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945B1 -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 Google Patents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945B1
KR101474945B1 KR1020130024426A KR20130024426A KR101474945B1 KR 101474945 B1 KR101474945 B1 KR 101474945B1 KR 1020130024426 A KR1020130024426 A KR 1020130024426A KR 20130024426 A KR20130024426 A KR 20130024426A KR 101474945 B1 KR101474945 B1 KR 10147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line
liquefied gas
main module
sub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312A (ko
Inventor
송용석
김승혁
이종철
인세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94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devices with throw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Abstract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충전라인과, 충전라인의 제1 부분에 의해 가스저장부와 연결되는 부유식의 메인모듈부와, 충전라인의 제2 부분에 의해 메인모듈부와 연결되는 서브모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NATURAL GAS SUPPLYING DEVICE OF FLOATING TYPE AND FLOATING NATURAL GAS BUNKERING STA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석유류의 가격 상승과 더불어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를 연료로 하여 추진하는 선박이 유럽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들은 LNG를 충전할 수 있는 곳이 일부 해상과 인접한 항구 주변의 육상 충전소에 국한되어 있어 한정된 지역에서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항 중에 연료 충전이 불가능하며, LNG 충전을 위해서는 항구로 이동해야만 하는 시간적인 제한과 공간적인 제한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서와 같이 해상에서 LNG를 공급받고자 하는 선박(14)이 직접 LNG 공급선박(12)에 접근하여 LNG를 공급받는 쉽 투 쉽(ship to ship)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쉽 투 쉽 방식은 한정된 선박에만 LNG를 공급할 수 있으며, 시간 및 공간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해상에서 쉽 투 쉽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체 운동(two body motion)의 요동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소형 LNG 이송용 선박(18)을 이용하여 해상의 충전소(16)에서 LNG를 공급받고자 하는 선박(14)으로 LNG를 공급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형 LNG 이송용 선박(18)을 이용하는 방식은, 선박에서 LNG 이송시 발생하는 증발가스(Boil Off Gas, BOG)를 처리할 수 있는 장비 및 LNG 공급 장비 등이 소형 LNG 이송용 선박(18)에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해상에서 부유하면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등에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충전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충전라인과, 충전라인의 제1 부분에 의해 가스저장부와 연결되는 부유식의 메인모듈부와, 충전라인의 제2 부분에 의해 메인모듈부와 연결되는 서브모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모듈부는 충전라인의 제1 부분과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서브모듈부는 충전라인의 제2 부분과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라인은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은 수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모듈부 및 서브모듈부 각각은, 부유부와, 부유부의 둘레에 형성된 충격완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모듈은 보조부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라인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모듈부는 제1 서브모듈과 제2 서브모듈을 포함하되, 제1 서브모듈은 충전라인과 연결되고, 제2 서브모듈은 회수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모듈은 연결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대는 제1 및 제2 서브모듈이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서브모듈을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는, 부유부와, 가스저장부와 충전라인 및 회수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높이를 갖고 부유부 상에 구비된 연결라인과, 연결라인과 유연성을 갖는 충전라인 및 회수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부유부 상에 거치되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부는 걸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급부를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다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는 상기의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해상에서 부유하면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등과 같은 공급대상에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충전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쉽 투 쉽 방식의 LNG 충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소형 LNG 이송용 선박을 이용한 LNG 충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예시된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10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100)는, 가스저장부(110), 충전라인(120), 회수라인(130) 및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를 포함한다.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100)는, 해상에 위치하면서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부(110)와, 가스저장부(110)에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등과 같은 공급대상(140)에 공급하는 액화가스 공급장치(200)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100)는 쉽 투 쉽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이체 운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에 의해서 가스저장부(110)와 연결되는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는 별다른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공급대상(14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는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 및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의 단부는 액화가스 공급장치(200)에 의해서 해상에서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대상(140)에 해당하는 선박은, 가스저장부(110)에서 멀리 떨어져서 해상에 부유하는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로부터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액화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가스저장부(110)는 해상에 위치하고 액화가스(예를 들면, LNG 등)를 저장한다. 가스저장부(11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충전라인(120)을 통해서 공급대상(140)에 공급된다. 그리고 액화가스 공급과정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회수라인(130)을 통해서 다시 가스저장부(110)로 회수된다.
