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233B1 -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233B1
KR101507233B1 KR1020130075416A KR20130075416A KR101507233B1 KR 101507233 B1 KR101507233 B1 KR 101507233B1 KR 1020130075416 A KR1020130075416 A KR 1020130075416A KR 20130075416 A KR20130075416 A KR 20130075416A KR 101507233 B1 KR101507233 B1 KR 10150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
living
loc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080A (ko
Inventor
최종명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2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4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 H04N21/2143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located in a single building, e.g. hotel, hospital or muse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83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associating distribution time parameters to content, e.g. to generate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45Control of the passage of the selected programme
    • H04N7/17363Control of the passage of the selected programme at or near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가정에서 모든 세대원에 쉽게 노출된 스마트 TV로 주변의 생활정보를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실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혜택을 놓치지 않게 하고, 정보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광고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 서버;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고 IP 주소(IP Address)를 기준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정의 범위 내의 생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스마트 TV; 상기 생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비 고정된 장소 또는 고정된 장소의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휴대 단말기 또는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스마트 휴대 단말기 또는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고, 상기 스마트 TV의 설정된 위치의 소정의 반경에 해당되는 생활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서비스 운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ving Information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Smart Television}
본 발명은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생활반경에서 유용한 생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이하 TV)은 19세기 말에 처음 등장한 이후, 화면 표시 방법이나 디자인 등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20세기 후반부터 가장 대중적인 정보 전달 기기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케이블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이 등장하면서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등, TV는 부분적이나마 쌍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방향으로 진화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정도 수준으로는 PC 수준의 쌍방향성에 비할 수가 없었고, 현 시점에서는 TV 자체에 좀더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었다.
스마트 TV(Smart TV)의 등장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스마트 TV란 TV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결합, 각종 앱(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해 웹 서핑 및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 TV를 말한다. 기존 TV에 PC의 기능을 더했다 하여 한때는 하이브리드(hybrid: 혼합) TV라 부르기도 했지만, 스마트폰(smart phone)이 크게 유행하면서 스마트 TV라는 명칭으로 주로 불리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IPTV와 스마트폰을 결합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1에는 IPTV와 스마트폰을 결합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시청자 시스템(100), 시청자에게 IPTV 서비스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하고 시청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정보를 제공하는 IPTV 및/또는 디지털 서버(이하, IPTV 서버)(200), IPTV 서버에 방송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현재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콘텐츠를 시청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PP 콘텐츠 서버(300)를 포함한다. 한편, IPTV 서버와 PP 콘텐츠 서버가 별개의 서버로 구성된다.
시청자 시스템(100)은 IPTV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셋톱박스(130)와,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IPTV(120) 및 상기 IPTV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그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11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청자는 먼저 앱스토어와 같은 곳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설치한다.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IPTV 서버(200)에 최초 접속시 셋톱박스의 시리얼 넘버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한다.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는 부가 콘텐츠 정보를 받고자 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를 얻는다.
이렇듯, 종래의 IPTV와 같은 스마트 TV에서 부가 콘텐츠 정보 제공 방식은 셋톱박스(130) 시리얼 넘버 인증을 통해 진행된다. 이는 앱 설치와 별개로 방송 송출 업체의 가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요가 적다.
한편, 현재 스마트 폰에서의 주변 정보 제공 방식은 별도의 가입방식이 아닌 단순히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위치정보 확인을 동의하는 것만으로 현재 위치에서의 주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세대의 경우 임의로 앱을 실행하여 수시로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가정에서 모든 세대원에 쉽게 노출된 스마트 TV로 주변의 생활정보를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실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혜택을 놓치지 않게 하고, 정보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광고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 서버;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고 IP 주소(IP Address)를 기준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정의 범위 내의 생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스마트 TV; 상기 생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고, 상기 스마트 TV의 설정된 위치의 소정의 반경에 해당되는 생활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서비스 운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휴대 단말기는 개인 또는 비 고정 장소에서의 판매자가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물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폰, 스마트 탭 및 휴대용 컴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 TV의 위치를 기준으로 생활반경에 포함된 비 고정된 장소의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 서버;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고 IP 주소(IP Address)를 기준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정의 범위 내의 생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스마트 TV; 상기 생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고, 상기 스마트 TV의 설정된 위치의 소정의 반경에 해당되는 생활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서비스 운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소정의 규모를 갖는 마트, 병원, 학교, 학원, 아파트, 음식점, 관공서 및 은행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 TV의 위치를 기준으로 생활반경에 포함된 고정된 장소의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TV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랜 또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또는 업체의 연락처, 위치, 주소, 지도 및 제공하는 생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제공자 관리 서버; 및 서비스 이용자의 스마트 TV 위치 및 이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생활정보 목록만을 필터링하여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스마트 TV 단위 및 각 세대의 구성원 단위로 개별적인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스마트 TV가 앱 서버로부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서비스 운영 수단으로 IP 주소 또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휴대 단말기가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운영 수단으로 비 고정된 장소의 실시간 생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운영 수단이 상기 스마트 TV의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생활범위 내에서의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스마트 TV가 앱 서버로부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서비스 운영 수단으로 IP 주소 또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운영 수단으로 고정된 장소의 실시간 생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운영 수단이 상기 스마트 TV의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생활범위 내에서의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 제공 목록만을 필터링하여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스마트 TV 단위 및 각 세대의 구성원 단위로 개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각 가정에서 모든 세대원에 쉽게 노출된 스마트 TV로 주변의 생활정보를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실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혜택을 놓치지 않게 하고, 정보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광고 효과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IPTV와 스마트폰을 결합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에서의 생활정보 수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수단의 생활정보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TV(10), 스마트 휴대 단말기(20), 앱 서버(30),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 및 서비스 운영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TV(10)는 TV에 컴퓨터의 구성이 내장된 것으로 인터넷,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전화 및 화상 통신 등의 실행이 가능하다.
