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061B1 -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061B1
KR101507061B1 KR1020080063950A KR20080063950A KR101507061B1 KR 101507061 B1 KR101507061 B1 KR 101507061B1 KR 1020080063950 A KR1020080063950 A KR 1020080063950A KR 20080063950 A KR20080063950 A KR 20080063950A KR 101507061 B1 KR101507061 B1 KR 10150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riage
ink
nozzle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899A (ko
Inventor
김영춘
윤갑식
하동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061B1/ko
Priority to US12/437,569 priority patent/US8177325B2/en
Publication of KR2010000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5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monitoring ink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20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preventing or detecting contamination of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잉크감지장치를 보호하는 장치를 별도의 구동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동작시킬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이물질로부터 상기 잉크감지장치를 보호하거나 보호 해제하는 보호부재를 가지고, 상기 보호부재가 잉크감지장치를 보호하거나 보호 해제하도록 상기 메인터넌스장치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잉크젯 화상형성장치{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잉크의 토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잉크감지장치를 가지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그 인쇄방식에 따라 전자사진방식과 잉크젯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미소한 액적의 잉크를 인쇄매체 상의 원하는 위치에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잉크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이 마련된 잉크젯헤드를 가진다. 잉크젯헤드의 노즐들로부터 잉크 액적이 정상적으로 분사될 때 인쇄매체에 양질의 화상을 인쇄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노즐들 중 일부에서 토출 불량이 발생하여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기도 한다.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품질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불량 노즐을 복구하거나 불량 노즐로 인한 인쇄 불량을 보상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요구되는데, 이러 한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불량 노즐의 위치를 특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불량 노즐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는 잉크감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잉크감지장치는 잉크젯헤드의 노즐들에서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불량 노즐을 검출한다.
잉크감지장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동작이나 메인터넌스 동작을 수행할 때 잉크젯헤드로부터 비산하는 잉크나 이송 중인 인쇄매체로부터 비산하는 지분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잉크감지장치가 오염되면, 그 동작 신뢰성이 저하되거나 제 기능을 완전히 상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의 오염물질로부터 잉크감지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감지장치를 보호하는 장치를 별도의 구동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동작시킬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들이 형성된 노즐부를 가지는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들에서 토출되는 잉크를 감지하는 잉크감지장치;와 상기 노즐부를 정상상태로 보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터넌스장치;와 제1위치에서 이물질로부터 상기 잉크감지장치를 보호하고 제2위치에서 상기 잉크감지장치의 보호를 해제하는 보호부재를 가지고, 상기 보호부재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메인터넌스장치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닦는 와이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캐리지에 연동하여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닦는 와이핑유닛과, 상기 노즐부를 청소하는 클리닝유닛을 탑재하고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장치는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는 제1보호장치와, 상기 캐리지에 연동하는 제2보호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노즐부와 대면하여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프린팅 위치와, 상기 프린팅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노즐부의 하부를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를 가지는 플라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플라텐에 연동하고,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메인터넌스장치에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셔터 및 작동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아암은 상기 와이핑유닛의 위치 에 따라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제1회동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셔터는 상기 제1회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와이핑유닛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레버회동축과, 상기 레버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와이핑유닛 쪽으로 연장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와이핑유닛과 간섭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제1레버아암과, 상기 레버회동축으로부터 상기 보호부재 쪽으로 연장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보호부재의 작동아암과 간섭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제2레버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와이핑유닛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경로가이드부를 가지는 메인터넌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핑유닛은 상기 경로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레버아암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경로가이드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캐리지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연장아암과, 상기 연장아암의 단부에 마련되는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아암은 상기 캐리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캐리지와 간섭하여 상기 제2회동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셔터는 상기 제2회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잉크감지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 영역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노즐부의 하부 영역을 통과한 광을 수용하는 수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장치는 상기 발광유닛에 대응하는 제1보호장치와, 상기 수광유닛에 대응하는 제2보호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가능한 인쇄매체의 최소한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정의되는 잉크토출영역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유닛;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통과한 광을 수용하는 수광소자를 가지는 수광유닛;과 제1대기위치와 제2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정상상태로 