가스저장부(11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충전라인(120)을 통해서 공급대상(140)에 해당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공급된다. 충전라인(120)은 가스저장부(110)에서 액화가스 공급장치(200)까지 길게 연장된 유연관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라인(120)은 가스저장부(110)에서 메인모듈부(210)까지 연장된 제1 부분(121)과, 메인모듈부(210)에서브모듈부(230)까지 연장된 제2 부분(122)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길게 형성된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에 의해서 가스저장부(110)와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급대상(140)에 해당하는 선박은 가스저장부(110)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이체 운동(two body motion)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액화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가스저장부(11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가스저장부(110)에서 여러 개의 공급대상(140)에 액화가스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나의 가스저장부(110)에 네 개의 액화가스 공급장치(20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액화가스 공급장치(200)의 개수 및 배치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라인(120)을 통해서 액화가스를 공급대상(140)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증발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증발가스는 회수라인(130)을 통해서 공급대상(140)으로부터 가스저장부(110)로 회수된다. 회수라인(130)도 가스저장부(110)에서 액화가스 공급장치(200)까지 길게 연장된 유연관에 해당할 수 있다.
회수라인(130)은 충전라인(120)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액화가스 공급장치(200)에는 충전라인(120)과 회수라인(130)이 연결된다.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유연관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파도나 바람과 같은 다양한 해상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은 유연관을 포함하기 때문에, 액화가스 공급장치(200)에 이동성을 부여하여 액화가스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의 단부를 해상에서 부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는 길이가 긴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액화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가스저장부(110)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게 한다. 이로 인해, 공급대상(140)에 해당하는 선박 등은 액화가스를 공급받기 위해서 가스저장부(110)로 위험하게 접근할 필요가 없이, 해상에 부유하는 가스공급부(110)에 접근하여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예시된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200)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는, 메인모듈부(210) 및 서브모듈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부(110)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해상에서 부유하고, 가스저장부(110)와는 길이가 긴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에 의해 연결된다.
메인모듈부(210)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과 결합하고 가스저장부(11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해상에서 부유한다. 메인모듈부(210)는 서브모듈부(230)와 일정한 거리(가스저장부(110)와 메인모듈부(210) 사이의 거리에 비해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되는데, 양자는 유연성을 갖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메인모듈부(210)는 부유부(212), 충격완화부(214), 배관서포트(218) 및 제1 연결라인(222)을 포함한다.
부유부(212)는 메인모듈부(210)를 해상에서 부유하게 한다. 메인모듈부(210)의 부유부(212)의 크기는 서브모듈부(230)의 부유부(232)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부유부(212)의 둘레에는 충격완화부(214)가 구비되어 있다. 충격완화부(214)는, 메인모듈부(210)와 서브모듈부(230) 사이의 충돌 그리고 메인모듈부(210)와 공급대상(140)에 해당하는 선박 사이의 충돌시 그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충격완화부(214)는 무어링라인(216)에 의해서 해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수 개의 메인모듈부(210) 사이의 충돌과 공급대상(140)과 메인모듈부(210) 사이의 충돌시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메인모듈부(210)를 무어링라인(216)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메인모듈부(210)의 이동 및 요동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급대상(140)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제1 연결라인(222)은, 가스저장부(110)와 메인모듈부(210) 사이를 연결하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 그리고 메인모듈부(210)와 서브모듈부(230) 사이를 연결하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을 상호 연결한다. 제1 연결라인(222)은 부유부(212)에 결합되어 해상에서 부유한다.
제1 연결라인(222)은 부유부(212)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 수직부(224)를 구비한다. 공급대상(140)에 해당하는 선박의 높이가 일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공급대상(14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서브모듈부(230)도 해수면에 대해서 일정한 높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필요에 의해서 제1 연결라인(222)의 수직부(224)는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서, 서브모듈부(230)가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메인모듈부(210)와 서브모듈부(230)를 연결하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이 유연성을 갖지 않은 경우, 높이가 높은 선박에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수직부(224)가 과도하게 높아져야 한다. 수직부(224)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 제1 연결라인(222)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부유부(212)의 크기가 상당히 커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메인모듈부(210)와 서브모듈부(230)를 상호 연결하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갖고, 제1 연결라인(222)의 상단부에서 공급대상(140)의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제1 연결라인(222)은 배관서포트(218)에 의해 부유부(212) 상에서 지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모듈부(210)에서 하나의 부유부(212)에 두 개의 제1 연결라인(222)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개의 제1 연결라인(222) 중 하나는 충전라인(120)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회수라인(130)과 연결된다.