특히, 유/무선 랜 모듈을 통해 유/무선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고, 고정 또는 유동 IP 주소가 할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TV(10)는 GPS 모듈이 내장되어 정확한 위치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 TV(1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앱 서버(30)로부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고, IP 주소(IP Address)를 기준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정의 범위 내의 생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TV(10)는 화면 분할 또는 오버랩 방식으로 2가지 이상의 화면 프로세싱이 가능하여, TV 시청, 웹 서핑, 영화 감상, 화상 채팅 및 인터넷 전화 등의 실행 중에도 생활정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앱 서버(30)는 애플 스토어, 구글 스토어 및 바다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설치된 기기의 위치 정보 전송, 기기별/사용자별 등록, 주변 업체 검색, 생활정보 푸쉬 알림, 생활정보 수신 범위 설정, 예약 서비스, 결제 서비스, 전화 연결, 메시지 전송 및 게시판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휴대 단말기(20),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 및 서비스 운영수단(50)에서 제공하는 생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별 등록이 가능하여 개인별 건강 검진 일정, 진료 일정, 예약 정보 등을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TV(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대의 구성원들은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개인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생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 휴대 단말기(20)는 생활정보 제공자의 스마트 폰, 스마트 탭 및 휴대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휴대 단말기(20)는 아파트 장터의 개인상인, 차량을 이용한 이동 판매자, 일시적인 행사 관계자, 서버 컴퓨터 설치가 어려운 개인상인, 1인 서비스업을 하는 개인 사업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일컫는다.
따라서, 비 고정 장소의 장터나 행사시에도 해당 관계자 또는 개인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정 지역 내에 있는 스마트 TV(10)로 행사정보 즉, 생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소정의 규모를 갖는 마트, 병원, 학교, 학원, 아파트, 음식점, 관공서 및 은행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정의 반경 내에 있는 스마트 TV(10)로 생활정보를 제공하며, 별도의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실시간 생활정보 알림과 더불어 예약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할인쿠폰, 포인트 적립, 실시간 상황 전송(진료 대기 시간, 식당 대기 시간, 주차 공간, 그날의 행사 정보 등)이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50)은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회사의 서버이다.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50)은 스마트 휴대 단말기(20) 또는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고, 상기 스마트 TV의 설정된 위치의 소정의 반경에 해당되는 생활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10)로 전송한다.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스마트 TV(10) 및 사용자를 관리하고, 앱 업데이트, 업체 필터링 및 데이터 가공 업무를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50)은 생활정보가 무분별하게 제공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업체 등록 과정을 통해 이용자가 안전하게 신뢰를 갖고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50)은 상기 스마트 TV(10)에 전송한 IP 주소 또는 위치 데이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마트 TV(10)의 생활반경을 산정하고, 그 생활반경 내의 생활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한다.
상기 생활반경은 서비스 제공자가 정하는 생활반경을 기본으로 하고, 스마트 TV(10)별 또는 사용자별로 생활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 지역 업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맞춤형 생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50)은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또는 업체의 연락처, 위치, 주소, 지도 및 제공되는 생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제공자 관리 서버(52)와, 서비스 이용자의 스마트 TV(10) 위치 및 이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서버(54)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에서의 생활정보 수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마트 TV(10)는 앱 서버(30)에 접속하여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S400).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어 실행될 때, 위치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와 함께 스마트 TV(10)의 IP 주소(IP Address) 또는 위치데이터를 서비스 운영수단(50)으로 전송한다(S402).