보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터넌스장치;와 상기 잉크토출영역으로부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하나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호부재를 가지는 제1보호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부재는 상기 메인터넌스장치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향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닦는 와이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부재는 상기 와이핑유닛이 상기 제1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향해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부재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작동아암과, 상기 제1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아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하나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장치는 상기 와이핑유닛과 상기 제1보호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제1보호부재를 움직이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잉크토출영역으로부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다른 하나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제2보호부재를 가지는 제2보호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캐리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다른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향해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2보호부재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캐리지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연장아암과, 상기 연장아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다른 하나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와이핑유닛의 일측 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핑유닛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경로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지가 상기 와이핑유닛을 가이드한 후에 상기 제2보호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다른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캐리지에는 상기 노즐부를 청소하는 클리닝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가능한 인쇄매체의 최소한 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정의되는 잉크토출영역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유닛;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통과한 광을 수용하는 수광소자를 가지는 수광유닛;과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메인터넌스하는 제1메인터넌스유닛;과 상기 노즐부를 메인터넌스하기 위한 제2메인터넌스유닛이 탑재되고, 상기 노즐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와 상기 제1메인터넌스유닛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에 대해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1셔터;와 상기 캐리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에 대해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2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보호장치를 구비하여 잉크토출여부를 감지하여 광학소자(또는 광센서)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잉크감지장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에게 동작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장치는 별도의 구동원을 사용하지 않고 메인터넌스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므로 보호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이 프린팅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잉크젯헤드의 노즐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이 프린팅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과 와이핑유닛을 결합 모습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이 메인터넌스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와이핑 유닛이 와이핑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 공급장치(10), 이송장치(20), 잉크젯헤드(30), 플라텐(50), 인쇄매체 배출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매체 공급장치(10)는 인쇄매체(M)를 보관하고, 보관된 인쇄매체를 인쇄매체 이송경로(23)로 공급한다. 인쇄매체 공급장치(10)는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트레이(11)와, 트레이(11)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2)를 구비한다.
이송장치(20)는 픽업롤러(12)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를 잉크젯헤드(30)의 하부로 이송한다. 이송장치(20)는 잉크젯헤드(30)의 입구에 설치되는 피딩롤러(21)와, 피딩롤러(21)와 픽업롤러(12)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롤러(22)를 구비한다.
잉크젯헤드(30)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들이 형성된 노즐부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젯헤드(30)는 노즐부가 인쇄매체(M)의 최소한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가 지는 어레이 잉크젯헤드이다. 어레이 잉크젯헤드(30)는 고정된 위치에서 이송되는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화상을 인쇄한다.
도 2에서는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가 특정 크기를 가지는 인쇄매체(예를 들어, A4)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인쇄매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반이나 혹은 1/3 정도의 크기의 길이를 가지면서 복수개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노즐부(31)는 그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노즐 플레이트(32)를 구비한다. 각 노즐 플레이트(32)에는 잉크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33)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 플레이트(32)에는 다수의 노즐열(a, b, c, d)이 마련될 수 있다. 각 노즐열(a, b, c, d)은 같은 색상의 잉크 또는 서로 다른 색상(예를 들면,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의 잉크를 각각 분사할 수 있다.
플라텐(50)은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31)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지지한다. 도 1과 같이 플라텐(50)이 인쇄매체(M)를 지지하도록 플라텐(50)이 잉크젯헤드(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프린팅위치라고 한다.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플라텐(50)의 전방에는 잉크젯헤드(30)의 하부로 인쇄매체를 안내하는 인쇄매체 가이드(40)가 설치될 수 있다.
인쇄매체 배출장치(60)는 플라텐(50)의 후방에 설치되어 인쇄매체를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의 외부로 배출한다. 인쇄매체 배출장치(60)는 배출롤러(61)와, 배출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스타휠(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타휠(62)은 노즐부(31)의 하부를 통과하는 인쇄매체가 노즐부(31)에 접촉하거나 인쇄 매체와 노즐부(31) 사이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쇄 동작이 시작되면 트레이(11)에 적재되어 있는 인쇄매체(M)는 픽업롤러(12)에 의해 픽업된 후 보조롤러(22)와 피딩롤러(21)에 의해 이송되고, 인쇄매체 가이드(40)에 의해 안내되어 잉크젯헤드(30)의 하부로 진입한다. 잉크젯헤드(30)의 하부로 진입한 인쇄매체는 플라텐(50)에 의해 지지되고,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31)는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매체(M)에 화상을 인쇄한다.
