括被间隔支撑元件的密封隔热罐壁
JP6466581B2 (ja) Lngタンク及びそのタンク接続空間との間に少なくとも1つのパイプを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180133861A (ko) 단열 밀봉 탱크
KR101507417B1 (ko)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KR101147364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KR20140004166U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 장치
KR101718902B1 (ko)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대형 부유체의 지지구조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101310959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구조물
EP2396588B1 (en) Independent tank system for storing liquid gas
US9132892B2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KR101474945B1 (ko)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KR101313620B1 (ko) 압전소자가 설치된 선박용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471376B1 (ko) 액화천연가스 공급선박
KR20120040552A (ko) 부유식 lng 터미널의 시운전 시스템
KR20120004664U (ko) 유체 이송 시스템
KR20210071317A (ko) 스프레잉 파이프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KR20150068806A (ko) Lng 연료탱크의 연료가스공급용 구조체
RU2783573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снабженный загрузочной/разгрузочной башней
KR102610803B1 (ko) 운송수단을 위한 극저온 유체 저장탱크
RU2786865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оснащённый загрузочной/разгрузочной башней
KR20150053016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