상기 스마트 TV(10)의 위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TV(10)의 위치에 따른 생활반경 내의 생활정보의 수신이 가능해진다(S404).
이때, 수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데, 스마트 TV(10)를 기준으로 생활정보를 수신하거나, 각 세대의 구성원 별로 수신받고자 하는 생활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406).
예컨대, 세대 구성원들의 연령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수신받고자 하는 정보가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각각 사용자별로 카테고리를 설정하거나 해당 카테고리 내에 등록된 업체를 세부적으로 체크하여 생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TV 시청 중에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생활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푸쉬 알림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408).
푸쉬 알림이 해제된 경우, 화면의 소정 부분에 숫자로 알림 개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수단의 생활정보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운영수단(50)은 스마트 TV(10)로부터 IP 주소(IP Address)를 수신한다(S500).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50)은 수신된 IP 주소 또는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 TV(10)의 생활반경을 설정한다(S502).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50)은 또한 상기 스마트 TV(10)의 생활반경을 토대로 제공 가능한 생활정보를 취합한다(S504).
이후,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50)은 취합된 생활정보를 상기 스마트 TV(10)의 설정 조건에 따라 전송한다(S506).
아파트 장터의 개인상인, 차량을 이용한 이동 판매자, 일시적인 행사 관계자, 서버 컴퓨터 설치가 어려운 개인상인, 1인 서비스업을 하는 개인 사업자가 소지한 상기 스마트 휴대 단말기(20)는 앱 서버(30)를 통해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여 비 고정 장소의 장터나 행사시에도 해당 관계자 또는 개인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정 지역 내에 있는 스마트 TV(10)로 행사정보 즉, 생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규모를 갖는 마트, 병원, 학교, 학원, 아파트, 음식점, 관공서 및 은행 서버와 같은 고정된 장소를 갖는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정의 반경 내에 있는 스마트 TV(10)로 생활정보를 제공하며, 별도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실시간 생활정보 알림과 더불어 예약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할인쿠폰, 포인트 적립 및 실시간 상황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50)은 상기 스마트 TV(10)에 전송한 IP 주소 또는 좌표 정보를 토대로 스마트 휴대 단말기(20) 또는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스마트 TV(10)의 설정된 위치의 소정의 반경에 해당되는 생활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실생활에 적용된 본 발명의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해당하는 마트 서버는 할인 행사 정보를 공지하고, TV를 시청하던 이용자는 스마트 TV(10)에서 마트 할인 행사 소식을 보고 마트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
학교 서버는 세대 구성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학교의 과제 정보를 자동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아파트 관리 서버는 가스 검침, 보수 공사 및 아파트 장터 등의 정보를 각 세대의 스마트 TV(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 TV(10)는 앱 서버(30)에 접속하여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IP 주소 또는 위치데이터를 서비스 운영수단(50)으로 전송하여 설정된 생활반경 내의 생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휴대 단말기(20) 및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상기 서비스 운영 수단(50)으로 생활정보를 전송하여 스마트 TV(10)로 가공된 생활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이용자에게 실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혜택을 놓치지 않게 하고, 정보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광고 효과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스마트 TV 20 : 스마트 휴대 단말기
30 : 앱 서버 40 :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
50 : 서비스 운영 수단 52 : 정보 제공자 관리 서버
54 : 사용자 관리 서버

Claims (14)

  1. 사용자별 등록이 가능한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 서버;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고 IP 주소(IP Address)를 기준으로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정의 범위 내의 생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스마트 TV;
    상기 생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고, 상기 스마트 TV의 설정된 위치의 소정의 반경에 해당되는 생활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서비스 운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TV는 TV 시청중에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생활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푸쉬알림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또는 업체의 연락처, 위치, 주소, 지도 및 제공하는 생활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제공자 관리 서버; 및
    사용자의 스마트 TV 위치 및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생활정보 목록만을 필터링하여 스마트 TV로 전송하고,
    스마트 TV 단위 및 각 세대의 구성원 단위로 개별적인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휴대 단말기는 개인 또는 비 고정 장소에서의 판매자가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물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폰, 스마트 탭 및 휴대용 컴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 TV의 위치를 기준으로 생활반경에 포함된 비 고정된 장소의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4. 사용자별 등록이 가능한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 서버;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하고 IP 주소(IP Address)를 기준으로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정의 범위 내의 생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스마트 TV;
    상기 생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고, 상기 스마트 TV의 설정된 위치의 소정의 반경에 해당되는 생활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서비스 운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TV는 TV 시청중에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생활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푸쉬알림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또는 업체의 연락처, 위치, 주소, 지도 및 제공하는 생활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제공자 관리 서버; 및
    사용자의 스마트 TV 위치 및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생활정보 목록만을 필터링하여 스마트 TV로 전송하고,
    스마트 TV 단위 및 각 세대의 구성원 단위로 개별적인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소정의 규모를 갖는 마트, 병원, 학교, 학원, 아파트, 음식점, 관공서 및 은행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 TV의 위치를 기준으로 생활반경에 포함된 고정된 장소의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TV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랜 또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스마트 TV가 앱 서버로부터 사용자별 등록이 가능한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또는 업체의 연락처, 위치, 주소, 지도 및 제공하는 생활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제공자 관리 서버 및 사용자의 스마트 TV 위치 및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운영 수단으로 IP 주소 또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휴대 단말기가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운영 수단으로 비 고정된 장소의 실시간 생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운영 수단이 상기 스마트 TV의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생활범위 내에서의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 제공 목록만을 필터링하여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스마트 TV 단위 및 각 세대의 구성원 단위로 개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는 TV 시청중에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생활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푸쉬알림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방법.