이러한 인쇄 과정에서 일부의 노즐(33)들이 제 기능을 못함으로써 잉크의 토출 불량으로 인한 인쇄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불량 노즐의 유무 및 그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 노즐부(31) 주위의 잉크 방울이 고화될 수 있으며, 또 노즐부(31)에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화된 잉크나 이물질은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동작을 수행할 때 잉크의 분사 방향을 왜곡시켜 인쇄품질을 저하시키거나 노즐(33)을 막아 인쇄불량을 야기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 잉크젯헤드(30)의 노즐(33)들이 정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는 잉크젯헤드(30)의 노즐(33)들에서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불량 노즐을 검출하는 잉크감지장치(70)와,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31)를 정상상태로 유지, 보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터넌스장 치(100)를 구비한다.
잉크감지장치(70)는 도 2와 같은 잉크젯헤드(30)의 노즐(33)들에서 토출되는 잉크 액적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각 노즐(33)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러한 잉크감지장치(70)는 잉크젯헤드(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노즐부(31)과 수광유닛(73)을 가진다. 여기서 노즐부(31)은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1측벽(101) 바깥쪽에 설치되고, 수광유닛(73)은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2측벽(102) 바깥쪽에 설치된다. 노즐부(31)에서 출사된 광은 잉크젯헤드(30)의 하부(잉크토출영역(34) 또는 인쇄영역을 일컫는 것임)를 통과하여 수광유닛(73)에서 검출되는데, 수광유닛(73)에서 검출되는 광량은 잉크젯헤드(30)의 노즐(33)에서 토출되는 잉크 액적에 의해 차단되어 변화된다. 따라서 수광유닛(73)에서 검출되는 광량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잉크젯헤드(30)의 각 노즐(33)에서 잉크 액적이 정상적으로 토출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적 방식은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도 불량 노즐을 손쉽게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노즐부(31)과 수광유닛(73)이 잉크젯노즐(3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 노즐부(31)과 수광유닛(73)을 구성하는 발광소자(73)와 수광소자(74)가 잉크토출영역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발광소자(73)와 수광소자(74)가 인쇄 동작 시에 비산하는 잉크나 지분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 발광소자(73)나 수광소자(74)가 오염되면 잉크감지장치(70)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심한 경우에는 잉크감지장치(70)가 고장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 동작 시 발광 소자(73)와 수광소자(74)를 잉크토출영역에 대하여 차단시킴으로서 비산되는 지분이나 잉크로부터 보호해주는 보호장치(80)(90)를 구비한다. 보호장치(80)(90)는 모터 등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터넌스 장치(100)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여기서 메인터넌스 장치(100)는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31)를 닦기 위한 와이핑유닛(110)과, 잉크젯헤드(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노즐부(31)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라텐(50)은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31)와 대면하여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프린팅위치(도 1 참조)와, 잉크젯헤드(30)의 메인터넌스 동작이 가능하도록 노즐부(31)의 하부를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도 5참조) 사이에서 이동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플라텐(50)은 제1링크장치(51)를 통해 플라텐 구동 샤프트(104)와 연결된다. 플라텐 구동 샤프트(104)는 제1측벽(101)과 제2측벽(102)에 삽입된다. 플라텐 구동 샤프트(104) 일단에는 플라텐 구동모터(108)에 의해 회전하는 플라텐 구동 기어(108)가 결합된다. 제1링크장치(51)는 플라텐 구동 샤프트(104)와 함께 회전하는 제1레버(106)와, 제1레버(106)와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레버(107)를 구비한다. 제2레버(107)는 그 단부가 플라텐(50)의 제1삽입공(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플라텐 구동모터(108)에 의해 플라텐 구동 기어(109)가 정/역회전하면, 플라텐 구동 기어(109)와 함께 플라텐 구동 샤프트(104)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제1링크장치(51)를 통해 플라텐 구동 샤프 트(104)와 연결된 플라텐(50)이 프링팅 위치와 메인터넌스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와이핑유닛(110)은 제2링크장치(111)를 통해 플라텐(50)과 연결된다. 