서브모듈부(230)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에 의해 메인모듈부(210)와 연결된다. 메인모듈부(210)와 서브모듈부(230)를 연결하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의 길이에 비해, 가스저장부(110)와 메인모듈부(210)를 연결하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의 길이가 훨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모듈부(230)는 메인모듈부(210)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서 부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공급장치(200)는 두 개의 서브모듈부(230)를 구비한다. 하나의 서브모듈부(230)에는 충전라인(120)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서브모듈부(230)에는 회수라인(230)이 연결된다.
두 개의 서브모듈부(230)는 연결대(242)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연결대(242)는 그 길이가 특정 간격(두 개의 서브모듈부(230)가 충돌하는 거리) 이하로는 줄어들지는 않고 인장력을 가하면 신장되는 구조 또는 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대(242)에 의해서 해상의 파도 또는 바람 등에 의해서 두 개의 서브모듈부(200)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서브모듈부(230)는 부유부(232), 충격완화부(234), 제2연결라인(236) 및 연결대(242)를 포함한다.
서브모듈부(230)의 부유부(232)는 서브모듈부(230)를 부유하게 하는데, 그 크기는 메인모듈부(210)의 부유부(232)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부유부(232)의 둘레는, 액화가스 공급시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충격완화부(234)가 구비된다. 그리고 부유부(232)에는 제2 연결라인(236)이 구비된다.
제2연결라인(236)은 액화가스 공급 및 증발가스 회수를 위해서 선박과 같은 공급대상(140)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2연결라인(236)에는 걸림부재(238)가 구비되어 있다. 걸림부재(238)에는 선박에 설치된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의 후크(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서브모듈부(230)를 일정한 높이까지 인양한다.
제2연결라인(236)은, 메인모듈부(210)와 서브모듈부(230)를 상호 연결하고 유연성을 갖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에 의해서, 높은 위치까지 인양될 수 있다.
두 개의 서브모듈부(230)에 각각 구비된 제2연결라인(236)은 연결대(242)에 의해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연결대(242)는 두 개의 서브모듈부(230)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여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대(242)는 그 길이가 일정 한도(두 개의 서브모듈부(230)가 충돌할 수 있는 거리) 이하로는 줄어들지 않지만, 인장력을 가하면 그 길이가 늘어나는 재질 또는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30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300)는 도 4 내지 도 5에 예시된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200)와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메인모듈부(210)가 보조부유체(31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구성상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300)의 메인모듈부(210)는 다수 개의 보조부유체(310)를 포함한다. 보조부유체(310)는 메인모듈부(210)의 부유부(212)에 결합하여 메인모듈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4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예시된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40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40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200, 300)와 같이 메인모듈부(210) 및 서브모듈부(23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지 않고, 하나의 부유부(410)를 갖는다. 그리고 부유부(410)에는, 선박과 같은 공급대상(140)에 결합하여 액화가스를 공급하거나 증발가스를 회수하는 두 개의 공급부(44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400)는, 메인모듈부(210)와 서브모듈부(230)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부(440)가 부유할 필요가 없어서 그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연결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400)는 부유부(410), 연결라인(420), 서포트(430) 및 공급부(440)를 포함한다.
부유부(410)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400)를 해상에서 부유하게 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유부(410)의 중앙에는 서포트(430)가 구비되어 있고, 부유부(410)의 둘레에는 공급부(44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부유부(410)는 무어링 라인(412)에 의해서 해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연결라인(420)은 각각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에 의해 가스공급부(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라인(420)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수직부(422)를 갖는다. 수직부(422)는 부유부(410)의 중앙에 위치하고,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액화가스를 선박 등과 같은 공급대상(140)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수직부(422)의 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단부는 유연성을 갖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과 결합한다.