  12. 스마트 TV가 앱 서버로부터 사용자별 등록이 가능한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TV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또는 업체의 연락처, 위치, 주소, 지도 및 제공하는 생활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제공자 관리 서버 및 사용자의 스마트 TV 위치 및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운영 수단으로 IP 주소 또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지역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생활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운영 수단으로 고정된 장소의 실시간 생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운영 수단이 상기 스마트 TV의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생활범위 내에서의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스마트 TV로 실시간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 제공 목록만을 필터링하여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운영수단은 스마트 TV 단위 및 각 세대의 구성원 단위로 개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TV는 TV 시청중에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생활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푸쉬알림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75416A 2013-06-28 2013-06-28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0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416A KR101507233B1 (ko) 2013-06-28 2013-06-28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416A KR101507233B1 (ko) 2013-06-28 2013-06-28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80A KR20150002080A (ko) 2015-01-07
KR101507233B1 true KR101507233B1 (ko) 2015-03-30

Family

ID=5247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416A KR101507233B1 (ko) 2013-06-28 2013-06-28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989A (ko) * 2018-05-24 2019-12-04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196A (ko) * 2008-04-15 2009-10-20 정훈 Ip-tv에서의 지역 광고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051734A (ko) * 2009-11-11 2011-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문스캐너를 갖춘 셋탑박스를 이용한 인터넷 tv의 시청제한, 개인 맞춤형 광고 및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53672A (ko) * 2010-11-18 2012-05-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지역정보 제공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196A (ko) * 2008-04-15 2009-10-20 정훈 Ip-tv에서의 지역 광고를 위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051734A (ko) * 2009-11-11 2011-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문스캐너를 갖춘 셋탑박스를 이용한 인터넷 tv의 시청제한, 개인 맞춤형 광고 및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53672A (ko) * 2010-11-18 2012-05-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지역정보 제공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989A (ko) * 2018-05-24 2019-12-04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124005B1 (ko) * 2018-05-24 2020-06-17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80A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886B2 (en)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a profile linked to an online device associated with a content-selecting device
JP5086421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管理装置、広告配信管理方法、及び広告配信管理プログラム
US201200540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up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2313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keting by communicating tones to a mobile device
CN103260079A (zh) 一种多屏互动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6109777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2098598A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管理装置、広告提供管理方法および広告提供管理プログラム
CN101945252A (zh) 一种跨平台媒体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103211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 of Cable Television Devices and Other Devices
US20130091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broadcast media events
KR20120100277A (ko) 통신망을 통한 위치 기반의 통합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KR20130049233A (ko) 미디어 컨텐츠와 연계된 보상서비스를 제공 및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08153B1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광고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장치
KR101507233B1 (ko) 스마트 tv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e et al. The application of digital signage system using smart device
EP3177027A1 (en) Multimedia content recommendations based on consumption velocity
US201501997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 related to tailored interactive content
US20160140527A1 (en) Digital Contents sales Server and the Method and Program
KR101305526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KR101254078B1 (ko) Sns 메시지 출력을 통한 광고시스템
JP2017033441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KR100928354B1 (ko) 양방향 디지털 방송 상에서 방송 콘텐츠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54797A1 (en) Cross-platform advertisement synchronization
TWI568287B (zh) Message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notification server
KR20130136899A (ko) 광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광고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