와이핑유닛(110)은 잉크젯헤드(30)의 하부에서 노즐(33)을 닦는 와이퍼(112)가 설치되는 와이핑 본체(113)를 구비한다. 와이퍼(111)는 와이퍼롤러와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이 둘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여기서 와이퍼롤러는 스펀지와 같은 잉크를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와이핑 블레이드는 고무 등의 탄력을 가진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링크장치(111)는 와이핑 본체(113)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아암(114)을 구비하고, 한 쌍의 지지아암(114)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아암(115)을 구비한다. 한 쌍의 링크아암(115)은 그 단부가 플라텐(50)의 제2삽입공(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링크아암(115)은 연결부재(11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핑유닛(110)은 제2링크장치(111)에 의해서 플라텐(5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플라텐(50)이 도 1과 같이 프린팅 위치에 있을 때 와이핑유닛(110)은 플라텐(50)의 하부에 위치하고 플라텐(50)이 도 5과 같이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하면 플라텐(50)과 함께 하강한다. 또한 플라텐(50)이 메인터넌스 위치에서 프린팅 위치로 복귀할 때 도 6과 같이 와이핑유닛(110)은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31)를 와이핑한다. 여기서 와이핑유닛(110)이 플라텐(50)과 함께 도 5와 같이 하강하고 있을 때를 제1대기위치라 하고, 와이핑유닛(110)이 도 1과 같이 플라텐(50)의 하부에 있을 때를 제2대기위치라고 한다. 와이핑유닛(110)은 제2대기위치 에서 제1대기위치로 이동할 때 보호장치(80)와 연동하는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메인터넌스 프레임, 클리닝 유닛, 캐리지, 저장탱크 및 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유닛(120)은 잉크젯헤드(30)의 하부에서 잉크젯헤드(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노즐부(31)를 클리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리닝유닛(120)은 초음파 발진소자(122)가 설치되는 세척조(121)와, 이 세척조(121)를 둘러싸는 외조(123)를 가지는 초음파 세척장치(120a)로 구성된다. 그러나 클리닝유닛(120)은 초음파 세척장치(120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클리닝유닛(120)은 잉크젯헤드(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흡입력을 통해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31)를 클리닝하는 흡입장치일 수 있다.
클리닝유닛(120)이 초음파 세척장치(120a)로 구성되는 경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세척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31)와, 세척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132)를 구비한다. 초음파 세척장치(120a)가 클리닝 동작을 수행할 때 저장탱크(131)에 저장된 세척액은 펌프(132)에 의해 펌핑되어 세척액 공급관(133)을 통해 세척조(121)로 공급된다. 세척조(121)에 세척액이 공급된 상태에서 초음파 발진소자(122)가 발진하면 세척액의 수면에 물기둥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초음파 세척장치(120a)가 잉크젯헤드(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세척조(121)에 형성된 물기둥에 의해 노즐부(31)가 세척된다. 한편 초음파 세척장치(120a)가 잉크젯헤드(30)를 세척할 때 세척조(121)에는 계속하여 세척액이 공급되는데, 세척 조(121)를 넘쳐흐르는 세척액은 세척조(121)를 둘러싸고 있는 외조(123)에 수용된 후 외조(123)에 연결되어 있는 세척액 회수관(134)을 통해 저장탱크(131)로 회수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세척장치(120a)는 잉크젯헤드(3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지(140)에 탑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캐리지(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지 샤프트(141)와, 캐리지 샤프트(141)를 따라 캐리지(140)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지 구동부를 구비한다. 캐리지 구동부는 캐리지 구동모터(142)와, 캐리지 구동모터(142)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143)와, 이 기어(143)에 맞물려서 주행하며, 캐리지 구동모터(142)의 동력을 캐리지(140)로 전달하는 캐리지 구동벨트(144)로 구성된다. 캐리지(140)는 캐리지 구동벨트(144)에 고정되며, 캐리지 구동벨트(144)가 순환 주행함에 따라 캐리지 구동벨트(144)와 함께 이동한다.