연결라인(420)은, 부유부(410)의 중앙에 구비된 서포트(430)에 의해 지지된다.
연결라인(420) 및 공급부(440)는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라인(420) 및 공급부(440)는 유연성을 갖는 충전라인(120) 및 회수라인(13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공급부(440)는 부유부(410)의 가장자리에서 지지대(444)에 의해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공급부(440)는 부유부(410) 상에 위치하면서 별도의 부유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급부(440)는 걸림부재(442)를 구비하는데, 걸림부재(442)에는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의 후크가 걸리게 되어 액화가스를 공급할 경우 일정한 높이까지 인양된다.
두 개의 공급부(440)는 부유하지 않기 때문에, 부유시 상호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200, 300, 400)가 충전라인(120)과 함께 공급라인(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200, 300, 400)는 충전라인(120)만을 구비하고,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BOG)는 다시 회수하지 않고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110: 가스저장부
120: 충전라인 130: 회수라인
140: 공급대상 200, 300, 400: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210: 메인모듈부 230: 서브모듈부
310: 보조부유체 410: 부유부
420: 연결라인 430: 서포트
440: 공급부

Claims (14)

  1.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충전라인;
    상기 충전라인의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가스저장부와 연결되는 부유식의 메인모듈부; 및
    상기 충전라인의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상기 메인모듈부와 연결되는 서브모듈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모듈부 및 상기 서브모듈부는 해상에서 부유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부는 상기 충전라인의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모듈부는 상기 충전라인의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라인은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수직부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부 및 서브모듈부 각각은,
    부유부와,
    상기 부유부의 둘레에 형성된 충격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부는 보조부유체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라인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부는 제1 서브모듈과 제2 서브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서브모듈은 상기 충전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모듈은 상기 회수라인과 연결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모듈은 연결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모듈이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서브모듈을 이격시키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11. 부유부;
    가스저장부와 충전라인 및 회수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일정한 높이를 갖고 상기 부유부 상에 구비된 연결라인; 및
    상기 연결라인과 유연성을 갖는 충전라인 및 회수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부유부 상에 거치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를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KR1020130024426A 2013-03-07 2013-03-07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KR101474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26A KR101474945B1 (ko) 2013-03-07 2013-03-07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26A KR101474945B1 (ko) 2013-03-07 2013-03-07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12A KR20140110312A (ko) 2014-09-17
KR101474945B1 true KR101474945B1 (ko) 2014-12-19

Family

ID=5175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426A KR101474945B1 (ko) 2013-03-07 2013-03-07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011A (ko) 2021-08-26 2023-03-07 (주)리벤씨 소형 선박용 lpg 수상 충전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011A (ko) 2021-08-26 2023-03-07 (주)리벤씨 소형 선박용 lpg 수상 충전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12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2796B2 (en) Transfer structure, a transfer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ferring LNG and/or electric power
AU2008345676B2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LN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CN102216153A (zh) 浮动生产lng的装置和将lng运输船改造为这种装置的方法
KR20130090215A (ko) 선박의 화물창
US9463848B2 (en)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KR101300707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의 지지구조
EP1648804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at sea-side of ship
KR20130055603A (ko) 액체 안정 장치
KR101474945B1 (ko) 부유식 액화가스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KR10118628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CN110481714A (zh) 一种油液运输船专用货仓
KR101718902B1 (ko)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대형 부유체의 지지구조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101301999B1 (ko) 부유체
KR20100124546A (ko) 선박의 수직 배치형 압력탱크 지지장치
KR101507417B1 (ko) 파이프 부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충전소
KR101346027B1 (ko) 상대운동감소장치
KR101540734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대형 호스 유지보수 보조 장치
KR101894298B1 (ko)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20120004664U (ko) 유체 이송 시스템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1801803B1 (ko) 무어링장치 및 무어링시스템
KR200471516Y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시스템
RU2786865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оснащённый загрузочной/разгрузочной башней
KR101324116B1 (ko) 펌프타워 유지보수가 가능한 상부모듈을 갖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
KR101516184B1 (ko) 액화가스 설비에 대한 해상 시운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