캐리지(140)는 도 3 및 도 7과 같이 캐리지(140)의 측면(140a)이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2측벽(10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캐리지 대기위치에 놓여지고, 초음파 세척장치(120a)가 노즐부(31)를 세척할 수 있도록 노즐부(31)의 하부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이처럼 캐리지(140)가 캐리지 대기위치에서 노즐부(31)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보호장치(90)와 간섭이 해제되고, 캐리지(140)가 캐리지 대기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보호장치(90)와 간섭을 일으키는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텐(50)의 양 측부에는 제 1가이드돌기(54)가 마련되고, 와이핑유닛(110)의 양 측부에는 제2가이드돌기(117)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돌기(54)와 제2가이드돌기(117)는 플라텐(50)과 와이핑유닛(11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경로가이드부(150)(도 8 및 도 9 참조)에 삽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메인터넌스 프레임의 제1측벽을 나타내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제2측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54)와 제2가이드돌기(117)는 플라텐(50)과 와이핑유닛(11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경로가이드부(150)에 삽입된다. 플라텐(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경로를 제1경로가이드부(151)라 하고, 와이핑유닛(11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경로를 제2경로가이드부(152)라 한다. 경로가이드부(150)는 도 8와 같이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1측벽(101)에 형성되고, 도 9와 같이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2측벽(102)과 캐리지(140)의 측면(140a)에 형성된다. 특히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로가이드부(150)의 일부분을 캐리지(140)의 측면(140a)에 형성한 것은 캐리지(140)의 동작을 고려하여 캐리지(140)의 설치위치를 확보함과 동시에 플라텐(50)과 와이핑유닛(110)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을 컴팩트하게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도 9에 나타난 경로가이드부(150)는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2측벽(102)과 캐리지(140)의 측면(140a)에 나뉘어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에 나타난 경로가이드부(150)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2측 벽(102) 및 캐리지(140)의 측면(140a)에 형성된 경로가이드부(1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40)가 캐리지 대기위치에 있을 때 캐리지(140)의 측면(140a)에 형성된 경로가이드부(150)는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2측벽(102)에 형성된 경로가이드부(150)와 나란히 배치되어 플라텐(50)과 와이핑유닛(110)의 움직임을 안내한다.
플라텐(5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1경로가이드부(151)는 수평구간(153)과, 수평구간(153)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구간(154)을 가진다. 플라텐(50)이 프린팅 위치에 있을 때 제1가이드돌기(54)기 수평구간(153)에 위치되고, 플라텐(50)이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할 때 제1가이드돌기(54)는 경사구간(154)을 따라 안내된다.
와이핑유닛(11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2경로가이드부(152)는 플라텐(50)이 프린팅 위치에서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될 때에 와이퍼(112)가 노즐부(31)에 접촉하지 않도록 와이핑유닛(110)을 안내하는 메인터넌스 이동구간(155)과, 플라텐(50)이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프린팅 위치로 이동될 때에 와이퍼(112)가 노즐부(31)에 접촉되도록 와이핑유닛(110)을 안내하는 와이핑 구간(156)을 가진다. 메인터넌스 이동구간(155)과 와이핑 구간(156)이 만나는 지점에는 탄력암(158)이 설치되는데, 탄력암(158)은 플라텐(50)이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프린팅 위치로 이동될 때에 제2가이드돌기(117)가 메인터넌스 이동구간(155)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래치(latch) 역할을 한다. 또 탄력암(158)은 플라텐(50)이 프린팅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될 때에 제2가이드돌기(117)가 메인터넌스 이동구간(155)을 통과 하여 와이핑 구간(156)으로 들어가도록 허용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1측벽(101) 후방에는 발광유닛(71)이 설치되고, 발광유닛(71)의 전방에는 보호장치(80)(90)(이하, 제1보호장치라고 한다)가 설치된다.
제1보호장치(80)는 제1보호부재(81)를 구비한다. 제1보호부재(81)는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지지되어 회동하는 제1회동축(84)을 구비하고, 제1회동축(84)에서 발광소자(72)의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셔터(85)와, 제1회동축(84)에서 레버(8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작동아암(86)을 구비한다. 또한 제1보호장치(80)는 제1회동축(84)에 동력을 전달하는 레버(82)를 구비한다. 레버(82)는 제1측벽(101)에 지지되어 회동하는 레버회동축(87)을 구비하고, 레버회동축(87)에서 레버회동축(87)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레버아암(88)과, 작동아암(86)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레버아암(89)을 구비한다. 여기서 작동아암(86)과 제2레버아암(89)은 서로 간섭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처럼 제1셔터(85)가 발광소자(72)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1셔터(85)가 발광소자(72)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제1위치라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40)가 메인터넌스 프레임(103)의 제2측벽(102)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캐리지(140)의 후방에는 수광유닛(73)이 설치되고, 수광유닛(73)의 전방에는 보호장치(90)(이하, 제2보호장치라 한다)가 설치된다.
제2보호장치(90)는 제2보호부재(91)를 구비한다. 제2보호부재(91)는 수광유 닛(73) 전방에 마련된 지지프레임(96)이 지지되어 회동하는 제2회동축(93)을 구비하고, 제2회동축(93)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아암(95)과, 연장아암(95)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셔터(94)를 구비한다. 여기서 연장아암(95)과 캐리지(140)는 서로 간섭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처럼 제2셔터(94)가 수광소자(74)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2셔터(94)가 수광소자(74)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제1위치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이 메인터넌스 위치에 있을 때 메인터넌스 프레임의 제1측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면, 플라텐(50)이 도 1과 같이 프린팅 위치에 있을 때는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플라텐(50)의 제1가이드돌기(54)는 제1경로가이드부(151)의 수평구간(153)에 위치하고 와이핑유닛(110)의 제2가이드돌기(117)는 제2경로가이드부(152)의 메인터넌스 이동구간(155)에 위치한다. 이처럼 제2가이드돌기(117)가 메인터넌스 이동구간(155)에 위치하는 것을 제2대기위치라고 한다.
또한 제1보호장치(80)는 레버(82)를 구비하는데, 레버(82)의 제1레버아암(88)은 제2경로가이드부(152)의 연동구간(157)에 배치된다. 제2가이드돌기(117)가 제2대기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제1레버아암(88)에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1보호부재(81)는 중력에 의해서 제1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여기서 제1위치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셔터(85)가 발광소자(72)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로써 제1셔터(85)는 발광소자(72)의 전면을 잉크토출영역(34)(도 1참조)에 대하여 차단함으로써 발광소자(72)를 보호한다.
반면 플라텐(50)이 도 5와 같이 메인터넌스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0에 나타 난 것처럼 플라텐(50)의 제1가이드돌기(54)는 제1경로가이드부(151)의 경사구간(154)에 위치하고 와이핑유닛(110)의 제2가이드돌기(117)는 제2경로가이드부(152)의 연동구간(157)에 위치한다. 이처럼 제2가이드돌기(117)가 도 10과 같이 연동구간(157)에 위치하는 것을 제1대기위치라고 한다.
이때 제1레버아암(88)은 제2경로가이드부(152)의 연동구간(157)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가이드돌기(117)와 간섭된다. 제2가이드돌기(117)는 제1레버아암(88)에 밀착하여 레버회동축(87)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레버아암(89)은 작동아암(86)에 밀착하여 제1회동축(8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제1셔터(85)는 발광소자(73) 전면으로부터 벗어나 위치하기 때문에 발광소자(72)가 잉크토출영역(34)에 대하여 개방되게 된다. 이처럼 제1셔터(85)가 발광소자(72) 전면으로부터 벗어나서 발광소자(72)를 보호 해제시키는 제1셔터(85)의 위치를 제2위치라고 한다.
결국 와이핑유닛(110)이 제2대기위치에 있을 때(즉, 제2가이드돌기(117)가 메인터넌스 이동구간(155)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제1보호부재(81)가 제1위치에 존재하여 제1셔터(85)가 발광소자(72)의 전면을 차단하게 된다. 이후 와이핑유닛(110)이 제1대기위치에 있을 때(또는 제2가이드돌기(117)가 연동구간(157)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제1보호부재(81)가 제2위치에 존재하여 제1셔터(85)가 발광소자(72)의 전면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보호장치(80)는 와이핑유닛(11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캐리지가 위치 이동했을 때를 제2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캐리지(140)는 도 9와 같이 제2보호장치(90)의 연장아암(95)과 밀착함으로써 제2셔터(94)가 수광소자(74)의 전면에 배치되고 있다. 제2셔터(94)가 수광소자(74)를 잉크토출영역(34)에 대하여 차단함으로써 수광소자(74)를 보호하는 것을 제1위치라고 한다.
이후 캐리지(140)가 도 11과 같이 이동하여 연장아암(95)과의 간섭이 해제되면 제2셔터(94)는 수광소자(74)의 전면을 벗어나서 위치함으로써 수광소자(74)가 잉크토출영역(34)에 대하여 개방되게 된다. 이처럼 제2셔터(94)가 수광소자(74)의 전면으로부터 벗어나 수광소자(74)를 보호 해제시키는 제2보호부재(91)의 위치를 제2위치라고 한다.
결국 캐리지(140)가 제2측벽(102)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을 때(즉 캐리지(140)가 캐리지 대기위치에 있을 때) 제2보호부재(91)는 제1위치에 존재하여 제2셔터(94)가 수광소자(74)의 전면을 차단하게 된다. 이후 캐리지(140)가 도 11과 같이 이동하는 경우 제2보호부재(91)는 제2위치에 존재하여 제2셔터(94)가 수광소자(74)의 전면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보호장치(90)는 캐리지(14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이다.
결국 제1보호장치(80)가 와이핑 유닛(110)과 연동하여 동작하게 됨으로서 플라텐(50)이 프린팅 위치에 있는 경우 발광소자(72)를 보호하고 플라텐(50)이 메인터넌스 위치에 있는 경우 발광소자(72)를 보호 해제한다. 이로써 플라텐(50)이 메인터넌스 위치에 있을 때 발광소자(72)는 잉크 액정을 투과하는 광을 조사하여 잉 크 토출의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2보호장치(90)가 캐리지(140)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됨으로서 플라텐(50)이 프링팅 위치에 있는 경우 수광소자(74)를 보호하고 플라텐(50)이 메인터넌스 위치하고 캐리지(140)가 노즐부(31)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광소자(74)를 보호 해제한다. 이로써 캐리지(140)가 노즐부(31)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발광소자(72)에서 조사된 광을 감지하여 잉크 토출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이 프린팅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잉크젯헤드의 노즐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이 프린팅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과 와이핑유닛을 결합 모습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이 메인터넌스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와이핑 유닛이 와이핑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메인터넌스 프레임, 클리닝 유닛, 캐리지, 저장탱크 및 펌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메인터넌스 프레임의 제1측벽을 나타내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제2측벽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플라텐이 메인터 넌스 위치에 있을 때 메인터넌스 프레임의 제1측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캐리지가 위치 이동했을 때를 제2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잉크젯헤드 31: 노즐부
50: 플라텐 54: 제1가이드돌기
70: 잉크감지장치 80: 제1보호장치
81: 제1보호부재 82: 레버
90: 제2보호장치 91: 제2보호부재
100: 메인터넌스 장치 110: 와이핑 유닛
117: 제2가이드돌기 120: 클리닝 유닛
140: 캐리지

Claims (25)

  1.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들이 형성된 노즐부를 가지는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들에서 토출되는 잉크를 감지하는 잉크감지장치;와
    상기 노즐부를 정상상태로 보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터넌스장치;와
    제1위치에서 이물질로부터 상기 잉크감지장치를 보호하고 제2위치에서 상기 잉크감지장치의 보호를 해제하는 보호부재를 가지고, 상기 보호부재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메인터넌스장치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닦는 와이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캐리지에 연동하여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닦는 와이핑유닛과, 상기 노즐부를 청소하는 클리닝유닛을 탑재하고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장치는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는 제1보호장치와, 상기 캐리지에 연동하는 제2보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와 대면하여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프린팅 위치와, 상기 프린팅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노즐부의 하부를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를 가지는 플라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플라텐에 연동하고,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메인터넌스장치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셔터 및 작동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아암은 상기 와이핑유닛의 위치에 따라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제1회동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셔터는 상기 제1회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와이핑유닛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레버회동축과, 상기 레버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와이핑유닛 쪽으로 연장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와이핑유닛과 간섭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제1레버아암과, 상기 레버회동축으로부터 상기 보호부재 쪽으로 연장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보호부재의 작동아암과 간섭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제2레버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와이핑유닛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경로가이드부를 가지는 메인터넌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핑유닛은 상기 경로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레버아암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경로가이드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캐리지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연장아암과, 상기 연장아암의 단부에 마련되는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아암은 상기 캐리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캐리지와 간섭하여 상기 제2회동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셔터는 상기 제2회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 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감지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 영역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노즐부의 하부 영역을 통과한 광을 수용하는 수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장치는 상기 발광유닛에 대응하는 제1보호장치와, 상기 수광유닛에 대응하는 제2보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5. 인쇄 가능한 인쇄매체의 최소한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정의되는 잉크토출영역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유닛;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통과한 광을 수용하는 수광소자를 가지는 수광유닛;과
    제1대기위치와 제2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정상상태로 보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터넌스장치;와
    상기 잉크토출영역으로부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하나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호부재를 가지는 제1보호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부재는 상기 메인터넌스장치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향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닦는 와이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부재는 상기 와이핑유닛이 상기 제1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향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부재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작동아암과, 상기 제1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아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하나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장치는 상기 와이핑유닛과 상기 제1보호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제1보호부재를 움직이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잉크토출영역으로부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다른 하나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제2보호부재를 가지는 제2보호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터넌스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캐리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다른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향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호부재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캐리지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연장아암과, 상기 연장아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다른 하나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와이핑유닛의 일측 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핑유닛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경로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가 상기 와이핑유닛을 가이드한 후에 상기 제2보호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보호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상기 다른 하나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는 상기 노즐부를 청소하는 클리닝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5. 인쇄가능한 인쇄매체의 최소한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정의되는 잉크토출영역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유닛;과
    상기 잉크토출영역을 통과한 광을 수용하는 수광소자를 가지는 수광유닛;과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서 상기 노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메인터넌스하는 제1메인터넌스유닛;과
    상기 노즐부를 메인터넌스하기 위한 제2메인터넌스유닛이 탑재되고, 상기 노즐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캐리지;와
    상기 제1메인터넌스유닛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에 대해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1셔터;와
    상기 캐리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잉크토출영역에 대해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2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63950A 2008-07-02 2008-07-02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1507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50A KR101507061B1 (ko) 2008-07-02 2008-07-02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US12/437,569 US8177325B2 (en) 2008-07-02 2009-05-08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50A KR101507061B1 (ko) 2008-07-02 2008-07-02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99A KR20100003899A (ko) 2010-01-12
KR101507061B1 true KR101507061B1 (ko) 2015-03-31

Family

ID=4146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950A KR101507061B1 (ko) 2008-07-02 2008-07-02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77325B2 (ko)
KR (1) KR101507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4784B1 (en) 2016-02-05 2017-08-29 Zih Corp. Printhead carriers and adapt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947A (ja) * 1995-10-02 1997-04-0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60092211A1 (en) * 2004-10-22 2006-05-0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nkjet printer
KR20070027982A (ko) * 2005-08-3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갭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US20080225067A1 (en) * 2007-03-17 2008-09-1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pact position displacement corr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947A (ja) * 1995-10-02 1997-04-0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60092211A1 (en) * 2004-10-22 2006-05-0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nkjet printer
KR20070027982A (ko) * 2005-08-3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갭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US20080225067A1 (en) * 2007-03-17 2008-09-1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pact position displacement corr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99A (ko) 2010-01-12
US20100002046A1 (en) 2010-01-07
US8177325B2 (en)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5492B2 (ja) 画像形成装置
US6637856B2 (en) Inkjet head and inkjet printer
JP2838894B2 (ja) 液体噴射記録装置
JP5073594B2 (ja) 液体吐出ヘッド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5339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defective nozzle i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JP515242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00177134A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inting image using the same
JP2012201076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及びそのノズルクリーニング方法
US90508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rriage mounting recording head for ejecting liquid droplets
KR10150706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JP3910133B2 (ja) ライン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メンテナンスキット
US20100177139A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00904A (ja) 液体吐出装置
JP467467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メンテナンスキット
JP5794059B2 (ja) 液滴噴射装置
JP2009113437A (ja) 記録装置
JP4360225B2 (ja) 液体吐出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JP200612320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21170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461915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23180549A (ja) 廃液貯留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JP4501447B2 (ja) ヘッドキャップ、ヘッド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装置
JP2005161857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4098397A (ja)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の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
JP437091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